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014B1 - 스티어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014B1
KR102113014B1 KR1020180008010A KR20180008010A KR102113014B1 KR 102113014 B1 KR102113014 B1 KR 102113014B1 KR 1020180008010 A KR1020180008010 A KR 1020180008010A KR 20180008010 A KR20180008010 A KR 20180008010A KR 102113014 B1 KR102113014 B1 KR 102113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mounting
tele
stopper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474A (ko
Inventor
홍성종
김영삼
김진우
엄혜원
Original Assignee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8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0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너 튜브가 안착된 튜브 하우징과 결합되는 틸트텔레 마운팅;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과 결합되고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조작 레버; 상기 조작 레버의 힌지 결합부와 결합되고 반대 측은 틸트텔레 마운팅을 관통하여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틸트 축; 상기 틸트 축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회전작동시 연동작동하여 틸트텔레 마운팅 작동범위를 제한하면서 가압력의 크기도 변화시키는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시스템는 텔레 기어와 스토퍼를 분리구성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추가 공간 없이 메인 하우징의 잉여공간을 활용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시스템{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스티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텔레 기어와 스토퍼를 분리구성하여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충격에 대한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스티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시스템(steering system)은 운전자가 발생시킨 회전력을 차량의 바퀴에 전달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바꾼다.
그리고 상기 스티어링 시스템은 운전석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과, 이 스티어링 휠에 연결되는 스티어링 샤프트(steering shaft)와,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은 가변 스티어링 휠의 일종으로서, 스티어링휠 각도를 가변시켜 운전자의 체격 및 운전자의 자세에 맞도록 하는 틸트(Tilt) 기능이나. 스티어링 샤프트를 2중으로 하여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쪽으로 당기거나 밀 수 있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틸트기능과 텔레스코픽 기능이 개별 작동 방식으로 별개 구동되었으나 작동상 번거로움이 있어 일체 구동 방식으로 대체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일체 구동 방식으로 구현할 경우에는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는 한편, 조작 레버의 길이방향 이동이 허용되지 않음에 따라, 틸트 및 텔레스코픽 조작을 위한 조작 레버의 동선을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고, 계기판 하부의 패널의 설계시 많은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텔레 스토퍼는 리벳으로 고정된 텔레 기어에 고무 뎀퍼를 조립하여 사용됨으로써, 리벳으로 고정된 텔레 기어는 텔레 작동시 충격에 의한 고정력 손실로 유격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텔레 기어는 충격시 파손 이탈 가능하게 리벳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제작됨으로써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80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002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텔레 기어와 스토퍼를 분리구성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추가 공간 없이 메인 하우징의 잉여공간을 활용하므로 기존의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는 스티어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시스템은 이너 튜브가 안착된 튜브 하우징과 결합되는 틸트텔레 마운팅;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과 결합되고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조작 레버; 상기 조작 레버의 힌지 결합부와 결합되고 반대 측은 틸트텔레 마운팅을 관통하여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틸트 축; 상기 틸트 축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회전작동시 연동작동하여 틸트텔레 마운팅 작동범위를 제한하면서 가압력의 크기도 