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056B1 -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056B1
KR102113056B1 KR1020190076540A KR20190076540A KR102113056B1 KR 102113056 B1 KR102113056 B1 KR 102113056B1 KR 1020190076540 A KR1020190076540 A KR 1020190076540A KR 20190076540 A KR20190076540 A KR 20190076540A KR 102113056 B1 KR102113056 B1 KR 102113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eed
limestone
ocher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길
김현욱
김원석
Original Assignee
윤용길
김현욱
김원석
서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길, 김현욱, 김원석, 서호성 filed Critical 윤용길
Priority to KR1020190076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056B1/ko
Priority to PCT/KR2020/008104 priority patent/WO20202628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의 성분을 물에 녹여 정화수로 제조하여 가축의 일반사료에 혼합하여 혼합사료로 형성하여 가축에게 먹임으로서 가축의 배변 악취가 감소하게 되며,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의 유익성분만 추출하여 사료에 포함시키므로 가축의 체내에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가 축적되어 가축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일정량씩 분쇄기를 통해 설정 크기 이하의 가루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혼합조에 투입하고, 혼합조에 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혼합조에 투입된 석회석, 맥반석, 황토 및 물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다수회 교반시켜 혼합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교반이 완료되어 제조된 혼합수를 침전시키거나 혼합수에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용해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용해수를 가축의 사료와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료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사료 펠렛을 건조장치에서 일정시간 동안 설정되는 수분함량 이하로 건조시켜 혼합사료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f foul odor-remove feed on the bowels by means of macbite and yellow soil}
본 발명은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의 성분을 물에 녹여 정화수로 제조하여 가축의 일반사료에 혼합하여 혼합사료로 형성하여 가축에게 먹임으로서 가축의 배변 악취가 감소하게 되며,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의 유익성분만 추출하여 사료에 포함시키므로 가축의 체내에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가 축적되어 가축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고도화와 식생활의 변화로 각종 육류의 소비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육류의 소비증가는 곧 동물성 지방의 과다 섭취로 이어져 성인병의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콜레스테롤 등의 증가를 야기시킬 수 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콜레스테롤의 증가는 인체에 각종 혈관질환, 심장질환, 비만 등을 비롯하여 각종 성인병을 야기시키게 되어 정상적인 사회활동을 어렵게 한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성인병을 예방하고 보다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고자 하는 추세에 발맞추어 축산가에서는 사료에 한약재, 항생제, 바이오세라믹 조성물 등 다양한 첨가물을 투입하여 육류의 육질을 개선하고 저콜레스테롤의 육제품을 생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공급되는 가축의 사료들은 가축들을 살찌우는 작용을 하는 데는 그 효과가 뛰어나지만 소화흡수율이 크게 떨어짐과 동시에 항균력이 떨어지고 더불어 천연미네랄과 미생물 등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통상의 가축사료를 먹여 키운 가축은 육질과 맛이 크게 떨어짐과 동시에 콜레스테롤이 증가하게 되고, 배설물에서는 악취가 심하게 발생되게 되어 축산농가의 환경오염을 야기시키게 되며, 각종 유해 세균들에 의한 저항력, 즉 항균력이 절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많은 항균제를 남발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행하는 각종 조류독감이나 광우병 등등 현대 의학 및 수의학에서는 해결되지 않는 병에 쉽게 전염되어 모두 도살하거나 매립시켜야만 하는 경우도 다반사로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축산농가의 피해도 엄청나게 발생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1은 미강, 맥반석, 활성탄, 유박 및 어분을 발효액을 이용하여 숙성한 사료 첨가제를 기존 사료와 함께 가축에게 먹이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선행특허 2는 황토 및 맥반석을 포함하는 미생물 발효배지에서 얻은 발효산물을 가축의 사료첨가제로 사용하여 가축에 먹이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 1 및 2는 사료첨가제에 사용되는 맥반석 유익성분은 식제 광물가루를 사용하게 되는 구성이므로, 가축의 체내에서 축적되어 결석으로 형성되거나 체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1 :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6211호(2013.03.13.) 선행특허 2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4318호(2012.08.09.)
