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323B1 - 화재진압용 소화볼 - Google Patents

화재진압용 소화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323B1
KR102112323B1 KR1020190169605A KR20190169605A KR102112323B1 KR 102112323 B1 KR102112323 B1 KR 102112323B1 KR 1020190169605 A KR1020190169605 A KR 1020190169605A KR 20190169605 A KR20190169605 A KR 20190169605A KR 102112323 B1 KR102112323 B1 KR 102112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compressed air
fire
ball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도
Original Assignee
아이브에어크레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브에어크레프트(주) filed Critical 아이브에어크레프트(주)
Priority to KR1020190169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323B1/ko
Priority to PCT/KR2020/000505 priority patent/WO202112542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6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all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03Extinguishers with spraying and projection of extinguishing agents by pressurised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0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for the propulsion of extinguishing 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진압용 소화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를 진압하도록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소화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소화용기본체와, 상기 소화용기본체의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분말소화제와, 상기 소화용기본체의 수용공간에 충진되어 습기를 제거하도록 된 제습제로 이루어져, 분말소화제가 수용되는 소화용기본체가 친환경소재로 형성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되고, 간단한 동작에 의해 낙하 또는 투척하여 수용된 분말소화제를 신속하게 비산시켜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재진압용 소화볼 { Fire extinguishing ball for extinguishing fire }
본 발명은 화재진압용 소화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소화제가 수용되는 소화용기본체가 친환경소재로 형성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되고, 간단한 동작에 의해 낙하 또는 투척하여 수용된 분말소화제를 신속하게 비산시켜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되는 화재진압용 소화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消火器, fire extinguisher)는 화재의 극히 초기단계에서 소화제가 갖는 냉각 또는 공기차단 등의 효과를 이용해서 불을 끄는, 운반할 수 있는 기구를 말한다. 사용하는 약제 또는 그 메커니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화기는 포말소화기(泡沫消火器), 분말소화기, 할론소화기, 이산화탄소소화기 등이다.
이러한, 소화기는 소화약제가 충전되는 내압용기 형태의 용기와, 용기의 상단 주입구에 설치되는 밸브와, 밸브에 연결되는 관 형태의 노즐부를 포함한다. 밸브에는 압력게이지와 손잡이가 설치된다. 화재지점을 향해 정확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부는 가요성 호스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발화물질의 성질에 따라 또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사용되는 소화약제는 종류가 달라지기도 한다. 근래에는 민수용 또는 군수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친환경 약제를 사용한 소화기가 제안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소화기는 중량의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어, 그 무게에 의해 어린이나 노약자가 직접 들고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레버를 파지한 후 회전시켜 작동시켜야 하므로 원활히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재차발생하여 신속한 화재의 진압이 어려운 문제점이 상존하게 되며, 소화용기의 재활용이 어려워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047863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분말소화제가 수용되는 소화용기본체가 친환경소재로 형성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되고, 간단한 동작에 의해 낙하 또는 투척하여 수용된 분말소화제를 신속하게 비산시켜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되는 화재진압용 소화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재를 진압하도록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소화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소화용기본체와, 상기 소화용기본체의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분말소화제와, 상기 소화용기본체의 수용공간에 충진되어 습기를 제거하도록 된 제습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용기본체는 전분과 물을 혼합한 반죽을 성형한 후 건조하여 형성시키게 되고, 상기 소화용본체가 물에 젖거나 물이 흡수되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기 분말소화제가 젖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면에 방수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용기본체에는 내부에 충진된 압축공기에 의해 충진된 분말소화제를 비산시키도록 압축공기비산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압축공기비산수단은 상기 소화용기본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구와, 상기 소화용기본체의 내측면에 상기 공기주입구와 연통되게 일단이 고정되어 압축공기를 전달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관에서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충진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압축공기충진볼로 