변화시키는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조작 레버의 힌지 결합부에 고정되고 상기 틸트 축이 관통하는 기어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는 가동 기어; 상기 틸트 축과 가동 기어의 일부가 관통하는 작동 결합부가 일 단에 형성되고, 타 단의 내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스토퍼 작동부가 형성되는 가압 작동구;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에 장착되고, 중앙에는 틸트 축이 관통하는 기어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 기어와 치합되는 고정 기어; 상기 튜브 하우징에 장착되는 멈춤 고정구; 및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멈춤 고정구의 작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 작동구의 스토퍼 작동부는 내면을 따라 형성되고, 일단에 형성되는 레버 잠김부가 타단에 형성되는 레버 해체부보다 높게 형성되고 사이에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는 멈춤 고정구에는 완충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로드, 상기 로드의 끝단에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끝단에 형성되고 스토퍼 작동부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돌기와 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되는 핀; 및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에 형성되는 핀 가이드 공의 걸림턱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지지판에 지지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시스템는 텔레 기어와 스토퍼를 분리구성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추가 공간 없이 메인 하우징의 잉여공간을 활용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시스템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조절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시스템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조절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인 스티어링 시스템(10)은 틸트텔레 마운팅(20), 이너 튜브(32)가 안착된 튜브 하우징(34), 조작 레버(40), 틸트 축(50), 조절수단(60)을 포함한다.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20)은 이너 튜브(32)가 안착된 튜브 하우징(34)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20)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는 튜브 하우징(34)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운팅 장착공간(22)이 형성되고,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20)의 하부 및 양측에는 다단 절곡에는 다단 절곡형성되는 마운팅 브라켓(22)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20)은 차량의 일 측으로 이너 튜브(32)가 안착된 튜브 하우징(34)을 원활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직교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22)은 조작 레버(40)와 조절수단(60)의 작동시 가압력을 이용하여 이너 튜브(32)와 튜브 하우징(34)을 잠금 해제하거나 또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조작 레버(40)는 틸트텔레 마운팅(20)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40)는 스티어링 시스템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손으로 잡고 내리거나 올려 줄 수 있는 레버 몸체(42)와 상기 레버 몸체(42)의 끝단에 형성되는 힌지 결합부(4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 결합부(44)는 레버 몸체(42)에 대해 90° 각도로 절곡되어 조절수단(60)과 결합된다.
상기 틸트 축(5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 측이 상기 조작 레버(40)의 힌지 결합부(44)에 결합되고 반대 측은 틸트텔레 마운팅(20)을 관통하여 체결구를 통해 고정된다.
즉, 상기 틸트 축(50)의 소정의 지름과 길이를 가지며, 일 측 끝단이 조작 레버(40)에 결합하고, 반대 측은 틸트텔레 마운팅(20)을 관통하여, 체결구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작 레버(40)의 작동에 따라 조절수단(60)은 직선운동하게 된다.
상기 조절수단(60)은 틸트텔레 마우팅(20)과 조작 레버(40)의 사이에 위치한 틸트 축(50)에 장착된다.
