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974A - 소화약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탄 - Google Patents

소화약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974A
KR20220085974A KR1020200176010A KR20200176010A KR20220085974A KR 20220085974 A KR20220085974 A KR 20220085974A KR 1020200176010 A KR1020200176010 A KR 1020200176010A KR 20200176010 A KR20200176010 A KR 20200176010A KR 20220085974 A KR20220085974 A KR 20220085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agent
fire
starch
compressed air
ammonium phosph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도
Original Assignee
대신아이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아이브(주) filed Critical 대신아이브(주)
Priority to KR1020200176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5974A/ko
Publication of KR20220085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9/00Hand fire-extinguishers in which the extinguishing substance is expelled by an explosion; Exploding containers thrown into the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6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all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4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 F42B12/5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gases, vapours, powders or chemically-reactive substances by disper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약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소화약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탄은 통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분말소화제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의 개방된 하부를 차폐하기 위한 공기주입 받침대를 포함하는 소화약제 케이스 및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며, 상기 소화약제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충격에 의해 파손될 경우 충진된 압축공기를 방출하면서 상기 분말소화제를 비산시키는 압축공기비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약제 케이스는 인산암모늄((NH4)3PO4)과 녹말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약제 케이스는 인산비료의 주요 원료인 인산암모늄과 녹말을 이용하여 형성됨에 따라 화재지점에 투척된 이후 토양의 거름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소화약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탄{ A fire extinguishing case made of extinguishing agent and fire extinguishing bomb using of the same }
본 발명은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약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소화약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탄(消火彈, grenade for fire extinguishing)은 화재 지역에 투척 또는 투하하여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 기구로, 내부공간이 마련된 케이스 내부에 소화약제가 충진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소화탄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다량의 소화약제를 화재지점에 집중시킴으로써 빠른 시간에 화재 진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산불이나 소방관 또는 다른 소방장비의 진입이 용이하지 못한 지역에서 원거리 투척 또는 투하를 통해 효율적인 화재 진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능의 소화탄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의 케이스로 형성된다. 따라서, 화재 진압 이후 소화탄 케이스가 화재지역에 잔존하게 되며, 이에 대한 수거가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환경을 오염시키는 오염원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소화탄의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12323 “화재진압용 소화볼”과, 10-2102767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 및 10-2102768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녹말소화볼”에는 녹말을 이용한 용기에 소화약제를 충진하는 구조를 개발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녹말과 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이를 케이스로 성형하여 제조되었으나, 연성이 높고 취성이 낮아 실제 화재지역에 투척할 경우 케이스의 파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선행문헌에는 케이스의 파쇄를 위한 기폭장치 등이 더 포함되고 있다.
KR 10-2112323 B1 KR 10-2102767 B1 KR 10-2102768 B1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지점에 투척 또는 투하된 이후 토양의 거름으로 활용될 수 있는 소화약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친환경 조성으로 경도와 파쇄강도를 개선시킨 소화약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목적의 소화약제 케이스를 포함하는 소화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약제 케이스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분말소화제와 상기 분말소화제를 비산시키기 위한 공기압축용기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상부바디 및 상기 상부바디의 개방된 하부를 차폐하며, 상기 공기압축용기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압축공기 주입부가 형성되는 하부바디를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상부바디는 인산암모늄((NH4)3PO4)과 