본 발명은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의 성분을 물에 녹여 정화수로 제조하여 가축의 일반사료에 혼합하여 혼합사료로 형성하여 가축에게 먹임으로서 가축의 배변 악취가 감소하게 되며,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의 유익성분만 추출하여 사료에 포함시키므로 가축의 체내에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가 축적되어 가축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은,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일정량씩 분쇄기를 통해 설정 크기 이하의 가루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혼합조에 투입하고, 혼합조에 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혼합조에 투입된 석회석, 맥반석, 황토 및 물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다수회 교반시켜 혼합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교반이 완료되어 제조된 혼합수를 침전시키거나 혼합수에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용해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용해수를 가축의 사료와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료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사료 펠렛을 건조장치에서 일정시간 동안 설정되는 수분함량 이하로 건조시켜 혼합사료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 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단계는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각각 4.5 ~ 5.5 Kg 을 150 메시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조에 물을 투입하는 단계는 상기 분쇄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혼합조에 투입하고, 물 65 ~ 75ℓ를 혼합조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수를 제조하는 단계는 혼합조에 투입된 석회석, 맥반석, 황토 및 물을 교반기를 통해 1 ~ 2시간 간격으로 3 ~ 5분 동안 교반하며, 20 ~ 30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료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는 용해수 55 ~ 65ℓ와 가축의 사료 115 ~ 125Kg을 혼합하여 사료 펠렛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의 성분을 물에 녹여 정화수로 제조하여 가축의 일반사료에 혼합하여 혼합사료로 형성하여 가축에게 먹임으로서 가축의 배변 악취가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의 유익성분만 추출하여 사료에 포함시키므로 가축의 체내에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가 축적되어 가축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일정량씩 분쇄기를 통해 설정 크기 이하의 가루로 분쇄하는 단계(S10); 상기 분쇄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혼합조에 투입하고, 혼합조에 물을 투입하는 단계(S20); 상기 혼합조에 투입된 석회석, 맥반석, 황토 및 물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다수회 교반시켜 혼합수를 제조하는 단계(S30); 상기 교반이 완료되어 제조된 혼합수를 침전시키거나 혼합수에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용해수를 형성하는 단계(S40); 상기 용해수를 가축의 사료와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료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S50) 및 상기 사료 펠렛을 건조장치에서 일정시간 동안 설정되는 수분함량 이하로 건조시켜 혼합사료로 제조하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 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단계는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각각 4.5 ~ 5.5 Kg 을 150 메시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조에 물을 투입하는 단계(S20)는 상기 분쇄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혼합조에 투입하고, 물 65 ~ 75ℓ를 혼합조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수를 제조하는 단계(S30)는 혼합조에 투입된 석회석, 맥반석, 황토 및 물을 교반기를 통해 1 ~ 2시간 간격으로 3 ~ 5분 동안 교반하며, 20 ~ 30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료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S50)는 용해수 55 ~ 65ℓ와 가축의 사료 115 ~ 125Kg을 혼합하여 사료 펠렛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일정량씩 분쇄기를 통해 설정 크기 이하의 가루로 분쇄하는 단계(S10), 분쇄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혼합조에 투입하고, 혼합조에 물을 투입하는 단계(S20), 혼합조에 투입된 석회석, 맥반석, 황토 및 물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다수회 교반시켜 혼합수를 제조하는 단계(S30), 교반이 완료되어 제조된 혼합수를 침전시키거나 혼합수에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용해수를 형성하는 단계(S40), 용해수를 가축의 사료와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료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S50) 및 사료 펠렛을 건조장치에서 일정시간 동안 설정되는 수분함량 이하로 건조시켜 혼합사료로 제조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 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단계는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각각 일정량 분쇄기에 투입하여 설정되는 크기 이하로 분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각각 4.5 ~ 5.5 Kg 을 150 메시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게 된다.
상기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설정 크기인 150 메시 이하로 분쇄하는 이유는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의 입자 크기가 클 경우 함유된 유익성분이 물에 쉽게 녹아 나오질 않을 수 있으므로, 최대한 고운 입자 크기로 분쇄하게 된다.
상기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150 메시 이상의 크기로 분쇄하게 되면 내부의 유익성분이 물에 녹아나오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혼합조에 물을 투입하는 단계(S20)는 설정 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단계를 통해 분쇄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혼합조에 투입하고, 식수로 사용되는 물을 일정량 혼합조에 투입한다.
