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889B1 -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889B1
KR102114889B1 KR1020190131443A KR20190131443A KR102114889B1 KR 102114889 B1 KR102114889 B1 KR 102114889B1 KR 1020190131443 A KR1020190131443 A KR 1020190131443A KR 20190131443 A KR20190131443 A KR 20190131443A KR 102114889 B1 KR102114889 B1 KR 102114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housing
damper
bleacher
rot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신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131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47C7/58Hinges, e.g. for mounting chairs in a curved r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는 관람객이 착석할 수 있는 관람석 의자에 연결되어, 사용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관람석 의자를 보관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관람석 의자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하우징부; 상기 관람석 의자가 사용 위치일 경우 제1 위치이고, 상기 관람석 의자가 보관 위치일 경우 제2 위치로서, 상기 관람석 의자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관람석 의자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회동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사용 위치인 상기 관람석 의자가 상기 보관 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동부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동부의 위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회동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관람석 의자가 자체의 중량에 의해 회동될 수 있을 때의 상기 회동부의 위치인 자유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회동부가 위치 이동된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회동부가 상기 자유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시간이 조절되도록, 상기 회동부 또는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Description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 {SLEWING VELOCITY ADJUSTMENT DEVICE FOR CHAIR ASSEMBLY}
본 발명은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다단 관람석단에 배치되는 관람석 의자에 연결되어, 관람석 의자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람석 의자는 다수의 관중을 수용하는 경기장, 극장 또는 영화관 등에 설치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창고에 보관되거나 다른 곳으로 운반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보관 또는 운반을 위해 관람석 의자를 접기 위해서는 특정 도구를 활용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관람석 의자를 접어야 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납관람석 의자회동장치(제10-0521374호, 2005.10.06, 등록)가 개발되었으나, 의자를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모터가 활용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전기 공급을 위한 과정이 필요한 단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가방을 벗지 않고 신속하게 방호 기능을 발현할 수 있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는 관람객이 착석할 수 있는 관람석 의자에 연결되어, 사용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관람석 의자를 보관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관람석 의자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하우징부; 상기 관람석 의자가 사용 위치일 경우 제1 위치이고, 상기 관람석 의자가 보관 위치일 경우 제2 위치로서, 상기 관람석 의자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관람석 의자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회동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사용 위치인 상기 관람석 의자가 상기 보관 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동부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동부의 위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회동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관람석 의자가 자체의 중량에 의해 회동될 수 있을 때의 상기 회동부의 위치인 자유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회동부가 위치 이동된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회동부가 상기 자유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시간이 조절되도록, 상기 회동부 또는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댐퍼부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복 수개의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댐퍼부는, 상기 댐퍼부의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부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댐퍼부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연결홀들 중 하나의 연결홀에 연결되게,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동부의 일 지점인 인가 지점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동부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부는,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인가 지점의 상기 회동부와 이격되며,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가 지점의 상기 회동부가 접촉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동부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상기 댐퍼부가 연결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립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댐퍼부는, 상기 관람석 의자가 상기 보관 위치에서 상기 사용 위치로 용이하게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슬립홀의 일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인 상기 인가 지점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부는,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댐퍼부의 타단부와 상기 인가 지점과의 이격 거리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일 위치인 제1 연결 위치의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하우징부의 일 위치인 제2 연결 위치의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일측 로드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동부와 접촉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동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타측 로드부 및 상기 일측 로드부와 상기 타측 로드부에 연결되는 댐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회동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상기 관람석 의자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매개 회동부 및 상기 매개 회동부에 연결되며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매개 회동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이동 회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회동부는, 상기 하우징부가 제공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관람석 의자의 자체 중량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없고, 자유 위치일 경우, 상기 관람석 의자의 자체 중량에 의해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자유 위치로 위치 이동되기 위하여, 상기 이동 회동부에 외력이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회동부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 방향으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게,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 중 일부가 관통되어 제작되는 조작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는 여러 종류의 관람석 의자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가 연결된 관람석 의자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의 위치가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의 낙하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가 연결된 관람석 의자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단 관람석단은 착석자가 이동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부(20),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관람석 의자(30) 및 상기 관람석 의자와 상기 베이스부(20)를 매개하는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는 상기 베이스부(20)의 상면에 연결, 고정된 채로 상기 관람석 의자(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는 상기 관람석 의자(30)가 사용 위치에 위치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관람석 의자(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관람석 의자(30)는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하판부(31) 및 사람이 기댈 수 있는 등판부(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람석 의자(30)가 사용될 경우 사용 위치에 위치되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관람석 의자(30)가 모두 사용된 후에 보관될 때에는 상기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에 의해 일 방향(일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보관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1(a)는 상기 관람석 의자(30)가 사용 위치이고, 상기 회동부가 제1 위치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관람석 의자(30)가 사용 위치일 경우, 상기 관람석 의자(30)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관람석 의자(30)가 사용 위치일 경우, 상기 관람석 의자(30)는 상기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람석 의자(30)가 사용 위치일 경우, 상기 하판부(31)와 상기 등판부(32)는 서로 포개지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람석 의자(30)가 사용 위치일 경우, 상기 회동부의 매개 회동부는 상기 베이스부(20)를 기준으로 기립될 수 있다.
