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821B1 -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821B1
KR102113821B1 KR1020180113266A KR20180113266A KR102113821B1 KR 102113821 B1 KR102113821 B1 KR 102113821B1 KR 1020180113266 A KR1020180113266 A KR 1020180113266A KR 20180113266 A KR20180113266 A KR 20180113266A KR 102113821 B1 KR102113821 B1 KR 102113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vibration
rotating plate
plat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3680A (ko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영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영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영정공
Priority to KR102018011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8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33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6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 B65D88/66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vibrating or kn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6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 B65D88/68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rot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이송되는 분체의 고착이나 뭉침이 방지되는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밸브는 고정판과 회동판에 진동이 발생되고, 분체가 고정판의 다수의 분체이동공에 분산되어 이동되므로 분체가 뭉치거나 고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분체이송효율을 높일 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Powder supply valve and powder providing device }
본 발명은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이송되는 분체의 고착이나 뭉침이 방지되는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 공정 이송 설비 등에서 사용되는 분말이나 입자상의 분체로 된 원재료를 저장, 공급하는 각종 슈트, 호퍼, 이송라인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분체로된 원재료를 투입 저장하면서 저장조(예를 들면, 호퍼)의 배출부와 공급라인 등을 통하여 이송, 공급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분체 이송 또는 공급 설비는 분체 형태의 여러 가지 연료 또는 재료를 다량 투입 저장하고, 이를 호퍼와 공급라인을 통하여 공급하는 종래의 설비의 경우, 설비에 투입되는 분체가 습기 또는 물기를 머금고 있어 서로 뭉쳐져 덩어리 형태로 되어 유동성이 저하되며, 설비의 하부 경사진 호퍼의 배출부 주위에 덩어리 상태로 뭉쳐진 분체가 몰입되어 경사진 배출부가 좁아지거나, 심한 경우 경사진 배출부의 하부 좁은 부위가 막히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분체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여 공급에 차질을 주는 문제점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0-2015-0075282에 게시된 분체공급장치와 같은 종래의 분체 이송 설비는 장기간 설비에 분체를 투입, 저장하고 사용하는 과정을 반복할 경우, 하부 배출부 측에 위치하는 분체는 상당한 압력을 받게 되고 분체 배출 시 중앙 부위와 측방 부위의 배출 유속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말미암아 중앙 부위에서 측방 부위 측으로 전단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분체가 배출구 측으로 압력을 받아 분체가 정체되면서 부착되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장기간 계속 진행되어 분체의 흡착층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배출구의 통로가 좁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호퍼의 배출부가 막히는 현상도 발생하여 분체의 배출, 이송이 불가능해지는 현상도 발생하여 생산작업에 막대한 지장과 피해를 주게 되는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수시로 이들을 점검하면서 많은 인력과 비용을 투입하여 분체의 흡착층을 제거하거나 뭉쳐져 적체되어 있는 배출구의 분체를 파쇄하여 주는 등의 설비의 내부정비 및 청소작업을 주기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도 뒤따르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07403호 : 분체공급호퍼의 자동투입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0-2015-0075282 : 분체공급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분체의 뭉침 및 고착을 방지할 수 있는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체공급밸브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방에서 공급된 분체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분체이동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면에 접하며 상기 고정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다수의 상기 분체이동공을 개폐하는 다수의 개폐공이 형성되는 회동판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판과 연결되어 상기 회동판을 회전시키는 회동판구동유닛과, 상기 회동판의 하방에 위치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판과 상기 고정판에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회동판과 상기 고정판에 상기 분체가 뭉치거나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체 뭉침 및 고착방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체 뭉침 및 고착방지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고정장착되며 진동이 발생되는 진동발생기와, 상기 진동발생기의 진동피스톤과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회동판의 하방에 위치되게 연장되어 상기 진동피스톤의 진동이 전달되는 진동전달바와, 상기 진동전달바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동판과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는 가이드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다수 개 형성되어 상기 진동피스톤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동판에 확산시키는 진동확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판은 다수의 상기 가이드돌기가 관통되되 상기 가이드돌기에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호형곡률를 갖는 장공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회동제한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의 분체이동공은 상기 회동판의 개폐공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확산부재는 길이방향의 중심측이 상기 회동판의 중심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게 상기 진동전달바와 결합되며, 다수의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진동확산부재 중심측에서 상기 진동확산부재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동일거리 이격되는 다수의 제1가이드돌기와, 상기 진동확산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의 상기 제1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진동확산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로 동일거리 이격되는 다수의 제2가이드돌기를 구비하고, 다수의 상기 회동제한공은 상기 회동판의 중심측에서 지름방향 양측으로 동일간격 이격되어 상기 다수의 제1가이드돌기가 각각 관통되는 다수의 제1회동제한공과, 상기 회동판의 지름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의 상기 제1회동제한공에 대해 상기 회동판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로 동일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1회동제한공보다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다수의 제2회동제한공을 구비한다.