즉, 상기 조절수단(60)은 조작 레버(40)의 회전작동시 연동작동하여 틸트텔레 마운팅(20)의 작동범위를 제한하면서 가압력의 크기도 변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수단(60)은 상기 조작 레버(40)의 힌지 결합부(44)에 고정되고 상기 틸트 축(50)이 관통하는 기어 관통공(61a)이 중앙에 형성되는 가동 기어(61), 상기 틸트 축(50)과 가동 기어(61)의 일부가 관통하는 작동 결합부(62a)가 일 단에 형성되고 타 단의 내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스토퍼 작동부(62b)가 형성되는 가압 작동구(62),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20)에 장착되고 중앙에는 틸트 축(50)이 관통하는 기어 관통공(63a)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 기어(61)와 치합되는 고정 기어(63), 상기 튜브 하우징(34)에 장착되는 멈춤 고정구(64) 및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20)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레버(40)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멈춤 고정구(64)의 작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6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조절수단(60)은 조작 레버(40)의 힌지 결합부(44)와 틸트텔레 마운팅(20)에 가동 기어(61)와 고정 기어(63)를 각각 장착하여 상기 조작 레버(60)의 작동시 틸트텔레 마운팅(20)의 가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동 기어(61)와 고정 기어(63)의 사이에 가압 작동구(62)를 장착하여, 상기 조작 레버(60)의 작동시 가동 기어(61)는 작동 결합부(62a)를 회전작동시키고, 상기 작동 결합부(62a)는 스토퍼 작동부(62b)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토퍼(65)를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작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가압 작동구(62)는 조작 레버(60)의 회전 작동시 작동 결합부(62a)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스토퍼 작동부(62b)를 이용하여 스토퍼(65)에 전달하고, 상기 스토퍼(65)의 전달부는 전진작동하여 상기 튜브 하우징(34)에 고정되는 멈춤 고정구(64)의 작동을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65)를 수직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가압 작동구(62)의 스토퍼 작동부(62b)는 내면을 따라 형성되고, 일단에 형성되는 레버 잠김부(62b-1)가 타단에 형성되는 레버 해체부(62b-2)보다 높게 형성되고 사이에는 경사부(62b-3)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압 작동구(62)는 조작 레버(40)의 회전작동시 높낮이가 다른 스토퍼 작동부(62b)를 통해 스토퍼(65)를 전진 또는 후진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멈춤 고정구(64)는 상기 스토퍼(65)와 접촉하는 부분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완충부재(64a)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즉, 상기 멈춤 고정구(64)는 내측 방향으로 완충부재(64a)를 장착하여, 상기 스토퍼(65)와 접촉시 충격을 완충하면서도 손상시 해당되는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65)는 로드(65a-1), 상기 로드(65a-1)의 끝단에 형성되는 지지판(65a-2), 상기 지지판(65a-2)의 끝단에 형성되고 스토퍼 작동부(65b)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65a-3) 및 상기 가이드 돌기(65a-3)와 지지판(65a-2)의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턱(65a-4)이 일체로 형성되는 핀(65a) 및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20)에 형성되는 핀 가이드 공(26)의 걸림턱(26a)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지지판(65a-2)에 지지되는 스프링(65b)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스토퍼(65)의 가이드 돌기(65a-3)는 조작 레버(40)의 작동(조작 레버의 해제)시 스토퍼 작동부(62b)를 구성하는 레버 잠김부(62b-1)와 경사부(62b-3) 및 레버 해체부(62b-2)의 높이에 따라 틸트텔레 마운팅(20)의 마운팅 장착공간(22)에 삽입되면서 측면 부분이 멈춤 고정구(64)의 작동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걸림턱(65a-4)은 스토퍼 작동부(62b)를 구성하는 하부 테두리(62b-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65b)은 지지판(65a-2)과 걸림턱(65a-4)에 지지되어 압축하고, 상기 스토퍼(65)의 가이드 돌기(65a-3)는 8 ~ 12mm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스토퍼(65)의 가이드 돌기(65a-3)는 조작 레버(40)의 작동(조작 레버의 잠김)시 스토퍼 작동부(62b)를 구성하는 레버 해체부(62b-2)와 경사부(62b-3) 및 레버 잠김부(62b-1)의 높이에 따라 틸트텔레 마운팅(20)의 마운팅 장착공간(22)에서 배출되면서 멈춤 고정구(64)와 분리되고, 상기 걸림턱(65a-4)은 스토퍼 작동부(62b)를 구성하는 하부 테두리(62b-4)를 따라 원상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65b)은 지지판(65a-2)과 걸림턱(65a-4)에 지지되지만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65)는 종래의 스토퍼와 상이하게 텔레 기어를 구성하는 고정 기어(63)와 분리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충격에 대한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티어링 시스템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는 마운팅 장착공간(22)이 형성되는 틸트텔레 마운팅(20)을 형성한 후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20)의 하부 및 양측으로 다단 절곡형성되는 마운팅 