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204B1 -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204B1
KR101193204B1 KR1020120021778A KR20120021778A KR101193204B1 KR 101193204 B1 KR101193204 B1 KR 101193204B1 KR 1020120021778 A KR1020120021778 A KR 1020120021778A KR 20120021778 A KR20120021778 A KR 20120021778A KR 101193204 B1 KR101193204 B1 KR 101193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removal device
collecting
foreig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위진
Original Assignee
정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위진 filed Critical 정위진
Priority to KR1020120021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입자(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창틀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창틀의 하측에 이물질이 포집하는 서랍을 구비하되 창틀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하여 포집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는, 다수의 레일이 형성된 창틀과, 상기 각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창문으로 이루어진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틀의 하부 창틀에 형성된 레일의 하측으로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는, 하부 창틀에 형성된 다수의 레일의 하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도록 포집용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집용 공간부에는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된 포집용 서랍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Doors equipped with debris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미세입자(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창틀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창틀의 하측에 이물질이 포집하는 서랍을 구비하되 창틀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하여 포집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호의 경우에는 창틀의 상면에 적당간격을 두고 다수의 레일을 형성하며, 창틀 중 하부 창틀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에 미닫이 창문이 안착되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미닫이 창호의 경우 개폐가 용이하고, 방음 및 단열이 용이함으로써 아주 널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닫이 창호의 하부 창틀에는 먼지와 같은 미세입자가 쌓이게 됨으로써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여야 한다.
그러나 미세입자와 같은 이물질 제거를 위한 청소시 작업자는 다수의 레일에 의하여 이물질의 제거에 많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차량 등에서 발생하는 매연이 더해지면서 하부 창틀에 쌓인 이물질의 경우에는 겔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더욱더 제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청소를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창틀에 있는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하지 않는 경우, 미세입자와 같은 이물질이 실내공기를 오염시켜 천식, 감기 등과 같은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먼지와 같은 미세입자에 의한 창틀의 오염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기술로 (KR)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16618호인 "미닫이 창호용 창틀의 이물질 분리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인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16618호의 "미닫이 창호용 창틀의 이물질 분리구조"는 "창틀프레임 상면에 동일 높이로된 복수의 안내레일을 형성하여 이에 창문프레임이 상호 교행가능하게 결합된 미닫이 창호용 창틀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배수공의 천공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천공표시홈이 형성되고, 이의 하부에는 시멘트 몰탈의 타설 높이를 표시하기 위한 타설표시홈이 형성되며 상기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안내레일의 적어도 한 측면에 모헤어가 삽입되는 요입홈을 형성하되, 모헤어에 의해서 차단된 미세한 이물질이 누적되지 못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만곡부를 구비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16618호의 "미닫이 창호용 창틀의 이물질 분리구조" 역시 하부 창틀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먼지와 같은 미세입자의 제거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166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의 하부 창틀에 쌓이(안착)는 미세입자와 같은 이물질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된 본 발명인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는, 다수의 레일이 형성된 창틀과, 상기 각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창문으로 이루어진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틀의 하부 창틀에 형성된 레일의 하측으로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는, 하부 창틀에 형성된 다수의 레일의 하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도록 포집용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집용 공간부에는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된 포집용 서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집용 공간부의 바닥면 일측에는 포집용 서랍의 하부바닥면과 접촉하는 단열용 부재가 설치되고, 외부방향으로 우수용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는, 미세입자와 같은 이물질을 하부 창틀에 구비된 포집용 서랍에 쌓이(포집)도록 한 후, 작업자가 하부 창틀에서 포집용 서랍을 분리하여 포집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물질로 인한 오염과 미세입자와 같은 이물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천식, 감기 등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의 개략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의 'a' 부분에 대한 상세 개략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의 부분 상세 개략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의 부분 상세 개략사시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미세입자(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창틀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에 대하여 첨부된 일 실시 예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1)는 상기 창틀(10)의 하부 창틀(11)에 형성된 레일(12)의 하측으로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장치(A)가 구비된 것으로, 구성은 크게 다수의 레일(12)이 형성된 창틀(10)과, 상기 창틀(10)의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창문(20)과, 상기 창틀(10)의 하부 창틀(11)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포집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포집용 서랍(30)으로 구성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창틀(11)에 쌓이는 이물질을 포집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A)는, 하부 창틀(11)에 형성된 다수의 레일(12)의 하측에는 개구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3)와 연통하도록 포집용 공간부(14)가 형성되고, 상기 포집용 공간부(14)에는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된 포집용 서랍(30)으로 이루어져, 상기 개구부(13)를 통하여 유입되는 이물질을 포집용 서랍(30)에 포집한 후 상기 포집용 서랍(30)을 하부 창틀(11)에서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부 창틀(11)에 형성된 다수의 레일(12)의 하측으로 포집용 서랍(3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포집용 공간부(14)을 형성하고, 상기 포집용 공간부(14)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레일(12)의 하측에 개구부(13)를 형성한다.