녹말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산암모늄((NH4)3PO4)과 녹말의 혼합물은 녹말과 인산암모늄((NH4)3PO4)을 중량비 1 대 3 내지 3.5의 비율로 물과 교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화탄은 통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분말소화제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의 개방된 하부를 차폐하기 위한 공기주입 받침대를 포함하는 소화약제 케이스 및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며, 상기 소화약제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충격에 의해 파손될 경우 충진된 압축공기를 방출하면서 상기 분말소화제를 비산시키는 압축공기비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약제 케이스는 인산암모늄((NH4)3PO4)과 녹말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약제 케이스는 녹말과 인산암모늄((NH4)3PO4)을 중량비 1 대 3 내지 3.5의 비율로 물과 교반하여 주형법에 의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공기비산수단은 상기 하부바디와 체결되어 압축공기 주입부를 통해 공기가 충진되는 공기압축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바디에는 소정 크기의 화약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화약수용공간을 관통하여 압축공기 주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화약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수용된 화약을 점화하기 위한 점화플러그 및 외부 열감지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점화플러그에 점화시그널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열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약제 케이스는 인산비료의 주요 원료인 인산암모늄과 녹말을 이용하여 형성됨에 따라 화재지점에 투척된 이후 토양의 거름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약제 케이스는 녹말과 인산암모늄을 혼합하여 성형되면서 녹말로 인한 성형성 향상은 물론 인산암모늄에 의한 파쇄강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소화약제 케이스를 포함하는 소화탄은 보관성은 물론 화재지점 투척 또는 투하 시 보다 용이하게 파쇄되어 소화약제를 비산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탄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공기압축용기의 상세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3 은 도 1 에 따른 소화탄의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탄 케이스의 주요 구성인 녹말과 인산암모늄 혼합물의 조성비에 따른 성형성 및 파쇄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탄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다. 또한,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체결”,“결합”,“구비”,“연결”되거나,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형성”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직접적으로 구비 또는 연결되거나 언급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체결”,“결합”, “구비”또는“연결”되거나, 또 다른 구성과 함께“형성”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탄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고, 도 2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공기압축용기의 상세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며, 도 3 에는 도 1 에 따른 소화탄의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화탄(10)은 상부바디(200)와 하부바디(400)가 서로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분말소화제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소화약제 케이스와, 상기 소화약제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며 파손 시 충진된 압축공기를 방출하면서 상기 분말소화제를 비산시키는 압축공기비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소화약제 케이스는 친환경 재질인 녹말과 인산비료의 원료인 인산안모늄((NH4)3PO4)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상부바디(200)는 하부가 개방된 통상으로 형성되며 녹말과 인산암모늄을 물과 혼합하여 주형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바디(200)는 물과 교반되어 형성되는 녹말과 인산암모늄의 혼합물을 금형 내부에 주입하고 이를 가열하여 성형될 수 있으며, 혼합물 형성 시 투입된 물을 증발시키기 위한 형태면 가열장치의 구조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일 예로, 금형을 마이크로웨이브 사용 가능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가열도 가능하나, 전자레인지의 크기를 고려한 소형 소화탄의 경우에만 가능하며, 대형 소화탄의 경우 금형을 직접 가열하는 방식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하부바디(400)의 경우에도 녹말과 인산암모늄 혼합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바디(200)와 대응되는 형태로 성형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바디(200)에는 하단 내측에 케이스 결합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바디(400)에는 상기 케이스 결합부(220)와 대응되는 외경체결부(42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220) 및 외경체결부(420)는 서로 대응되는 나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서로 체결 또는 체결해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바디(400)에는 상기 압축공기비산수단으로 주입되는 공기의 주입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압축공기주입부(440)가 구비되며, 상기 압축공기주입부(440)는 체크밸브(4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압축공기주입부(440)는 상기 하부바디(20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소정 직경의 홀과 상기 홀과 대응되는 직경의 관로 및 상기 관로의 단부에 구비되는 체크밸브(48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480)는 상기 하부바디(200)가 상기 압축공기비산수단과 체결되는 경우 상기 압축공기비산수단의 내부에 수용되어 밀폐된다.
