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302A - 금형장치 및 그 성형품 - Google Patents

금형장치 및 그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302A
KR20110086302A KR1020100005960A KR20100005960A KR20110086302A KR 20110086302 A KR20110086302 A KR 20110086302A KR 1020100005960 A KR1020100005960 A KR 1020100005960A KR 20100005960 A KR20100005960 A KR 20100005960A KR 20110086302 A KR20110086302 A KR 20110086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insert member
jig
molding spac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봉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부
Priority to KR1020100005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6302A/ko
Publication of KR20110086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02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positioning, fastening or clamping the material to be formed or preforms inside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65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res or inserts, e.g. pins, mandrels, sl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서트 성형을 위한 금형장치 및 그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특회 본 발명은 복수개의 금형에 의해 성형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공간에 인서트부재를 삽입하여 성형을 하며; 상기 복수개의 금형 중 적어도 일부는 상대 금형과 합형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상대 이동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인서트부재를 지지하는 지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금형장치 및 그 성형품{MOLD APPARATUS AND THE PRODUCT BY THE SAME}
본 발명은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서트 성형을 위한 금형장치 및 그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서트(insurt) 성형을 위한 금형장치는 필요한 성형품 형상에 대응되게 가공된 금형의 성형공간에 인서트부재를 삽입하고 성형품 원료를 주입하여 인서트부재와 일체화된 성형품을 성형하는데 쓰인다.
이와 같은 인서트 성형을 위한 금형장치는 성형품 원료 등에 따라, 성형품 원료를 압력으로 압축하거나 히터나 스팀 등 고열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인서트 성형을 위한 금형장치는, 성형품 원료를 압축할 경우 그 압축력에 의해 성형공간에 삽입된 인서트부재가 성형위치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서트부재의 일부분만이 성형공간에 삽입되어 성형품에 일체화되는 경우, 성형품 원료를 압축할 때 인서트부재와 금형 사이로 성형품 원료가 누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 때문에 금형설계가 상당히 어려우며, 이에 따라 압력을 이용하는 등의 성형방법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성형품 원료를 압력으로 압축할 수 있는 인서트 성형을 위한 금형장치 및 그 성형품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금형에 의해 성형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공간에 인서트부재를 삽입하여 성형을 하며; 상기 복수개의 금형 중 적어도 일부는 상대 금형과 형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상대 이동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인서트부재를 지지하는 지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인서트부재는 상기 성형공간에 삽입되는 링형의 링형부 및, 상기 링형부와 일체이며 상기 성형공간 외측에 위치되는 링형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부재는 스티어링 휠의 코어이며,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의 스킨을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성형공간 중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의 스킨 내측둘레면과 대응되는 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성형공간에 성형을 위한 원료를 공급하는 피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금형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코어의 중앙 홀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금형 중 적어도 합형,형개를 위해 이동되는 금형은 상기 지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성형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지그부는 적어도 상기 인서트부재의 상기 성형공간에 삽입된 부분을 지지토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금형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인서트부재의 성형공간 외측에 위치된 부분이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성형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지그부는 상기 인서트부재의 상기 성형공간에 삽입된 부분을 지지하며 상기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제1지그부 및, 상기 인서트부재의 성형공간 외측에 위치된 부분을 지지하는 제2지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부는 상기 본체부에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인서트부재를 지지하는 블록 및, 상기 블록의 이동을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은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그부는 상기 블록의 이동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부는 상기 인서트부재를 지지하는 블록; 상기 블록과 상기 본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의 이동을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본체부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블록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블록의 이동 스트로크를 제한할 수 있도록 나머지 단부에 상기 본체부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블록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부는 상기 금형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그부는 상기 인서트부재의 링형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거나, 링형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지그부가 이동되는 이동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금형은 상기 인서트부재를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코어금형 및 캐비티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술한 금형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성형품을 제시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 및 그 성형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 및 그 성형품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지그부가 인서트부재를 지지한 상태에서 본체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성형공간을 밀폐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성형품 원료를 높은 압력으로 압축하면서 인서트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지그부가 인서트부재를 지지한 상태에서 본체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인서트부재의 위치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성형품의 성형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형개시 지그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인서트부재와 함께 성형품이 성형공간으로부터 취출될 수 있는 바, 인서트 핀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인서트 핀의 자국 등으로 인한 성형 흠결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금형장치의 형개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캐비티금형의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코어금형의 주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금형장치의 형합 완료 전 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5와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금형장치의 형합 완료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5와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금형장치의 형합 완료 전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도 5와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금형장치의 형합 완료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금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스티어링 휠의 주요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금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스티어링 휠의 측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는 기본적으로 복수개의 금형(2,4)에 의해 형성된 성형공간에 인서트부재(6)를 삽입하여 인서트부재(6)와 일체화된 성형품(8)을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개의 금형(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금형(2,4)으로 구성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 셋 이상의 금형(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서트부재(6)를 중심으로 인서트부재(6)의 양쪽에 각각 배치된 2개의 금형(2,4)으로 구성된 예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복수개의 금형(2,4)은 성형품(8)의 원료(7)가 들어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 즉 캐비티(cavity)(4A)를 갖는 캐비티금형(4) 또는 볼록하게 돌출된 코어(core)(12)를 갖는 코어금형(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2개의 금형(2,4) 중 하나가 캐비티금형(4)이고, 나머지 하나가 코어금형(2)이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금형(2,4)을 캐비티금형(4), 코어금형(2)이라 한다.