브라켓(22)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20)의 마운팅 장착공간(22)으로 이너 튜브(32)가 안착된 튜브 하우징(34)을 직교되게 설치한 후,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20)의 일 측으로 스티어링 시스템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손으로 잡고 내리거나 올려 줄 수 있는 레버 몸체(42)와 상기 레버 몸체(42)의 끝단에 형성되는 힌지 결합부(44)로 구성되는 조작 레버(40)를 배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조작 레버(40)와 틸트텔레 마운팅(20)에 상기 조작 레버(40)의 힌지 결합부(44)에 고정되고 상기 틸트 축(50)이 관통하는 기어 관통공(61a)이 중앙에 형성되는 가동 기어(61), 상기 틸트 축(50)과 가동 기어(61)의 일부가 관통하는 작동 결합부(62a)가 일 단에 형성되고 타 단의 내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스토퍼 작동부(62b)가 형성되는 가압 작동구(62),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20)에 장착되고 중앙에는 틸트 축(50)이 관통하는 기어 관통공(63a)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 기어(61)와 치합되는 고정 기어(63), 상기 튜브 하우징(34)에 장착되는 멈춤 고정구(64) 및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20)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레버(40)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멈춤 고정구(64)의 작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65)를 포함하는 조절수단(6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수단(60)이 배치되는 부분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 측이 상기 조작 레버(40)의 힌지 결합부(44)에 결합되고 반대 측은 틸트텔레 마운팅(20)을 관통하여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틸트 축(50)을 장착하면, 스티어링 시스템(10)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 시스템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스티어링 시스템(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조작 레버(40)의 작동(조작 레버의 해제)시키면, 상기 스토퍼(65)의 가이드 돌기(65a-3)는 스토퍼 작동부(62b)를 구성하는 레버 잠김부(62b-1)와 경사부(62b-3) 및 레버 해체부(62b-2)의 높이에 따라 틸트텔레 마운팅(20)의 마운팅 장착공간(22)에 삽입되면서 측면 부분이 멈춤 고정구(64)의 작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조작 레버(40)를 작동(조작 레버의 잠김)시키면, 상기 스토퍼(65)의 가이드 돌기(65a-3)는 스토퍼 작동부(62b)를 구성하는 레버 해체부(62b-2)와 경사부(62b-3) 및 레버 잠김부(62b-1)의 높이에 따라 틸트텔레 마운팅(20)의 마운팅 장착공간(22)에서 배출되면서 멈춤 고정구(64)와 분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스티어링 시스템 20 : 틸트텔레 마운팅
22 : 마운팅 장착공간 24 : 마운팅 브라켓
32 : 이너 튜브 34 : 튜브 하우징
40 : 조작 레버 42 : 레버 몸체
44 : 힌지 결합부 50 : 틸트 축
60 : 조절수단 61 : 가동 기어
61a : 기어 관통공 62 : 가압 작동구
62a : 작동 결합부 62b : 스토퍼 작동부
63 : 고정 기어 63a : 기어 관통공
64 : 멈춤 고정구 65 : 스토퍼

Claims (5)

  1. 이너 튜브가 안착된 튜브 하우징과 결합되는 틸트텔레 마운팅;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과 결합되고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조작 레버;
    상기 조작 레버의 힌지 결합부와 결합되고 반대 측은 틸트텔레 마운팅을 관통하여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틸트 축;
    상기 틸트 축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회전작동과 연동작동하여 상기 튜브하우징의 틸트 및 텔레 작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을 가압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조작 레버의 힌지 결합부에 고정되고 상기 틸트 축이 관통하는 기어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는 가동 기어;
    상기 틸트 축과 가동 기어의 일부가 관통하는 작동 결합부가 일 단에 형성되고, 타 단의 내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스토퍼 작동부가 형성되는 가압 작동구;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에 장착되고, 중앙에는 틸트 축이 관통하는 기어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 기어와 치합되는 고정 기어;
    상기 튜브 하우징에 장착되는 멈춤 고정구; 및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멈춤 고정구의 작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작동구의 스토퍼 작동부는 내면을 따라 형성되고, 일단에 형성되는 레버 잠김부가 타단에 형성되는 레버 해체부보다 높게 형성되고 사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는 멈춤 고정구에는 완충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시스템.