상기 회동판구동유닛은 상기 회동판의 하면 가장자리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리브와, 일측이 상기 리브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판의 중심축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의 가이드공을 관통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회동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조작피스톤이 진퇴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조작실린더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분체공급밸브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는 분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폐가능한 개폐뚜껑이 장착된 호퍼와, 상기 개폐뚜껑의 중심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뭉침방지날개유닛이 장착되어 회전되는 교반축과, 상기 개폐뚜껑의 중심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교반축을 회전시키는 교반모터와, 상기 호퍼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호퍼 내의 상기 분체가 하방으로 배출되거나 배출제한되게 상기 호퍼의 하단을 개폐하며 진동이 발생되어 상기 분체의 뭉침 또는 고착을 방지하는 분체공급밸브와, 상기 분체공급밸브의 하단과 결합되며 하부가 상부보다 직경이 좁게 형성되어 상기 분체공급밸브로부터 배출된 하부로 포집하여 하방으로 배출하는 분체 포집부와, 상기 분체포집부에서 배출된 상기 분체를 일측 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이송스크류가 장착된 분체이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퍼는 하부에 내경이 감소된 내경축소부가 형성되고, 상기 뭉침방지날개유닛은 상기 호퍼의 상부측을 관통하는 상기 교반축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각각 연장된 다수의 제1메인교반바와, 상기 제1메인교반바에서 상기 분체공급밸브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제1메인교반바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제2보조교반바를 갖는 제1뭉침방지날개부와; 상기 제1뭉침방지날개부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의 상기 교반축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2메인교반바와, 상기 제2메인교반바에서 상기 분체공급밸브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내경축소부의 하단까지 연장된 제2보조교반바와, 상기 내경축소부의 하단에 대응되는 상기 교반축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메인교반바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제2보조교반바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제3메인교반바를 갖는 제2뭉침방지날개부;를 구비한다.
다수의 상기 제3메인교반바는 상기 교반축과 함께 회전 시 상기 가이드돌기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부에 상방으로 인입되되 원주방향 양측이 개방된 다수의 간섭방지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밸브는 고정판과 회동판에 진동이 발생되고, 분체가 고정판의 다수의 분체이동공에 분산되어 이동되므로 분체가 뭉치거나 고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분체이송효율을 높일 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는 분체이동공 개폐를 위해 고정판에 대해 회전되는 회동판의 회전되는 거리가 짧아 개폐 전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체공급밸브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체공급밸브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분체공급밸브에 대한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체공급밸브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체공급밸브(100)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1)는 분체공급부(10)와, 분체공급밸브(100), 분체포집부(60)와, 분체이송부(70)를 구비한다.
분체공급부(10)는 분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24)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폐가능한 개폐뚜껑(25)이 장착된 호퍼(20)와; 개폐뚜껑(25)의 중심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수직연장되며 외주면에 분체가 뭉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뭉침방지날개유닛(31)이 장착되어 회전되는 교반축(30)과; 개폐뚜껑(25)의 중심 상측에 결합되며 교반축(30)을 회전시키는 교반모터(50);를 구비한다.
호퍼(2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저장공간(24)이 형성된 호퍼본체(21)와, 호퍼본체(21)의 상단을 덮으며 교반모터(50)가 장착되는 덮개(25)을 구비한다.
호퍼본체(21)는 하부에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내경축소부(23)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덮개(25)는 원통형상의 호퍼본체(21)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개폐가능한 개폐도어(26)가 장착된다.
교반축(30)은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교반모터(50)와 연결된 감속기(53)와 기어연결되며 호퍼(20)의 하단까지 연장된다.
