KR100437255B1 -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255B1
KR100437255B1 KR10-2001-0034989A KR20010034989A KR100437255B1 KR 100437255 B1 KR100437255 B1 KR 100437255B1 KR 20010034989 A KR20010034989 A KR 20010034989A KR 100437255 B1 KR100437255 B1 KR 100437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block
porch
clean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7328A (ko
Inventor
김봉근
Original Assignee
(주)일신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신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일신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1-0034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255B1/ko
Publication of KR20020097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10Built-in gratings, e.g. foot-scra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9Puzzle-type connections for interlocking male and female panel edge-parts
    • E04F2201/098Puzzle-type connections for interlocking male and female panel edge-parts wherein the interlocking male and female edge-parts have a dovetail, mushroom or simil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주거용 건축물에서 사람이 출입하는 현관에 현관바닥과 같은 높이로 수거통을 설치하여 흙이나 모래 등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일정한 높이와 규격을 갖고, 외면에 형성된 결합돌부와 이에 상응하여 맞물리는 결합요홈을 매개로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현관바닥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닥블록; 외면에 형성된 결합돌부 및 결합요홈을 매개로 상기 바닥블록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벽으로 둘러싸인 안착공간을 갖춘 베이스와,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안착공간으로 착탈가능하게 조적되는 수거통과, 이 수거통의 개방된 상부로 착탈가능하게 조적되며 통공이 형성된 다공판으로 구성된 수거블록; 상기 바닥블록 및 수거블록의 상부 전체를 일괄적으로 덮되, 상기 수거블록의 통공은 외부로 드러나 연통되도록 하는 바닥재; 상기 바닥재와 건축물의 수직면이 만나는 모서리면에 배치되고, 모서리면으로부터 낙하되는 이물질이 상기 바닥재 쪽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라운드가 형성된 모서리 마감재; 및 상기 바닥재와 현관에 형성된 문턱이 만나는 모서리면에 배치되고, 이물질이 현관 밖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라운드가 형성된 문턱 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관바닥의 각진 모서리면을 라운드진 마감재로 마감 처리하고 현관바닥의 일측 바닥면에 흙 모래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현관바닥을 청소하고 청결하게 유지하게 함에 있어 청소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는 편리함을 제공하고 깨끗하고 청결한 현관바닥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 {Construction structure of building hall bottom}
본 발명은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주거용 건축물에서 사람이 출입하는 현관에 현관바닥과 같은 높이로 수거통을 설치하여 흙이나 모래 등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축물에서 사람들이 출입하는 출입구, 예컨대 현관에서 신발을 벗고 신는 관계로 신발에서 떨어지는 모래나 흙 등이 현관바닥에 쌓여 지저분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주거용 건축물의 현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이 놓이는 현관바닥(10)은 타일과 같은 바닥재를 사용하여 마무리하고 마루바닥(18)보다 낮게 시공된다.
현관문(14)의 문턱(12)은 필요에 따라 시설되며 현관바닥(10)보다 약간 높은 높이에 위치되고 신발을 보관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신발장(16)이 구성된다.
현관바닥(10)과 건축물의 수직면이 접하는 면 즉, 상기 현관바닥(10)과 마루바닥(18), 현관바닥(10)과 문턱(12), 현관바닥(10)과 벽면(20) 등이 서로 접하는 모서리면(22)은 L형상으로 거의 직각을 이루게 된다.
그런데 현관바닥(10)에 모래나 흙 등이 쌓여 지저분하게 되면 청소를 하여야 하나, 현관바닥이 주위보다 낮게 위치되어 있어서 청소가 용이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L형상의 모서리면(22)에 흙과 모래가 쌓여서 빗자루나 진공청소기 등으로 청소를 할 경우에 틈새에 쌓여 있는 이물질을 깨끗하게 청소하기란 쉽지 않으며 빗자루로 쓸어 한 장소에 모은 경우에도 다시금 쓰레받기를 이용하여 받아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현관바닥(10)에 모래나 흙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PVC매트나 카펫트 등을 현관바닥에 설치하여 해당 계절이나 일기상태에 따라 외출후 신발 밑바닥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건축물 옥내에서 사용되는 여러종류의 매트형태로서 실내환경을 위해 많이 쓰여지고 있지만 실내환경에는 여러가지 문제로 인하여 불편을 주고 있다.