도 1(b)는 상기 관람석 의자(30)가 보관 위치이고, 상기 회동부가 제2 위치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관람석 의자(30)가 보관 위치일 경우, 상기 관람석 의자(30)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관람석 의자(30)가 보관 위치일 경우, 상기 관람석 의자(30)는 상기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람석 의자(30)가 보관 위치일 경우, 상기 하판부(31)와 상기 등판부(32)는 서로 포개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람석 의자(30)가 보관 위치일 경우, 상기 회동부의 매개 회동부는 상기 베이스부(20)를 기준으로 기립되지 않고 누워있을 수 있다.
이하, 상기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100)는 관람객이 착석할 수 있는 관람석 의자에 연결되어, 사용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관람석 의자를 보관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관람석 의자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하우징부(110), 상기 관람석 의자가 사용 위치일 경우 제1 위치이고, 상기 관람석 의자가 보관 위치일 경우 제2 위치로서, 상기 관람석 의자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부(11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관람석 의자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회동부(120) 및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되며, 상기 사용 위치인 상기 관람석 의자가 상기 보관 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동부(120)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동부(120)의 위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회동부(120)에 외력을 인가하는 댐퍼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는 상기 회동부(12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동부(1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10)는 내측에 상기 회동부(120) 및 상기 댐퍼부(130)가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디.
상기 하우징부(110)는 상기 베이스부(2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110)에는 상기 댐퍼부(130)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는 복 수개의 연결홀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홀은 제1 연결홀(h11), 상기 제1 연결홀(h11)과 이격되는 제2 연결홀(h12), 상기 제2 연결홀(h12)과 이격되는 제3 연결홀(h13), 상기 제3 연결홀(h13)과 이격되는 제4 연결홀(h14) 및 상기 제4 연결홀(h14)과 이격되는 제5 연결홀(h15)을 구비할 수 있다.
각 각의 연결홀들은 상기 하우징부(110)의 양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10)에는 상기 댐퍼부(130)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댐퍼부(130)의 타단부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라이딩홀(h1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110)에는 상기 댐퍼부(130)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매개 회동부에 연결된 상기 댐퍼부(130)의 타단부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라이딩홀(h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들은 상기 하우징부(110)의 후방 방향으로 편향되어 상기 하우징부(11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슬라이딩홀(h16)은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방 방향으로 편향되어 상기 하우징부(11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홀(h16)은 곡선형의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10)에는 후술하는 제2 이동 회동부(122b)가 상기 하우징부(110)의 측면 방향으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이동 회동부(122b)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홀인 조작홀(h17)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작홀(h17)은 상기 하우징부(110)의 후방 방향으로 편향되어 상기 하우징부(11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회동부(120)는 상기 관람석 의자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11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되는 매개 회동부(121) 및 상기 매개 회동부(121)에 연결되며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매개 회동부(121)를 위치 이동시키는 이동 회동부(122a, 122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회동부(120)는 상기 매개 회동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이동 회동부(122a) 및 상기 제1 이동 회동부(122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이동 회동부(12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회동부(122a, 122b)는 상기 하우징부(110)가 제공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매개 회동부(121)는 상기 관람석 의자에 연결되는 제1 매개 회동부(121a) 및 상기 제1 매개 회동부(121a)와 연결되어 상기 댐퍼부(130)와 상기 제1 이동 회동부(122a)가 위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내측에 제공하는 제2 매개 회동부(121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매개 회동부(121a)의 일단부는 상기 관람석 의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매개 회동부(121a)의 타단부는 상기 제2 매개 회동부(121b)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매개 회동부(121a)와 상기 제2 매개 회동부(121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매개 회동부(121a)와 상기 제2 매개 회동부(121b)는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매개 회동부(121b)의 양 측면에는 상기 댐퍼부(130)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립홀(h121b)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슬립홀(h121b)의 일단부는 상기 댐퍼부(130)에 접촉되면서 상기 댐퍼부(130)가 수축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댐퍼부(130)의 외력이 작용되는 인가 지점(P121)일 수 있다.