뭉침방지날개유닛(31)은 호퍼본체(21)의 중심에 상하방향으로 관통연장되는 교반축(3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뭉침방지날개부(32)와, 제1뭉침방지날개부(32)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게 교반축(30)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2뭉침방지날개부(36)를 구비한다.
제1뭉침방지날개부(32)는 교반축(30)의 상부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각각 연장된 다수의 제1메인교반바(33)와, 제1메인교반바(33)에서 하방에 위치한 분체공급밸브(100)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제1메인교반바(33)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제2보조교반바(35)를 구비한다.
제1메인교반바(33)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강하는 분체가 원주방향 좌,우측으로 분산유도되고 회전시 부딪히는 분체가 상하방향으로 분산유도되게, 모서리 측이 상방과 하방, 원주방향의 양측방향을 각각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메인교반바(35)는 제1메인교반바(33)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되, 교반축(30) 회전시 부딪히는 분체가 교반축(30) 방향 또는 호퍼본체(21) 내주면 방향으로 분산 유도되게, 모서리측이 교반축(30)과, 호퍼본체(21)의 내주면, 원주방향의 양측을 각각 향하도록 연장형성된다. 다수의 제1메인교반바(33)는 교반축(3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동일간격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뭉침방지날개부(36)는 제1뭉침방지날개부(32)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의 교반축(30)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2메인교반바(38)와, 제2메인교반바(38)의 하단에서 분체공급밸브(100)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내경축소부(23)의 하단까지 연장된 다수의 제2보조교반바(39)와, 내경축소부(23)의 하단에 대응되는 교반축(30)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되 제2메인교반바(39)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단이 제2보조교반바(39)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제3메인교반바(41)와, 다수의 제3보조교반바(43)를 구비한다.
다수의 제2메인교반바(38)는 교반축(3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동일간격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3메인교반바(43)는 제2메인교반바(39)에 대응되는 하방에 형성된다.
제2메인교반바(38)와 제3메인교반바(41)는 제1메인교반바(38)와 같은 사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모서리 측이 상방과 하방, 원주방향의 양측방향을 각각 향하도록 형성된다. 제2보조교반바(39)는 제1보조교반바(35)와 간츤 사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모서리 측이 교반축(30)과, 호퍼본체(21)의 내주면, 원주방향의 양측을 각각 향하도록 연장형성된다.
제3보조교반바(43)는 도 1을 참고하면, 제2보조교반바(39)의 중심측에서 교반축(30)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뭉침방지날개유닛(31)은 제2메인교반바(38)와 제3메인교반바(41) 사이의 호퍼본체(21)의 내경축소부(23) 내주면에 교반축(30) 방향으로 돌출되되 제2보조교반바에 간섭되지 않게 돌출형성되어 분체의 뭉침 및 고착 방지를 보조하는 다수의 제4보조교반바(45)를 더 구비한다.
다수의 제4보조교반바(45)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모서리측이 상방, 하방, 양측방을 향하도록 각각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동일간격 상호 이격된다.
제1 내지 제3메인교반바(33,38,41)와, 제1 내지 제4보조교반바(35,39,43,45)는 각각 사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상 외의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환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3메인교반바(41)는 후술되는 분체공급밸브(100)의 가이드돌기에 간섭되지않도록 하부에 상방으로 인입되되 원주방향 양측이 개방된 다수의 간섭방지홈(42)이 형성된다.
분체공급밸브(100)는 호퍼(20)의 하단에 장착되어 호퍼(20) 내의 분체가 하방으로 배출되거나 배출제한되게 호퍼의 하단을 개폐하며, 진동이 발생되어 분체의 뭉침 또는 고착이 방지된다.
분체공급밸브(100)는 하우징(110)과, 고정판(120)과, 회동판(130)과, 회동판구동유닛(140)과, 분체 뭉침 및 고착방지유닛(160)을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원통 형상으로 호퍼본체(21) 내경축소부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호퍼본체(21)의 하단과 결합된다.
하우징(110)은 상단과 하단에 플렌지(113,115)가 각각 형성되고, 일측부에 관통되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되는 회동판구동유닛(140)의 연결바(145)가 관통되는 가이드공(117)이 형성된다.
