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957B1 - 브래킷 기구 - Google Patents

브래킷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957B1
KR102112957B1 KR1020190106400A KR20190106400A KR102112957B1 KR 102112957 B1 KR102112957 B1 KR 102112957B1 KR 1020190106400 A KR1020190106400 A KR 1020190106400A KR 20190106400 A KR20190106400 A KR 20190106400A KR 102112957 B1 KR102112957 B1 KR 102112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xing
bracket mechanism
bent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용
Original Assignee
박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용 filed Critical 박선용
Priority to KR1020190106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957B1/ko
Priority to KR1020200056207A priority patent/KR102350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연결되는 부재에 의해 편향된 힘을 받지 않고, 지지력이 약한 연결부의 두께방향으로 큰 지지력을 제공하는 브래킷 기구가 개시된다. 상기 브래킷 기구는 두께면을 전후로 향하도록 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서 왼쪽으로 꺾인 제1고정부와 및 오른쪽으로 꺾인 제2고정부를 가지는 제1브래킷 및 두께면을 전후로 향하도록 하여 좌우로 배치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서 위쪽으로 꺾인 제3고정부와 아래쪽으로 꺾인 제4고정부를 가지는 제2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나머지 하나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브래킷 기구{Bracket device}
본 발명은 기둥이나 벽면 또는 소정 부재의 표면에 설치하여 다른 부재를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브래킷 기구에 대한 것으로, 특히 여러 방향에서 오는 여러 개의 부재들을 연결해서 지지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는 각종 구조물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브래킷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래킷은 두 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거나 필요한 부재에 설치하여 다른 부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용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져 사용된다.
한편, 각종 제품의 온라인 구매 증가로 인해 물류가 급격이 증가하고 있고, 또한, 구매한 물품을 신속하게 받아보기를 원하는 소비자가 증가함에 따라 물류의 중요성도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물품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고 적시에 필요한 곳으로 운송 또는 배송하기 위한 물류 자동화 창고가 많이 만들어지고 있다.
자동화 창고는 자동화 설비로 제품의 입고와 출고를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작은 공간에 가능한 한 많은 물품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필요한 제품을 신속하게 찾아서 반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이러한 자동화 창고는 통상 랙(rack) 형식으로 구성되며, 제품의 적치 공간을 좌우에 배치하고, 전후 및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한 적치/하역 수단을 이용하여 제품을 정해진 위치에 적치하거나 적치되어 있는 제품을 반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랙에는 많은 물품이 다단으로 적치되므로 랙을 구성하는 기둥과 보에 좌굴이나 처짐 또는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강재를 통해 각 부재들을 여러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보강하여 주어야 하는데, 보강재 연결을 위해 기둥이나 보에 보강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브래킷이 설치된다.
통상 브래킷은 판상의 부재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한 것을 "ㄴ"자 또는 "ㄷ"자 등의 형태로 밴딩(bending)하여 만드는데, 다른 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돌출되는 부분이 기둥 등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되므로 브래킷에는 고정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연결부재를 편향되게 지지함으로써 브래킷의 지지력이 저하되고, 브래킷 지지력의 좌우균형이 맞지 않아서 랙 등 구조물의 강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벤딩되어 돌출된 부분은 그 두께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지지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 중 일부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한 것으로, 슬라이딩 레일이 설치된 평판상의 받침대에 "ㄱ"형 브래킷을 결합하도록 한 것이 특허 등록번호 10-0899787호(발명의 명칭: 고정 브래킷, 발명자: 김정연)의 등록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김정연 발명은 돌출된 부분의 두께방향 지지력이 약한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고, 받침대와 "ㄱ"형 브래킷의 연결부위의 강도가 약할 뿐만 아니라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오는 부재들을 연결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 또는 좌우로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많이 편향되지 않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브래킷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른 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돌출된 부분의 두께방향 지지력을 향상시킨 브래킷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 하 연결부재와 좌, 우 연결부재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동일선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브래킷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부재를 큰 힘으로 지지하여줄 수 있는 브래킷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에서 돌출되는 연결부가 +자형으로 교차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해주는 브래킷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의 중앙부를 따라 연결부가 +자형으로 교차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해주는 브래킷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차가 형성된 부재의 표면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브래킷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상하 양측의 연결부 또는 좌우 양측의 연결부를 필요한 만큼 서로 어긋나게 형성하기가 용이한 브래킷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는 두께면을 전후로 향하도록 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서 왼쪽으로 꺾인 제1고정부와 및 오른쪽으로 꺾인 제2고정부를 가지는 제1브래킷; 및 두께면을 전후로 향하도록 하여 좌우로 배치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서 위쪽으로 꺾인 제3고정부와 아래쪽으로 꺾인 제4고정부를 가지는 제2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나머지 하나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 내지 제4고정부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는 구성을 한다.