상기 압축공기비산수단은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이 용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유리재질의 공기압축용기(600)가 적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기압축용기(600)는 상기 상부바디(200)와 마찬가지로 하부가 개방된 통상으로 형성되며,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하부바디(400)와 체결되는 용기결합부(620)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바디(400)에는 상기 용기결합부(620)와 대응되는 내경체결부(46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용기결합부(620)와 내경체결부(460)는 나선홈 구조로 서로 회전에 의해 체결 또는 체결해지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하부바디(400)에는 우선, 상기 용기결합부(620)를 상기 내경체결부(460)에 대응시켜 공기압축용기(600)를 회전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체결되는 공기압축용기(600)에는 상기 압축공기주입부(440)를 통해 압축공기 수용공간(610)으로 공기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압축용기(600)의 체결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상부바디(200)의 내부공간으로 분말소화약제(20)가 충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분말소화약제(20)는 상부바디(200) 및 하부바디(400)의 제조에 사용되는 인산암모늄((NH4)3PO4)이 적용되나 중탄산나트륨(탄산수소나트륨, NaHCO3), 중탄산칼륨(탄산수소칼륨, KHCO3) 등의 분말 형태의 소화약제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말소화약제(20)의 충진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상기 공기압축용기(600)가 결합된 하부바디(400)에 상부바디(200)가 회전체결된다.
즉, 상기 하부바디(400)의 외경체결부(420)에 상부바디(200)의 케이스 결합부(220)를 대응시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부바디(400)를 중심으로 공기압축용기(600)와 상부바디(200)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탄(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바디(200) 및 하부바디(400)로 이루어진 소화약제 케이스가 녹말과 인산암모늄의 혼합물로 형성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 화재지점에서 용이하게 파쇄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특징을 구현하기 위해 녹말과 인산암모늄의 비율을 조정하면서 성형성 및 파쇄강도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결과와 함께 본원 발명의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탄 케이스의 주요 구성인 녹말과 인산암모늄 혼합물의 조성비에 따른 성형성 및 파쇄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된다.
우선, 도 4의 좌측 상단에 도시된 결과물은 종래기술과 같이 인산암모늄의 혼합 없이 녹말을 물과 혼합한 혼합물(녹말 100%)로 녹말 100g을 물과 교반한 이후 가열건조시켜 제조되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합물(녹말 100%, 이하‘제1혼합물’이라 함)은 연성이 높고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상태로 젤라틴과 같은 형태로 경화되었으며, 취성이 낮은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제1혼합물은 성형성은 확보되나 화재 지점에 투척 또는 투하 시 파쇄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4의 상단 우측에 도시된 결과물은 녹말과 인산암모늄을 1대1로 물과 혼합한 혼합물(이하‘제2혼합물’이라 함)로 녹말 50g과 인산암모늄 50g을 물과 교반한 이후 가열건조시켜 제조되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제2혼합물은 형상의 유지는 가능하였으나 쉽게 파쇄됨에 따라 강도면에서 케이스 성형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4의 중앙에 도시된 결과물은 녹말과 인산암모늄을 1대 3.51의 비율로 물과 혼합한 혼합물(이하‘제3혼합물’이라 함)로 녹말 22g과 인산암모늄78g을 물과 교반한 이후 가열건조시켜 제조되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제3혼합물은 제2혼합물 대비 보다 조밀한 형태로 형상의 유지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도가 향상되어 케이스 성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부 충격을 가할 경우 제1혼합물 대비 파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투척 또는 투하 시 용이하게 파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성형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4의 좌측 하단에 도시된 결과물은 녹말과 인산암모늄을 1대 7의 비율로 물과 혼합한 혼합물(이하‘제4혼합물’이라 함)로 녹말 12.5g과 인산암모늄 87.5g을 물과 교반한 이후 가열건조시켜 제조되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제4혼합물은 제2혼합물 대비 인산암모늄의 비율을 높인 것으로 제조된 혼합물의 외형은 단단히 경화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제2혼합물과 마찬가지로 쉽게 파쇄되는 성질이 나타났으며, 인산암모늄의 비율이 높을 경우 취성이 높아져 케이스 성형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4의 우측 하단에 도시된 결과물은 인산암모늄의 비율을 감소시켜 녹말과 인산암모늄을 1대 4.98의 비율로 물과 혼합한 혼합물(이하‘제5혼합물’이라 함)로 녹말 17g과 인산암모늄 83g을 물과 교반한 이후 가열건조시켜 제조되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제5혼합물은 제4혼합물보다는 향상되었으나 역시 쉽게 파쇄되는 성질이 나타났으며, 경도나 강도면에서 제3혼합물 보다 케이스 성형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상기와 같은 실험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약제 케이스의 제조 시 녹말의 비율이 증가되면 성형성은 향상되나 연성 및 탄성이 증가되어 파쇄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산암모늄의 비율이 증가되면 결합력이 저하되고 취성이 증가하여 쉽게 파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화약제 케이스는 녹말과 인산암모늄을 1 대 3 내지 3.5의 비율 범위에서 제조되어, 성형성은 물론 화재지점 투척 또는 투하 시 효과적인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소화약제 케이스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화탄은 화재지점에 보다 효과적인 투척 또는 투하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탄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상부바디(200)의 상단에 소화약제의 충진을 위한 소화약제 주입구(240)가 형성된다.
