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478B1 - 타이어 제조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제조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478B1
KR102114478B1 KR1020180075830A KR20180075830A KR102114478B1 KR 102114478 B1 KR102114478 B1 KR 102114478B1 KR 1020180075830 A KR1020180075830 A KR 1020180075830A KR 20180075830 A KR20180075830 A KR 20180075830A KR 102114478 B1 KR102114478 B1 KR 102114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anufacturing apparatus
tire manufacturing
elastic bod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385A (ko
Inventor
김성영
Original Assignee
김성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영 filed Critical 김성영
Priority to KR1020180075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4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2Solid tyres ;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61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 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중앙에 회전돌출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금형과, 베이스 금형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1홈부와 제2홈부를 구비하는 하부금형과, 제1홈부와 제2홈부에 대응하는 제3홈부와 제4홈부를 구비하여 외피부재를 수용하는 성형공간과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금형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탄성체와, 상기 베이스 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체를 상기 성형공간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베이스 금형에 마련하여 상기 가압부재를 작동시키는 작동유닛을 포함하여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금형의 작동으로 완성된 타이어를 베이스 금형의 상단부도 높이 밀어올림으로써, 타이어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제조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Tir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발포부재로 채워진 펑크가 나지 않는 타이어를 제조하고, 제조장치로부터 타이어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타이어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나 오토바이와 같은 2륜차의 바퀴는, 바닥에 접지되어 회전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타이어와, 타이어의 내측에 끼워져 타이어가 원형상태로 회전하도록 2륜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림과, 림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마련되어 림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이중 타이어는 외피부재의 내측에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를 수용하여 구성하여, 튜브 내에 주입된 공기의 팽창력으로 림으로부터 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도로의 주행시 지면으로부터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튜브를 구비한 타이어는 도로의 주행시 뾰족한 물체에 찔릴 경우 튜브에 펑크가 나게 되면 도로 주행이 어려워 튜브의 펑크를 곧바로 해결하지 않고 계속 주행하다 보면 외피부재와 튜브, 림 등이 손상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펑크가 나지 않는 타이어가 개발되었으며, 이와 같이 펑크가 나지 않는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가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71504호(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1에 개시된 타이어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노펑크 타이어는 림과의 착탈이 쉽지 않고, 제조 장치로부터 분리하기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648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노펑크 타이어의 제조시 제조장치로부터 완성된 타이어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타이어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금형의 작동으로 타이어를 분리할수 있어 타이어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내피부재의 요홈부를 성형하는 탄성체에 가압유닛의 가압링크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 가압유닛의 가압해제시 탄성체를 내피부재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제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타이어 제조 장치에서 베이스 금형에 작동유닛과 가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타이어 제조장치에서 가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가압부재의 작동전과 작동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도 5c는 도 1의 타이어 제조장치에서 발포부재가 발포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도 1의 타이어 제조장치에서 가압부재와 작동유닛의 작동전과 작성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1의 타이어 제조장치에서 작동유닛의 잠금유닛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제조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제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타이어 제조 장치에서 베이스 금형에 작동유닛과 가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타이어 제조장치에서 가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가압부재의 작동전과 작동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 도 5c는 도 1의 타이어 제조장치에서 발포부재가 발포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도 1의 타이어 제조장치에서 가압부재와 작동유닛의 작동전과 작성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타이어 제조장치에서 작동유닛의 잠금유닛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제조장치(100)는, 베이스 금형(110)과, 하부금형(120), 상부금형(130), 탄성체(150)와, 가압부재(160)와, 작동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제조장치로 성형하고자 하는 타이어는 지면에 닿고 단면이 원형으로 일측이 개구되고 내측에 공간을 구비하는 외피부재(50)와, 외피부재(50)의 공간에 발포부재(60)를 끼워 넣은 후에 발포부재를 발포시켜 성형하는 내피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타이어는 바퀴의 림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내피부재(70)에 요홈부(71)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베이스 금형(110)은 원형으로 된 판부재의 가장자리를 'ㄷ'형상으로 절곡시켜 절곡부(111)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금형(110)은 상부가 개구된 그릇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금형(110)은 중앙에 회전돌출부(1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회전돌출부(112)는 후술하는 회전부재(171)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하부금형(120)과 상부금형(130)은 하측과 상측에 위치한 후에 상호 결합하여 타이어를 성형할 수 있는 성형공간(140)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금형(120)과 상부 금형(130)은 상호 결합하여 후술하는 탄성체(15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42)을 구비한다.