상기 결합부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가 서로 교차하며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둘 모두에 전후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연결부에는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상하 또는 좌우에 연결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부에는 적어도 하나씩의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부는 평판으로 되거나 원호형으로 밴딩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때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 또는 상기 제2연결부는 양단 사이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꺾인 중간 꺾임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는 연결되는 부재에 의해 편향된 힘을 받지 않고, 큰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 하 연결부재와 좌, 우 연결부재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동일선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은 물론이고, 다른 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돌출되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지지력이 약한 두께방향으로 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께방향의 지지력을 향상시킨 브래킷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에서 돌출되는 연결부가 고정부의 중앙부를 따라서 +자형으로 교차되게 형성될 수 있어서 큰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고, 필요 시 단차가 형성된 부재의 표면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브래킷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브래킷 기구가 설치되는 표면에 돌출부가 있는 경우, 돌출부를 피해서 고정할 수 있는 브래킷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 브래킷 기구를 저면쪽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 브래킷 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 브래킷 기구의 저면쪽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도 1 브래킷 기구가 설치된 랙 및 랙의 기둥에 설치된 브래킷 기구에 연결부재가 연결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b 브래킷 기구에 연결부재에 연결된 상태를 오른쪽 측면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브래킷 기구를 저면쪽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브래킷 기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 브래킷 기구의 저면쪽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100)는 제1브래킷(110)과 제2브래킷(130)이 결합부(102)를 통해 서로 결합된 구성을 하고 있다.
제1브래킷(110)은 두께면을 전후로 향하도록 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제1연결부(111)를 가진다.
제1연결부(111)의 상하 양단 사이에는 홈(102c)이 형성되고, 홈(102c)에는 제2브래킷(130)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부(102)를 구성하는 슬롯(102a)이 형성된다. 홈(102c)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뒤에서 설명되는 제3, 제4고정부(135, 137)에 연결되는 부재가 경사지게 연결될 필요가 있을 때 그 회전각도 범위를 제한하지 않도록 해준다. 이 실시 예에서, 제1연결부(111)에 형성되는 슬롯(102a)은 제1연결부(111)의 뒤쪽 일부를 남겨두고 홈(102c)의 바닥면에서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때에 따라, 결합부(102)는 슬롯(102c) 대신 상하로 넓은 홈으로 형성하되, 뒤에서 설명되는 제2연결부(131)의 저면을 받쳐줄 수 있는 턱부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111)에는 결합부(102)를 기준으로 결합부(102) 상측과 하측에 다른 부재를 바람직하게,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부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공(1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제1연결부(111)에는 제1연결부(111) 후단에서 왼쪽으로 꺾인 제1고정부(115)와 제1연결부(111) 후단에서 오른쪽으로 꺾인 제2고정부(117)를 가진다. 이 실시 예에서, 제1고정부(115)는 제1연결부(111) 후단의 상반부에서 왼쪽으로 꺾이고, 제2고정부(117)는 제1연결부(111) 후단의 하반부에서 오른쪽으로 꺾인 것을 예시하고 있다.
