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897B1 - 전기 신호를 방출하는 센서 - Google Patents

전기 신호를 방출하는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897B1
KR102113897B1 KR1020157019577A KR20157019577A KR102113897B1 KR 102113897 B1 KR102113897 B1 KR 102113897B1 KR 1020157019577 A KR1020157019577 A KR 1020157019577A KR 20157019577 A KR20157019577 A KR 20157019577A KR 102113897 B1 KR102113897 B1 KR 102113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enerator
sensor
housing
moisture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9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0794A (ko
Inventor
우도 힐겐베르크
슈테판 리슈
라스즐로 볼디즈아
울리히 스텔린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filed Critical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ublication of KR20150100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7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delivered by rotating magn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52Manufacturing aspects; Manufacturing of single devices, i.e. of semiconductor magnetic sensor ch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출되는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전기 신호를 방출하는 센서(2)로서, 내부 공간(10)과 외부 공간(12) 사이에 경계를 형성하는 케이싱(4), 상기 외부 공간(12)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10)으로 상기 케이싱(4)을 관통하며 상기 외부 공간(12)에 주행 센서 요소(26)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공간(10)에 장 센서 요소(36)를 구비하는 픽업(6)으로서, 상기 주행 센서 요소(26)는 검출되는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싱(4)에 대해 상기 장 센서 요소(36)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상기 픽업, 상기 장 센서 요소(36)에 의해 출력되는 물리적인 장을 검출하는 분석기 회로(48), 및 상기 케이싱(4)과 상기 픽업(6) 사이의 갭에 수분(38)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분 방지 요소(37, 40, 42)를 포함하는, 센서(2)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신호를 방출하는 센서{SENSOR FOR EMITTING AN ELECTRICAL SIGNAL}
본 발명은 검출되는 주행 상태, 특히 각도에 기초하여 전기 신호를 방출하는 센서에 관한 것이다.
WO 2006/029 946 A1은, 신호 생성기 자석과, 이 신호 생성기 자석의 각도 위치를 평가하는 평가 전자부품을 갖는 측정 회로를 구비하는 각도 센서를 개시한다. 이 신호 생성기 자석은 측정 회로에 직접 기계적인 연결을 갖지 않아, 평가 전자부품의 관점에서 상기 신호 생성기 자석은 측정 회로 위에 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려진 각도 센서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한 개선은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검출되는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전기 신호를 방출하는 센서는,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에 걸쳐 있는 하우징, 상기 외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며, 상기 외부 공간에 주행 센서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장 신호 생성기 요소(field signal generator element)를 구비하는 신호 생성기로서, 상기 주행 센서 요소는 검출되는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장 신호 생성기 요소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상기 신호 생성기, 상기 장 신호 생성기 요소에 의해 출력되는 물리적인 장(physical field)을 검출하는 평가 회로,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신호 생성기 사이의 갭에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수분 방지 요소를 포함한다.
지정된 센서가 차량의 섀시에 대하여 차량의 휠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차량에 사용될 수 있다는 개념에 기초한다. 이런 방식으로, 섀시와 서스펜션의 스포티함과 편의적인 조절 목적 사이의 전통적인 충돌을 해결할 수 있는 능동 섀시 제어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센서는 결함에 매우 취약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수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정된 센서의 범위에서 이 경우에 짧은 수명의 주요 원인은, 센서에 침투하여 센서의 평가 회로를 손상시켜 이를 기능적으로 고장나게 하는 수분인 것으로 인식된다. 이 침투하는 수분은 이 센서가 차량의 하부 측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도로로부터 튀어오르는 수분과 먼지에 직접 노출되는 것에 의해 야기된다.
그리하여 지정된 센서는 상기 센서와, 특히, 그 평가 회로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수분 방지 요소에 의해 방지하는 개념에 기초한다.
상기 수분 방지 요소는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방식에서, 상기 수분 방지 요소는 갭으로 침투하는 수분의 흐름 경로를 길어지게 하도록 구성된 미로(labyrinth)를 포함한다. 이러한 미로는 상기 하우징 및/또는 신호 생성기에 간단한 기하학적 변화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구현되어 원리적으로 새로운 요소를 전혀 요구하지 않아서, 상기 수분 방지 요소는 비용 중립적인 방식으로 지정된 센서에 구현될 수 있다.