하부금형(120)은 바닥에 놓이는 부분으로 상부에 제1홈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홈부(121)는 후술하는 상부금형(130)과 결합하여 성형공간(140)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금형(120)은 제1홈부(121)에 이격되어 제2홈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홈부(122)는 상부금형(130)과 결합하여 수용공간(142)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금형(130)은 하부금형(12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부금형(130)은 하부금형(120)을 뒤집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금형(130)은 하부에 제3홈부(131)를 형성할 수 있고, 제3홈부(131)에 이격하여 제4홈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금형(120)의 제1홈부(121)와 상부금형의 제3홈부(131)는 외피부재(50)의 내측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는 턱부(123)(133)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부금형(120)의 제1홈부(121)에 구비한 턱부(123)는 외피부재(50)의 내측 가장자리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고, 상부금형(130)의 제3홈부(122)에 구비한 턱부(133)는 외피부재(50)의 내측 가장자리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하부금형(120)의 제1홈부(121)와 제2홈부(122) 사이 및 상부금형(130)의 제3홈부(131)와 제4홈부(132) 사이에는 각각 성형공간(140)과 수용공간(142)을 구획하는 격벽돌기(125)(135)를 구비한다. 하부금형(120)의 격벽돌기(125)와 상부금형(130)의 격벽돌기(135)는 각각 서로를 향해 돌출 형성하되, 서로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는 격벽돌기(125)(135)는 후술하는 탄성체(150)가 수용공간(142)에서 성형공간(140)으로 일부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갭을 형성한다.
수용공간(142)은 상부금형(130)과 하부금형(120)이 상호 결합될 때 형성되며,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수용공간(142)의 개구를 통하여 후술하는 가압부재(160)는 수용공간(142)에 수용된 탄성체(150)를 가압할 수 있다.
탄성체(15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튜브로 형성하되, 하부금형(120)과 상부금형(13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142)에 수용할 수 있다. 이 탄성체(150)는 후술하는 가압부재(16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때 탄성체(150)는 외피부재(50)의 개구 쪽에서 내측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내피부재(70)의 성형시 내피부재(70)의 요홈부(71)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체(150)는 탄성력이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부재(160)에 의해 가압될 때 수용공간(142)과 성형공간(140) 사이의 갭에 의해 압축되면서 통과하여 외피부재(50)의 개구 쪽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가압부재(160)는 복수의 원호 형상의 부재를 연결하여 구성하되, 원 형상의 상기 베이스 금형(110)의 외측 둘레에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부재(1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6개로 구성한 것을 도시하고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가압부재(160)는 도 3에서와 같이,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되, 띠 형태로서 수직방향으로 폭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가압부재(160)는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 돌기부(161)를 오목한 곡면이 있는 쪽으로 돌출 형성할 수 있다. 힌지 돌기부(161)는 후술하는 작동유닛(170)의 연결링크(172)를 힌지 연결할 수 있다.
가압부재(160)는 양단부에 각각 복수의 슬라이드 돌기(162)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즉, 가압부재(160)는 상호 연결하는 각 단부의 슬라이드 돌기(162)들을 서로 엇갈려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가압부재(160)의 일단부(도 3에서 좌측)에 형성된 슬라이드 돌기(162)는 복수가 가압부재(160)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의 타단부(도 3에서 우측)에 형성된 슬라이드 돌기는 복수의 가압부재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돌기(162) 사이의 간격은 다른 슬라이드 돌기(162)가 끼워져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돌기(162)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가압부재(160)가 서로 연결되어 원형상으로 이룰 때 가압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돌기(162)가 도 4의 상측과 같이 끼워진 상태에 있다가 작동유닛(170)에 의해 작동될 때 도 4의 하측과 같이 서로 벌어진 형태가 될 수 있다.
가압부재(160)의 타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돌기(162)는 다른 가압부재(160)의 일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돌기(162)와 서로 끼워져 연결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가압부재(160)는 각 슬라이드 돌기(162)가 서로 끼워져 연결됨으로써 원형상을 이룰 수 있다.