상기 소화약제 주입구(240)는 상부바디(200)의 성형 시 소정 크기의 홀 형태로 성형될 수 있으며, 소화약제 수용공간(210)과 연통되고 소화약제의 주입 이후에는 대응되는 크기의 마개(plug)를 이용하여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바디(400)에는 소정 크기의 화약수용공간(330)이 형성되고, 상기 화약수용공간(330)을 관통하여 압축공기 주입부(440)가 공기압축용기(600)와 접속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화약수용공간(330) 내부에는 수용된 화약을 점화하기 위한 점화플러그(450) 및 외부 열감지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점화플러그(450)에 점화시그널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열감지센서(500)가 더 구비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화재지점에 투척 또는 투하되는 소화탄이 화재지점에 접근하면서 열감지센서(500)에 의해 점화시그널이 생성되고, 이를 수신한 점화플러그(450)가 격발되면서 소화탄에 추진력이 발생하여 화재지점을 향해 보다 빠르고 강하게 접근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바디(400)의 저면에는 가스분사구(470)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바디(400) 성형 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소정 크기의 홀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바디(400)의 하측에는 받침대(800)가 끼움 장착되어 소화탄의 보관 시 상기 가스분사구(470) 및 압축공기주입부(440)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보다 안정적인 보관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탄은 화재지점에 투척 또는 투하 되는 경우 소화약제 케이스가 파쇄되면서 내부에 충진된 소화약제가 비산된다. 이때, 공기압축용기(600)가 함께 파쇄되면서 압축공기가 소화약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비산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재 진압 범위를 보다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탄의 소화약제 케이스는 인산비료의 재료인 인산암모늄을 포함하여 제조됨에 따라 화재지점에서 파쇄되어 지면에 잔존하는 경우에도 환경오염이 방지될 수 있음은 물론 지면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200.......... 상부바디 210.......... 소화약제 수용공간
220.......... 케이스 결합부 240.......... 소화약제 투입구
400.......... 하부바디 420.......... 외경체결부
430.......... 화약 수용공간 440.......... 압축공기주입부
450.......... 점화플러그 460.......... 내경체결부
470.......... 가스분사구 500.......... 열감지센서
600.......... 공기압축용기 800.......... 받침대

Claims (6)

  1. 통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분말소화제와 상기 분말소화제를 비산시키기 위한 공기압축용기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상부바디; 및
    상기 상부바디의 개방된 하부를 차폐하며, 상기 공기압축용기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압축공기 주입부가 형성되는 하부바디;를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상부바디는 인산암모늄((NH4)3PO4)과 녹말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암모늄((NH4)3PO4)과 녹말의 혼합물은 녹말과 인산암모늄((NH4)3PO4)을 중량비 1 대 3 내지 3.5의 비율로 물과 교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케이스.