때에 따라, 제1고정부(115)는 제1연결부(111) 후단의 하반부에서 왼쪽으로 꺾이도록 형성되고, 제2고정부(117)는 제1연결부(111) 후단의 상반부에서 오른쪽으로 꺾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뒤에서 설명되는 제2브래킷(130)의 제3, 제4고정부(135, 137)의 꺾임방향도 바뀌어야 한다.
위와 같은 제1고정부(115)와 제2고정부(117)에는 바람직하게, 볼트나 리벳 등의 고정수단(150)을 이용하여 랙의 기둥 등 필요한 부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공(119)이 형성된다. 때에 따라 고정수단(150)으로는 용접이 이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체결공(119)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2브래킷(130) 등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제2브래킷(130)은 두께면을 전후로 향하도록 하여 좌우로 배치되는 제2연결부(131)와, 제2연결부(131)에서 위쪽으로 꺾인 제3고정부(135) 및 아래쪽으로 꺾인 제4고정부(137)를 가진다.
제2연결부(131)에는 제1브래킷(110)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부(102)를 구성하는 슬롯(102b)이 형성된다. 이 슬롯(102b)은 제2연결부(131)의 앞쪽 일부를 남겨두고 제2연결부(131)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연결부(131)에는 슬롯(102b)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다른 부재를, 바람직하게 좌우로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부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공(1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고정부(135)와 제4고정부(137)에는 바람직하게, 볼트나 리벳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랙의 기둥 등 필요한 부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공(139)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3고정부(135)와 제4고정부(137) 역시 제1브래킷(110)의 형상에 따라 그 위치를 서로 바꾸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브래킷(110)과 제2브래킷(130)은 제1연결부(111)에 형성된 슬롯(102a)과 제2연결부(131)에 형성된 슬롯(102b)을 통해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연결부(111)와 제2연결부(131)가 서로 교차하며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100)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로 랙의 기둥 등에 고정된다. 제1연결부(111)와 제2연결부(131)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제1연결부(111)와 제2연결부(131)는 강도가 약한 방향으로 서로 지지하여주어 연결되는 부재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연결부(111)는 상하방향으로는 지지강도가 매우 커지만, 좌우방향(두께방향)으로는 지지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다. 하지만, 슬롯(102b)을 통해 제1연결부(111)에 결합되며 좌우방향으로 지지강도가 큰 제2연결부(131)가 제1연결부(111)의 좌우방향 양 측면(좌측면, 우측면)을 받쳐주므로 제1연결부(111)의 좌우방향 지지력이 증가된다.
마찬가지로, 제2연결부(131)는 좌우방향으로는 지지강도가 매우 커지만, 상하방향(두께방향)으로는 지지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다. 하지만, 슬롯(102a)을 통해 제2연결부(131)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지지강도가 큰 제1연결부(111)가 제2연결부(131)의 상하방향 양 측면(상면, 하면)을 받쳐주므로 제2연결부(131)의 상하방향 지지력이 증가된다. 물론, 제1연결부(111)와 제2연결부(131)가 반드시 서로 지지하도록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때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큰 지지력이 필요치 않은 쪽으로는 제1연결부(111)와 제2연결부(131)가 결합부(102)에서 서로 떨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슬롯(102a, 102b)의 결합 깊이를 조정함으로써 제1, 제2고정부(115, 117)가 결합되는 표면과 제3, 제4고정부(135, 137)가 결합되는 표면에 단차가 진 부분에 고정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고정부(115, 117, 135, 137) 중 일부를 단차지게 고정하는 경우, 더 큰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는 도 1 브래킷 기구가 설치된 랙 및 랙의 기둥에 설치된 브래킷 기구에 연결부재가 연결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b 브래킷 기구에 연결부재에 연결된 상태를 오른쪽 측면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이다.
