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925B1 -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 - Google Patents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925B1
KR102112925B1 KR1020180101703A KR20180101703A KR102112925B1 KR 102112925 B1 KR102112925 B1 KR 102112925B1 KR 1020180101703 A KR1020180101703 A KR 1020180101703A KR 20180101703 A KR20180101703 A KR 20180101703A KR 102112925 B1 KR102112925 B1 KR 102112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ariable
frame
base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001A (ko
Inventor
최택열
Original Assignee
최택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택열 filed Critical 최택열
Priority to KR1020180101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9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45Longitudinal adjustment by means of articulated rods supporting the seat, e.g. parallelogram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좌석으로서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돌출부와 같이 고정을 위한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는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을 제시한다. 그 좌석은 시트 등받이 및 시트 베이스에 부착되고 한 쌍의 로드와 연결된 연동부 및 한 쌍의 로드와 연결된 좌석 받침대를 포함하고, 좌석 받침대는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측면 프레임은 바닥에 조립하는 고정 브라켓 및 한 쌍의 로드와 접속하는 접속홀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Transformable seat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좌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캠핑, 이동사무차 등과 같이 특수한 목적에 사용하는 차량에 장착되어 좌석 상태 및 침상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한 가변형 좌석에 관한 것이다.
최근, 캠핑, 장거리 이동 등의 특수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차량을 개조하는 튜닝이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여가생활, 취미 등의 목적으로 캠핑인구가 급증하여, 캠핑카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국내등록특허 제10-1759036호에서와 같이 화장실공간을 가변형하거나, 국내등록특허 제10-1753534호에서와 같이 실내 출입이 용이하게 하는 등으로 캠핑카의 효율적인 활용을 추구하고 있다. 캠핑카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 변형 가능한 좌석(이하, 가변형 좌석)을 의자, 침상(또는 소파)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가변형 좌석은 캠핑카뿐 아니라 이동사무차 등 특수한 목적에 적용된다.
도 1은 종래의 가변형 좌석이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종래의 가변형 좌석은 좌석 상태(a) 및 침상 상태(b)로 변형된다. 종래의 가변형 좌석은 바닥(200) 및 엔진룸과 같은 돌출부(201) 등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돌출부(201) 상에는 예컨대 침대 매트리스(202)가 배치된다. 종래의 가변형 좌석은 좌석시트(100), 시트 등받이(101), 시트 베이스(102) 및 단차 보완부(103)를 포함한다. 좌석시트(100)는 시트 등받이(101)에 고정되는 제1 시트(100a) 및 시트 베이스(102)에 고정되는 제2 시트(100b)로 이루어진다. 단차 보완부(103)는 시트 베이스(102)에 부착되어, 좌석 상태(a) 및 침상 상태(b)에서의 단차를 보완한다. 여기서, 좌석 상태(a)는 편의 상, 침상 상태(b)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좌석시트(100)의 하부에는 베이스 연결대(104) 및 전면 프레임(108)이 서로 결합되어 배치된다. 베이스 연결대(104)는 엔진룸(201)과 같은 구조물에 고정되고, 전면 프레임(108)은 직립하여 바닥(200)에 고정된다. 서로 길이가 다른 한 쌍의 로드(105, 106)는 연동부(107) 및 베이스 연결대(104)와 연결된다. 한 쌍의 로드(105, 106)은 연동부(107)에 의해 가상의 피벗을 형성하면서, 둔각에서 180도 또는 180도에서 둔각으로 변환시켜 좌석 상태(a) 및 침상 상태(b)로 전환한다. 서로 길이가 다른 한 쌍의 로드(105, 106)는 회전운동을 하는 각각의 중심점은 앞쪽의 중심점이 뒤쪽의 중심점보다 낮게 위치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 연결대(104)는 전면 프레임(108)과 돌출부(201) 사이에 비스듬하게 결속된다.