지정된 센서의 일 개선에서, 상기 미로는, 상기 신호 생성기에 구현되는 제1 슬리브와, 상기 하우징에 구현되고 제1 슬리브와 맞물리는 제2 슬리브로 구현된다. 2개의 이러한 슬리브는 축방향으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신호 생성기 사이의 전술한 갭을 길어지게 하여 상기 침투하는 수분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이 매우 지연되게 한다.
다른 개선에서, 상기 지정된 센서는 상기 갭을 지나 침투하는 수분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바이패스 요소를 포함한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수분의 침투를 회피하는 것이 더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센서의 다른 개선에서, 상기 바이패스 요소는 상기 2개의 슬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 구현된 배수 채널이다. 이 배수 채널은 간단한 기하학적 변화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슬리브에 비용 중립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어서, 추가적인 기술적 요소가 필요치 않다. 상기 배수 채널은, 예를 들어, 상기 갭을 지나 외주 방향으로 물을 안내할 수 있고, 여기서 물은 상기 갭에 침투하는 일 없이 갭 아래에 있는 배수 채널로부터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센서의 일 바람직한 개선에서, 대응하는 다른 슬리브는 상기 배수 채널에 맞물리는 돌출부를 갖는다. 이런 방식으로, 전술한 갭은 훨씬 더 길어져서 미로 효과가 더 증진된다.
미로 효과를 훨씬 더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두 개의 슬리브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부싱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 및/또는 상기 신호 생성기에 대응하여 구현된 외주방향 그루브에 각각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센서의 또 다른 개선에서, 상기 하우징 및/또는 상기 신호 생성기는 상기 갭의 입구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원추형으로 이어지게 구현된다. 이런 방식으로, 잠재적으로 상기 갭으로 진입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이 감소된다.
특히 상기 내측과 상기 외측에 원추형 프로파일을 구현하여, 상기 내측에서 갭으로 침투하는 수분이 다시 역으로 상기 갭으로 안내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차량은 상기 지정된 센서들 중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성, 특징 및 장점과, 이들이 달성되는 방식은 도면과 함께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섀시 제어 시스템을 갖는 차량의 개략도;
도 2는 CPS 센서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대안적인 CPS 센서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다른 대안적인 CPS 센서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또 다른 CPS 센서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에서, 동일한 기술적인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단 한번만 설명된다.
섀시 제어 시스템(56)을 갖는 차량(54)의 개략도를 도시하는 도 1을 참조한다.
이 섀시 제어 시스템(56)의 범위에는, 차량(54)의 휠(60)이 수직 축(62)으로 위치 고정된 방식으로 롤링하는 도로(미도시)에 대하여 섀시(58)의 승강(lifting) 움직임, 피치(pitchin) 움직임 및 롤링(rolling) 움직임이 주행 방향(64)으로 주행할 때 차량(54)의 주행 특성을 개선시키도록 최소화된다.
이를 위해, 섀시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DE 10 2005 060 173 A1에 알려진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서 각 휠(60)에 배열된 각도 센서(2)로 구성되고, 섀시(58)에 대하여 대응하는 휠(60)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회전 각도(68)를 수신하는 제어 디바이스(66)를 구비한다. 이 회전 각도(68)들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어 디바이스(66)는 섀시(58)가 수직 축(62)으로 이동하는지, 다시 말해 승강 움직임을 수행하는지, 또는 섀시(58)가 롤링 또는 피치 운동을 하여 제어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 경우에, 제어 디바이스(66)는 이 승강 움직임, 롤링 움직임 및/또는 피치 움직임을 상쇄(counteract)시키는 반대 움직임을 계산하고, 적절한 제어 신호(70)를 통해 휠(60)에 배열된 능동 스프링 스트럿(active spring strut)(72)을 제어하여 섀시(6)를 통해 이 반대 움직임을 보상한다. 예를 들어, DE 101 22 542 B4에서 공지된 스프링 스트럿은, 능동 스프링 스트럿(72)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너링 동안, 도로의 위치에 의해 야기되는 승강 움직임, 롤링 움직임 및/또는 피치 움직임을 고려하기 위하여, 적절한 설정점 값(74)이 제어 디바이스에 공급될 수 있다.