상기 제2 매개 회동부(121b)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매개 회동부(121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매개 회동부(121b)의 중단부는 상기 하우징부(11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매개 회동부(121b)의 타단부는 상기 제1 이동 회동부(122a)의 일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매개 회동부(121b)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회동부(122a)의 일단부는 상기 제2 매개 회동부(121b)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 회동부(122a)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이동 회동부(122b)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회동부(122b)는 상기 제1 이동 회동부(122a)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이동 회동본체부(122b-1) 및 상기 제2 이동 회동본체부(122b-1)가 상기 하우징부(11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 고정되며 상기 제2 이동 회동본체부(122b-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이동 로드부(122b-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회동본체부(122b-1)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이동 회동부(122a)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회동본체의 중단부는 소정의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상기 제2 이동 로드부(122b-2)가 삽입될 수 잇다.
상기 제2 이동 로드부(122b-2)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양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회동본체부(122b-1)의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조작홀(h17)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110)의 측면 방향으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2 이동 로드부(122b-2)에 외삽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의 일단은 상기 제2 이동 회동본체부(122b-1)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12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탄성부는 탄성 변형되지 않고, 상기 회동부(12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어, 상기 회동부(120)의 회동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댐퍼부(130)는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되는 일측 로드부(131),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되며 상기 회동부(120)와 접촉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동부(120)에 외력을 인가하는 타측 로드부(132) 및 상기 일측 로드부(131)와 상기 타측 로드부(132)에 연결되는 댐퍼 부재(13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부(130)는 상기 일측 로드부(131)와 상기 타측 로드부(132)를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시키는 체결 수단(13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댐퍼 부재(13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회동부(1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타측 로드부(132)와 상기 댐퍼 부재(133)의 일부는 상기 제1 이동 회동부(122a)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측 로드부(131)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일측 로드부(131)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연결홀(h11)의 하나의 홀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타측 로드부(132)의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타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연결홀(h11)의 하나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일측 로드부(131)는 다른 연결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로드부(131)의 단부에 상기 체결 수단(134)이 결합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1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일측 로드부(131)는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타측 로드부(132)는 상기 슬립홀(h121b)에 삽입된 채로 상기 슬라이딩홀(h16)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타측 로드부(132)의 일부는 상기 슬립홀(h121b)에 삽입되고, 상기 타측 로드부(132)의 타단부는 상기 슬라이딩홀(h16)에 삽입된 채로, 상기 체결 수단(134)은 상기 상기 타측 로드부(132)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부(110)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의 구동 과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의 위치가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가 구비하는 회동부가 제1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기 매개 회동부(121)의 회전은 상기 하우징부에 대해서 회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이동 회동부(122a)의 회전은 상기 매개 회동부(121)에 대해서 회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회동부(122b)의 회전은 상기 하우징부(110)에 대해서 회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회동부가 제1 위치일 경우에는, 상기 관람석 의자의 중량에 의해 상기 관람석 의자가 상기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의 전방 방향으로 전복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회동부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관람석 의자의 무게 중심은, 상기 제2 매개 회동부(121b, 도 3 참조)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된 부분(이하, 회전 중심(G100))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 선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부 방향(W10)으로 편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매개 회동부(121)는 제1 방향(일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하고, 제1 이동 회동부(122a)는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1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하고, 상기 제2 이동 회동부(122b)는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이동 회동부(122a)와 상기 제2 이동 회동본체부의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상기 회동부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이동 회동부(122a)와 상기 제2 이동 회동본체부는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매개 회동부(121)도 제1 