이때, 상기 분쇄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혼합조에 투입하고, 물 65 ~ 75ℓ를 혼합조에 투입하게 된다.
상기 혼합조에 물을 투입하는 단계(S20)를 통해 석회석, 맥반석, 황토 및 물을 혼합수를 제조하는 단계(S30)를 통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다수회 교반시켜 혼합수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혼합조에 투입된 석회석, 맥반석, 황토 및 물을 교반기를 통해 1 ~ 2시간 간격으로 3 ~ 5분 동안 교반하며, 이를 20 ~ 30회 반복하여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의 유익성분이 물이 충분히 녹아 나오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혼합수를 제조하는 단계(S30)를 통해 교반되어 제조된 혼합수는 용해수를 형성하는 단계(S40)를 통해 혼합수 내의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침전시키거나 혼합수에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용해수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혼합수의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침전시킬 때에는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가 침전되어 혼합수가 맑은 상태의 용해수가 될 때 위쪽의 용해수만 따로 배출시켜 저장하게 된다.
상기 용해수를 형성하는 단계(S40)를 통해 형성된 용해수는 사료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S50)를 통해 사료와 혼합되고, 용해수와 사료가 혼합된 상태로 사료 펠렛으로 제조된다.
이때, 상기 사료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S50)는 용해수 55 ~ 65ℓ와 가축의 사료 115 ~ 125Kg을 혼합하여 펠렛화 장치에 투입하고, 이를 통해 사료 펠렛으로 제조된다.
상기 사료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S50)를 통해 용해수와 사료가 혼합되어 사료 펠렛으로 제조되면, 혼합사료로 제조하는 단계(S60)를 통해 사료 펠렛을 건조장치에서 일정시간 동안 설정되는 수분함량 이하로 건조시켜 혼합사료로 제조게 된다.
이때, 상기 건조장치에서 사료 펠렛을 건조시킬 때에는 사료 펠렛의 수분 함량이 10%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키며, 사료 펠렛이 탄화되지 않도록 50 ~ 70℃의 온도에서 20 ~ 60분 동안 가열하여 건조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혼합사료를 가축에게 섭취시킨뒤 배변의 악취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악취의 취기강도를 5단계로 구분하고, 암모니아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류 취기강도 1 2 3 4 5
암모니아 0.1 0.5 2 10 40
소 배변 6.5
돼지 배변 10.2
닭 배변 8.4
개 배변 7.5
악취강도 설명 희미하게 냄새를 감지 겨우 냄새를 감지 쉽게 냄새를 감지 강한 냄새 확인 매우 강한 악취 감지
상기 표 1의 취기 강도는 악취의 강도를 단계로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고, 이에 따라 암모니아를 기준으로 악취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악취의 수치를 나타낸 것이며, 악취 강도 설명은 각 취기 강도에 따른 사람이 맡을 수 있는 악취의 강도를 설명한 것이다.