각도 센서(2)는 본 실시예에서 아래에서 CPS 센서(2)로 지칭되는 섀시 위치 센서(2)로 구현된다. 섀시 위치 센서는 그 섀시와 서스펜션 또는 휠(60)들 중 하나에 대하여 차량(2)의 섀시(58)의 상대적인 위치를 측정한다. 이 CPS 센서(2)들 중 하나는 도 2 내지 도 5에 대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CPS 센서(2)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CPS 센서(2)는, 예를 들어, 차량(54)의 섀시(58)에 위치 고정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하우징(4)과, 이 섀시(58)와 하우징(4)에 대해 차량(54)의 섀시와 서스펜션 또는 휠(60)의 전술한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하는 신호 생성기(6)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신호 생성기(6)는 하우징(4)에 대해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하우징(4)은 평가 회로(미도시)가 수용된 내부 공간(10)을 외부 공간(12)과 분리하는 하우징 벽(8)을 포함한다.
나아가, 서로 동심으로 배열된 제1 하우징 슬리브(14)와 제2 하우징 슬리브(16)는 이 하우징 벽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이 하우징 슬리브(14, 16)는 함께 이들 사이에 방사방향으로 놓이는 하우징 그루브(18)를 형성한다. 나아가, 하우징 플랜지(20)는 제1 하우징 슬리브(14)로부터 동심으로 내부쪽으로 돌출하고 이 제1 하우징 슬리브에 제3 하우징 슬리브(22)가 방사방향 내부 측에 인접한다. 이 제3 하우징 슬리브(22)에서, 예를 들어, 슬라이딩 베어링으로 구현된 회전 베어링(24)이 고정된다.
신호 생성기(6)는, 예를 들어, 휠(60)에 의해 이동될 수 있고 그리하여 하우징(4)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도 2에서 컷오프(cut-off) 형태로 도시된 레버(26)를 포함한다. 서로 동심으로 배열된 제1 신호 생성기 슬리브(28)와 제2 신호 생성기 슬리브(30)는 레버(26)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이 신호 생성기 슬리브(28, 30)는 이들 사이에 방사방향으로 신호 생성기 그루브(32)를 형성한다. 이런 상황에서, 신호 생성기 비드(bead)(31)는 레버(26)와 축방향으로 반대쪽에 놓여 있는 제1 신호 생성기 슬리브(28)의 단부에 형성된다. 샤프트(34)가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유지되는 부싱(33)이 2개의 신호 생성기 슬리브(28, 30) 내에 동심으로 배열된다. 자석(36) 형태의 장 신호 생성기 요소가 레버와 축방향으로 반대쪽에 놓여 있는 단부에 샤프트(34)에 대해 위치 고정된 방식으로 유지된다.
전술한 설계에 의하여, 자석(36)은 차량의 섀시에 대하여 위치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된 하우징(4)에 대해 레버(26)를 통해 샤프트(34)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하우징(4)과 신호 생성기(6)는 서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배열되어, 제1 신호 생성기 슬리브(28)가 하우징 그루브(18)에 축방향으로 맞물리고, 제2 하우징 슬리브(14)가 신호 생성기 그루브(32)에 축방향으로 맞물려, 미로형 갭(37)이 하우징(4)과 신호 생성기(6) 사이에 형성되게 한다. 여기서 샤프트(34)는 외부 공간(12)에 배열된 레버(26)를 자석(36)에 대하여 내부 공간(10)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자석은 레버(26)와 자석(36)의 위치의 함수로서 변하는 자기장 형태의 물리적인 장을 방출하며, 이 자기장은 평가 회로(미도시)에 의해 센싱되고, 예를 들어,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평가된다.