고정판(120)은 하우징과 호퍼본체(21) 사이에 장착되게 하우징(110)의 내경보다 큰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1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호퍼(20)로 부터 공급된 분체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분체이동공(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판(120)은 후술되는 분체 뭉침 및 고착 방지유닛(160)의 진동확산부재(190)의 가이드돌기(194)가 관통되는 복수의 돌기관통공(124,125)이 형성된다.
복수의 돌기관통공(124,125)은 복수의 가이드돌기(194)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데, 고정판(120)의 중심측에 형성된 제1결합공(122)을 중심으로 고정판(120)의 지름 선상의 일측과 타측으로 동일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회동판(130)은 고정판(120)의 하면에 접하며 고정판(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110) 내에 설치되는 원판 형상이다. 회동판(130)은 하우징(110)에 수용되어 가장자리가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인접하되 하우징(110) 및 고정판(1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간섭되지않는 직경을 갖는다.
회동판(130)은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분체이동공(121)에 대응되거나 분체이동공(121)에 엇갈리는 다수의 개폐공(131)이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다수의 분체이동공(121)을 개폐한다.
회동판(130)의 개폐공(131)은 고정판(120)의 분체이동공(121)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회동판(130)의 중심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큰 직경으로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회동판(130)은 중심측에 형성된 제2결합공(132)이 고정판(120)의 제1결합공(122)에 상하방향으로 일치되게, 제1결합공(122)과 제2결합공(132)을 관통하여 교반축(3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39)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체공급밸브(100)는 고정판(120)과 회동판(130)이 교반축(13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39)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결합부재(139)가 교반축(130)에 결합되지 않고 별도의 너트(미도시)가 고정판(120)을 돌출된 상단에 결합되어 교반축(130)에 분리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체공급밸브(100)는 고정판(120)에 제1결합공(122) 없이 고정판(120)의 중심측 하면에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축(미도시)이 회동판(130)의 제2결합공을 관통하고, 회동판(130)을 관통한 지지축의 하단에 회동판(130) 지지를 위한 너트(미도시)가 나사결합된 것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회동판(130)은 회전가능하되 관통되는 가이드돌기(194)에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호형곡률를 갖는 장공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회동제한공(133,135)이 형성된다.
고정판(120)의 돌기관통공(124,125)과, 회동판(130)의 회동제한공(133,135)은 분체 뭉침 및 고착 방지유닛(160)에 대해 설명 후, 구체적으로 다시 설명한다.
회동판구동유닛(140)은 하우징(110)에 장착되며 회동판(130)과 연결되어 회동판(130)을 소정각도 회전시킨 후 위치복원시키는 것으로서, 하우징(110) 내에 위치된 회동판(130)의 하면 가장자리 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리브(141)와, 일측이 리브(141)에 결합되며 회동판(130)의 중심축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10)의 가이드공(117)을 관통하는 연결바(145)와, 연결바(145)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판(130)을 회전시키기 위해 진퇴하는 회동조작피스톤(148)이 장착되는 회동조작실린더(147)를 구비한다.
회동조작실린더(147)는 내부에 기체가 유입되는 방향에 따라 회동조작피스톤이 진퇴하는 복동식 공기실린더(air cylinder)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조작실린더(147)는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장착된 브라켓(149)에 고정장착된다.
도 4를 참고하면, 회동판(130)은 개폐공(131)이 고정판(120)의 분체이동공(121)과 일치 시, 회동제한공(133,135)의 일측에 위치된 가이드돌기(194)에 대해 타측이 반시계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예로 들고 있다. 이에 따라, 회동조작피스톤(148)이 실린더(147)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신장되게 이동되면, 회동조작피스톤(148)의 단부에 장착된 연결바(145)가 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동판(130)이 회동되어 개폐공(131)이 고정판(120)의 분체이동공(121)과 엇갈리면서 분체이동공(121)이 닫힌다. 반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체이동공(121)이 닫힌 상태에서 회동조작피스톤(148)이 회동조작실린더(147)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축소되게 이동되면 연결바(145)가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동판(130)이 회동되어 고정판(120)의 분체이동공(121)이 다시 열린다.
