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910B1 - 만두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만두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910B1
KR102112910B1 KR1020170173924A KR20170173924A KR102112910B1 KR 102112910 B1 KR102112910 B1 KR 102112910B1 KR 1020170173924 A KR1020170173924 A KR 1020170173924A KR 20170173924 A KR20170173924 A KR 20170173924A KR 102112910 B1 KR102112910 B1 KR 102112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ackaging container
discharge
uni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2835A (ko
Inventor
정병춘
Original Assignee
정병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춘 filed Critical 정병춘
Priority to KR1020170173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9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2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4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from supply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두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장용기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포장용기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포장용기에 만두를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하여, 대량 생산을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만두 포장 장치{PACKING DEVICE OF DUMPLING}
본 발명은 만두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수작업이 생략되고 자동화 공정을 통해 만두를 포장용기에 투입하여 대량 생산을 유도할 수 있는 만두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두란, 고기와 두부, 김치 등을 버무려 형성한 만두소를, 밀가루나 메밀가루 등을 이용하여 만든 껍질인 만두피로 감싸 일체화시킨 후 찌거나 튀긴 음식을 말한다.
이러한 만두는 대체로 집에서 직접 만들어 먹었으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집에서 만들기보다는 공장에서 대량으로 제조하여 음식점이나 유통업체 등으로 공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만두는 대부분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만두를 자동으로 성형하는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만두를 생산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자동화 공정을 통해 만두가 대량으로 생산되지만, 대량으로 생산된 만두를 묶음 포장하기 위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포장용기에 만두를 정렬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0513호(2010.08.31. 등록, 발명의 명칭 : 다색 만두 제조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의 수작업이 생략되고 자동화 공정을 통해 만두를 포장용기에 투입하여 대량 생산을 유도할 수 있는 만두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는: 포장용기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포장용기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포장용기에 만두를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이동부에 장착되는 공급프레임부; 상기 공급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포장용기를 안내하는 공급가이드부; 및 상기 공급프레임부에 형성되고, 상기 포장용기를 상기 이동부로 하나씩 낙하시키는 공급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배출부는 상기 공급프레임부에 장착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배출구동부; 상기 배출구동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회전시 적층된 상기 포장용기의 측면을 압박하는 배출지지부; 및 상기 배출지지부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포장용기가 안착되고, 상기 배출지지부가 회전되면 상기 포장용기를 낙하시키는 배출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는 이동스탠드부; 상기 이동스탠드부에 장착되는 이동프레임부; 상기 이동프레임부에서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이동체인부; 및 상기 이동체인부에 장착되고, 상기 포장용기가 안착되는 이동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포장용기를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부는 만두가 공급되는 투입만두부; 및 상기 이동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투입만두부에서 공급되는 만두를 상기 포장용기에 낙하시키는 투입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는 포장용기가 이동부를 통해 이동되는 동안, 투입부의 길이가 가변되면서 포장용기에 만두를 투입하므로, 포장 과정에서 자동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는 자동화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에서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에서 공급부가 포장용기를 받쳐주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공급부가 포장용기를 낙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에서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에서 투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1)는 공급부(10)와, 이동부(20)와, 투입부(30)를 포함한다.
공급부(10)는 포장용기(100)를 공급한다. 일 예로, 포장용기(100)는 용기판부(101)와, 용기판부(101)에 형성되고 만두를 수납하기 위해 오목한 형상을 하는 복수개의 용기홈부(102)와, 용기판부(10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용기테두리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20)는 공급부(10)를 통해 공급되는 포장용기(100)를 이동시키고, 투입부(30)는 이동부(20)에 의해 이동되는 포장용기(100)에 만두(200)를 투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에서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에서 공급부가 포장용기를 받쳐주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서 공급부가 포장용기를 낙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10)는 공급프레임부(11)와, 공급가이드부(12)와, 공급배출부(13)를 포함한다.