즉, 일례로 청명한 날에 주거용 건축물의 현관바닥(10)이 깨끗하게 청소된 상태에서 많은 사람들이 매트위로 출입하게 되면, 처음 매트가 세척탈수된 상태로 놓여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잘 닦아지겠지만 출입통행수가 많아짐에 따라 출입자의 신발에 상기 매트상의 흙먼지 및 오물 등을 실내로 옮기게 되었고, 또 상기 매트에쌓인 흙먼지 등은 그 이후의 출입자 신발에 의해 먼지가 실내공기에 날려 실내의 사람들이 이를 호흡하여 건강상 나쁠 뿐만 아니라 쉽게 청소할 수 없는 곳에 붙어 있게 되었다.
또 우절기의 비나 동절기의 눈이 올 때에는 출입자 신발창에 흙탕물 또는 붙은 압착눈, 기타 여러가지 현상으로 인하여 해당 매트는 물론 현관바닥(10)은 흙탕물 얼룩 등으로 청결하지 못하게 되고, 흙탕물이 말라 각 신발의 밑바닥에 비벼진 먼지는 실내공기와 함께 사람이 숨쉬게 될 뿐만 아니라 아무데나 붙어 있게 된다는 결점도 있었다.
매트를 사용하더라도 현관바닥(10)을 청소하는 횟수가 줄어들 뿐 상술한 바와 같은 청소의 어려움, 쓰레받기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은 여전히 있었고 더욱이 현관바닥(10)을 물청소하는 경우에는 청소한 물의 수거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항 안출된 것으로서, 현관바닥의 각진 모서리면을 라운드진 마감재로 마감 처리하고 현관바닥의 일측 바닥면에 흙 모래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현관바닥을 청소하고 청결하게 유지하게 함에 있어 청소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는 편리함을 제공하고 깨끗하고 청결한 현관바닥을 유지할 수 있는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건축물 현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바닥의 시공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바닥블록의 상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쓰레기 수거블록의 상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현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블록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현관바닥 12 : 문턱
14 : 현관문 16 : 신발장
18 : 마루바닥 20 : 벽면
22 : 모서리면 100 : 바닥블록
102 : 결합돌부 104 : 결합요홈
106 : 격벽 110 : 외벽
120 : 블록받침 122 : 가이드돌기
124 : 격벽홈 130 : 바닥재
142 : 모서리 마감재 146 : 문턱 마감재
200 : 수거블록 202 : 결합돌부
204 : 결합요홈 206 : 외벽
210 : 다공판 212 : 손잡이
214 : 통공 220 : 수거통
222 : 손잡이 224a,224b : 받침턱
226 : 손잡이홈 228 : 외벽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높이와 규격을 갖고, 외면에 형성된 결합돌부와 이에 상응하여 맞물리는 결합요홈을 매개로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현관바닥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닥블록; 외면에 형성된 결합돌부 및 결합요홈을 매개로 상기 바닥블록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벽으로 둘러싸인 안착공간을 갖춘 베이스와,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안착공간으로 착탈가능하게 조적되는 수거통과, 이 수거통의 개방된 상부로 착탈가능하게 조적되며 통공이 형성된 다공판으로 구성된 수거블록; 상기 바닥블록 및 수거블록의 상부 전체를 일괄적으로 덮되, 상기 수거블록의 통공은 외부로 드러나 연통되도록 하는 바닥재; 상기 바닥재와 건축물의 수직면이 만나는 모서리면에 배치되고, 모서리면으로부터 낙하되는 이물질이 상기 바닥재 쪽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라운드가 형성된 모서리 마감재; 및 상기 바닥재와 현관에 형성된 문턱이 만나는 모서리면에 배치되고, 이물질이 현관 밖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라운드가 형성된 문턱 마감재;를 포함하는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바닥의 시공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바닥블록의 상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쓰레기 수거블록의 상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현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블록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관바닥의 시공구조는, 현관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블록(100)과, 바닥블록(100)의 상부에 놓여 고정되는 바닥재(130)와, 바닥재(130)와 건축물의 수직면이 만나는 모서리면의 라운드진 모서리 마감재(142)와, 상기 바닥블록(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수거통(220)이 내삽되는 수거블록(200)으로 구성된다.