도시된 바와 반대로, 회동판(130)은 개폐공(131)이 고정판(120)의 분체이동공(121)과 일치 시, 회동제한공(133,135)은 일측이 가이드돌기(194)에 대해 시계방향에 위치되게 연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회동조작피스톤(148)이 회동조작실린더(147)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축소되게 이동되면, 회동조작피스톤(148)의 단부에 장착된 연결바(145)가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동판(1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개폐공(131)이 고정판(120)의 분체이동공(121)과 엇갈리면서 분체이동공(121)이 닫힌다. 반대로, 분체이동공(121)이 닫힌 상태에서 피스톤(148)이 실린더(147)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연장되게 이동되면 연결바(145)가 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동판(130)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고정판(120)의 분체이동공(121)이 다시 열린다.
한편, 리브(141)는 회동판(130) 하방으로 이동된 분체가 가이드공(117)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원주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가이드공(117)보다 길게 연장되되, 회동조작피스톤(148) 이동에 의해 위치이동시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동판(130)의 원주방향으로 호형곡률을 갖도록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동판(130) 하방으로 이동된 분체가 가이드공(117)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리브(141)와 가이드공(117) 사이에 연결바(145)가 관통되며 가이드공(117)보다 원주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가이드공(117)을 덮되 고무와 같은 구부러짐이 가능한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어 회동조작피스톤(148)의 이동을 따라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는 얇은 막 형태의 누출방지막(미도시)이 장착될 수도 있다.
분체 뭉침 및 고착방지유닛(160)은 회동판(130)의 하방에 위치되게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회동판(130)과 고정판(120)에 진동을 발생시켜 회동판(130)과 고정판(120)에 분체가 뭉치거나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분체 뭉침 및 고착방지유닛(160)은 하우징(110)의 외측에 고정장착되며 진동이 발생되는 진동발생기(161)와, 진동발생기(161)의 진동피스톤(163)과 결합되며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회동판(130)의 하방에 위치되게 연장된 진동전달바(166)와,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플렌지(113)에 결합되며 진동발생기(161)와 진동전달바(161)를 지지하는 진동발생기고정브라켓(171)과, 진동전달바(166)와 결합되며 진동전달바(166)의 연장방향에 나란하게 하우징(110)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며 회동판(130)과 고정판(120)을 관통하는 가이드돌기(194)가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다수 개 형성되어 진동피스톤(163)에서 발생된 진동을 고정판(120)과 회동판(130)에 전달하는 진동확산부재(190)를 구비한다.
진동발생기(161)는 공기압에 의해 진동피스톤(163)이 왕복운동 되면서 진동이 발생되는 것으로서, 진동피스톤(163)과 결합된 진동전달바(166)에 진동을 전달한다. 진동발생기(161)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621호에 게시된 진동발생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나, 진동전달바(166)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 구조가 한정되지 않는다.
진동전달바(166)는 하우징을 관통하여 회동판(130)의 중심측까지 연장된다.
진동확산부재(190)는 중심측이 회동판의 제2결합공에 대응되는 하방에 위치되게 진동전달바(191)와 결합되며 회동판(130)의 지름 선상으로 연장된 진동확산바(192)와, 진동확산바(191)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가이드돌기(194,195)를 구비한다.
다수의 가이드돌기(194,195)는 진동확산바(192) 중심 측에서 진동확산바(192)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동일거리 이격되는 복수의 제1가이드돌기(194)와, 진동확산바(192)의 일측 또는 타측의 제1가이드돌기(194)에 대해 진동확산바(194)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로 동일거리 이격되는 복수의 제2가이드돌기(195)로 구분된다.
복수의 제1 및 제2가이드돌기(194,195)는 고정판을 관통하여 고정판에 대해 돌출된 각 상부에 돌기관통공(124,125)보다 큰 외경을 갖는 캡(197)이 각각 장착된다.
캡(197)은 고정판(120)에 지지되어 진동확산부재(190)의 제1 및 제2가이드돌기(194,195)가 고정판(120)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3메인교반바(41)의 간섭방지홈(42)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그리고, 진동확산부재(190)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1 및 제2가이드돌기(194,195) 사이의 진동확산바(191)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회동판(130)을 지지하는 회동판지지돌기(197)를 구비한다.