자동 물류창고 등에 설치되는 도 5a에 나타낸 랙(R)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C), 브래킷들을 통해 좌우로 이웃하는 기둥(C)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필요한 물품을 적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복수의 보(B), 기둥(C)과 기둥(C) 또는 보(B)를 대각선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랙(R)의 구조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복수의 연결부재(10, 20, 30, 40) 및 기둥(C)에 설치되어 복수의 연결부재(10, 20, 30, 40)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랙(R)에서,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100)의 설치상태는 도 5b 및 도 6에 더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100)의 설치과정과 복수의 연결부재(10, 20, 30, 40)의 연결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B)를 지지하는 기둥(C) 등의 표면에 제1브래킷(110)의 제1고정부(115)와 제2고정부(117)를 정위치 시킨 상태로 체결공(119)을 통해 볼트나 리벳 등의 고정수단(150)을 사용하여 제1고정부(115)와 제2고정부(117)를 기둥(C) 등에 고정한다. 그런 다음 제1연결부(111)의 슬롯(102a)과 제2연결부(131)의 슬롯(102b)을 통해 제2브래킷(130)의 제2연결부(131)를 제1브래킷(110)의 제1연결부(111)에 교차되게 결합하여, 제3고정부(135)와 제4고정부(137)가 기둥(C) 등의 표면에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3고정부(135)와 제4고정부(137)에 형성된 체결공(139)을 통해 볼트나 리벳 등의 고정구(150)를 사용하여 제3고정부(135)와 제4고정부(137)를 기둥(C) 등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기둥(C) 등의 표면에는 제1연결부(111)와 제2연결부(131)가 +자형으로 교차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100)를 기둥(C)에 고정한 다음 볼트나 리벳, 용접 등의 고정수단(150)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볼트나 리벳을 이용하여 결합부(102) 위쪽의 제1연결부(111)에는 연결공(113)을 통해 상방으로 배치되는 연결부재(10)를 연결하고, 결합부(102) 아래쪽의 제1연결부(113)에는 하방으로 배치되는 연결부재(20)를 연결한다. 상, 하 두 연결부재(10, 20)는 제1연결부(111)의 같은 측면에 연결될 수 있으나 하나는 오른쪽 측면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왼쪽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100)는 제1연결부(111)와 제2연결부(131)가 슬롯(102a, 102b)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연결부(111)는 제1 내지 제4고정부(115, 117, 135, 137)의 좌우 중앙부에서 지지되므로 한쪽으로 편향되지 않고 좌우로 균형 잡히게 지지를 받는다.
마찬가지로, 결합부(102)를 중심으로 볼트나 리벳 등의 고정수단(150)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볼트나 리벳을 이용하여 결합부(102) 왼쪽의 제2연결부(131)에는 연결공(133)을 통해 왼쪽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부재(30)를 연결하고, 결합부(102) 오른쪽의 제2연결부(131)에는 오른쪽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부재(40)를 연결한다. 이 경우, 제2연결부(131)는 제1 내지 제4고정부(115, 117, 135, 137)에 의해 상하 중앙부 부근에서 지지가 되므로 고정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의 어느 한쪽으로 많이 편향되지 않고 균형 잡히게 지지가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100)는 상하와 좌우의 교차방향으로 여러 개의 연결부재(10, 20, 30, 40)들을 연결하여 이들을 상하 및 좌우로 많이 편향되지 않게 지지할 수 있고, 제1연결부(111)와 제2연결부(131)가 지지력이 약한 방향으로 서로 보완하여 지지하여 줄 수 있으므로 큰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앞에서 설명한 연결부재를 4방향 모두 연결할 필요가 없는 경우, 제1연결부(111) 또는 제2연결부(131)의 일측은 앞 실시 예에서보다 작게 돌출되고 연결공(113)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제1브래킷(110)의 제1고정부(115)를 제2고정부(117)보다 후방으로 또는 그 반대로 배치하여 제1고정부(115)와 제2고정부(117)가 동일 평면이 아닌 단이 진 평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2브래킷(130)의 제3고정부(135)와 제4고정부(137) 역시 제1브래킷(110)에서와 마찬가지로 둘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 하나보다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배치하여 동일 평면이 아닌 단이 진 평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제1 내지 제4고정부(115, 117, 135, 137)의 일부 또는 모두 서로 다른 평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제1 내지 제4고정부(115, 117, 135, 137) 중 필요한 것의 전후 위치를 달리하는 것과 함께 슬롯(102a, 102b) 등을 통한 제1연결부(111)와 제2연결부(131)의 결합 깊이를 조정함으로써 제1 내지 제4고정부(115, 117, 135, 137)가 결합되는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단차를 가지는 표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100)가 설치되는 기둥 등의 표면에 돌출물이 있어서 제1고정부(115)와 제3고정부(135)를 좌우로 간격을 두고 고정하여야 하는 등의 이유로, 제1연결부(111)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좌우로 꺾인 중간 꺾임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102) 상측의 제1연결부(111)와 하측의 제1연결부(111)는 좌우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이 실시 예에서, 중간 꺾임부(120)는 제2연결부(131)의 지지를 받는다.