하부가 개방된 바닥블록(100)은 일정한 높이가 형성되고 일정한 규격을 갖추며 이웃해 있는 바닥블록(100)과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본체의 외벽(110)에 결합돌부(102)와 결합요홈(104)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블록(100)은 하중에 잘 견디고 견고하도록 격벽(106)을 형성하여 구획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블록(100)의 상부에 놓여 고정되는 바닥재(130)는 타일 등으로 구성되며 바닥재(130)와 건축물의 수직면이 접하는 모서리면은 라운드가 형성된 모서리 마감재(142)로 마감 처리된다. 이때, 상기 바닥재(130)는 바닥블록(100) 및 수거블록(200)을 일괄적으로 덮도록 되지만, 외부의 이물질이 수거블록(200)으로 수집되어야 하므로 수거블록(200)의 개구된 상부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해당 위치가 절개되어야 한다.또한 상기 문턱(12)과 블록(100,200) 및 바닥재(130)가 만나는 모서리면 역시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문턱 마감재(146)로 마감 처리된다.
상기 모서리 마감재(142)는 내측으로 라운드가 형성되고 문턱 마감재(146)는 외측으로 라운드가 형성되어 흙, 모래가 퇴적되는 것이 방지되고 청소가 용이하게 된다.
상부가 개방된 수거블록(200)은 상기 바닥블록(100)과 같은 높이와 규격으로 형성되고 이웃해 있는 바닥블록(100)과 결합할 수 있도록 본체의 외벽(206)에, 상기 바닥블록(100)에 형성된 결합돌부(102) 및 결합요홈(104)과 같은 형상으로 결합돌부(202)와 결합요홈(204)이 형성된다.
수거블록(200)은 외벽(228)으로 둘러싸인 안착공간(201)을 갖춘 베이스(230)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201)으로는 상부가 개방된 수거통(220)이 착탈가능하게 내삽되는데 그 외벽(228)의 내측으로는 받침턱(224a,224b)이 상하로 2개 형성된다.
이중 하부의 받침턱(224b)은 외벽(228)의 내측에 형성된 손잡이홈(226)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진 손잡이(222)가 얹혀진다.
흙이나 모래가 낙하하도록 다수의 통공(214)이 형성된 다공판(210)은 상부의 받침턱(224a)에 얹혀지고 상기 다공판(210)에도 회동 가능하게 손잡이(212)가 끼워진다.
상기 수거통(220)이나 다공판(210)에 끼워진 손잡이(212,222)는 손잡이를 잡고 쉽게 이탈시키거나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바닥블록(100)이나 수거블록(200)은 사출제품이므로 딱딱하고 사용시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블록(100,200)의 하부에 큐션이 있는 블록받침(120)을 위치시킨다.
상기 블록받침(12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22)에 의해 격벽홈(124)이 형성되어 바닥블록(100)의 격벽(106)이 격벽홈(124)에 끼워져 바닥블록(100)이 유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바닥의 시공구조는, 하부에는 쿠션이 있는 블록받침(120)이 시공되고 그 상부에는 바닥블록(100)과 수거블록(200)이 시공되며 그 상부에는 바닥재(130)가 시공된다.
상기 수거블록(200)에는 다공판(210)이 얹혀진 수거통(220)이 내삽되며 현관바닥 사방의 모서리면은 라운드가 형성된 마감재(142,146)로 마감처리된다.