이루어져, 상기 압축공기충진볼이 파쇄되면서 충진된 압축공기가 분출하면서 분말소화제를 비산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용기본체에는 투척시 충돌에 의한 충격을 전달하여 상기 압축공기충진볼을 균일하게 파쇄시킴과 아울러 상기 소화용기본체 및 상기 압축공기충진볼이 파쇄시 내부에 충진된 분말소화제를 비산시키도록 균일파쇄비산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균일파쇄비산수단은 상기 압축공기충진볼의 외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외측파쇄홈들과, 상기 압축공기충진볼의 내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내측파쇄홈들과, 상기 소화용기본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결착홈들과, 상기 결착홈에 끼움되는 결착패널과, 상기 압축공기충진볼의 외면에 형성되는 안착홈들과, 상기 결착홈에 끼움된 상기 결착패널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홈에 끼움되어 고정되어, 상기 소화용기본체의 충격을 상기 압축공기충진볼에 전달하는 탄성샤프트와, 상기 탄성샤프트를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상기 탄성샤프트의 진동을 전달받아 진동되어 소화분말을 비산시키는 비산날개와, 상기 탄성샤프트의 타단이 상기 안착홈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샤프트에 형성되는 걸림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화재진압용 소화볼은 분말소화제가 수용되는 소화용기본체가 친환경소재로 형성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되고, 간단한 동작에 의해 낙하 또는 투척하여 수용된 분말소화제를 신속하게 비산시켜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볼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볼의 다른 실시예의 압축공기비산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볼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볼의 다른 실시예의 압축공기비산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화재진압용 소화볼(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소화볼이라 명명함)는 발화지점에 투척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분말소화제(30)가 충진된 소화볼(10)로서, 이에 이와같은 소화볼(10)은 소화용기본체(20)와 분말소화제(30)와 제습제(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화용기본체(20)는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소화용기본체(20)는 감자전분 또는 고구마전분을 물과 7 : 3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반축을 형성한 후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로 성형시킨 다음 경화시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소화용기본체(20)는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 이외에 경화시 충격에 의해 파손되고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인 것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다르게는 상기 소화용기본체(20)를 합성수지재로 형성시켜 충격시 파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종이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소화용기본체(20)는 원형의 구(볼) 형상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분말소화제(30)는 상기 소화용기본체(20)의 수용공간에 충진된다.
상기 분말소화제(30)는 요소탄산수소칼륨과, 인산 암모늄이 사용되며, 분말형태의 소화제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요소탄산수소칼륨은 부(負)촉매효과가 강한 칼륨염과 요소를 반응시켜서 만들어낸 분말소화약제이며, 기름화재와 전기화재에 유효하다. 이 소화약제는 이전의 약제와 비교해 기름화재에 2~4배의 소화효과가 있다고 한다.
상기 인산 암모늄은 ABC분말약제라고 하며, 최근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ABC의 명칭과 같이 A급 화재(일반화재), B급 화재(기름화재), C급 화재(전기설비화재)의 어느 것에도 적용된다. 분말제의 작용에 추가해서 인산의 탈수작용, 방진작용이 있기 때문에 소화작용범위가 넓어진다.
상기 제습제(40)는 상기 소화용기본체(20)의 수용공간에 충진되어 습기를 제거하도록 된다.
상기 제습제(40)는 실리카겔을 통기성 시트인 합성섬유재로 이루어진 포장지로 포장한 것이며,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소화용기본체(20)의 내면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걸림핀들을 접착하거나 인서트 시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반핀에 의해 상기 분말소화제(30)가 충돌하여 상기 분말소화제(30)가 뭉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화볼(10)은 화재가 발생시 발화지점에 상기 소화볼(10)을 투척하여 벽면이나 지면과 충돌하면서 상기 소화용기본체(20)가 파쇄되어 내부에 충진된 분말소화제(30)가 비산되면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소화볼(10)을 헬기 또는 드론을 통해 공중에서 투척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화용기본체(20)에는 외면에 상기 소화용기본체(20)가 물에 젖거나 물이 흡수되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기 분말소화제(30)가 젖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수층(21)이 더 형성된다.
상기 방수층(21)은 방수도료(에폭시도료 또는 우레탄도료)를 상기 소화용기본체(20)의 표면에 도포한 후 경화시켜 형성시킨 것으로서, 상기 방수층(21)에 의해 소화용기본체(20)가 물에 젖어 부서지거나 물이 흡수되어 분말소화제(30)가 뭉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투척전 또는 주기적으로 소화용기본체(20)를 흔들에 분말소화제(30)를 상기 걸림핀에 충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소화용기본체(20)의 내부에 마련되는 압축공기충진볼(54)에는 나주연에 나사산을 갖는 나사관을 접착하고, 상기 나사관에는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체결관(56)을 나사체결하고, 상기 체결관(56)의 단부에는 코일스프링(55)의 일단을 용접 또는 접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코일스프링(55)의 타단을 상기 소화용기본체(20)의 내측면과 맞닿게 배치시켜 상기 소화용기본체(20)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하도록 하고, 충격이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소화용기본체(20)에는 내부에 충진된 압축공기에 의해 충진된 분말소화제(30)를 비산시키도록 압축공기비산수단(50)이 더 마련된다.