상기 포집용 공간부(14)의 바닥면(15) 일측에는 포집용 서랍(30)의 하부바닥면(32)과 접촉하는 단열용 부재(16)가 설치되고, 외부방향으로 우수용 홈(15a)이 형성되고, 상기 우수용 홈(15a)으로 유입된 우수와 같은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우수홀(15b)이 형성된다.
상기 단열용 부재(16)는 보통 모헤어를 사용한다.
상기 포집용 공간부(14)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되는 포집용 서랍(30)이이 내부에서 삽입되도록 내측 하부 창틀(11a)에 삽입부(17)가 형성되고, 외측 하부 창틀(11a)에는 포집용 서랍(30)의 틀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형상의 돌기부(18)가 형성된다.
상기 포집용 서랍(30)은 포집용 공간부(14)에 슬라이딩 되며,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개구부(13)를 통하여 유입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31)를 가지며, 일측에는 우수와 같은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관통홀(33)이 형성되고, 전방에 손잡이(3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1)의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4의 (a)와 같이 이물질은 개구부(13)을 통하여 포집용 공간부(14)에 설치되어 있는 포집용 서랍(30)의 내부공간(31)에 포집되며, 도 4의 (b)와 같이 작업자는 포집용 서랍(30)을 창틀(10)에서 분리하여 내부공간(31)에 포집된 이물질을 물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제거한 후 도 4의 (a) 같이 설치한다.
우수 등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도 4의 (a)와 같이 내부공간(31)에 유입되는 우수는 관통홀(33)을 통하여 우수용 홈(15a)에 유입되고, 상기 우수용 홈(15a)에 유입된 우수는 우수홀(15b)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바닥면(15)과 턱이 형성되게 우수용 홈(15a)이 형성됨으로써 우수가 내부로 유입되니 않으며, 더욱이 단열용 부재(16)에 의하여 더욱 차단될 수 있다.