그런데, 종래의 가변형 좌석은 키트(kit) 형태로 바닥(200), 돌출부(201) 등에 고정되는 방식이므로 장착이 용이한 반면, 돌출부(201)와 연결대(104)의 접점이 2 곳에 불과하다. 또한, 전면 프레임(108)과의 볼트체결방식의 연결부위도 2 곳에 그쳐 키트가 차체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없다. 나아가, 충분한 인장력을 갖춘 2점식 또는 3점식의 좌석안전띠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도 없으므로 안전성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구조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좌석으로서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돌출부와 같이 고정을 위한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는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에 의하면, 시트 등받이 및 시트 베이스에 부착되고, 한 쌍의 로드와 연결된 연동부 및 상기 한 쌍의 로드와 연결된 좌석 받침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좌석 받침대는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은 바닥에 조립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한 쌍의 로드와 접속하는 접속홀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좌석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로드는 제1 로드의 중심점이 제2 로드의 중심점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측면 프레임에 연결된다. 상기 시트 베이스에는 상기 좌석이 좌석 상태에서 침상 상태로 변환될 때 발생하는 단차를 보완하는 단차 보완부가 부착되고, 상기 후면 프레임은 상기 전면 프레임보다 상기 바닥에 대하여 상기 단차 보완부가 제공하는 단차만큼 높다.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시트 베이스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베이스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좌석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후면프레임과 결착되는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에는 좌석띠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좌석띠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에는 상기 로드가 움직일 수 있는 로드마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에는 상기 시트 등받이와 결착되면서 상기 후면 프레임과 결합되는 등받이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은 간격 d만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에 의하면, 조립이 가능한 좌석 받침대를 활용함으로써, 좌석받침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고정부위로서, 특히, 요철이 있는 차체바닥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함으로써 좌석안전띠를 설치할 수 있는 기반과 좌석의 회전운동이 가능한 기반을 제공하여 안전한 가가변형 좌석체계가 확립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가변형 좌석이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좌석이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좌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좌석에서의 좌석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좌석에서의 측면 프레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차량은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차량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립이 가능한 좌석 받침대를 활용함으로써, 수리 등을 위해서 전체를 분리시키지 않고 전체가 아닌 부품으로 조립하여 설치하고 돌출부와 같이 고정을 위한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은 가변형 좌석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조립이 가능한 좌석 받침대를 포함하는 가변형 좌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상기 가변형 좌석에 의해 좌석 상태 및 침상 상태로 변형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변형 좌석은 캠핑, 장거리 이동 등의 특수한 목적에 부합하는 차량, 특히 캠핑카에 적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좌석이 동작하는 과정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가변형 좌석은 좌석 상태(a) 및 침상 상태(b)로 변형된다. 여기서, 좌석 상태(a)는 편의 상, 침상 상태(b)로 변형되는 과정을 표현하였다. 가변형 좌석의 좌석 받침대(20)는 바닥(10)에 고정된다. 좌석 받침대(20)의 측면에는 적재함과 같은 구조물(11)을 마련할 수 있다. 즉, 좌석 받침대(20)는 바닥(10)에만 고정되지만, 종래와는 달리 돌출부에는 고정되지 않는다. 적재함과 같은 구조물(11)은 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방편이며, 좌석 받침대(2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가변형 좌석은 이를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가 필요하지 않고, 오직 바닥(10)에만 고정된다. 이때, 구조물(11)을 구현하는 데에 있어서, 좌석 받침대(20)의 후면 프레임(22)을 활용할 수 있다. 구조물(11) 상에는 본 발명의 가변형 좌석이 침상 상태(b)로 변형되었을 때, 침대 매트리스(12)를 배치할 수 있다.
가변형 좌석은 좌석시트(50), 시트 등받이(51), 시트 베이스(52) 및 단차 보완부(53)를 포함한다. 좌석시트(50)는 시트 등받이(51)에 고정되는 제1 시트(50a) 및 시트 베이스(52)에 고정되는 제2 시트(50b)로 이루어진다. 단차 보완부(53)는 시트 베이스(52)에 부착되어, 좌석 상태(a) 및 침상 상태(b)에서 차이가 있는 단차를 보완한다. 가변형 좌석이 좌석 상태(a)에서 침상 상태(b)로 변환되면, 단차 보완부(53)는 상승한다. 단차 보완부(53)는 전면 프레임(21) 상에 위치하여, 침상 상태(b)를 유지한다.