나머지 사항은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제2연결부(131) 또는 좌우 양단 사이에 상하로 꺾인 중간 꺾임부(140)를 구비하여 제2연결부(131)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이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고정부(115) 상단의 높이를 앞 실시 예보다 높게 하여 제2연결부(131)의 우측 부분의 후단 저면이 제1고정부(115)의 지지를 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4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제1연결부(111)에 형성되는 결합부(102)는 슬롯 대신 홈(102c)으로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결합부(102)는 제1연결부(111)와 제2연결부(131)에 각각 슬롯(102a, 102b)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때에 따라 두 슬롯(102a, 102b)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대신 넓은 폭의 홈(102c)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 예는 제1연결부(111)에는 홈(102c)을 형성하고, 제2연결부(131)에는 슬롯(102b)을 형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제1브래킷(110)과 제2브래킷(130)을 결합부(102)를 통해 서로 결합하여 바람직하게, 제2연결부(131)의 저면이 홈(102c)의 하측 표면(102d)의 지지를 받도록 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연결부(111)와 제2연결부(131) 중 하나에는 슬롯(102a 또는 102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때에 따라 제1연결부(111)와 제2연결부(131) 모두에 슬롯(102a, 102b)보다는 넓은 홈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제1 내지 제4 고정부(115, 117, 135, 137)의 크기나 위치를 조정하여 제1 내지 제4 고정부(115, 117, 135, 137)가 고정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 기구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제1 내지 제4고정부(115, 117, 135, 137)는 원형기둥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원호형으로 밴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은 소정 부재의 표면에 고정되어 다른 부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브래킷 기구를 만드는데 적합하게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 물류창고의 다층으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랙 등을 만드는데 적합하게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 20, 30, 40: 연결부재
100: 브래킷 기구 102: 결합부
102a, 102b: 슬롯 102c: 홈
110: 제1브래킷 111: 제1연결부
113, 133: 연결공 115: 제1고정부
117: 제2고정부 119, 139: 체결공
120, 140: 중간 꺾임부 130: 제2브래킷
131: 제2연결부 135: 제3고정부
137: 제4고정부 150: 고정수단
B: 보 C: 기둥

Claims (7)

  1. 두께면을 전후로 향하도록 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서 왼쪽으로 꺾인 제1고정부와 및 오른쪽으로 꺾인 제2고정부를 가지는 제1브래킷; 및
    두께면을 전후로 향하도록 하여 좌우로 배치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서 위쪽으로 꺾인 제3고정부와 아래쪽으로 꺾인 제4고정부를 가지는 제2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나머지 하나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 내지 제4고정부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 기구.
  2. 제1항에서, 상기 결합부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 기구.
  3. 제1항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가 서로 교차하며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둘 모두에 슬롯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제2연결부에는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상하 또는 좌우에 연결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 기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부에는 적어도 하나씩의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 기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고정부는 평판으로 되거나 원호형으로 밴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브래킷 기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연결부 또는 상기 제2연결부는 양단 사이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꺾인 중간 꺾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 기구.