즉 건축물의 수직면과 바닥재(130)가 만나는 모서리면은 내측으로 라운드진 모서리 마감재(142)가, 문턱(12)과 블록(100,200) 및 바닥재(130)가 만나는 모서리면은 외측으로 라운드진 문턱 모서리재(146)가 시공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현관바닥을 청소할 경우, 흙이나 모래 등의 이물질을 수거블록(200)이 있는 쪽으로 쓸어 모으기만 하면 이물질이 다공판(210)의 통공(214)을 통해 수거통(220)으로 낙하하게 되어 별도로 쓰레받기에 이물질을 쓸어 담을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물청소를 할 경우에는 수거통(220)이 물을 모아두는 수납공간 역할을 하여 청소한 물이 수거통(220)에 모아져서 편리하다.
이와 같이 수납통(220)에 모아진 이물질이나 청소한 물은 다공판(210)을 열어 수납통(220)의 손잡이(222)를 잡고 수거블록(200)에서 꺼내어 쓰레기통이나 배수로에 비우면 된다.
현관바닥 사방의 모서리면이 라운드가 형성된 마감재(142,146)로 마감 처리되어 흙이나 모래 등의 이물질이 퇴적되지 않고 틈새가 없어 빗자루로 청소가 용이하며, 블록(100,200)의 하부에는 큐션이 있는 블록받침(120)이 시공되어 발로 밟았을 경우 부드러운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결국, 현관바닥의 청소를 용이하게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에 의해 현관바닥의 흙먼지 및 오물 등이 실내로 옮기는 것을 방지하여 먼지가 실내공기에 날려 실내의 사람들이 이를 호흡하여 건강상 나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현관바닥의 각진 모서리면을 라운드진 마감재로 마감 처리하고 현관바닥의 일측 바닥면에 흙 모래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현관바닥을 청소하고 청결하게 유지하게 함에 있어 청소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는 편리함을 제공하고 깨끗하고 청결한 현관바닥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일정한 높이와 규격을 갖고, 외면에 형성된 결합돌부와 이에 상응하여 맞물리는 결합요홈을 매개로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현관바닥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닥블록;
    외면에 형성된 결합돌부 및 결합요홈을 매개로 상기 바닥블록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벽으로 둘러싸인 안착공간을 갖춘 베이스와,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안착공간으로 착탈가능하게 조적되는 수거통과, 이 수거통의 개방된 상부로 착탈가능하게 조적되며 통공이 형성된 다공판으로 구성된 수거블록;
    상기 바닥블록 및 수거블록의 상부 전체를 일괄적으로 덮되, 상기 수거블록의 통공은 외부로 드러나 연통되도록 하는 바닥재;
    상기 바닥재와 건축물의 수직면이 만나는 모서리면에 배치되고, 모서리면으로부터 낙하되는 이물질이 상기 바닥재 쪽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라운드가 형성된 모서리 마감재; 및
    상기 바닥재와 현관에 형성된 문턱이 만나는 모서리면에 배치되고, 이물질이 현관 밖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라운드가 형성된 문턱 마감재;
    를 포함하는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
  2. 삭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닥블록의 하방은 개방되되, 격벽에 의해 구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하부에는 쿠션이 있는 블록받침이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블록받침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에 의해 격벽홈이 형성되어 바닥블록에 형성된 격벽이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
KR10-2001-0034989A 2001-06-20 2001-06-20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 KR100437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989A KR100437255B1 (ko) 2001-06-20 2001-06-20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989A KR100437255B1 (ko) 2001-06-20 2001-06-20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328A KR20020097328A (ko) 2002-12-31
KR100437255B1 true KR100437255B1 (ko) 2004-06-23

Family

ID=2771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989A KR100437255B1 (ko) 2001-06-20 2001-06-20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238B1 (ko) * 2005-12-22 2006-07-28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 청소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현관바닥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76335A1 (en) * 2004-02-07 2005-08-18 Grapion Technologies Korea Co., Ltd. Composite shape electro-forming member, its electro-forming mas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66809B1 (ko) * 2007-08-10 2007-10-17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쿠션블록