섀시와 이 섀시에 대해 서스펜션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CPS 센서(2)는 차량의 하부측에 불리하게 배열되어야 해서 이 센서는 비교적 많은 양의 침투하는 수분(38)을 받을 수 있다. 이 수분(38)이 하우징(4)의 내부 공간(10)에 침투하게 되면, 이 수분은 평가 회로(미도시)를 손상시켜 CPS 센서(2)를 기능적으로 고장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미로형 갭(37)이 구현되고, 이 갭(37)은 수분(38)이 주행하는 거리를 증가시켜 수분이 평가 회로에 도달하는 시간을 증가시킨다.
나아가, 신호 생성기 비드(31)는, 레버(26)와 제1 신호 생성기 슬리브(28)와 함께, 바이패스로 형성된 다른 수분 방지 요소를 형성한다. 상기 바이패스는 신호 생성기 슬리브(28)의 방사방향 외측에서 이어지고 이 외측(12)으로부터 침투하는 수분을 수집하여 이 수분을 신호 생성기 슬리브(28)의 방사방향 외측에 있는 미로형 갭(37)을 지나 샤프트(34) 주위로 외주 방향으로 안내하여, 수분이 상기 갭(37)을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배수 채널(40)로 구현된다.
또 다른 수분 방지 요소로서,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34)와 제2 하우징 슬리브(14) 사이에 방사방향으로 Y 밀봉재(42) 형태의 밀봉재를 배열하여, 이 밀봉재를 통해 하우징(4)의 내부 공간(10)으로 침투하는 수분을 물리적으로 차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대안적인 CPS 센서(2)의 일부를 도시한다. 이 대안적인 CPS 센서(2)는 제2 하우징 슬리브(16)와 제1 신호 생성기 슬리브(28)만을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 미로형 갭(37)이 구현된다.
이를 위해, 제2 신호 생성기 슬리브(16)에 다른 배수 채널(40)이 구현되고 본 실시예에서 이 배수 채널로 돌출부(44)가 방사방향으로 돌출한다. 이 돌출부(44)는 값비싼 방식으로 제조되어야 하는 언더컷(46)을 요구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로형 갭(37)은 이 돌출부(44)에 의해 더 증가되지 않는다.
도 4는 다른 대안적인 CPS 센서(2)의 일부를 도시한다. 레버(26)는 도 4의 신호 생성기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대신, 도 4는 참조 부호(48)가 부여된 평가 회로를 도시한다. 평가 회로(48)를, 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 제어기와 같은 상위 개념(superordinate)의 제어 디바이스에 연결할 수 있는 억지 끼워 맞춤(50)이라고 지칭되는 형태의 전기 접점이 상기 평가 회로(48)로부터 돌출한다. 이 억지 끼워 맞춤(50)들 중 단 하나만에 도 4에서 참조 부호가 부여된다.
도 4에서, 신호 생성기 비드(31)는 원추형 방식으로 구현되고 미로형 갭(37)의 입력(52) 위로 돌출한다. 이런 방식으로, 미로형 갭(37)으로 수분이 침투할 가능성이 더 감소된다.
도 5는 또 다른 CPS 센서(2)의 일부를 도시한다. 이 CPS 센서(2)에서, 제1 신호 생성기 슬리브(28)는 미로형 갭(37)의 입구점(52)으로부터 레버(26) 쪽으로 원추형으로 이어지게 구현된다. 이 원추형 형상은 여기서 갭(37) 내에서 외부 공간(12) 쪽으로 구현되어, 수분이 외부 공간에서 미로형 갭(37)의 입구점(5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안내되어, 미로형 갭(38) 내 입구점(52)으로 안내된다.