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관람석 의자는 사용 위치에 위치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타측 로드부(132)는 상기 슬립홀(h121b)의 타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매개 회동부(121)에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댐퍼부(130)는 상기 인가 지점(P121)의 상기 회동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댐퍼부(130)는 상기 인가 지점(P121)의 상기 회동부가 접촉되는 것에 의해 상기 회동부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회동부는 상기 관람석 의자의 자체 중량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가 자유 위치일 경우, 상기 회동부는 상기 관람석 의자의 자체 중량에 의해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관람석 의자는 보관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상기 조작홀(h17, 도 2 참조)을 통해 상기 제2 이동 회동본체부(122b-1)의 타단부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2 이동 회동본체부(122b-1)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자유 위치로 위치 이동되기 위하여, 상기 이동 회동부(122a, 122b)에 외력이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회동부(122a, 122b)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110)의 측면 방향으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게, 상기 하우징부(110, 도 2 참조)는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 중 일부가 관통되어 제작되는 조작홀(h17)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이동 회동부(122a)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매개 회동부(121)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매개 회동부(121)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타측 로드부(132)는 상기 슬립홀(h121b) 상에서 상기 슬립홀(h121b)의 타단부에서 상기 슬립홀(h121b)의 일단부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회전 중심(G100)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 선을 기준으로 상기 관람석 의자의 무게 중심이 상기 하우징부(110) 방향과 반대 방향(이하, 외부 방향(W20))으로 기울게 될 때까지, 상기 제2 이동 회동본체부(122b-1)의 타단부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각 구성들이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b)를 참조하면, 회전 중심(G100)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 선(L10)을 기준으로 상기 관람석 의자의 무게 중심(G10)이 상기 외부 방향(W20)으로 기울게 될 때의 상기 회동부의 위치를 자유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가 자유 위치일 경우, 상기 관람석 의자는 상기 관람석 의자의 자체 중량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부의 전방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동부는 제2 위치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관람석 의자는 보관 위치로 될 수 있다.
도 4(c) 및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댐퍼부(130)는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되며, 상기 댐퍼부(130)가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동부의 일 지점인 인가 지점(P121)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상기 댐퍼부(130)는 상기 회동부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관람석 의자의 중량에 의해 상기 매개 회동부(121)가 계속해서 회전되어, 상기 타측 로드부(132)가 상기 슬립홀(h121b)의 일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회동부의 일 지점인 상기 인가 지점(P121)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회동본체부(122b-1)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동 회동부(122a)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타측 로드부(132)가 상기 슬립홀(h121b)의 일단부에 접촉된 이후 상기 매개 회동부(121)가 상기 회동부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될 경우, 상기 매개 회동부(121)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인가 지점(P121)의 상기 매개 회동부(121)는 상기 타측 로드부(132)를 가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타측 로드부(132)는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로드부(132)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댐퍼 부재(133)는 수축될 수 있으며, 상기 댐퍼 부재(133)가 수축된 것에 의해 상기 댐퍼 부재(133)에 반발력이 발생되어, 상기 댐퍼 부재(133)는 상기 타측 로드부(132)가 이동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타측 로드부(132)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타측 로드부(132)는 상기 매개 회동부(121)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댐퍼부(130)는 상기 관람석 의자가 사용 위치에서 보관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급속도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 로드부(132)가 상기 슬립홀(h121b)의 일단부에 접촉된 이후, 상기 매개 회동부(121)가 계속해서 회전될 경우, 상기 타측 로드부(132)는 상기 슬라이딩홀(h16) 상에서 상기 하우징부(110)의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회동본체부(122b-1)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동 회동부(122a)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매개 회동부(121)가 상기 회동부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되어, 상기 회동부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타측 로드부(132)는 상기 슬라이딩홀(h16) 상에서 상기 하우징부(110)의 후방 방향으로 계속 슬라이딩되어, 상기 타측 로드부(132)는 상기 슬리이딩홀의 타단에 접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회동부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슬라이딩홀(h16)의 타단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의 낙하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관람석 의자가 상기 보관 위치에서 상기 사용 위치로 용이하게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댐퍼부(130)는 상기 댐퍼부(130)는 상기 슬립홀(h121b)의 일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인 상기 인가 지점(P121)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타측 로드부(132)와 인가 지점(P121)에 대응되는 상기 매개 회동부(121) 사이의 상기 슬립홀(h121b)의 공간을 낙하 공간(S121)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낙하 공간(S121)이 클수록 상기 관람석 의자의 자유 낙하 시간이 길어질 있다.