이에 따라 소, 돼지, 닭 및 개의 배변 악취를 악취 측정기로 측정한 수치를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소, 돼지, 닭 및 개의 배변 악취는 먹이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변화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의 가축에게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되는 혼합사료를 먹인뒤 2일이 경과한 가축의 배변 악취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류 취기강도 1 2 3 4 5
암모니아 0.1 0.5 2 10 40
소 배변 5.7
돼지 배변 9.6
닭 배변 7.9
개 배변 6.9
악취강도 설명 희미하게 냄새를 감지 겨우 냄새를 감지 쉽게 냄새를 감지 강한 냄새 확인 매우 강한 악취 감지
이와 같이 배변의 악취가 조금씩 감소된것이 확인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혼합사료를 5일간 먹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류 취기강도 1 2 3 4 5
암모니아 0.1 0.5 2 10 40
소 배변 4.8
돼지 배변 8.4
닭 배변 6.6
개 배변 5.7
악취강도 설명 희미하게 냄새를 감지 겨우 냄새를 감지 쉽게 냄새를 감지 강한 냄새 확인 매우 강한 악취 감지
이와 같이 2일째의 배변 악취 강도보다 저감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료를 2주간 가축에게 먹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류 취기강도 1 2 3 4 5
암모니아 0.1 0.5 2 10 40
소 배변 1.1
돼지 배변 1.9
닭 배변 1.7
개 배변 1.4
악취강도 설명 희미하게 냄새를 감지 겨우 냄새를 감지 쉽게 냄새를 감지 강한 냄새 확인 매우 강한 악취 감지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사료를 일정 기간 먹인 결과 가축의 배변 악취가 거의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의 성분을 물에 녹여 정화수로 제조하여 가축의 일반사료에 혼합하여 혼합사료로 형성하여 가축에게 먹임으로서 가축의 배변 악취가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의 유익성분만 추출하여 사료에 포함시키므로 가축의 체내에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가 축적되어 가축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5)

  1.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일정량씩 분쇄기를 통해 설정 크기 이하의 가루로 분쇄하는 단계(S10);
    상기 분쇄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혼합조에 투입하고, 혼합조에 물을 투입하는 단계(S20);
    상기 혼합조에 투입된 석회석, 맥반석, 황토 및 물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다수회 교반시켜 혼합수를 제조하는 단계(S30);
    상기 교반이 완료되어 제조된 혼합수를 침전시키거나 혼합수에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용해수를 형성하는 단계(S40);
    상기 용해수를 가축의 사료와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료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S50) 및
    상기 사료 펠렛을 건조장치에서 일정시간 동안 설정되는 수분함량이 10%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키며, 사료 펠렛이 탄화되지 않도록 50 ~ 70℃의 온도에서 20 ~ 60분 동안 가열하여 건조시켜 혼합사료로 제조하는 단계(S60)를 포함하며,
    설정 크기 이하의 가루로 분쇄하는 단계(S10)는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각각 4.5 ~ 5.5 Kg 을 150 메시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여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입자의 유익성분이 물에 최대한 빠르게 녹아 나오게 하고,
    상기 혼합조에 물을 투입하는 단계(S20)는 상기 분쇄된 석회석, 맥반석 및 황토를 혼합조에 투입하고, 물 65 ~ 75ℓ를 혼합조에 투입하고,
    상기 혼합수를 제조하는 단계(S30)는 혼합조에 투입된 석회석, 맥반석, 황토 및 물을 혼합수가 맑은 상태의 용해수가 될 때 위쪽의 용해수만 따로 배출시켜 저장하는 교반기를 통해 1 ~ 2시간 간격으로 3 ~ 5분 동안 교반하며, 20 ~ 30회 반복하고,
    상기 사료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S50)는 용해수 55 ~ 65ℓ와 가축의 사료 115 ~ 125Kg을 혼합하여 사료 펠렛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76540A 2019-06-26 2019-06-26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 KR102113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540A KR102113056B1 (ko) 2019-06-26 2019-06-26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
PCT/KR2020/008104 WO2020262899A1 (ko) 2019-06-26 2020-06-23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540A KR102113056B1 (ko) 2019-06-26 2019-06-26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056B1 true KR102113056B1 (ko) 2020-05-20

Family

ID=7091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540A KR102113056B1 (ko) 2019-06-26 2019-06-26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3056B1 (ko)
WO (1) WO202026289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899A1 (ko) * 2019-06-26 2020-12-30 김원석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
KR102384011B1 (ko) * 2021-08-31 2022-04-11 김선희 분뇨의 악취 제거 및 영양 강화를 위한 복합 기능성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동물사료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동물사료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8473A (en) * 1990-07-16 1994-03-29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Hydrated lime clay composites for the removal of SOx from flue gas streams