작동유닛(170)은 회전운동으로 가압부재(160)를 전진시켜서 탄성체(150)를 외피부재(50) 쪽으로 가압시킬 수 있다. 작동유닛(170)은 베이스 금형(110)의 회전돌출부(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재(171)와, 회전부재(171)와 다수의 가압부재(160) 사이를 힌지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링크(172)와, 회전부재(171)를 일정각도로 왕복 회전시키는 레버부재(1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부재(171)는 회전돌출부(112)의 내측이나 외측에 유동(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통(171a)과, 회전통(171a)의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통(171a)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17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통(171a)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되, 양단부를 개구시켜 형성할 수 있다. 회전통(171a)은 외경을 회전돌출부(11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회전돌출부(11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결합할 수 있다.
회전판(171b)은 회전돌출부(112)의 외주면보다 측면으로 더 돌출될 수 있도록 회전돌출부(1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즉, 회전판(171b)은 후술하는 연결링크(172)를 힌지 결합할 때 회전돌출부(112)의 외주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돌출부(112)보다 더 돌출 형성한다.
연결링크(172)는 바 형태로 이루어지며, 회전부재(171)의 회전판(171b)과 가압부재(160)의 힌지돌기부(161)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링크(172)의 일단부는 회전판(171b)에 핀부재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링크(172)의 타단부는 가압부재(160)의 힌지 돌기부(161)에 핀부재로 힌지 연결할 수 있다. 연결링크(172)의 타단부는 힌지 돌기부(161)에 핀부재로 힌지 결합하되, 베이스 금형(110)의 절곡부(111)의 평면부에 원호형상의 가압부재(160)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연결링크(172)는 사용자가 레버부재(173)를 조작하여 회전판(171b)을 회전시킬 때 회전부재(171)의 연결된 일단부가 회전판(171b)과 함께 일정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연결링크(172)의 일단부는 수직 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즉, 사선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연결링크(172)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핀부재가 회전돌출부(112)의 절곡부(111)의 가이드홀(115)에서 사선 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으로써 가압부재(160)를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다수가 연결된 가압부재(160)는 외측으로 이동될 때 외경이 확장되면서 탄성체(150)를 외피부재(50) 쪽으로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가압부재(160)를 작동하기 전에 연결링크(172)는 회전판(171b)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상태로 회전판(171b)과 가압부재(160)를 연결할 수 있다.
가압부재(160)의 작동을 위해 회전판(171b)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링크(172)는 회전판(171b)의 회전중심에 대해 일직선 상태가 되도록 회전판(171b)과 가압부재(160)를 연결할 수 있다.
레버부재(173)는 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일단부를 회전부재(171)의 회전판(171b) 중심에 고정하여 타단부를 베이스 금형(110)의 절곡부(111)까지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레버부재(173)를 잡고 당겨서 회전부재(17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레버부재(173)는 일단부를 회전부재(171)에 완전히 고정한 상태에서 타단부를 사용자가 잡고 밀거나 당겨서 회전시킬 수 있다.
작동유닛(170)은 가압부재(160)로 탄성체(150)를 외피부재(50) 쪽으로 가압한 후에 발포부재(60)가 완전히 발포될 때까지 탄성체(150)의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레버부재(173)를 임시로 고정하는 잠금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유닛(175)은 베이스 금형(110)의 절곡부(111)의 평면부(가장자리)에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175a)과, 레버부재(173)의 타단부에 레버부재(173)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걸림홈(175a)에 걸리는 걸림부재(175b)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홈(175a)은 절곡부(111)의 평면부 내측에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레버부재(173)는 걸림부재(175b)를 레버부재(17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홈을 타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레버부재(173)는 슬라이드홈에 연통되도록 타단부의 윗면에 슬라이드홀을 형성할 수 있다.
걸림부재(175b)는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슬라이드될 수 있다. 걸림부재(175b)는 윗면에 돌출 손잡이를 형성하여 슬라이드홀을 통해 레버부재(173)의 윗쪽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제조 방법에 대한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먼저, 외피부재의 내측에 발포부재를 넣고, 베이스 금형의 외측에 하부 금형을 끼워 준비하는 준비단계(S100)를 갖는다.
준비단계(S100)는 제작하고자 하는 타이어의 외피부재(50)의 내측에 발포부재(60)를 끼워 넣을 수 있다. 준비단계(S100)는 베이스 금형(110)의 외측에 하부금형(120)을 결합할 수 있다.
준비단계(S100) 이후에, 하부금형(120)의 제1홈부(121)와 제2홈부(122)에 각각 외피부재(50)와 탄성체(150)를 안착시키는 안착단계(S110)를 갖는다.