만일, 동일한 중량의 관람석 의자를 기준으로 서술하자면, 상기 관람석 의자가 자체의 중량에 의해 회동될 수 있을 때의 상기 회동부의 위치인 자유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회동부가 위치 이동된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회동부가 상기 자유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시간이 조절되도록, 상기 댐퍼부(130)가 상기 회동부 또는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다른 중량의 관람석 의자를 기준으로 서술하자면, 사용자는 상기 관람석 의자의 중량에 맞게 상기 낙하 공간(S121)을 조절하여, 관람석 의자의 중량과 관계없이 상기 회동부가 상기 자유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낙하 공간(S121)이 클수록 관람석 의자의 자유 낙하 회전이 길어지기 때문에 관람석 의자의 중량이 가벼울 수록 적합할 수 있다.
만일, 관람석 의자의 중량 클 경우에는 관람석 의자의 회전이 급작스럽게 발생되어 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반대로 낙하 공간(S121)이 작을수록 관람석 의자의 자유 낙하 회전이 짧아지기 때문에, 관람석 의자의 중량이 무거울수록 적합할 수 있다.
만일, 관람석 의자의 중량이 작을 경우에는 댐퍼부(130)의 반발에 의해 관람석 의자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낙하 공간(S121)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댐퍼부(13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댐퍼부(130)의 타단부와 상기 인가 지점(P121)과의 이격 거리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댐퍼부(130)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일 위치인 제1 연결 위치의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되거나, 상기 댐퍼부(130)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일 위치인 제2 연결 위치의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130)의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부(110)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되며, 상기 댐퍼부(130)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상기 연결홀들 중 하나의 연결홀에 연결되게, 상기 댐퍼부(130)는 상기 하우징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10)의 상기 제1 연결 위치는, 상기 댐퍼 부재(133)에 어떠한 반발력도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타측 로드부(132)가 상기 슬라이딩홀(h16)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 로드부(131)가 상기 제1 연결홀(h11)에 연결되었을 경우의 상기 하우징부(11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의 K10, 도 7(a) 참조,)
또한, 상기 하우징부(110)의 상기 제2 연결 위치는, 상기 댐퍼 부재(133)에 어떠한 반발력도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타측 로드부(132)가 상기 슬라이딩홀(h16)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 로드부(131)가 상기 제2 연결홀(h12)에 연결되었을 경우의 상기 하우징부(11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의 K20, 도 7(b) 참조)
또한, 상기 하우징부(110)의 상기 제3 연결 위치는, 상기 댐퍼 부재(133)에 어떠한 반발력도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타측 로드부(132)가 상기 슬라이딩홀(h16)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 로드부(131)가 상기 제3 연결홀(h13)에 연결되었을 경우의 상기 하우징부(11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의 K30, 도 7(c) 참조)
또한, 상기 하우징부(110)의 상기 제4 연결 위치는, 상기 댐퍼 부재(133)에 어떠한 반발력도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타측 로드부(132)가 상기 슬라이딩홀(h16)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 로드부(131)가 상기 제4 연결홀(h14)에 연결되었을 경우의 상기 하우징부(11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의 K40, 도 7(d) 참조)
또한, 상기 하우징부(110)의 상기 제5 연결 위치는, 상기 댐퍼 부재(133)에 어떠한 반발력도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타측 로드부(132)가 상기 슬라이딩홀(h16)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 로드부(131)가 상기 제5 연결홀(h15)에 연결되었을 경우의 상기 하우징부(11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의 K50, 도 7(e) 참조)
댐퍼부(130)가 제1 연결 위치에 연결될 경우, 상기 낙하 공간(S121)이 가장 클 수 있으며, 댐퍼부(130)가 상기 제5 연결 위치일 때, 상기 낙하 공간(S121)이 가장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댐퍼부(130)가 상기 인가 위치의 상기 회동부에 접촉될 때를 기준으로, 댐퍼부(130)가 상기 제1 연결 위치일 경우에 상기 회동부가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방 방향으로 가장 많이 기울 수 있다.