KR1020190106400A 2019-08-29 2019-08-29 브래킷 기구 KR102112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400A KR102112957B1 (ko) 2019-08-29 2019-08-29 브래킷 기구
KR1020200056207A KR102350119B1 (ko) 2019-08-29 2020-05-11 브래킷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400A KR102112957B1 (ko) 2019-08-29 2019-08-29 브래킷 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207A Division KR102350119B1 (ko) 2019-08-29 2020-05-11 브래킷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957B1 true KR102112957B1 (ko) 2020-05-19

Family

ID=7091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400A KR102112957B1 (ko) 2019-08-29 2019-08-29 브래킷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9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045A (ko) * 2019-08-29 2021-03-10 박선용 브래킷 기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4008A (en) * 1973-08-24 1975-05-20 Herman C Miller Concrete insert
US4863305A (en) * 1987-10-19 1989-09-05 Schold John A Orthogonal construction joint
JPH10147980A (ja) * 1996-11-18 1998-06-02 Sumitomo Forestry Co Ltd 梁接合構造
JPH10325177A (ja) * 1997-03-27 1998-12-08 Atsushi Nakagawa 柱と梁の接合部構造
JP2001280007A (ja) * 2000-03-31 2001-10-10 Daiwa House Ind Co Ltd L形金物
KR100899787B1 (ko) * 2008-11-18 2009-05-28 데카코리아(주) 고정브래킷
JP2010285754A (ja) * 2009-06-09 2010-12-24 Kawada Kogyo Kk 鉄骨構造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4008A (en) * 1973-08-24 1975-05-20 Herman C Miller Concrete insert
US4863305A (en) * 1987-10-19 1989-09-05 Schold John A Orthogonal construction joint
JPH10147980A (ja) * 1996-11-18 1998-06-02 Sumitomo Forestry Co Ltd 梁接合構造
JPH10325177A (ja) * 1997-03-27 1998-12-08 Atsushi Nakagawa 柱と梁の接合部構造
JP2001280007A (ja) * 2000-03-31 2001-10-10 Daiwa House Ind Co Ltd L形金物
KR100899787B1 (ko) * 2008-11-18 2009-05-28 데카코리아(주) 고정브래킷
JP2010285754A (ja) * 2009-06-09 2010-12-24 Kawada Kogyo Kk 鉄骨構造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045A (ko) * 2019-08-29 2021-03-10 박선용 브래킷 기구
KR102350119B1 (ko) * 2019-08-29 2022-01-11 박선용 브래킷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8225B2 (en) Cargo rack
US8302788B2 (en) Demountable shelving unit
US9144303B2 (en) Modular rack assembly
US20190029416A1 (en) Heavy duty shelving assembly
US20040155003A1 (en) Pallet rack with camber beams
MXPA04010964A (es) Aparato y metodo para conversion de estante modular.
KR102112957B1 (ko) 브래킷 기구
KR102509416B1 (ko) 랙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350119B1 (ko) 브래킷 기구
EP4063298A1 (en) Stacker crane
US20230389699A1 (en) Shelving system
KR102261927B1 (ko) 보 연결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랙
JP6255200B2 (ja) 運搬用台車の中間棚システム
JP6680491B2 (ja) 組立棚
JP5378739B2 (ja) 物品収納庫の組立構造
KR20090000936U (ko) 파렛트랙 구조물용 보강비임 구조.
JP7515525B2 (ja) 支柱とビームの連結構造
JP3476058B2 (ja) 物品載置用部材の連結構造
JP4753139B2 (ja) 組立式台板
KR20200056678A (ko) 조립식 스태킹 랙
JP3244165B2 (ja) 物品収納棚
EP4166475B1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JP5218237B2 (ja) 棚の連結部構造
JP3498827B2 (ja) 物品載置用部材の連結構造
JP2023103753A (ja) 支柱とビーム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