안착단계(S110) 이후에, 상기 하부금형(120)의 위쪽에 상부금형(130)을 올려 결합하는 상부금형 결합단계(S120)를 갖는다. 즉, 상부금형 결합단계(S120)는 상부금형(130)과 하부금형(120)에 의해 형성되는 성형공간(140)과 수용공간(142)에 각각 외피부재(50)와 탄성체(150)를 수용한 상태일 수 있다.
상부금형 결합단계(S120) 이후에, 사용자는 레버부재(173)의 조작으로 작동유닛(170)을 작동시켜 가압부재(160)로 수용공간(142)의 탄성체(150)를 가압하여 성형공간(140)의 외피부재(50) 내측으로 일부 돌출시키는 탄성체 가압단계(S130)를 갖는다.
상술한 준비단계(S100)에서 탄성체 가압단계(S130)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타이어 성형을 위한 다수의 타이어 제조장치(100)를 적층하여 발포성형용 챔버에 수용하는 발포 준비단계(S140)를 갖는다.
발포 준비단계(S140) 이후에 발포성형용 챔버에서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발포부재(50)를 발포시키는 발포단계(S150)를 갖는다. 발포단계(S150)는 외피부재(50)의 내측에 발포부재(60)에 의해 내피부재(70)를 형성할 수 있다.
발포단계(S150) 이후에 발포 성형용 챔버에서 복수의 타이어 제조장치를 꺼낸 후에 꺼낸 후에 냉각시키는 냉각단계(S160)를 갖는다.
냉각단계(160) 이후에 작동유닛(170)의 레버부재(173)를 상기에서 회전한 반대방향으로 조작하여 원상태로 복귀시켜서 탄성체(150)의 가압을 해제하는 가압 해제단계(S170)를 갖는다.
가압 해제단계(S170)는 내피부재(70)에 홈부(7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내피부재(70)의 요홈부(71)는 가압부재(160)에 의해 가압된 탄성체(150)가 내피부재(70)에서 이격됨으로써 성형될 수 있다.
가압 해제단계(S170) 이후에, 상부금형(130)을 하부금형(120)에서 분리한 후에 하부금형(120)에서 내피부재가 형성되는 외피부재(완성된 타이어)를 인출하는 인출단계(S180)를 갖는다. 가압 해제단계(S170)에서 인출단계(S180)를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50: 외피부재 60: 발포부재
70: 내피부재 71: 요홈부
100 : 타이어 제조장치
110: 베이스 금형
111: 절곡부 112: 회전돌출부
115: 가이드홀
120: 하부금형
121: 제1홈부 122: 제2홈부
123: 턱부 125: 격벽돌기
130: 상부금형
131: 제3홈부 132: 제4홈부
133: 턱부 135: 격벽돌기
140: 성형공간
142: 수용공간
150: 탄성체
160: 가압부재
161: 힌지 돌기부 162: 슬라이드 돌기
170: 작동유닛
171: 회전부재 171a: 회전통
171b: 회전판 172: 연결링크
173: 레버부재
175: 잠금유닛
175a: 걸림홈 175b: 걸림부재

Claims (8)

  1. 상부가 개구되는 원통형상으로 중앙에 회전돌출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금형과,
    상기 베이스 금형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부에 제1홈부와 제2홈부를 구비하는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제1홈부와 제2홈부에 대응하는 제3홈부와 제4홈부를 구비하여 외피부재를 수용하는 성형공간과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금형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탄성체와,
    상기 베이스 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체를 상기 성형공간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베이스 금형에 마련하여 상기 가압부재를 작동시키는 작동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타이어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의 제1홈부와 제2홈부 사이에 격벽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상부금형의 제3홈부와 제4홈부 사이에 격벽돌기를 돌출 형성하되,
    상기 격벽돌기들은 서로 마주보고 형성하되, 서로 이격시켜 형성하는, 타이어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링형상의 튜브로 구성하되,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고, 가압부재로 가압하면 상기 격벽돌기들 사이를 지나 외피부재의 내측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변형한 후에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타이어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복수의 원호 형상의 부재를 연결하여 구성하되, 원 형상의 상기 베이스 금형의 외측 둘레에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타이어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양단부에 각각 복수의 슬라이드 돌기를 구비하되, 상호 연결하는 각 단부의 슬라이드 돌기들을 서로 엇갈려서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타이어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금형의 회전돌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다수의 가압부재 사이를 힌지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며, 회전부재를 일정각도로 왕복 회전시키는 레버부재;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탄성체를 가압하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레버부재를 회전한 상태로 임시 고정하는 잠금유닛;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타이어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베이스 금형의 가장자리에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과,
    상기 레버부재의 타단부에 상기 레버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타이어 제조장치.