반대로, 댐퍼부(130)가 상기 인가 위치의 상기 회동부에 접촉될 때를 기준으로, 상기 댐퍼부(130)가 상기 하우징부(110)의 상기 제5 연결 위치일 연결될 경우에 상기 회동부가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방 방향으로 가장 많이 기울 수 있다.
댐퍼부(130)가 상기 하우징부(110)의 상기 제1 연결 위치에 연결될 때, 댐퍼부(130)가 다른 연결 위치에 연결되었을 경우와 비교하였을 경우, 상기 댐퍼 부재(133)가 가장 늦게 수축되어 가장 적게 수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댐퍼부(130)에 의해 가장 적은 외력이 상기 회동부에 인가 될 수 있다.
반대로, 댐퍼부(130)가 상기 하우징부(110)의 상기 제5 연결 위치에 연결될 때, 댐퍼부(130)가 다른 연결 위치에 연결되었을 경우와 비교하였을 경우, 상기 댐퍼 부재(133)가 가장 먼저 수축되어 가장 많이 수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댐퍼부(130)에 의해 가장 많은 외력이 상기 회동부에 인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특징들을 고려하여 상기 관람석 의자의 중량에 따라 상기 댐퍼부(13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다단 관람석단 20 : 베이스부
30 : 관람석 의자 100 :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

Claims (9)

  1. 관람객이 착석할 수 있는 관람석 의자에 연결되어, 사용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관람석 의자를 보관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관람석 의자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하우징부;
    상기 관람석 의자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관람석 의자가 사용 위치일 경우 제1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관람석 의자가 보관 위치일 경우 제2 위치에 위치되는 매개 회동부와 상기 매개 회동부에 연결되며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매개 회동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이동 회동부를 구비하는 회동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사용 위치인 상기 관람석 의자가 상기 보관 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매개 회동부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매개 회동부의 위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매개 회동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매개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시간이 조절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댐퍼부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복 수개의 연결홀 및 상기 매개 회동부에 연결된 상기 댐퍼부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라이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댐퍼부의 타단부는,
    상기 댐퍼부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연결홀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홀에 연결되는 위치가 변경되게 배치되는,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댐퍼부의 타단부는 상기 매개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댐퍼부의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연결홀들 중 하나의 연결홀에 연결되게,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
  4. 관람객이 착석할 수 있는 관람석 의자에 연결되어, 사용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관람석 의자를 보관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관람석 의자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하우징부;
    상기 관람석 의자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관람석 의자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며, 상기 관람석 의자가 사용 위치일 경우 제1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관람석 의자가 보관 위치일 경우 제2 위치에 위치되는 매개 회동부와 상기 매개 회동부에 연결되며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매개 회동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이동 회동부를 구비하는 회동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사용 위치인 상기 관람석 의자가 상기 보관 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매개 회동부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매개 회동부의 위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매개 회동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매개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시간이 조절되도록, 상기 매개 회동부 또는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매개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매개 회동부의 일 지점인 인가 지점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매개 회동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매개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인가 지점의 상기 매개 회동부와 이격되며,
    상기 매개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가 지점의 상기 매개 회동부가 접촉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매개 회동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회동부는,
    상기 댐퍼부가 연결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립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댐퍼부는,
    상기 관람석 의자가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보관 위치로 용이하게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매개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슬립홀의 일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인 상기 인가 지점과 이격되는,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매개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댐퍼부의 타단부와 상기 인가 지점과의 이격 거리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일 위치인 제1 연결 위치의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하우징부의 일 위치인 제2 연결 위치의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될 수 있는,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
  8. 관람객이 착석할 수 있는 관람석 의자에 연결되어, 사용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관람석 의자를 보관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관람석 의자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하우징부;