Claims (9)

  1. 검출되는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전기 신호를 방출하는 센서(2)로서,
    - 내부 공간(10)과 외부 공간(12)에 걸쳐 있는 하우징(4),
    - 상기 외부 공간(12)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10)으로 상기 하우징(4)을 관통하며, 상기 외부 공간(12)에 주행 센서 요소(26)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공간(10)에 장 신호 생성기 요소(36)를 구비하는 신호 생성기(6)로서, 상기 주행 센서 요소(26)는 검출되는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하우징(4)에 대해 상기 장 신호 생성기 요소(field signal generator element)(36)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상기 신호 생성기,
    - 상기 장 신호 생성기 요소(36)에 의해 출력되는 물리적인 장(physical field)을 검출하는 평가 회로(48), 및
    - 상기 하우징(4)과 상기 신호 생성기(6) 사이의 갭으로 수분(38)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분 방지 요소(37, 40)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 방지 요소(37, 40)는 상기 갭으로 침투하는 수분의 흐름 경로를 길어지게 하도록 구성된 미로(37)를 포함하며, 상기 미로(37)는 상기 신호 생성기(6)에 구현되는 제1 슬리브(28)와, 상기 하우징(4)에 구현되고 상기 제1 슬리브(28)와 맞물리는 제2 슬리브(16)로 구현되고,
    상기 수분 방지 요소(37, 40)는 상기 갭을 지나 상기 침투하는 수분(38)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바이패스 요소(40)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 요소(40)는 2개의 슬리브(16, 28) 중 적어도 하나에 구현된 배수 채널(40)이고, 대응하는 다른 슬리브(28, 16)는 상기 배수 채널(40)에 맞물리는 돌출부(44)를 구비하는, 전기 신호를 방출하는 센서(2).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슬리브(16, 28)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4) 또는 상기 신호 생성기(6)에 대응하여 구현되는 외주방향 그루브(18, 32)에 맞물리는, 전기 신호를 방출하는 센서(2).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 및 상기 신호 생성기(6)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갭의 입구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원추형으로 구현되는, 전기 신호를 방출하는 센서(2).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의 내측과 외측이 원추형으로 구현되는, 전기 신호를 방출하는 센서(2).
KR1020157019577A 2012-12-20 2013-12-17 전기 신호를 방출하는 센서 KR102113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24108.6 2012-12-20
DE102012224108 2012-12-20
DE102013219017.4 2013-09-20
DE102013219017.4A DE102013219017A1 (de) 2012-12-20 2013-09-20 Sensor zum Ausgeben eines elektrischen Signals
PCT/EP2013/076867 WO2014095835A1 (de) 2012-12-20 2013-12-17 Sensor zum ausgeben eines elektrischen 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794A KR20150100794A (ko) 2015-09-02
KR102113897B1 true KR102113897B1 (ko) 2020-05-22

Family

ID=508789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576A KR20150094778A (ko) 2012-12-20 2013-12-17 각도 센서
KR1020157019577A KR102113897B1 (ko) 2012-12-20 2013-12-17 전기 신호를 방출하는 센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576A KR20150094778A (ko) 2012-12-20 2013-12-17 각도 센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240946B2 (ko)
EP (3) EP2936165A2 (ko)
KR (2) KR20150094778A (ko)
CN (2) CN105074391B (ko)
DE (3) DE102013219018A1 (ko)
HU (1) HUE039495T2 (ko)
WO (2) WO20140958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2059A1 (de) * 2013-06-24 2014-12-2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Modularer Höhenstandssensor
CN104749390B (zh) * 2013-12-31 2020-07-03 森萨塔科技(常州)有限公司 定位框架结构
DE102014213591A1 (de) 2014-07-11 2016-01-1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Neutralteil für einen kundenspezifisch adaptierbaren Sensor
DE102014218684B4 (de) * 2014-09-17 2024-03-21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Vorrichtung mit einer Hohlwelle und einem Halt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014218762A1 (de) * 2014-09-18 2016-03-2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Zweistufig eingepresste Welle in einem Höhenstandssensor