  5. 이너 튜브가 안착된 튜브 하우징과 결합되는 틸트텔레 마운팅;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과 결합되고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조작 레버;
    상기 조작 레버의 힌지 결합부와 결합되고 반대 측은 틸트텔레 마운팅을 관통하여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틸트 축;
    상기 틸트 축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회전작동과 연동작동하여 상기 튜브하우징의 틸트 및 텔레 작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을 가압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조작 레버의 힌지 결합부에 고정되고 상기 틸트 축이 관통하는 기어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는 가동 기어;
    상기 틸트 축과 가동 기어의 일부가 관통하는 작동 결합부가 일 단에 형성되고, 타 단의 내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스토퍼 작동부가 형성되는 가압 작동구;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에 장착되고, 중앙에는 틸트 축이 관통하는 기어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 기어와 치합되는 고정 기어;
    상기 튜브 하우징에 장착되는 멈춤 고정구; 및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작동시 연동작동하여 멈춤 고정구의 작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로드, 상기 로드의 끝단에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끝단에 형성되고 경사부에 접촉하는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돌기와 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되는 핀; 및
    상기 틸트텔레 마운팅에 형성되는 핀 가이드 공의 걸림턱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지지판에 지지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시스템.
KR1020180008010A 2018-01-23 2018-01-23 스티어링 시스템 KR102113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010A KR102113014B1 (ko) 2018-01-23 2018-01-23 스티어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010A KR102113014B1 (ko) 2018-01-23 2018-01-23 스티어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74A KR20190089474A (ko) 2019-07-31
KR102113014B1 true KR102113014B1 (ko) 2020-05-21

Family

ID=6747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010A KR102113014B1 (ko) 2018-01-23 2018-01-23 스티어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01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4393A (ja) 2001-01-11 2002-09-25 Fuji Kiko Co Ltd チルト・テレスコピック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06096180A (ja) 2004-09-29 2006-04-13 Nsk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1148487A (ja) 2009-12-24 2011-08-04 Jtekt Corp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624833B1 (ko) 2015-02-13 2016-05-2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1720314B1 (ko) 2015-09-22 2017-03-27 남양공업주식회사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의 구동장치
JP2017226280A (ja) * 2016-06-21 2017-12-28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8008671A (ja) 2016-07-05 2018-01-1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027B1 (ko) 2005-10-28 2007-05-18 남양공업주식회사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구동장치
KR101247041B1 (ko) 2008-10-30 2013-03-25 주식회사 만도 스토퍼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픽 조향장치
KR20130106509A (ko) * 2012-03-20 2013-09-30 주식회사 만도 캠 어셈블리
KR101604020B1 (ko) * 2014-08-29 2016-03-17 남양공업주식회사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4393A (ja) 2001-01-11 2002-09-25 Fuji Kiko Co Ltd チルト・テレスコピック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06096180A (ja) 2004-09-29 2006-04-13 Nsk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1148487A (ja) 2009-12-24 2011-08-04 Jtekt Corp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624833B1 (ko) 2015-02-13 2016-05-2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1720314B1 (ko) 2015-09-22 2017-03-27 남양공업주식회사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의 구동장치
JP2017226280A (ja) * 2016-06-21 2017-12-28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8008671A (ja) 2016-07-05 2018-01-1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74A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3741B2 (ja) コラプシブルステアリングコラムアセンブリ
JP5070795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位置調節装置
US10919562B2 (en) Steering assembly with positive lock and energy absorption and pyrotechnic actuator
CN100588569C (zh) 用于机动车辆的儿童保护系统
US9283984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EP2361816B1 (en) Steering column device
US20060086553A1 (en) Electric vehicle with partitionable structure
EP2700561A2 (en) Steering device
US10967898B2 (en) Motor-adjustable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JP2017520460A (ja) チルト調節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組立体およびラッシュに抵抗する組立て方法
CN109641610B (zh) 转向柱组件
CN108238091A (zh) 转向装置
US20100164272A1 (en) Vehicle seat
KR20180022289A (ko)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의 텔레스코픽 래치 장치
JP2012011837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4124021B2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19505439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アセンブリのための案内及び制限ユニットサブアセンブリ
US8550224B2 (en) Energy absorption system
KR102113014B1 (ko) 스티어링 시스템
KR101412191B1 (ko)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 록킹 구조
CN112429073B (zh) 一种转向管柱组件
CN111712424A (zh) 带调节限位止动件的驾驶杆
CN107489762B (zh) 换挡手柄总成和车辆
EP2409881B1 (en)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KR20160124389A (ko) 스티어링 컬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