한편, 고정판(120)의 다수의 돌기관통공은 고정판(120)의 중심측에서 지름방향으로 동일간격 이격되어 제1가이드돌기(194)가 각각 관통되는 복수의 제1돌기관통공(124)과, 고정판(120)의 지름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의 제1돌기관통공(124)에 대해 고정판(120)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로 동일거리 이격되며 제1돌기관통공공(124)보다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다수의 제2돌기관통공(125)으로 구분된다.
또한, 고정판(120)은 제1 및 제2돌기관통공(124,125) 사이 및 제2돌기관통공에 대해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126)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제3메인교반바(41) 회전 시 간섭방지홈(42)을 관통하여 분체의 뭉침을 방지하는 복수의 보조뭉침방지돌기(127)를 구비한다.
다수의 회동제한공(133,135)은 회동판(130)의 중심측에서 지름방향 양측으로 동일간격 이격되어 제1가이드돌기(194)가 각각 관통되는 복수의 제1회동제한공(133)과, 회동판(130)의 지름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의 제1회동제한공(133)에 대해 회동판(130)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로 동일거리 이격되며 제1회동제한공(133)보다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다수의 제2회동제한공(195)으로 구분된다.
즉, 제1돌기관통공(124)과 제1회동제한공(133)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돌기관통공(125)과 제2회동제한공(135)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분체포집부(60)는 분체공급밸브(100)의 하단과 결합되며 하부가 상부보다 직경이 좁게 형성된 중공(미도시)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서 분체공급밸브로(100)부터 배출된 분체를 하부로 포집한다.
분체이송부(70)는 분체포집부(60)에서 배출된 분체를 수용하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이송스크류(73)가 수용되며 일측 단부 하부에 분체배출구(74)가 형성된 분체이송하우징(71)과, 분체이송하우징(71)의 타측에 장칙되며 이송스크류(73)와 연결된 분체이송모터(75)와, 분체이송하우징(71)과 분체이송모터(75)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77)을 구비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체공급밸브(100)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1)는 회동조작실린더(147) 내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진동발생을 위해 진동발생기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려셔(미도시)와; 회동조작실린더(147)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에어컴프레셔와 연결된 제1 및 제2공기이송관(미도시)에 공기공급을 제어하며, 진동발생기(16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제어부와 연결되며 에어컴프레셔의 구동, 분체이송모터(75)와 교반모터(5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공급장치가 설치되는 건물 주변의 콘센트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플러그일 수도 있으며, 베터리 형태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체공급밸브(100)는 분체공급장치(1)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상방과 하방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분체가 이동되는 이송관(미도시)들 사이에 장착되어 이송관(미도시)들 사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체공급밸브(100)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1)는 고정판(120)과 회동판(130)에 진동이 발생되고, 분체가 고정판(120)의 다수의 분체이동공(121)에 분산되어 이동되므로 분체가 뭉치거나 고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분체이송효율을 높일 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체공급밸브(100)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1)는 분체이동공(121) 개폐를 위해 고정판(120)에 대해 회전되는 회동판(130)의 회전되는 거리가 짧아 개폐 전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공급밸브 및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분체공급밸브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
10 : 분체공급부 20 : 호퍼
30 : 교반축 31 : 뭉침방지날개유닛
32 : 제1뭉침방지날개부 36 : 제2뭉침방지날개부
50 : 교반모터 60 : 분체포집부
70 : 분체이송부 100 : 분체공급밸브
110 : 하우징 117 : 가이드공
120 : 고정판 121 : 분체이동공
122 : 제1결합공 124 : 제1돌기관통공
125 : 제2돌기관통공 130 : 회동판
131 : 개폐공 132 : 제2결합공
133 : 제1회동제한공 135 : 제2회동제한공
140 : 회동판구동유닛 147 : 회동조작실린더
148 : 회동조작피스톤 160 : 분체 뭉침 및 고착방지유닛
161 : 진동발생기 166 : 진동전달바
171 : 진동발생기고정브라켓 190 : 진동확산부재
191 : 진동확산바 194 : 제1가이드돌기
195 : 제2가이드돌기 197 : 회동판지지돌기
130 : 회동판 140 : 회동판구동유닛
160 : 분체 뭉침 및 고착 방지유닛

Claims (11)

  1.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방에서 공급된 분체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분체이동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면에 접하며 상기 고정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다수의 상기 분체이동공을 개폐하는 다수의 개폐공이 형성되는 회동판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판과 연결되어 상기 회동판을 회전시키는 회동판구동유닛과,