  8. 외피부재의 내측에 발포부재를 끼워넣고, 베이스 금형의 외측에 하부금형을 결합하여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하부금형의 제1홈부와 제2홈부에 각각 외피부재와 탄성체를 안착시키는 안착단계;
    상기 하부금형에 상부금형을 결합하는 상부금형 결합단계;
    상기 베이스 금형에 마련된 작동유닛의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가압부재로 탄성체를 외피부재 쪽으로 가압하여 돌출시키는 가압단계;
    상기 작동유닛이 작동된 상태에서 타이어 제조장치를 발포성형용 챔버에 수용하는 발포 준비단계;
    상기 발포성형용 챔버에서 타이어 제조장치에 열을 가하여 발포부재를 발포시켜 내피부재를 성형하는 발포단계;
    상기 발포부재가 발포되어 내피부재가 성형된 타이어 제조장치를 냉각시키는 냉각단계;
    레버부재를 조작하여 탄성체의 가압을 해제하는 가압 해제단계;
    상기 상부금형을 하부금형에서 분리하여 내피부재가 형성된 외피부재를 인출하는 인출하는 인출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타이어 제조방법.

KR1020180075830A 2018-06-29 2018-06-29 타이어 제조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14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830A KR102114478B1 (ko) 2018-06-29 2018-06-29 타이어 제조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830A KR102114478B1 (ko) 2018-06-29 2018-06-29 타이어 제조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85A KR20200002385A (ko) 2020-01-08
KR102114478B1 true KR102114478B1 (ko) 2020-06-17

Family

ID=6915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830A KR102114478B1 (ko) 2018-06-29 2018-06-29 타이어 제조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058A (ko) 2020-12-11 2022-06-20 오성우 다회용 위생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0829A (en) 1996-03-26 1998-03-24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wo drum turret for tire assembly
KR101169680B1 (ko) * 2009-12-04 2012-08-06 (주)엠코리아 인서트 지지유닛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KR20140122987A (ko) * 2013-06-15 2014-10-21 송덕수 타이어 제조방법 및 타이어 제조장치
KR20150056928A (ko) * 2013-11-18 2015-05-28 송덕수 타이어 제조방법, 타이어 제조장치, 타이어 및 바퀴
KR20160034692A (ko) * 2014-09-22 2016-03-30 전용남 타이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85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478B1 (ko) 타이어 제조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3175401U (ja) 車載用コンプレッサ装置
EP2212152B1 (en) Latch assembly for vehicle seat
US7784774B2 (en)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EP1285843B1 (en) Fastener for vehicle
US20070222098A1 (en) Mold for foam molding and foam molding method
JP4648501B1 (ja) 二重エアゾール容器の製造方法、二重エアゾール容器、および、二重エアゾール容器の製造装置
EP1518718B1 (en) Improved self-centering unit
JP2007297048A (ja) 発泡支持リングの取出し方法および取出し工具
JP2006321476A (ja) タイヤをリムに容易に取り付ける改良型工具
KR101053965B1 (ko) 카세트 가스 실린더 장착 구조
CN102336208B (zh) 支撑装置、可收折婴儿车架及婴儿车架收合的操作方法
KR20110086302A (ko) 금형장치 및 그 성형품
CN108944608B (zh) 一种车用杯托
JP3197030U (ja) 水平式回動の両用給気口金
JP5161044B2 (ja) 飲料注出装置、飲料注出装置に組み込まれる交換ユニット、及び飲料注出用タップ
JP2008290481A (ja) ロックボディ及びこれ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698822B2 (ja) タイヤ加硫成形装置、タイヤ加硫成形内型およびタイヤ加硫成形方法
JP4773590B1 (ja) 二重エアゾール容器の製造方法、二重エアゾール容器、および、二重エアゾール容器の製造装置。
JP2003165319A (ja) タイヤへのサポートリング出し入れ装置
JP2002519253A (ja) 自動コルク栓抜き
CN113958785B (zh) 可单手操作的充气风嘴接头
US1610493A (en) Tire carrier
RU265294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порожнения емкостей
WO2021045038A1 (ja) タイヤ成型用モール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