상기 압축공기비산수단(50)은 상기 소화용기본체(20)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구(51)와, 상기 소화용기본체(20)의 내측면에 상기 공기주입구(51)와 연통되게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공기주입구(51)에 끼운 후 접착고정되어 압축공기를 전달하는 연결관(52)과, 상기 연결관(52)의 내부에 끼움된 후 접착되어 고정되며 압축공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체크밸브(53)와, 상기 연결관(52)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관(52)에서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충진되는 관통공(541)이 형성된 압축공기충진볼(54)로 이루어져,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이 파쇄되면서 충진된 압축공기가 분출되어 분말소화제(30)를 비산시켜 비산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관(52)과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은 상기 소화용기본체(2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시키게 되며, 합성수지재 또는 종이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의 관통공(541)에 상기 연결관(52)의 단부를 끼워 접착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과 상기 연결관(52)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관(52)에 에어펌프의 호스를 연결하여 상기 체크밸브(53)를 통해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에 충진시키게 되며, 체크밸브(53)에 의해 충진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은 상기 소화볼(10)의 투척과정에서 벽면이나 지면 또는 대상물에 상기 소화용기본체(20)가 충돌하여 파쇄된 후 벽면이나 지면 또는 대상물에 압축공기충진돌이 충돌하여 파쇄됨으로써, 충진된 압축공기가 외부로 분출되어 분말소화제(30)를 밀어내면서 비산시켜, 비산효율 및 화재진압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고, 화재진압범위를 넓힐 수 있게 된다. 또한, 뭉쳐진 분말소화제(30)를 가압하여 파쇄한 후 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연결관(52)에 에어펌프를 끼운 후 접착고정하고, 상기 에어펌프의 주입구를 상기 체크밸브(53)와 연결하며, 상기 소화용기본체(20)의 외면에는 상기 에어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격감지센서를 부착하여, 상기 소화볼(10)을 투척 후 충돌시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에어펌프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체크밸브(53)를 통해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에 압축공기가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이 파쇄되어 압축공기가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관(52)에는 상기 충격감제선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펜을 접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소화볼(10)을 투척되면서 파쇄시 상기 구동펜이 지속적으로 구동하면서 상기 분말소화제(30)를 지속적으로 비산시켜, 화재의 진압범위를 넓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축공기충진볼(54) 내부에 금속재로 이루어진 타격볼을 배치시켜, 상기 소화볼(10)을 투척하여 대상물이나 벽면에 충돌시 충격을 전달받아 이동되는 타격볼이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을 타격하여 분쇄되어, 압축공기가 분출되도록함으로써, 충격이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에 전달되지 않아 파쇄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의 내측면에 걸림돌기들 및 걸림홈들을 더 일체로 형성하여, 소화볼(10)을 투척시 충격을 전달받아 이동되는 상기 타격볼들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마찰돌기들 및 걸림홈에 걸림되면서 충돌되어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이 파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타격볼의 외면에 마찰돌기들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의 내측면에 충돌되면서 파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화용기본체(20)에는 투척시 충돌에 의한 충격을 전달하여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을 균일하게 파쇄시킴과 아울러 상기 소화용기본체(20) 및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이 파쇄시 내부에 충진된 분말소화제(30)를 비산시키도록 균일파쇄비산수단(60)이 더 마련된다.