DE102014218756A1 (de) * 2014-09-18 2016-03-2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Formschlüssig am Fahrzeug anbindbarer Höhenstandssensor
DE102015208315A1 (de) * 2015-05-05 2016-11-1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elements und Bauelement
DE102015212633A1 (de) * 2015-07-07 2017-01-1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ensoranordnung mit modularem Aufbau
DE102016213775A1 (de) * 2016-07-27 2018-02-0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Winkelsensor zum Erfassen eines Drehwinkels
DE102016217814B4 (de) * 2016-09-16 2018-07-2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Winkelsensor
DE102016119881A1 (de) 2016-10-19 2018-04-19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ensoreinrichtung zur Messung einer Linear- oder Rotationsbewegung eines Messobjekts
EP3686560B1 (en) * 2019-01-28 2021-07-14 Melexis Technologies SA Magnetic attractive rotary button system
DE102021118230A1 (de) * 2021-07-14 2023-01-1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r berührungslosen Erfassung von Bewegung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3719C1 (de) 1997-08-04 1999-04-15 Hella Kg Hueck & Co Fahrzeugniveaugeber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Fahrzeugniveaugebers
US20060274485A1 (en) 2005-06-03 2006-12-07 Arquimedes Godoy Electrical device enclosure
JP2012112932A (ja) * 2010-11-04 2012-06-14 Panasonic Corp 回転角度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4649A1 (de) 1988-10-12 1990-04-26 Vogt Electronic Ag Tachogenerator fuer kfz-einsatz
DE4017858A1 (de) * 1990-06-02 1991-12-12 Heidenhain Gmbh Dr Johannes Gekapselte messeinrichtung
DE4309226A1 (de) * 1993-03-23 1994-09-29 Hella Kg Hueck & Co Fahrzeugniveaugeber
DE19612765A1 (de) * 1996-03-29 1997-11-13 Teves Gmbh Alfred Kunststoffsenso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3425298B2 (ja) * 1996-06-05 2003-07-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舵角センサユニット
JP3968857B2 (ja) * 1998-01-09 2007-08-29 日本精工株式会社 回転速度検出部のシール構造
DE19811431A1 (de) * 1998-03-17 1999-09-23 Hella Kg Hueck & Co Fahrzeugniveaugeber
JP3632038B2 (ja) * 1998-09-19 2005-03-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動角検出装置
US6316935B1 (en) 1999-06-08 2001-11-13 Mannesmann Vdo Ag Sensor of angle of a shaft with a base separating the shaft from a magnetoresistive sensing element
DE10122542C5 (de) 2000-07-26 2017-01-1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orrichtung zur Regelung von Bewegungen des Aufbaus von Kraftfahrzeugen sowie Federbein für Kraftfahrzeuge
US7275937B2 (en) * 2004-04-30 2007-10-02 Finisar Corporation Optoelectronic module with components mounted on a flexible circuit
KR20070057809A (ko) * 2004-09-16 2007-06-07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자동차 기어박스용 제어 장치
DE102005060173A1 (de) 2004-12-15 2006-07-1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ensoranordnung und Verfahren zum Ermitteln der Bewegung eines Fahrzeugaufbaus
US7230419B2 (en) * 2005-06-03 2007-06-12 Delphi Technologies, Inc. Rotary position sensor
JP4715634B2 (ja) * 2006-05-24 2011-07-0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気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97059A (ja) 2007-02-15 2008-08-28 Nippon Seiki Co Ltd 回転検出装置
DE202007010280U1 (de) * 2007-05-21 2007-09-27 Metallux Ag Potentiometer
DE102007034099B4 (de) * 2007-07-21 2020-10-15 Hartmann-Exact Gmbh Vorrichtung zur berührungslosen Erfassung von Relativpositionen zweier zueinander bewegbarer Teile