US5334564A (en) * 1990-07-16 1994-08-02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highly reactive clay composites for the removal of SOx from flue gas streams
KR19990015948A (ko) * 1997-08-07 1999-03-05 유용숙 황토흙 사료
KR20010099114A (ko) * 2001-09-01 2001-11-09 김선욱 천연미네랄을 첨가한 닭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872155B1 (ko) * 2008-07-03 2008-12-09 (주)메덱스에프씨 유황 법제방법 및 이를 통해 유독성분이 제거된 법제유황
KR20100023379A (ko) * 2008-08-21 2010-03-04 허장환 법제유황을 이용한 단미사료 및 그 단미사료의 제조방법
KR101174318B1 (ko) 2009-07-17 2012-08-16 한국축산영농조합법인 황토 및 맥반석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6211A (ko) 2011-09-05 2013-03-13 김영호 천연 사료 첨가제
KR101705319B1 (ko) * 2016-06-03 2017-02-14 주식회사 에이엠바이오 천연광물로부터 추출한 유.무기 복합 이온미네랄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708595B1 (ko) * 2016-07-22 2017-02-22 조재복 다시마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KR20170065852A (ko) * 2015-12-04 2017-06-14 진태원 천연 미네랄복합체 성분이 함유된 고성능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056B1 (ko) * 2019-06-26 2020-05-20 윤용길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8473A (en) * 1990-07-16 1994-03-29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Hydrated lime clay composites for the removal of SOx from flue gas streams
US5334564A (en) * 1990-07-16 1994-08-02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highly reactive clay composites for the removal of SOx from flue gas streams
KR19990015948A (ko) * 1997-08-07 1999-03-05 유용숙 황토흙 사료
KR20010099114A (ko) * 2001-09-01 2001-11-09 김선욱 천연미네랄을 첨가한 닭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872155B1 (ko) * 2008-07-03 2008-12-09 (주)메덱스에프씨 유황 법제방법 및 이를 통해 유독성분이 제거된 법제유황
KR20100023379A (ko) * 2008-08-21 2010-03-04 허장환 법제유황을 이용한 단미사료 및 그 단미사료의 제조방법
KR101174318B1 (ko) 2009-07-17 2012-08-16 한국축산영농조합법인 황토 및 맥반석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6211A (ko) 2011-09-05 2013-03-13 김영호 천연 사료 첨가제
KR20170065852A (ko) * 2015-12-04 2017-06-14 진태원 천연 미네랄복합체 성분이 함유된 고성능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KR101705319B1 (ko) * 2016-06-03 2017-02-14 주식회사 에이엠바이오 천연광물로부터 추출한 유.무기 복합 이온미네랄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708595B1 (ko) * 2016-07-22 2017-02-22 조재복 다시마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899A1 (ko) * 2019-06-26 2020-12-30 김원석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
KR102384011B1 (ko) * 2021-08-31 2022-04-11 김선희 분뇨의 악취 제거 및 영양 강화를 위한 복합 기능성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동물사료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동물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62899A1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09803A (zh) 一种促消化乳猪饲料增味剂
KR102113056B1 (ko) 맥반석과 황토를 이용한 배변의 악취 제거 사료 제조방법
KR101809667B1 (ko) 천연 미네랄복합체 성분이 함유된 고성능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CA2566485C (en) Method and feed for reduction of the content of undesired nutrients in the water discharged from a fish farm
CN104886357B (zh) 一种用于畜禽的水溶性肉桂醛添加剂的制备方法
CN107259226A (zh) 一种富营养中草药小龙虾饲料及其制备方法
CN101785528B (zh) 一种杜仲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00023379A (ko) 법제유황을 이용한 단미사료 및 그 단미사료의 제조방법
CN105410406A (zh) 一种高效优质母猪饲料及其加工方法
CN106387421A (zh) 一种育肥猪用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JP6533508B2 (ja) 家畜飼料用添加物、家畜飼料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108576481A (zh) 一种蛋鸡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392915A (zh) 一种有机饲料
KR101920438B1 (ko)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 사료
KR20180044611A (ko) 가축의 면역력 증가 및 가축 분뇨 냄새 저감제 그 제조 방법
KR20040074652A (ko) 종합 가축 케어 시스템
KR20090046760A (ko) 무항생제 한방 양계 사료
CN108783108A (zh) 一种提高黄颡鱼抗病能力的饲料
CN107712405A (zh) 一种防治鸡大肠杆菌病的饲料
KR101402360B1 (ko) 소분뇨를 이용한 가금류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20090045893A (ko) 무항생제 한방 양계 사료
JPH0440858A (ja) 飼料添加物の製造方法
CN111000039A (zh) 一种麦饭石生物鸡饲料添加剂
CN112075531A (zh) 微生物水产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9980023834A (ko) 맥반석을 이용한 비육우용 사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