공급프레임부(11)는 이동부(20)에 장착된다. 일 예로, 공급프레임부(11)는 이동부(20)의 일단부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공급가이드부(12)는 공급프레임부(11)에 형성되어 포장용기(100)를 안내한다. 일 예로, 공급가이드부(12)는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공급가이드부(12) 사이로 포장용기(100)가 투입되어 낙하될 수 있다.
공급배출부(13)는 공급프레임부(11)에 형성되고, 포장용기(100)를 이동부(20)로 하나씩 낙하시킨다. 일 예로, 공급배출부(13)에서 하나씩 낙하된 포장용기(100)는 이동부(20)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배출부(13)는 배출구동부(131)와, 배출지지부(132)와, 배출안착부(133)를 포함한다.
배출구동부(131)는 공급프레임부(11)에 장착되고, 회전력을 제공한다. 배출지지부(132)는 배출구동부(1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회전시 적층된 포장용기(100)의 측면을 압박하여 포장용기(100)의 낙하를 방지한다. 배출안착부(133)는 배출지지부(132)의 저면에 장착되어 포장용기(100)가 안착되고, 배출지지부(132)가 회전되면 포장용기(100)를 낙하시킨다.
일 예로, 배출안착부(133)의 상측에 배출지지부(132)가 배치되고, 배출구동부(131)는 배출지지부(132)와 배출안착부(133)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모터가 될 수 있다. 배출구동부(131)는 배출지지부(132)와 배출안착부(133)를 일방향으로 180도씩 회전시킬 수 있다. 그 외, 배출구동부(131)는 배출지지부(132)와 배출안착부(133)를 일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 다음 타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배출지지부(132)와 배출안착부(133)는 캠 형상을 하고 회전 여부에 따라 포장용기(100)와 간섭되거나 간섭 해제된다. 즉 배출지지부(132)와 배출안착부(133)의 회전이 이루어지기 전, 최저점에 위치되는 포장용기(100)의 가장자리는 배출안착부(133)에 안착되고 최저점에 위치되는 포장용기(100)에 적층되는 포장용기(100)의 가장자리는 배출지지부(132)와 간섭되지 않는다.
그리고, 배출지지부(132)와 배출안착부(133)가 1회 회전되면, 배출안착부(133)가 포장용기(100)의 낙하 경로상에서 사라져, 최저점에 위치되는 포장용기(100)가 이동부(20)로 낙하된다. 반면에, 배출지지부(132)는 최저점 포장용기(100)에 적층되는 포장용기(100)의 가장자리를 압박하여 낙하를 방지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배출지지부(132)와 배출안착부(133)가 2회 회전되면, 배출안착부(133)가 포장용기(100)의 낙하 경로상에 위치되고, 배출지지부(132)가 포장용기(100)에 대한 압박히 해제되어, 최저점 포장용기(100)는 배출안착부(133)에 안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에서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20)는 이동스탠드부(21)와, 이동프레임부(22)와, 이동체인부(23)와, 이동수납부(24)를 포함한다.
이동스탠드부(21)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이동프레임부(22)는 이동스탠드부(21)에 장착된다. 일 예로, 4개의 이동스탠드부(21)는 이동프레임부(22)를 지지할 수 있으며 하단부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부(22)는 이동스탠드부(21)의 하부에 결합되고 수평으로 길이를 갖는 제1프레임부(221)와, 제1프레임부(2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제2프레임부(222)와, 제2프레임부(222)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수평으로 길이를 갖는 제3프레임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프레임부(221)에는 프레임바퀴부(229)가 장착될 수 있다.
이동체인부(23)는 이동프레임부(22)에서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된다. 이동수납부(24)는 이동체인부(23)에 장착되고, 포장용기(100)가 안착된다. 일 예로, 이동체인부(23)는 제3프레임부(223)에 가이드되고, 한 쌍의 풀리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20)는 이동가이드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25)는 이동프레임부(22)에 장착되고, 이동수납부(24)에 수납된 포장용기(100)를 안내한다. 일 예로, 이동가이드부(25)는 제3프레임부(223)의 단부에 결합되고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포장용기(100)를 다음 공정으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이동수납부(24)에 포장용기(100)가 안착되어 이동될 때, 용기홈부(102)가 이동수납부(24)에 안착되고, 용기테두리부(103)는 이동수납부(24)와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포장용기(100)가 제3프레임부(223)의 단부에 도달하면, 용기테두리부(103)가 이동가이드부(25)에 안착되어 이동가이드부(25)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에서 투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부(30)는 투입만두부(31)와, 투입가변부(32)를 포함한다.