캐비티금형(4)과 코어금형(2)은 성형공간 형성을 위해 합형(즉, 금형 닫힘)되거나 성형품(8) 취출을 위해 형개(즉, 금형 열림)될 수 있도록, 둘 다 이동되거나 어느 하나는 고정되거나 그 나머지 하나가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캐비티금형(4)이 고정되고, 코어금형(2)이 이동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캐비티금형(4)과 코어금형(2)은 각각 성형품(8)이나 인서트부재(6) 등에 따라서 여러가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복수개의 금형(2,4), 즉 캐비티금형(4)과 코어금형(2) 중 적어도 일부가 상대 금형과 합형되는 본체부(10) 및, 본체부(10)에 상대 이동가능토록 결합되며 인서트부재(6)를 지지하는 지그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해, 성형공간에 성형품(8)의 성형을 위한 원료(7)를 공급한 후 인서트부재(6)를 지지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금형(2,4) 중 적어도 일부를 이동하여 성형공간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부재(6)가 삽입되더라도 성형공간에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이때 인서트부재(6)의 위치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부재(6)의 일부분만 성형공간에 삽입되는 경우에도, 지그부(20)에 의해 성형공간을 밀폐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성형공간에 압력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공간에 공급된 성형품의 원료(7)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형개될 때 지그부(20)에 의해 인서트부재(6)가 금형(2,4)으로부터 돌출되는 힘을 받는 바, 인서트부재(6)와 함께 성형품(8)이 금형(2,4)으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지그부(20)가 인서트 핀 기능을 겸할 수 있으며, 인서트 핀 자국이 성형품(8)이 남을 염려가 없어서 성형품(8)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먼저, 본체부(10)는 성형품(8), 인서트부재(6) 등에 따라 여러가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본체부(10)는 지그부(20)의 이동을 위해 지그부(20)가 이동되는 이동통로(10A)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의 이동통로(10A)는 지그부(20)의 이동경로에 따라 여러가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2,4), 보다 정확하게는 본체부(10)의 이동방향을 따라 본체부(10)에 관통된 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지그부(20)는 캐비티금형(4) 및 코어금형(2)의 구조 등에 따라서 본체부(10)에 대한 이동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형(2,4), 보다 정확하게는 본체부(10)의 이동방향을 따라 본체부(1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는 것이 구조적 간소화 등의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또한 지그부(20)는 여러가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지그부(20)는 본체부(10)에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며 인서트부재(6)를 지지하는 블록(22) 및, 블록(22)의 이동을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부재(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그부(20)가 구성됨에 따라서, 블록(22)이 본체부(10)에 상대 이동 가능토록 설치됨에 따라서 지그부(20)가 인서트부재(6)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본체부(10)가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블록(22)이 탄성부재(2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탄성부재(24)의 탄성력에 의해 지그부(20)와 인서트부재(6) 간 충격 전달이 흡수될 수 있어서 인서트부재(6)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또한 블록(22)이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지그부(20)는 성형품(8)이나 인서트부재(6) 형상 등에 따라 여러가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부재(6)가 링형인 경우 지그부(20)는 인서트부재(6)의 링형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설치되거나, 링형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블록(22)은 인서트부재(6) 등에 따라서 여러가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22)은 탄성부재(24)가 삽입되는 홈(22A)이 형성됨으로써, 탄성부재(24)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블록(22)의 홈(22A)이 탄성부재(24)의 탄성변형을 가이드(guide)를 해줌으로써 탄성부재(24)가 좌굴되지 않고 똑바른 자세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탄성부재(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력을 가진다면 코일 스프링 이외 구조의 스프링이나 고무 등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할 수 있다.