상기 균일파쇄비산수단(60)은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의 외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환형의 외측파쇄홈(61)들과,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의 내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환형의 내측파쇄홈(62)들과, 상기 소화용기본체(20)의 내면에 형성되는 결착홈(63)들과, 상기 결착홈(63)에 끼움되는 합성수지재 또는 종이재로 이루어진 결착패널(64)과,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의 외면에 형성되는 안착홈(65)들과, 상기 결착홈(63)에 끼움된 상기 결착패널(64)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홈(65)에 끼움되어 고정되어, 상기 소화용기본체(20)의 충격을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에 전달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탄성샤프트(66)와, 상기 탄성샤프트(66)를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접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샤프트(66)의 진동을 전달받아 진동되어 소화분말을 비산시키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비산날개(67)와, 상기 탄성샤프트(66)의 타단이 상기 안착홈(65)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샤프트(66)에 접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로 형성된 곡선의 걸림패널(68)로 이루어져, 상기 소화용기본체(20)를 투척시 벽면이나 지면 또는 대상물에 충돌하면서 상기 소화용기본체(20)가 파쇄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샤프트(66)가 충격을 전달받아 가압되면서 절곡되고, 상기 탄성샤프트(66)의 가압력이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에 전달되어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을 파쇄시켜 충진된 압축공기가 외부로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투척과정에서 소화용기본체(20)만 파쇄되고 충격이 전달되지 않아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이 파쇄되지 않는 문제점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의 외면에 환형의 외측파쇄홈(61)들이 형성되고, 내면에 환형의 내측파쇄홈(62)들이 형성되어, 상기 외측파쇄홈(61) 또는 상기 내측파쇄홈(62)을 따라 상기 압축공기충진볼(54)이 파쇄되어 균일하게 압축공기충진볼(54)을 파쇄시킬 수 있어, 편중되게 압축공기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소화용기본체(20)가 충돌하는 과정에서 가압되면서 절곡된 탄성샤프트(66)가 탄성에 의해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샤프트(66) 및 상기 비산날개(67)가 분말소화제(30)를 가압 및 밀어내도록 함으로써, 비사효율을 향상시켜 화재의 진압효율을 높이고, 화재진압범위를 넓힐 수 있게 된다. 또한, 뭉쳐진 분말소화제(30)를 타격하여 파쇄된 후 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소화용기본체(20)의 내측면에는 고정고리를 접착 또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로프의 일단을 상기 탄성샤프트(66)(탄성샤프트(66)의 중간부분)에 접착 또는 묶어 고정시킨 후 당긴상태에서 타단을 상기 고정고리에 묶어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탄성샤프트(66)가 당겨지면서 절곡되어 인장된 상태로 배치되고, 투척시 상기 소화용기본체(20)가 파쇄시 상기 고정고리가 상기 소화용기본체(20)에서 분리되면서 절곡된 상기 탄성샤프트(66)가 탄성에 의해 복귀되면서, 상기 탄성샤프트(66) 및 상기 비산날개(67)가 상기 분말소화제(30)를 가압하여 비산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소화볼
20 : 소화용기본체
21 : 방수층
30 : 분말소화제
40 : 제습제
50 : 압축공기비산수단
51 : 공기주입구
52 : 연결관
53 : 체크밸브
54 : 압축공기충진볼
541 : 관통공
55 : 코일스프링
56 : 체결관
60 : 균일파쇄비산수단
61 : 외측파쇄홈
62 : 내측파쇄홈
63 : 결착홈
64 : 결착패널
65 : 안착홈
66 : 탄성샤프트
67 : 비산날개
68 : 걸림패널

Claims (4)

  1. 화재를 진압하도록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소화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소화용기본체;
    상기 소화용기본체의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분말소화제; 및
    상기 소화용기본체의 수용공간에 충진되어 습기를 제거하도록 된 제습제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소화용기본체에는 내부에 충진된 압축공기에 의해 충진된 분말소화제를 비산시키도록 압축공기비산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압축공기비산수단은,
    상기 소화용기본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구와,
    상기 소화용기본체의 내측면에 상기 공기주입구와 연통되게 일단이 고정되어 압축공기를 전달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관에서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충진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압축공기충진볼로 이루어져,
    상기 압축공기충진볼이 파쇄되면서 충진된 압축공기가 분출하면서 분말소화제를 비산시키도록 된 것이며,
    상기 소화용기본체에는 투척시 충돌에 의한 충격을 전달하여 상기 압축공기충진볼을 균일하게 파쇄시킴과 아울러 상기 소화용기본체 및 상기 압축공기충진볼이 파쇄시 내부에 충진된 분말소화제를 비산시키도록 균일파쇄비산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균일파쇄비산수단은 상기 압축공기충진볼의 외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외측파쇄홈들과,
    상기 압축공기충진볼의 내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내측파쇄홈들과,
    상기 소화용기본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결착홈들과,
    상기 결착홈에 끼움되는 결착패널과,
    상기 압축공기충진볼의 외면에 형성되는 안착홈들과,
    상기 결착홈에 끼움된 상기 결착패널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안착홈에 끼움되어 고정되어, 상기 소화용기본체의 충격을 상기 압축공기충진볼에 전달하는 탄성샤프트와,
    상기 탄성샤프트를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상기 탄성샤프트의 진동을 전달받아 진동되어 소화분말을 비산시키는 비산날개와,
    상기 탄성샤프트의 타단이 상기 안착홈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샤프트에 형성되는 걸림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용 소화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용기본체는 전분과 물을 혼합한 반죽을 성형한 후 건조하여 형성시키게 되고,
    상기 소화용기본체가 물에 젖거나 물이 흡수되어 내부에 충진되는 상기 분말소화제가 젖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면에 방수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용 소화볼.