JP4950826B2 (ja) * 2007-10-03 2012-06-13 ナイルス株式会社 非接触回転角センサ
DE102007060604A1 (de) 2007-12-13 2009-06-1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Magnetfeld-Sensorelement
TW200937947A (en) * 2008-02-22 2009-09-01 First Int Computer Inc A photographic device
JP5263024B2 (ja) * 2009-06-18 2013-08-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角検出装置および回転速度検出装置
DE102010027900A1 (de) * 2010-04-19 2011-10-20 Dr. Johannes Heidenhain Gmbh Baueinheit für eine Winkelmesseinrichtung
US8773116B2 (en) * 2010-09-03 2014-07-08 Panasonic Corporation Rotation angle detecting device
CN202370666U (zh) * 2011-11-15 2012-08-08 宝鸡航天华科机电工业有限公司 适应恶劣环境条件的油门控制器调节机构
DE102011118775B3 (de) * 2011-11-17 2013-04-04 Hartmann-Exact Gmbh Vorrichtung zur berührungslosen Erfassung der Relativposition zweier relativ zueinander bewegbarer Teile
DE102011118773B4 (de) * 2011-11-17 2023-10-05 Hartmann-Exact Gmbh Vorrichtung zur berührungslosen Erfassung der Relativposition zweier relativ zueinander bewegbarer Teile
CN102620637A (zh) * 2012-03-09 2012-08-01 北京智博联科技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防水型位移传感器
DE102012106021A1 (de) * 2012-07-05 2014-05-08 Hella Kgaa Hueck & Co. Niveausens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3719C1 (de) 1997-08-04 1999-04-15 Hella Kg Hueck & Co Fahrzeugniveaugeber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Fahrzeugniveaugebers
US20060274485A1 (en) 2005-06-03 2006-12-07 Arquimedes Godoy Electrical device enclosure
JP2012112932A (ja) * 2010-11-04 2012-06-14 Panasonic Corp 回転角度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5786A3 (de) 2014-08-14
CN104995521A (zh) 2015-10-21
US20150338242A1 (en) 2015-11-26
HUE039495T2 (hu) 2019-01-28
EP2936069B1 (de) 2018-04-18
DE102013226303A1 (de) 2014-06-26
WO2014095786A2 (de) 2014-06-26
US20150345988A1 (en) 2015-12-03
KR20150094778A (ko) 2015-08-19
CN105074391A (zh) 2015-11-18
EP3309557B1 (de) 2020-09-09
EP3309557A1 (de) 2018-04-18
EP2936069A1 (de) 2015-10-28
EP2936165A2 (de) 2015-10-28
KR20150100794A (ko) 2015-09-02
US10240946B2 (en) 2019-03-26
CN104995521B (zh) 2021-03-16
WO2014095835A1 (de) 2014-06-26
DE102013219018A1 (de) 2014-06-26
CN105074391B (zh) 2018-03-09
DE102013219017A1 (de) 2014-06-26
US10203221B2 (en) 201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897B1 (ko) 전기 신호를 방출하는 센서
JP6578343B2 (ja) 自動車シャシーセンサ
US7045999B2 (en) Rubber bearing with a jounce sensor
CN104053934B (zh) 盒式密封件、尤其是用于机动车的车轮轴承装置的盒式密封件
JP7130009B2 (ja) 角度測定装置の配置構造
KR20070038151A (ko) 자동차용 볼 조인트
JP2017530354A (ja) 電動モータのロータ位置を求めるセンサユニット、及び、有利には自動車のクラッチ操作システムのクラッチアクチュエータ用の電動モータ
US20140121884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friction in a power steering system
CN110239615B (zh) 水侵入检测
US7863846B2 (en) Assembly of a motor vehicle body and control device of such an assembly
US9097285B2 (en) Magnetic encoder type hub bearing unit
US10974545B2 (en) Wheel bearing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US10451441B2 (en) Magnet device for position sensor, magnet assembly and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magnet assembly
CN115267915A (zh) 液体传感器组件和转向系统
US20170138481A1 (en) Crankshaft Seal Flange
KR100799643B1 (ko) 감도가 개선된 인코더 일체형 시일
KR20170110604A (ko) 휠 베어링 유닛
JP3174859U (ja) 冠水検出センサ
KR102228936B1 (ko) 휠 속도 측정이 정밀해지는 엑슬 어셈블리
KR101161528B1 (ko) 쇼크 업소버
KR20160029302A (ko) 차량의 휠 베어링 모듈
KR101734576B1 (ko) 능동형 vrs 시스템의 체인 장착 자동 인식 방법
CN215752424U (zh) 轨道车辆检测组件和轨道梁
KR20240074431A (ko) 볼 조인트 및 이를 갖춘 차량
JP6866122B2 (ja) 電子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