또한, 지그부(20)는 블록(22)의 이탈 및 블록(22)의 오버 스트로크(over strock)를 방지하기 위해, 블록(22)의 이동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는 여러가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핀 구조를 취함으로써 간소하고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즉, 핀 구조의 스토퍼는 본체부(10)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블록(22)과 일체로 결합되고, 블록(22)의 이동 스트로크를 제한할 수 있도록 나머지 단부에 본체부(10)에 걸림되는 걸림턱(26A)이 형성된 블록 핀(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록 핀(26)과 블록(22)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핀(26)은 블록(22)과의 결합을 위해 블록(22)에 형성된 홈에 탄성부재(24)와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그부(20)는 인서트부재(6)에 따라서 각각의 본체부(10)에 구성되는 개수 및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부재(6)의 일부분만 성형공간에 삽입되며 나머지 부분은 성형공간 밖에 위치되는 경우, 지그부(20)는 인서트부재(6)의 성형공간에 삽입된 부분을 지지하는 제1지그부(20A)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서트부재(6)가 전체적으로 보다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인서트부재(6)의 성형공간 외측에 위치된 부분을 지지하는 제2지그부(2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지그부(20A) 및 제2지그부(20B)는 어느 한 금형(2,4), 즉 도 1,4,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금형(2)에 모두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그부(20A)는 모든 금형(2,4), 즉 캐비티금형(4) 및 코어금형(2)에 각각 구성되고, 제2지그부(20B)는 일부 금형, 즉 코어금형(2)에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지그부(20A)는 일부 금형에만 구성되고, 제2지그부(20B)는 나머지 금형 중 적어도 일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지그부(20)는 모든 금형(2,4)에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 같이 캐비티금형(4)과 코어금형(2)으로 구성된 경우 적어도 합형,형개를 위해 이동되는 금형(2,4), 즉 코어금형(2)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부재(6)의 일부분만 성형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복수개의 금형(2,4), 즉 캐비티금형(4)과 코어금형(2) 중 적어도 일부에는 인서트부재(6)의 성형공간 외측에 위치된 부분이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는 끼움부(4C)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끼움부(4C)에 의해 인서트부재(6)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인서트부재(6)가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코어금형(2)의 코어(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품(8)의 형상에 따라 홈(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어(12)의 홈(12A)을 코어(!2)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간극(12B)만큼 이격 형성하며, 캐비티금형(4)의 캐비티(4A)의 외측면에 상술한 코어(12)의 소정 간극(12B)에 대응되게 단차(4B)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금형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성형품(8)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에 상술한 코어(12)의 소정 간극(12B)에 대응되는 버(bur)(8A)가 생기는데, 이 경우 성형품(8) 성형 후 도 9의 도면번호 '9'로 지시된 바와 같은 선을 따른 사상작업을 통해 후처리해줌으로써 성형품(8)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버가 생기지 않도록 금형장치를 설계할 수도 있으나 그 설계가 매우 어려우며 오히려 성형품(8)의 외측면에 코어(12)의 외측 가장자리에 찍힌 자국이 생겨서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성형품(8)의 원료 공급을 위한 피더(feeder)(50), 성형품(8)의 취출을 위한 인서트 핀(미도시), 금형(2,4)의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52) 등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성형품(8)의 품질이 성형 흔적으로 인해 저하되지 않도록, 피더(50)나 인서트 핀 등은 가능한 성형품(8)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에 의한 성형과정을 도 1 및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캐비티금형(2)과 코어금형(4)의 형개상태로서, 캐비티금형(4)과 코어금형(2)이 분리되어 이격된 상태이다. 이때, 지그부(20)는 탄성부재(24)의 탄성력에 의해 블록(22)이 상대 금형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복귀된 상태이며 블록 핀(26)의 걸림턱(26A)이 본체부(10)에 접촉됨으로써 블록 핀(26)이 본체부(10)에 걸림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개상태에서 캐비티금형(4)에 성형품(8)의 원료(7)가 공급될 수 있으며, 이후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금형(2)과 코어금형(4)의 합형을 위해 코어금형(2)이 캐비티금형(4)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코어금형(2)이 캐비티금형(4)을 향해 이동 중에, 먼저 도 4 및 도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금형(2)과 캐비티금형(4)에 의해 성형공간이 밀폐되며 지그부(20)의 블록(22)이 인서트부재(6)를 지지하기 시작한다.