    상기 관람석 의자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관람석 의자가 사용 위치일 경우 제1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관람석 의자가 보관 위치일 경우 제2 위치에 위치되는 매개 회동부와 상기 매개 회동부에 연결되며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매개 회동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이동 회동부를 구비하는 회동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사용 위치인 상기 관람석 의자가 상기 보관 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매개 회동부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매개 회동부의 위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매개 회동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매개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시간이 조절되도록, 상기 매개 회동부 또는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일측 로드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매개 회동부와 접촉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매개 회동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타측 로드부 및 상기 일측 로드부와 상기 타측 로드부에 연결되는 댐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매개 회동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
  9. 관람객이 착석할 수 있는 관람석 의자에 연결되어, 사용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관람석 의자를 보관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관람석 의자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하우징부;
    상기 관람석 의자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관람석 의자가 사용 위치일 경우 제1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관람석 의자가 보관 위치일 경우 제2 위치에 위치되는 매개 회동부와 상기 매개 회동부에 연결되며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매개 회동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이동 회동부를 구비하는 회동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사용 위치인 상기 관람석 의자가 상기 보관 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매개 회동부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매개 회동부의 위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매개 회동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매개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시간이 조절되도록, 상기 매개 회동부 또는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이동 회동부는,
    상기 하우징부가 제공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매개 회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기 위하여, 상기 이동 회동부에 외력이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회동부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 방향으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게,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 중 일부가 관통되어 제작되는 조작홀이 형성되어 있는,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
KR1020190131443A 2019-10-22 2019-10-22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 KR102114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443A KR102114889B1 (ko) 2019-10-22 2019-10-22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443A KR102114889B1 (ko) 2019-10-22 2019-10-22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889B1 true KR102114889B1 (ko) 2020-05-26

Family

ID=70914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443A KR102114889B1 (ko) 2019-10-22 2019-10-22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8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341A (ko) * 2004-08-31 2006-03-06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보조관람석단을 갖는 수납식 관람석
KR101073341B1 (ko) * 2010-09-27 2011-10-14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축 결합 구조체
KR101679807B1 (ko) * 2015-08-25 2016-11-25 주식회사 호수산업 댐퍼기능을 가지는 관람의자 절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341A (ko) * 2004-08-31 2006-03-06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보조관람석단을 갖는 수납식 관람석
KR101073341B1 (ko) * 2010-09-27 2011-10-14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축 결합 구조체
KR101679807B1 (ko) * 2015-08-25 2016-11-25 주식회사 호수산업 댐퍼기능을 가지는 관람의자 절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700571A (ko) 인간공학적 의자
JPH0638848A (ja) 調節自在な椅子装置
US20100084902A1 (en) Link Mechanism for a chair and a chair
EP3560381A1 (en) Elastic seesaw-type tilting mechanism and swivel chair having the same
KR102114889B1 (ko) 관람석 의자 회동속도 조절장치
US11253077B2 (en) Chair with return force mechanism
JPH0219103A (ja) シート部傾動椅子
CN105792706A (zh) 用于座椅家具的倾斜机构以及包括所述倾斜机构的座椅家具
KR101689774B1 (ko) 독서판의 크기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독서대
EP3108767A1 (en) Rotation adjustment system for seats
US7264312B1 (en) Backrest adjusting mechanism
US20040256523A1 (en) Monitor apparatus
AU647530B2 (en) Chair seat mounting mechanism
US20160374476A1 (en) Footrest assembly of a chair
JPH0898116A (ja) テレビ受像機等の支持装置
EP3272250A1 (en) Armrest assembly for a chair
JP2002510027A (ja) Tvカメラ用傾動可能取付台における、またはそれに関連する改良
EP1441620A1 (fr) Poste de travail modulable
JPH08308678A (ja) 椅 子
KR102087341B1 (ko) 이동 및 복원이 가능한 의자 시스템
FR3082796A1 (fr) Ensemble d’accoudoir pour un intérieur de véhicule
JP7092342B2 (ja) 椅子
US8256724B2 (en) Display device
JPH1191586A (ja) 着座装置の側板の可変機構
JPH02219085A (ja) 可動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