서로 길이가 다른 한 쌍의 로드(40, 41)는 연동부(42) 및 좌석 받침대(20)와 연결된다. 한 쌍의 제1 및 제2 로드(40, 41)는 연동부(42)에 의해 가상의 피벗을 형성하여 크랭크 운동을 하며, 둔각에서 180도 또는 180도에서 둔각으로 변환시켜 좌석 상태(a) 및 침상 상태(b)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연동부(42)는 시트 등받이(51) 및 시트 베이스(52)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할 수 있도록, 시트 등받이(51) 및 시트 베이스(52)에 부착된다. 서로 길이가 다른 한 쌍의 로드(40, 41)는 회전운동을 하는 각각의 중심점은 제1 로드(40)의 중심점이 제2 로드(41)의 중심점보다 낮게 위치한다. 이를 위해, 제1 로드(40)가 좌석 받침대(20)와 접속되는 제1 접속부(43)는 제2 로드(41)가 좌석 받침대(20)와 접속되는 제2 접속부(44)에 비해, 바닥(10)에 대하여 낮은 곳에 위치한다.
좌석 상태(a)에서 시트 등받이(51)를 바닥(10) 방향으로 누르면, 제1 및 제2 로드(40, 41)는 연동부(42)와 함께 회전운동을 하면서, 시트 등받이(51) 및 시트 베이스(52)는 180도로 펼쳐져 침상 상태(b)로 변형된다. 이때, 단차 보완부(53)는 좌석 받침대(20)의 전면 프레임(21) 상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가변형 좌석이 침상 상태로 변환되면, 중심점이 높은 제1 로드(40)는 직립하여 침상 상태(b)를 유지하게 한다. 단차 보완부(53)는 침상 상태(b)에서 전면 프레임(21) 및 시트 베이스(52)의 사이의 공간을 메워주는 역할을 한다.
침상 상태(b)에서 시트 등받이(51)를 바닥(10)의 반대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제1 및 제2 로드(40, 41)는 연동부(42)와 함께 회전운동을 하면서, 시트 등받이(51) 및 시트 베이스(52)는 둔각을 이루면서 좌석 상태(a)로 변형된다. 이때, 단차 보완부(53)는 전면 프레임(21)을 벗어나 좌석 받침대(20) 상으로 이동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좌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가변형 좌석이 동작하는 과정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변형 좌석은 좌석 받침대(20)가 바닥(10)에 고정된다. 상기 가변형 좌석은 시트 등받이(51), 시트 베이스(52), 단차 보완부(53) 및 좌석 받침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좌석시트는 편의상 표현하지 않았다. 단차 보완부(53)는 시트 베이스(52)에 부착된다. 서로 길이가 다른 한 쌍의 로드(40, 41)는 연동부(42) 및 좌석 받침대(20)와 연결된다. 한 쌍의 제1 및 제2 로드(40, 41)는 연동부(42)에 의해 가상의 피벗을 형성한다. 연동부(42)는 한 쌍의 로드(40, 41)에 의해 접히거나 펼치는 운동을 한다.