도 4 및 도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코어금형(2)이 캐비티금형(4)을 향해 더 이동되면,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금형(2)에 의해 성형공간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성형공간이 성형품(8)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코어금형(2)과 캐비티금형(4)이 합형될 수 있다.
이때, 지그부(20)의 블록(22)은 인서트부재(6)를 지지한 상태로 블록 핀(26)과 함께 본체부(10)에 대하여 성형공간 반대쪽으로 상대 이동된다.
성형품(8)의 성형완료 후 코어금형(2)을 캐비티금형(4) 반대쪽을 향해 이동시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금형(2)과 캐비티금형(4)이 형개될 수 있다. 이때 성형품(8)은 코어금형(2)과 캐비티금형(4)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형개시 성형품(8)이 캐비티금형(4)에 위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때, 캐비티금형(4)에 위치된 성형품(8)은 인서트부재(6)와 함께, 형개 완료 후 인서트 핀 등에 의해 캐비티금형(4)으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 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캐비티금형(2)에 위치된 성형품(8)은 형개 진행 중에 지그부(20)의 탄성부재(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인서트부재(6)와 함께 캐비티금형(4)으로부터 동시에 취출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에 의해 여러가지의 성형품(8)이 성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는 성형시 압력이 요구되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발포폴리스틸렌(EPS)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성형품(8)에 매우 유용하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는 합형을 위한 금형(2,4)의 이동시 지그부(20)에 의해 성형공간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부재(6)의 일부분만 성형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성형품(8)을 성형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는 인서트부재(6)가 성형공간에 삽입되며 링형인 링형부(6B) 및, 링형부(6B)와 일체이며 성형공간의 외측에 위치된 링형 연결부(6C)인 구성인 경우, 인서트부재(6)의 링형부(6B)를 둘러싸는 링형의 성형품(8)을 성형하는데 유용하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등에 구성되는 스티어링 휠(5)은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휠(5)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림(rim)(즉, 상술한 링형부(6B)) 및 림과 일체로 형성되며 스티어링 샤프트와 결합되는 스포크(즉, 상술한 링형 연결부(6C))를 포함하는 강성체인 코어(즉, 상술한 인서트부재(6))와, 코어의 림을 둘러싸는 합성수지 재질의 스킨(즉, 상술한 성형품(8))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는 스티어링 휠(5)의 코어의 림이 인서트부재(6)로서 성형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스티어링 휠(5)의 스킨을 성형품(8)으로서 성형할 수 있다. 이때, 스티어링 휠(5)의 코어의 스포크에는 스티어링 샤프트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홀(6A)이 형성되는 바, 상술한 금형(2,4)의 끼움부(4C)는 스티어링 휠(5)의 결합홀(6A)에 탈착 가능토로 끼워지는 끼움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코어금형 4; 캐비티금형
4A; 캐비티 6; 인서트부재
8; 성형품 10; 본체부
12; 코어 20; 지그부
22; 블록 24; 탄성부재
26; 블록 핀

Claims (18)

  1. 복수개의 금형에 의해 성형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공간에 인서트부재를 삽입하여 성형을 하며;
    상기 복수개의 금형 중 적어도 일부는
    상대 금형과 합형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상대 이동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인서트부재를 지지하는 지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재는 상기 성형공간에 삽입되는 링형의 링형부 및, 상기 링형부와 일체이며 상기 성형공간 외측에 위치되는 링형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재는 스티어링 휠의 코어이며,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의 스킨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성형공간 중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의 스킨 내측둘레면과 대응되는 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성형공간에 성형을 위한 원료를 공급하는 피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금형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코어의 중앙 홀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금형 중 적어도 합형,형개를 위해 이동되는 금형은 상기 지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성형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지그부는 적어도 상기 인서트부재의 상기 성형공간에 삽입된 부분을 지지토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금형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인서트부재의 성형공간 외측에 위치된 부분이 탈착 가능토록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성형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지그부는 상기 인서트부재의 상기 성형공간에 삽입된 부분을 지지하며 상기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제1지그부 및, 상기 인서트부재의 성형공간 외측에 위치된 부분을 지지하는 제2지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본체부에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인서트부재를 지지하는 블록 및, 상기 블록의 이동을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블록의 이동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인서트부재를 지지하는 블록;
    상기 블록과 상기 본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의 이동을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본체부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블록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블록의 이동 스트로크를 제한할 수 있도록 나머지 단부에 상기 본체부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블록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금형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토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인서트부재의 링형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거나, 링형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지그부가 이동되는 이동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금형은 상기 인서트부재를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코어금형 및 캐비티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금형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성형품.