    상기 회동판의 하방에 위치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판과 상기 고정판에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회동판과 상기 고정판에 상기 분체가 뭉치거나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체 뭉침 및 고착방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분체 뭉침 및 고착방지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고정장착되며 진동이 발생되는 진동발생기와, 상기 진동발생기의 진동피스톤과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회동판의 하방에 위치되게 연장되어 상기 진동피스톤의 진동이 전달되는 진동전달바와, 상기 진동전달바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동판과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는 가이드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다수 개 형성되어 상기 진동피스톤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동판에 확산시키는 진동확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판은
    다수의 상기 가이드돌기가 관통되되 상기 가이드돌기에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호형곡률를 갖는 장공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회동제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공급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분체이동공은 상기 회동판의 개폐공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공급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확산부재는
    길이방향의 중심측이 상기 회동판의 중심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게 상기 진동전달바와 결합되며,
    다수의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진동확산부재 중심측에서 상기 진동확산부재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동일거리 이격되는 다수의 제1가이드돌기와, 상기 진동확산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의 상기 제1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진동확산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로 동일거리 이격되는 다수의 제2가이드돌기를 구비하고,
    다수의 상기 회동제한공은
    상기 회동판의 중심측에서 지름방향 양측으로 동일간격 이격되어 상기 다수의 제1가이드돌기가 각각 관통되는 다수의 제1회동제한공과, 상기 회동판의 지름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의 상기 제1회동제한공에 대해 상기 회동판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로 동일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1회동제한공보다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다수의 제2회동제한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공급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구동유닛은
    상기 회동판의 하면 가장자리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리브와,
    일측이 상기 리브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판의 중심축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의 가이드공을 관통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회동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조작피스톤이 진퇴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조작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공급밸브.
  6. 분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폐가능한 개폐뚜껑이 장착된 호퍼와;
    상기 개폐뚜껑의 중심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뭉침방지날개유닛이 장착되어 회전되는 교반축과;
    상기 개폐뚜껑의 중심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교반축을 회전시키는 교반모터와;
    상기 호퍼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호퍼 내의 상기 분체가 하방으로 배출되거나 배출제한되게 상기 호퍼의 하단을 개폐하며 진동이 발생되어 상기 분체의 뭉침 또는 고착을 방지하는 분체공급밸브와;
    상기 분체공급밸브의 하단과 결합되며 하부가 상부보다 직경이 좁게 형성되어 상기 분체공급밸브로부터 배출된 하부로 포집하여 하방으로 배출하는 분체 포집부와;
    상기 분체포집부에서 배출된 상기 분체를 일측 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이송스크류가 장착된 분체이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공급밸브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방에서 공급된 분체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분체이동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면에 접하며 상기 고정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다수의 상기 분체이동공을 개폐하는 다수의 개폐공이 형성되는 회동판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판과 연결되어 상기 회동판을 회전시키는 회동판구동유닛과, 상기 회동판의 하방에 위치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판과 상기 고정판에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회동판과 상기 고정판에 상기 분체가 뭉치거나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체 뭉침 및 고착방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분체 뭉침 및 고착방지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고정장착되며 진동이 발생되는 진동발생기와, 상기 진동발생기의 진동피스톤과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회동판의 하방에 위치되게 연장되어 상기 진동피스톤의 진동이 전달되는 진동전달바와, 상기 진동전달바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동판과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는 가이드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다수 개 형성되어 상기 진동피스톤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동판에 확산시키는 진동확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판은
    다수의 상기 가이드돌기가 관통되되 상기 가이드돌기에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호형곡률를 갖는 장공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회동제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공급밸브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확산부재는