도 5는 이물질 제거장치(A)로 인하여 레일(12)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레일(1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2a)가 하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포집용 서랍(30)의 내부공간(31)에는 레일(12)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대(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2a)의 경우에는 이물질이 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면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 이물질 제거장치
1 :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10 : 창틀 11 : 하부 창틀
12 : 레일 13 : 개구부
14 : 포집용 공간부 15 : 바닥면
15a : 우수용 홈 16 : 단열부재
20 : 창호
30 : 포집용 서랍 31 : 내부공간
32 : 하부바닥면 33 : 관통홀

Claims (3)

  1. 다수의 레일이 형성된 창틀과, 상기 각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창문으로 이루어진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틀(10)의 하부 창틀(11)에 형성된 레일(12)의 하측으로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장치(A)가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A)는 하부 창틀(11)에 형성된 다수의 레일(12)의 하측에는 개구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3)와 연통하도록 포집용 공간부(14)가 형성되고, 상기 포집용 공간부(14)에는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된 포집용 서랍(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집용 공간부(14)의 바닥면(15) 일측에는 포집용 서랍(30)의 하부바닥면(32)과 접촉하는 단열용 부재(16)가 설치되고, 외부방향으로 우수용 홈(15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2. 삭제
  3. 삭제
KR1020120021778A 2012-03-02 2012-03-02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KR101193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778A KR101193204B1 (ko) 2012-03-02 2012-03-02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778A KR101193204B1 (ko) 2012-03-02 2012-03-02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204B1 true KR101193204B1 (ko) 2012-10-19

Family

ID=4728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778A KR101193204B1 (ko) 2012-03-02 2012-03-02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2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299B1 (ko) * 2014-11-04 2016-05-27 최상암 이물질 제거용 창호장치
KR101636209B1 (ko) 2015-05-22 2016-07-04 양동석 미닫이 도어용 이물질 차단커버
KR200482824Y1 (ko) * 2016-04-14 2017-03-08 이돈창 창틀프레임용 이물질 포집부재
KR20200025133A (ko) * 2018-08-29 2020-03-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충망 구조체
KR102156387B1 (ko) * 2020-06-25 2020-09-15 엄봉 청소가 용이한 창호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699Y1 (ko) 1999-11-22 2000-05-15 조은철 창문프레임 청소장치
KR200331777Y1 (ko) 2003-07-15 2003-11-01 장숙희 창틀 레일용 먼지 받이대
JP2005330806A (ja) 2005-07-11 2005-12-02 Bunka Shutter Co Ltd 戸袋のごみ等排出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699Y1 (ko) 1999-11-22 2000-05-15 조은철 창문프레임 청소장치
KR200331777Y1 (ko) 2003-07-15 2003-11-01 장숙희 창틀 레일용 먼지 받이대
JP2005330806A (ja) 2005-07-11 2005-12-02 Bunka Shutter Co Ltd 戸袋のごみ等排出構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299B1 (ko) * 2014-11-04 2016-05-27 최상암 이물질 제거용 창호장치
KR101636209B1 (ko) 2015-05-22 2016-07-04 양동석 미닫이 도어용 이물질 차단커버
KR200482824Y1 (ko) * 2016-04-14 2017-03-08 이돈창 창틀프레임용 이물질 포집부재
KR20200025133A (ko) * 2018-08-29 2020-03-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충망 구조체
KR102098823B1 (ko) * 2018-08-29 2020-04-0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충망 구조체
KR102156387B1 (ko) * 2020-06-25 2020-09-15 엄봉 청소가 용이한 창호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204B1 (ko) 이물질 제거장치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CN203837110U (zh) 空调
CN210497327U (zh) 电梯地坎的清洁装置
KR20170014313A (ko) 차량용 미세먼지 집진장치
CN207511640U (zh) 一种清洁导向一体化的电梯门导靴
CN106284607A (zh) 一种防止堵塞倾斜滤网下水道盖板
CN213286101U (zh) 一种建筑施工除尘装置
CN113521910A (zh) 一种商场地下室异味控制净化装置
CN114164753B (zh) 易清理的市政桥梁泄水装置
KR100815107B1 (ko)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JP5522930B2 (ja) メンテナンス性を高めた換気装置及び同換気装置に使用するフィルターユニット
KR20120079554A (ko) 에어필터 창문
CN208726857U (zh) 一种便于清除滤渣的污水杂质清除装置
CN208735757U (zh) 一种室内环境污染治理用净化装置
CN106322588A (zh) 带滤网的空气洁净器
JP4182093B2 (ja) 引込戸
CN210302979U (zh) 一种烟道除尘器
KR100972912B1 (ko) 기류 균배를 위한 공기필터의 구조
CN205417413U (zh) 一种存放雨伞的公交车座椅
CN214403347U (zh) 一种便于清理的门窗
CN212947635U (zh) 一种便于清理的义齿技工台
CN217614875U (zh) 一种便于拆装的实验室用滴水架
JP2014058804A (ja) 集水桝の土砂、ゴミ除去装置
CN212157301U (zh) 一种滤油装置及应用其的吸油烟机
CN201517802U (zh) 一种双油杯的侧吸式油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