  3. 통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분말소화제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의 개방된 하부를 차폐하기 위한 공기주입 받침대를 포함하는 소화약제 케이스; 및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며, 상기 소화약제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충격에 의해 파손될 경우 충진된 압축공기를 방출하면서 상기 분말소화제를 비산시키는 압축공기비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약제 케이스는,
    인산암모늄((NH4)3PO4)과 녹말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약제 케이스는,
    녹말과 인산암모늄((NH4)3PO4)을 중량비 1 대 3 내지 3.5의 비율로 물과 교반하여 주형법에 의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비산수단은,
    상기 하부바디와 체결되어 압축공기 주입부를 통해 공기가 충진되는 공기압축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에는,
    소정 크기의 화약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화약수용공간을 관통하여 압축공기 주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화약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수용된 화약을 점화하기 위한 점화플러그 및
    외부 열감지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점화플러그에 점화시그널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열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탄.
KR1020200176010A 2020-12-16 2020-12-16 소화약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탄 KR20220085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010A KR20220085974A (ko) 2020-12-16 2020-12-16 소화약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010A KR20220085974A (ko) 2020-12-16 2020-12-16 소화약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974A true KR20220085974A (ko) 2022-06-23

Family

ID=8222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010A KR20220085974A (ko) 2020-12-16 2020-12-16 소화약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597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375B1 (ko) 2022-07-01 2022-12-30 사태형 소화탄
KR20240003081A (ko) 2022-06-30 2024-01-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스 하이드레이트 소화탄 및 이를 이용한 화염 진압 방법
KR102649179B1 (ko) 2023-04-27 2024-03-22 강소 주식회사 소화탄 소화약제의 산포각도를 조절하는 소화탄 거치대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767B1 (ko) 2019-11-27 2020-04-23 아이브에어크레프트(주)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
KR102102768B1 (ko) 2019-11-27 2020-04-24 아이브에어크레프트(주)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녹말소화볼
KR102112323B1 (ko) 2019-12-18 2020-05-19 아이브에어크레프트(주) 화재진압용 소화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767B1 (ko) 2019-11-27 2020-04-23 아이브에어크레프트(주)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
KR102102768B1 (ko) 2019-11-27 2020-04-24 아이브에어크레프트(주)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녹말소화볼
KR102112323B1 (ko) 2019-12-18 2020-05-19 아이브에어크레프트(주) 화재진압용 소화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081A (ko) 2022-06-30 2024-01-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스 하이드레이트 소화탄 및 이를 이용한 화염 진압 방법
KR102483375B1 (ko) 2022-07-01 2022-12-30 사태형 소화탄
KR102649179B1 (ko) 2023-04-27 2024-03-22 강소 주식회사 소화탄 소화약제의 산포각도를 조절하는 소화탄 거치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5974A (ko) 소화약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탄
KR101249770B1 (ko) 공중폭발탄용 탄두의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7908972B2 (en) Flare-bang projectile
US20060169165A1 (en) Super long range crash-bang round
US8881655B2 (en) Projectile with strike point marking
US20120180686A1 (en) Frangible Projectile, And Weapon Cartridge Containing Same
JP2002521641A (ja) 硬質標的焼夷砲弾
CN111433554B (zh) 全包覆件-安全弹头、尤其用于多用途应用
US7546804B1 (en) Artillery charge with laser ignition
US10030955B1 (en) Multi-purpose non-lethal blunt trauma grenade
JPH0210099A (ja) 爆弾弾丸
RU2751328C1 (ru) Снаряд с пиротехническим боевым зарядом
US20110011296A1 (en) Subprojectile having an energy content
JP2010523927A5 (ko)
US20210404778A1 (en) Canister assembly with protected cap well and booster explosive comprising the same
JP3977846B2 (ja) 空包用弾薬
JP3681317B2 (ja) 空包用弾薬
US3690260A (en) Flame sensitive ignitor
RU2398181C1 (ru) Дымовая граната
NO136127B (no) Fremgangsm}te for behandling av jord for fiksering av skadelige metallioner som inneholdes deri.
RU2634337C2 (ru) Пиротехн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RU2346231C2 (ru) Осколочно-пучковый снаряд "тверской"
GB191305338A (en) Improvements in Projectiles.
US155782A (en) Improvement in pyrotechnic signals
US1316148A (en) Xqx jl jlill-j j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