    길이방향의 중심측이 상기 회동판의 중심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게 상기 진동전달바과 결합되며,
    다수의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진동확산부재의 중심에서 상기 진동확산부재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동일거리 이격되는 다수의 제1가이드돌기와, 상기 진동확산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의 상기 제1가이드돌기에 대해 상기 진동확산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로 동일거리 이격되는 다수의 제2가이드돌기를 구비하고,
    다수의 상기 회동제한공은
    상기 회동판의 중심측에서 지름방향 양측으로 동일간격 이격되어 상기 다수의 제1가이드돌기가 각각 관통되는 다수의 제1회동제한공과, 상기 회동판의 지름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의 상기 제1회동제한공에 대해 상기 회동판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로 동일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1회동제한공보다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다수의 제2회동제한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공급밸브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하부에 내경이 감소된 내경축소부가 형성되고,
    상기 뭉침방지날개유닛은
    상기 호퍼의 상부측을 관통하는 상기 교반축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각각 연장된 다수의 제1메인교반바와, 상기 제1메인교반바에서 상기 분체공급밸브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제1메인교반바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제2보조교반바를 갖는 제1뭉침방지날개부와;
    상기 제1뭉침방지날개부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의 상기 교반축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2메인교반바와, 상기 제2메인교반바에서 상기 분체공급밸브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내경축소부의 하단까지 연장된 제2보조교반바와, 상기 내경축소부의 하단에 대응되는 상기 교반축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메인교반바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제2보조교반바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제3메인교반바를 갖는 제2뭉침방지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공급밸브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제3메인교반바는
    상기 교반축과 함께 회전 시 상기 가이드돌기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부에 상방으로 인입되되 원주방향 양측이 개방된 다수의 간섭방지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공급밸브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
KR1020180113266A 2018-09-20 2018-09-20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 KR102113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266A KR102113821B1 (ko) 2018-09-20 2018-09-20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266A KR102113821B1 (ko) 2018-09-20 2018-09-20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680A KR20200033680A (ko) 2020-03-30
KR102113821B1 true KR102113821B1 (ko) 2020-05-21

Family

ID=7000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266A KR102113821B1 (ko) 2018-09-20 2018-09-20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8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4463A (zh) * 2020-07-17 2020-11-03 上海兴全电力技术有限公司 一种高效防止料斗物料架桥和黏壁装置
CN117228238A (zh) * 2023-09-28 2023-12-15 广东智子智能技术有限公司 螺旋给料机及粉料制造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403A (ko) 1994-08-06 1996-03-22 박문원 분체 공급 호퍼의 자동 투입장치
KR101219577B1 (ko) * 2010-05-07 2013-01-08 양형학 염액 조제용 분말조제 공급장치 및 그 공급장치를 구비한 염색기
KR20150075282A (ko) 2013-12-25 2015-07-03 주식회사 포스코 분체공급장치
KR101601689B1 (ko) * 2014-05-22 2016-03-09 한국기계연구원 과립 또는 미세분말의 정량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680A (ko) 2020-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821B1 (ko) 분체공급밸브와 이를 이용한 분체공급장치
CN208070868U (zh) 水泥仓的送料结构
KR20020079386A (ko) 교반 혼합 장치
US10376853B2 (en) Method of operating a batch mixer and batch mixer for performing the method
WO2012000381A1 (zh) 可调节落料的卸料斗装置及具有其的混凝土搅拌设备
CN105346876A (zh) 出料仓的防堵开关装置
KR100873658B1 (ko) 스크류피더를 이용한 고체원료의 정량공급시스템
CN207071367U (zh) 一种多角度混料搅拌机
CN209795880U (zh) 一种颗粒分装机
CN215074783U (zh) 一种高效的鱼塘自动喂鱼机
JP5307326B2 (ja) 輸送装置
CN209973310U (zh) 一种不积料的投料站
CN210544940U (zh) 用于砂浆的自动配料机
US4832554A (en) Apparatus for charging combustible materials
JPS58113036A (ja) 貯槽ホツパ−における粉、粒体の給送装置
CN215917187U (zh) 倾斜式强力混料机
CN201990197U (zh) 星型卸灰阀
KR101225386B1 (ko) 호퍼용 분말 분산장치
JP3009172U (ja) 給粉機
CN214765885U (zh) 一种湿式球磨机的投加装置
CN215665417U (zh) 一种运输轨道可靠的搅拌站自动上料系统
CN218087961U (zh) 一种新型卧式水泥罐
CN214926112U (zh) 一种塑料颗粒的暂存仓
CN214514116U (zh) 一种环保的石墨混料机
CN214082195U (zh) 一种塑胶粒生产用混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