투입만두부(31)는 만두(200)를 공급하고, 투입가변부(32)는 이동부(20)의 상방에 배치되어 이동되어 포장용기(100)에 만두(200)를 투입한다. 이러한 투입가변부(32)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포장용기(100)의 구획된 영역으로 만두(200)를 투입할 수 있다.
일 예로, 투입가변부(32)는 이동부(20)의 상방에 고정 설치되는 가변프레임부(321)와, 가변프레임부(321)에 삽입되는 가변삽입부(322)와, 가변삽입부(322)를 이동시켜 가변프레임부(321)와 삽입부(322)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가변작동부(323)와, 가변프레임부(321)와 가변삽입부(322)의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변롤러부(324)와, 가변롤러부(324)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만두(200)를 목적지로 낙하시키는 가변벨트부(325)와, 가변삽입부(322)의 좌우 이동시 상하 이동되면서 가변벨트부(325)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가변장력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공급부(10)에 적층된 복수개의 포장용기(100)를 투입한 상태에서 공급부(10)와, 이동부(20)와, 투입부(30)를 구동시킨다.
공급부(10)는 공급가이드부(12)에 의해 복수개의 포장용기(100)가 하방 이동되고, 캠 형상의 공급배출부(13)가 회전되면서 최하단에 위치되는 포장용기(100)가 순서대로 낙하되어 이동부(20)에 형성되는 이동수납부(24)에 안착된다.
이동수납부(24)에 안착된 포장용기(100)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이동체인부(23)에 의해 목적지로 이동된 후, 이동가이드부(25)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된다.
한편, 이동부(20)의 상방에 배치되는 투입부(30)는 자체 길이가 조절되면서 포장용기(100)에 골고루 만두(200)를 투입한다.
즉, 포장용기(100)에 총 6개의 용기홈부(102)가 형성되되 이들 용기홈부(102)가 3행2열로 배치된다면, 투입부(30)는 자체 길이가 점차 줄어들면서 어느 한 열에 형성되는 3개의 용기홈부(102)에 만두(200)를 투입할 수 있다.
어느 한 열에 대한 만두(200) 투입이 완료되면, 투입부(30)의 자체 길이가 재차 늘어나는 동안 포장용기(100)가 수평 이동된다.
그리고, 투입부(30)의 자체 길이가 점차 줄어들면서 다른 한 열에 형성되는 3개의 용기홈부(102)에 만두(200)를 투입한다.
한편,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수평 이동되는 포장용기(100)에 대한 만두(200) 투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1)는 포장용기(100)가 이동부(20)를 통해 이동되는 동안, 투입부(30)의 길이가 가변되면서 포장용기(100)에 만두(200)를 투입하므로, 포장 과정에서 자동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포장 장치(1)는 자동화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공급부 11 : 공급프레임부
12 : 공급가이드부 13 : 공급배출부
20 : 이동부 21 : 이동스탠드부
22 : 이동프레임부 23 : 이동체인부
24 : 이동수납부 25 : 이동가이드부
30 : 투입부 31 : 투입만두부
32 : 투입가변부

Claims (6)

  1. 포장용기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포장용기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포장용기에 만두를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이동스탠드부;
    상기 이동스탠드부에 장착되는 이동프레임부;
    상기 이동프레임부에서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이동체인부;
    상기 이동체인부에 장착되고, 상기 포장용기가 안착되는 이동수납부;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포장용기를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용기는
    용기판부;
    상기 용기판부에 형성되고 만두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한 형상을 하는 용기홈부; 및
    상기 용기판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용기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납부에 상기 포장용기가 안착되어 이동될 때, 상기 용기홈부가 상기 이동수납부에 안착되고, 상기 이동수납부와 이격된 상기 용기테두리부는 경사를 갖는 상기 이동가이드부에 안착되어 이동되며,
    상기 공급부는
    상기 이동부에 장착되는 공급프레임부;
    상기 공급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포장용기를 안내하는 공급가이드부; 및
    상기 공급프레임부에 형성되고, 상기 포장용기를 상기 이동부로 하나씩 낙하시키는 공급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배출부는
    상기 공급프레임부에 장착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배출구동부;
    상기 배출구동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회전시 적층된 상기 포장용기의 측면을 압박하는 배출지지부; 및
    상기 배출지지부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포장용기가 안착되고, 상기 배출지지부가 회전되면 상기 포장용기를 낙하시키는 배출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지지부와 상기 배출안착부는 캠 형상을 하고, 상기 배출구동부는 상기 배출지지부와 상기 배출안착부를 동시에 일방향으로 180도씩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포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만두가 공급되는 투입만두부; 및
    상기 이동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투입만두부에서 공급되는 만두를 상기 포장용기에 낙하시키는 투입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포장 장치.