  3. 삭제
  4. 삭제
KR1020190169605A 2019-12-18 2019-12-18 화재진압용 소화볼 KR102112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605A KR102112323B1 (ko) 2019-12-18 2019-12-18 화재진압용 소화볼
PCT/KR2020/000505 WO2021125427A1 (ko) 2019-12-18 2020-01-10 화재진압용 소화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605A KR102112323B1 (ko) 2019-12-18 2019-12-18 화재진압용 소화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323B1 true KR102112323B1 (ko) 2020-05-19

Family

ID=7091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605A KR102112323B1 (ko) 2019-12-18 2019-12-18 화재진압용 소화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2323B1 (ko)
WO (1) WO202112542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7442A (zh) * 2021-07-31 2021-11-02 江苏维德锅炉有限公司 一种模块式燃气中央热水炉维护系统
KR20220085974A (ko) 2020-12-16 2022-06-23 대신아이브(주) 소화약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탄
WO2024005272A1 (ko) * 2022-06-30 2024-01-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스 하이드레이트 소화탄 및 이를 이용한 화염 진압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664Y1 (ko) * 1994-08-12 1997-06-10 황연호 소화탄
KR200372132Y1 (ko) * 2004-09-22 2005-01-10 이종인 테스트 볼이 내장된 분말 소화기
KR100478634B1 (ko) 2000-11-20 2005-03-23 채민수 웹상에서의 순간돌출광고 제공장치 및 그 방법
US20120048577A1 (en) * 2010-08-27 2012-03-01 Gregory Keaton Ball Fire suppression device
CN204050740U (zh) * 2014-09-04 2014-12-31 左兆陆 一种新型自动灭火弹
CN207356450U (zh) * 2017-09-29 2018-05-15 四川胜捷消防设备制造有限公司 多方位消防灭火球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664U (ko) * 1995-07-28 1997-02-19 플랙시블 주입부트가 구비된 저장탱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664Y1 (ko) * 1994-08-12 1997-06-10 황연호 소화탄
KR100478634B1 (ko) 2000-11-20 2005-03-23 채민수 웹상에서의 순간돌출광고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200372132Y1 (ko) * 2004-09-22 2005-01-10 이종인 테스트 볼이 내장된 분말 소화기
US20120048577A1 (en) * 2010-08-27 2012-03-01 Gregory Keaton Ball Fire suppression device
CN204050740U (zh) * 2014-09-04 2014-12-31 左兆陆 一种新型自动灭火弹
CN207356450U (zh) * 2017-09-29 2018-05-15 四川胜捷消防设备制造有限公司 多方位消防灭火球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974A (ko) 2020-12-16 2022-06-23 대신아이브(주) 소화약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탄
CN113587442A (zh) * 2021-07-31 2021-11-02 江苏维德锅炉有限公司 一种模块式燃气中央热水炉维护系统
WO2024005272A1 (ko) * 2022-06-30 2024-01-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스 하이드레이트 소화탄 및 이를 이용한 화염 진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5427A1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323B1 (ko) 화재진압용 소화볼
KR102112321B1 (ko) 대형 산불 진화용 소화탄
KR102102768B1 (ko)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녹말소화볼
KR102131916B1 (ko) 고층건물 내부 화재진압용 자폭드론
KR102133945B1 (ko) 대형산불 진화용 소화탄 기폭 장치
UA93547C2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US3889758A (en) Hand operable fire extinguisher
WO2006057658A9 (en) Primer launched projectile systems
US20120037717A1 (en) Dispersing device, its use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pulverized spreading a physical agent
US7896092B2 (en) Device to extinguish a fire produced in a building
CN104436482A (zh) 球型爆炸式干粉灭火器
KR102112322B1 (ko) 화재진압용 탄환소화기
CN205434764U (zh) 一种投掷式灭火瓶
KR102102767B1 (ko)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
CN207384634U (zh) 一种无人机机载森林消防水基灭火弹
US20180250541A1 (en) Enhanced dry chemical fire extinguishing com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CN201799035U (zh) 一种用于支架式发射器的灭火弹
CN216653202U (zh) 一种新型灭火器
CN201149469Y (zh) 球形灭火弹
CN114304130A (zh) 一种远程驱鸟药剂分散投放弹
RU9893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сбрасываемое с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JP3113595U (ja) 動物威嚇銃
CN206372422U (zh) 多功能手持式灭火器
CN102755704B (zh) 一种灭火弹
CN207785713U (zh) 一种串联式管投灭火粉剂灭火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