KR100803056B1 (ko) * 2007-09-21 2008-02-18 김연설 공동주택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KR100813103B1 (ko) * 2007-10-08 2008-03-17 (주)건축사사무소도연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 바닥 패널
KR102435353B1 (ko) * 2022-03-19 2022-08-23 주식회사 와이피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 출입소음 감소 효과가 뛰어난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1350A (en) * 1973-08-23 1975-11-25 Cylpi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anitary elevated flooring system
US4348840A (en) * 1980-05-22 1982-09-14 Eltra Corporation Modular hazardous dust collection pan and walkway
JPS5864266U (ja) * 1981-10-22 1983-04-30 株式会社下村工務店 水切りマツト
US4497858A (en) * 1983-09-09 1985-02-05 Andre Dupont Tile for an entrance mat
JPS60138948U (ja) * 1984-02-24 1985-09-13 三井 正之 グレ−チングマツト
JPS6159730U (ko) * 1984-09-25 1986-04-22
US4845907A (en) * 1987-12-28 1989-07-11 Meek John R Panel module
KR19980024686U (ko) * 1996-10-31 1998-07-25 이종용 다용도 깔판
JPH11131752A (ja) * 1997-11-04 1999-05-18 Yoshihiro Kizaki 水きり玄関システム
KR200196453Y1 (ko) * 2000-04-04 2000-09-15 권종 실내 바닥용 조립깔판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1350A (en) * 1973-08-23 1975-11-25 Cylpi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anitary elevated flooring system
US4348840A (en) * 1980-05-22 1982-09-14 Eltra Corporation Modular hazardous dust collection pan and walkway
JPS5864266U (ja) * 1981-10-22 1983-04-30 株式会社下村工務店 水切りマツト
US4497858A (en) * 1983-09-09 1985-02-05 Andre Dupont Tile for an entrance mat
JPS60138948U (ja) * 1984-02-24 1985-09-13 三井 正之 グレ−チングマツト
JPS6159730U (ko) * 1984-09-25 1986-04-22
US4845907A (en) * 1987-12-28 1989-07-11 Meek John R Panel module
KR19980024686U (ko) * 1996-10-31 1998-07-25 이종용 다용도 깔판
JPH11131752A (ja) * 1997-11-04 1999-05-18 Yoshihiro Kizaki 水きり玄関システム
KR200196453Y1 (ko) * 2000-04-04 2000-09-15 권종 실내 바닥용 조립깔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238B1 (ko) * 2005-12-22 2006-07-28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 청소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현관바닥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328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9312B1 (en) Improvements in matting
US4029834A (en) Floor mat with hinged rigid elongated rails
US9480356B2 (en) Footwear storage device
KR100437255B1 (ko)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
KR100574901B1 (ko) 공동주택 출입구의 신발 바닥 청소장치
US20020119275A1 (en) Modular mats and edging system therefor
KR101391076B1 (ko) 컨테이너 하우스 출입구용 발판
KR200447495Y1 (ko) 흙,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발판
US5972462A (en) Matting
KR101592179B1 (ko)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
KR200468228Y1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커버 및 화장실 세트
KR100604238B1 (ko) 청소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현관바닥의 구조
US8650699B1 (en) Scrubber adapted for cleaning a side surface of a rain gutter
KR200250230Y1 (ko) 건축물 현관바닥 시공물
KR20070039421A (ko)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
KR102002157B1 (ko) 공동주택 세대 현관의 안전 바닥 패널
AU5011699A (en) A mat
GB2354165A (en) Entrance matting
KR200419369Y1 (ko) 도어 바닥용 안전발판
US20030167592A1 (en) Vacuum assisted ceiling fan blade cleaner
KR200316618Y1 (ko) 신발 흙털이깔판
CN2279863Y (zh) 一种踏垫
JPH0431023Y2 (ko)
JP3061413U (ja) 集塵吸水機能を有する玄関マット組合せ装置
JPH08135157A (ja) 複合床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