KR1020170173924A 2017-12-18 2017-12-18 만두 포장 장치 KR102112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924A KR102112910B1 (ko) 2017-12-18 2017-12-18 만두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924A KR102112910B1 (ko) 2017-12-18 2017-12-18 만두 포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835A KR20190072835A (ko) 2019-06-26
KR102112910B1 true KR102112910B1 (ko) 2020-05-19

Family

ID=6710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924A KR102112910B1 (ko) 2017-12-18 2017-12-18 만두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9572B (zh) * 2019-07-22 2021-07-20 浙江工商大学 食品装盒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548629U (zh) * 2015-04-24 2015-08-12 成都松川雷博机械设备有限公司 食品装盒机的旋转式下盒机构
CN204957025U (zh) * 2015-09-15 2016-01-13 南通恒力医药设备有限公司 物料电子计数投放入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3002U (ko) * 1985-05-20 1986-12-01
JPH0923839A (ja) * 1995-07-10 1997-01-28 Yamauchi Shoten:Kk 豆腐のパッケージング装置
KR101042178B1 (ko) * 2008-10-14 2011-06-16 이명준 식품 포장 시스템 및 포장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548629U (zh) * 2015-04-24 2015-08-12 成都松川雷博机械设备有限公司 食品装盒机的旋转式下盒机构
CN204957025U (zh) * 2015-09-15 2016-01-13 南通恒力医药设备有限公司 物料电子计数投放入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835A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1551B1 (en) A unit for supplying products
AU2016201837B2 (en) A bag stacker
KR102112910B1 (ko) 만두 포장 장치
KR102141868B1 (ko) 정제 또는 캡슐용 분배기 유니트
KR102046025B1 (ko) 캡슐을 루스 물질로 충전하여 밀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206066729U (zh) 硅棒开方设备
KR101008348B1 (ko) 패키지 포장장치
KR101125154B1 (ko) 단위지함 정렬 장치
US11591121B2 (en) Compact applicating machine
CN205313048U (zh) 一种滴眼液药瓶整理输出装置
CN111572158B (zh) 一种触摸屏除泡机及除气泡方法
JP2014023510A (ja) シャリ玉整列装置
KR102397323B1 (ko) 만두성형장치
CN207580896U (zh) 一种袋装饲料高速堆垛机
CN211766515U (zh) 一种理瓶机
KR200385729Y1 (ko) 토너 충진장치
JP6475607B2 (ja) シャリ玉整列装置
KR102602718B1 (ko) 스틱형 식품 정렬 장치
TWM513205U (zh) 理瓶機
KR102551035B1 (ko) 육류 가공 장치
CN216734944U (zh) 一种茶砖包装机的上料装置
CN117141820B (zh) 一种面膜生产包装设备
KR100357525B1 (ko) 껌 포장 설비
CN117902333B (zh) 刀具分料下料设备
CN214393424U (zh) 一种机械制造机床自动控制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