KR1020100005960A 2010-01-22 2010-01-22 금형장치 및 그 성형품 KR20110086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960A KR20110086302A (ko) 2010-01-22 2010-01-22 금형장치 및 그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960A KR20110086302A (ko) 2010-01-22 2010-01-22 금형장치 및 그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302A true KR20110086302A (ko) 2011-07-28

Family

ID=44922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960A KR20110086302A (ko) 2010-01-22 2010-01-22 금형장치 및 그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630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42290A (zh) * 2016-08-05 2016-10-26 南通超达装备股份有限公司 汽车方向盘模具
CN107696404A (zh) * 2017-09-22 2018-02-16 南通超达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带骨架的方向盘模具
KR20180078639A (ko) * 2016-12-30 2018-07-10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범퍼빔 성형금형
KR102314746B1 (ko) * 2020-04-10 2021-10-20 동신산업(주) 수상 부력체의 고무 밀폐 와셔 제조용 금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42290A (zh) * 2016-08-05 2016-10-26 南通超达装备股份有限公司 汽车方向盘模具
KR20180078639A (ko) * 2016-12-30 2018-07-10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범퍼빔 성형금형
CN107696404A (zh) * 2017-09-22 2018-02-16 南通超达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带骨架的方向盘模具
CN107696404B (zh) * 2017-09-22 2020-01-14 南通超达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带骨架的方向盘模具
KR102314746B1 (ko) * 2020-04-10 2021-10-20 동신산업(주) 수상 부력체의 고무 밀폐 와셔 제조용 금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2505B2 (en) Molding die for molding boot for constant velocity joint
JP6468816B2 (ja) ローラ部材の製造方法、ローラ部材金型、ローラ部材、複写機、およびプリンタ
KR20110086302A (ko) 금형장치 및 그 성형품
CN110394996B (zh) 用于形成车辆内部材料的装置和方法
KR101843517B1 (ko) 중공형 복합재 rtm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그리고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공형 복합재
US20140145372A1 (en) Method of molding boot for constant velocity joint
WO2014119534A1 (ja) 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200070A (zh) 机油控制阀的阀体
JP5593998B2 (ja) 多色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6069159A (ja) 発泡成形用の金型及び発泡成形方法
JP5244426B2 (ja) 表皮材インサート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KR20090114915A (ko) 사출장치 및 그 사출물
CN108698278B (zh) 树脂成型品、成形装置、成形方法以及模具
KR101738617B1 (ko) 부분 미발포 및 발포 사출 성형용 금형
US9505157B2 (en) Injection mould product ej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3611977B2 (ja) 中空体製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用金型
JP2982033B2 (ja) 合成樹脂中空成形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用金型
JP2019051730A (ja) ローラ部材の製造方法、ローラ部材金型、ローラ軸、およびローラ部材
JP4449515B2 (ja) 射出成形型および射出成形体の製造方法
CN211071834U (zh) 一种模具
US2022017660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member, and mold used therein
KR20120119822A (ko)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 및 그의 성형 방법
CN108705726B (zh) 一种具有配件植入辅助构件的注塑模具及其注塑方法
JP7099948B2 (ja) 射出成型方法
JP4812033B2 (ja) 複合成形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用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