서로 길이가 다른 한 쌍의 로드(40, 41)는 회전운동을 하는 각각의 중심점은 앞쪽의 중심점이 뒤쪽의 중심점보다 낮게 위치한다. 본 발명의 가변형 좌석이 침상 상태로 변환되면, 중심점이 높은 제1 로드(40)는 직립하여 침상 상태(b)를 유지하게 한다. 이를 위해, 제1 로드(40)가 좌석 받침대(20)와 접속되는 제1 접속부(44)는 제2 로드(41)가 좌석 받침대(20)와 접속되는 제2 접속부(44)에 비해, 바닥(10)에 대하여 낮은 곳에 위치한다. 브라켓(54)는 시트 등받이(51)를 단단하게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좌석에서의 좌석 받침대(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때, 가변형 좌석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표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좌석 받침대(20)는 전면 프레임(21), 후면 프레임(22), 저면 프레임(23), 측면 프레임(24) 및 상판(27)을 포함한다. 전면 프레임(21)은 단차 보완부(53)와 조합되어 침상 상태(b)를 유지시킨다. 후면 프레임(22)은 전면 프레임(21)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전면 및 후면 프레임(21, 22) 사이에는 저면 및 측면 프레임(23, 24)이 존재한다. 후면 프레임(22)은 침상 상태에서 180도를 이루는 시트 등받이(51) 및 시트 베이스(52)에서 시트 베이스(52)에 접촉하여 지지한다. 이에 따라, 후면 프레임(22)은 단차 보완부(53)가 제공하는 단차만큼 전면 프레임(21)보다 높다.
측면 프레임(24)은 프레임 몸체(24a), 베이스 스토퍼(24b), 고정 브라켓(24c) 및 상판 지지대(24d)로 이루어진다. 프레임 몸체(24a)에는 제1 및 제2 로드(40, 41)가 결속되는 제1 및 제2 접속홀(25, 26)을 포함한다. 프레임 몸체(24a)는 전면 프레임(21)에서 후면 프레임(22)의 갈수록 폭이 커진다. 베이스 스토퍼(24b)는 가변형 좌석의 좌석 상태(a)에서 시트 베이스(52)의 단부를 지지한다. 베이스 스토퍼(24b)는 좌석 상태(a)에서 시트 베이스(52)가 더 이상 베이스 스토퍼(24b)의 아래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즉, 베이스 스토퍼(24b)는 좌석 상태(a)를 유지하도록 한다. 베이스 스토퍼(24b)는 좌석 받침대(20)의 안쪽으로 꺾여 있다.
고정 브라켓(24c)은 좌석 받침대(20)를 바닥(10)에 고정시킨다. 바닥(10)에의 고정은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24c)은 좌석 받침대(20)의 바깥 방향으로 꺾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 지지대(24d)는 상판(27)을 지지하는 것으로,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거나 용접 등으로 접합할 수 있다. 상판(27)은 상판 지지대(24d)에 놓이며, 후면 프레임(22)에 결착된다.
상판(27)에는 좌석띠를 고정하기 위한 좌석띠 고정홀(28), 좌석 받침대(20)를 바닥(10)에 고정할 때 공구를 집어넣을 때 필요한 공구 삽입홀(29) 및 제2 로드(41)가 회동할 때 간섭을 받지 않도록 패인 로드마진(30)을 포함한다. 상판(27) 및 후면 프레임(22) 사이에는 시트 등받이(51)가 결합되는 등받이 결합부(31)가 위치한다.
시트 등받이(51)에는 브라켓(54)이 설치되어 있고, 브라켓(54)이 등받이 결합부(31)의 사이에 삽입하고 결합홀(31a)에 고정핀을 넣어서 조립된다. 브라켓(54)이 등받이 결합부(31)에 조립되면, 시트 등받이(51)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판(27) 및 저면 프레임(23) 사이에는 상판(27)을 보다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보강 프레임(3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좌석에서의 측면 프레임의 변형예(35)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때, 변형예(35)는 고정 브라켓(35a)을 제외하고, 앞에서 설명한 고정 브라켓(24)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의하면, 고정 브라켓(35a)은 프레임 몸체(24a)에 대하여 간격 d만큼 이격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35a)는 바닥(10)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프레임 몸체(24a)는 바닥(10)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이다. 이렇게 되면, 바닥(10)에 요철이 있는 경우에도 좌석 받침대(20)를 바닥(10)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35a)의 위치 및 간격 d는 바닥(10)의 요철 상태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바닥 20; 좌석 받침대
21; 전면 프레임 22; 후면 프레임
23; 저면 프레임 24; 측면 프레임
24a; 프레임 몸체 24b; 베이스 스토퍼
24c, 35a; 고정 브라켓
24d; 상판 지지대
25, 26; 제1 및 제2 접속홀
27; 상판 28; 좌석띠 고정홀
29; 공구 삽입홀 30; 로드마진
31; 등받이 결합부 32; 보강 프레임
40, 41; 제1 및 제2 로드 42; 연동부
43, 44; 제1 및 제2 접속부
50; 좌석 시트 51; 시트 등받이
52; 시트 베이스 53; 단차 보완부

Claims (9)

  1. 시트 등받이 및 시트 베이스에 부착되고, 한 쌍의 로드와 연결된 연동부; 및
    상기 한 쌍의 로드와 연결된 좌석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 받침대는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은 바닥에 조립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한 쌍의 로드와 접속하는 접속홀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로드는 제1 로드의 중심점이 제2 로드의 중심점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측면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시트 베이스에는 상기 좌석이 좌석 상태에서 침상 상태로 변환될 때 발생하는 단차를 보완하는 단차 보완부가 부착되어 상기 좌석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고, 상기 후면 프레임은 상기 전면 프레임보다 상기 바닥에 대하여 상기 단차 보완부가 제공하는 단차만큼 높으며,
    상기 측면 프레임의 몸체는 상기 전면 프레임에서 상기 후면 프레임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고, 상기 제1 로드가 결속되는 제1 접속홀은 상기 제2 로드가 결속되는 제2 접속홀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시트 베이스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베이스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후면프레임과 결착되는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좌석띠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좌석띠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상기 로드가 움직일 수 있는 로드마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상기 시트 등받이와 결착되면서 상기 후면 프레임과 결합되는 등받이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은 간격 d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
KR1020180101703A 2018-08-29 2018-08-29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 KR102112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703A KR102112925B1 (ko) 2018-08-29 2018-08-29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703A KR102112925B1 (ko) 2018-08-29 2018-08-29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01A KR20200025001A (ko) 2020-03-10
KR102112925B1 true KR102112925B1 (ko) 2020-05-19

Family

ID=6980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703A KR102112925B1 (ko) 2018-08-29 2018-08-29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9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3319A (ja) * 1999-01-14 2000-07-25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のフラット化シ―ト構造
US20140215711A1 (en) * 2013-02-04 2014-08-07 Van Hool Nv Passenger vehicle and adjustable seat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272U (ja) * 1993-03-19 1994-10-04 セントラル自動車株式会社 椅 子
JP3192062B2 (ja) * 1995-06-16 2001-07-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シート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3319A (ja) * 1999-01-14 2000-07-25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のフラット化シ―ト構造
US20140215711A1 (en) * 2013-02-04 2014-08-07 Van Hool Nv Passenger vehicle and adjustable seat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01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7863B1 (en) Vehicle seat with height adjustable seat cushion
US4637653A (en) Rear seat cushion in motor vehicle
JP2012507443A (ja) 折り畳み式座席
MX2015001013A (es) Sistema de suspension de respaldo y cojin con panel de suspension interno.
CA2361522C (en) Seat back frame assembly for vehicle seat
US7246857B2 (en) Seat folding device of vehicle
KR101687532B1 (ko) 차량용 레그레스트 장치
KR102112925B1 (ko) 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좌석
JP2009207768A (ja) 椅子
EP3072732A1 (en) Vehicle seat device
US8966739B2 (en) Weight activated device
CN113475898A (zh) 一种机械伸展装置
CN103029610A (zh) 具有可折叠的垫子支撑组件的座椅组件
US2717026A (en) Chair with self-folding seat
JP2012076494A (ja) 車両用シートの防振構造
JP4805246B2 (ja) 座跳ね上げ式椅子
JP6370641B2 (ja) 乗物用シート
JP2743788B2 (ja) 椅 子
JP2020082793A (ja) 乗物用シート
KR100658646B1 (ko) 자동차의 좌석 장착구조
US1059220A (en) Automobile-body.
JP2000309239A (ja) 車両用シートの上下調節装置
US3494663A (en) Suspension recliner
JP2011143872A (ja) 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
CN1984797A (zh) 用于房车或类似车辆的斜倚长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