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767B1 -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 - Google Patents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767B1
KR102102767B1 KR1020190154276A KR20190154276A KR102102767B1 KR 102102767 B1 KR102102767 B1 KR 102102767B1 KR 1020190154276 A KR1020190154276 A KR 1020190154276A KR 20190154276 A KR20190154276 A KR 20190154276A KR 102102767 B1 KR102102767 B1 KR 102102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ch
fire
extinguishing agent
base body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도
Original Assignee
아이브에어크레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브에어크레프트(주) filed Critical 아이브에어크레프트(주)
Priority to KR1020190154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767B1/ko
Priority to PCT/KR2020/000419 priority patent/WO202110726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6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all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14Powders; Granu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를 진압하도록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녹말소화기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녹말용기본체와,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분말소화제와,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하부게 체결되어 고정시키는 받침대로 이루어져, 분말소화제를 수용되는 녹말용기본체가 친환경소재로 형성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되고, 구조가 간단하여 수용된 분말소화제를 신속하게 비산시킬 수 있어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 { Bullet starch fire extinguisher with powder fire extinguishing }
본 발명은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소화제가 수용되는 녹말용기본체가 친환경소재로 형성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되고, 구조가 간단하여 수용된 분말소화제를 신속하게 비산시킬 수 있어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되는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消火器, fire extinguisher)는 화재의 극히 초기단계에서 소화제가 갖는 냉각 또는 공기차단 등의 효과를 이용해서 불을 끄는, 운반할 수 있는 기구를 말한다. 사용하는 약제 또는 그 메커니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화기는 포말소화기(泡沫消火器), 분말소화기, 할론소화기, 이산화탄소소화기 등이다.
이러한, 소화기는 소화약제가 충전되는 내압용기 형태의 용기와, 용기의 상단 주입구에 설치되는 밸브와, 밸브에 연결되는 관 형태의 노즐부를 포함한다. 밸브에는 압력게이지와 손잡이가 설치된다. 화재지점을 향해 정확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부는 가요성 호스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발화물질의 성질에 따라 또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사용되는 소화약제는 종류가 달라지기도 한다. 근래에는 민수용 또는 군수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친환경 약제를 사용한 소화기가 제안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소화기는 중량의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어, 그 무게에 의해 어린이나 노약자가 직접 들고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레버를 파지한 후 회전시켜 작동시켜야 하므로 원활히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재차발생하여 신속한 화재의 진압이 어려운 문제점이 상존하게 되며, 소화용기의 재활용이 어려워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실용 제047863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분말소화제가 수용되는 녹말용기본체가 친환경소재로 형성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되고, 구조가 간단하여 수용된 분말소화제를 신속하게 비산시킬 수 있어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되는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재를 진압하도록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녹말소화기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녹말용기본체와,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분말소화제와,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하부게 체결되어 고정시키는 받침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하단부가 끼움되어 고정되도록 상면에 안착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녹말용기본체에는 화재가 발생시 열을 감지한 후 녹말용기본체를 파쇄시켜 내부의 분말소화제가 비산되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폭발형비산발사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폭발형비산발사수단은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수용공간을 구획,분할하도록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패널과, 상기 격벽패널에 의해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충진공간과, 상기 충진공간에 배치되는 화약과,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저면 중앙에 상기 충진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분사구와,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화재가 발생시 열기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와,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열감지센서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화약을 점화시키는 점화플러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녹말용기본체에는 화재시 사용자가 발화지점으로 투척하여, 충돌에 의해 상기 녹말용기본체를 파쇄시켜 내부에 충진된 분말소화제로 화재를 진압하도록 된 투척진압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투척진압수단은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시 손가락의 일부가 인입되는 걸림파지홈들로 이루어진 걸림홈부와, 상기 녹말용기본체를 투척시 회전시키도록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 후 투척시 손가락에 걸림되는 걸림돌기들로 이루어진 회전걸림부와,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내측 저면과 상면을 연결하며 배치되는 축봉과, 상기 축봉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축봉에 고정되는 반발코일스프링들과, 상기 반발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반발코일스프링의 타단에 고정되는 확산패널과, 상기 축봉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반발코일스프링들을 연결하는 탄성연결바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는 분말소화제를 수용되는 녹말용기본체가 친환경소재로 형성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되고, 구조가 간단하여 수용된 분말소화제를 신속하게 비산시킬 수 있어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의 녹말용기본체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의 녹말용기본체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탄환녹말소화기라 명명함)는 투척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녹말소화기로서, 이에 이와같은 목말소화기는 녹말용기본체(20)와 녹말소화제와 받침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녹말용기본체(20)는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용공간(21)이 마련된다.
상기 녹말용기본체(20)는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물과 혼합한 후 내부에 수용공간(21)을 갖는 용기로 성형시킨 후 경화시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녹말용기본체(20)는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 이외에 경화시 충격에 의해 파손되고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인 것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다르게는 상기 녹말용기본체(20)를 합성수지재로 형성시켜 충격시 파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말소화제는 상기 녹말용기본체(20)의 수용공간(21)에 충진된다.
상기 분말소화제는 요소탄산수소칼륨과, 인산 암모늄이 사용되며, 분말형태의 소화제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요소탄산수소칼륨은 부(負)촉매효과가 강한 칼륨염과 요소를 반응시켜서 만들어낸 분말소화약(53)제이며, 기름화재와 전기화재에 유효하다. 이 소화약(53)제는 이전의 약제와 비교해 기름화재에 2~4배의 소화효과가 있다고 한다.
상기 인산 암모늄은 ABC분말약제라고 하며, 최근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ABC의 명칭과 같이 A급 화재(일반화재), B급 화재(기름화재), C급 화재(전기설비화재)의 어느 것에도 적용된다. 분말제의 작용에 추가해서 인산의 탈수작용, 방진작용이 있기 때문에 소화작용범위가 넓어진다.
상기 받침대(40)는 상기 녹말용기본체(20)의 하부게 체결되어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받침대(40)는 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녹말용기본체(20)의 하단부가 끼움되어 고정되도록 상면에 안착홈(41)이 더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40)는 목재로 이루어지며, 금속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녹말소화기는 화재가 발생시 발화지점에 상기 녹말용기본체(20)를 투척하여 벽면이나 지면과 충돌하면서 상기 녹말용기본체(20)가 파쇄되어 내부에 충진된 분말소화제(30)가 비산되면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녹말용기본체(20)에는 화재가 발생시 열을 감지한 후 녹말용기본체(20)를 파쇄시켜 내부의 분말소화제가 비산되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폭발형비산발사수단(50)이 더 마련된다.
상기 폭발형비산발사수단(50)은 상기 녹말용기본체(20)의 수용공간(21)을 구획,분할하도록 상기 녹말용기본체(20)의 내부에 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격벽패널(51)과, 상기 격벽패널(51)에 의해 상기 녹말용기본체(2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충진공간(52)과, 상기 충진공간(52)에 배치되는 화약(53)과, 상기 녹말용기본체(20)의 저면 중앙에 상기 충진공간(52)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분사구(54)와, 상기 녹말용기본체(20)의 외면에 부착되어 화재가 발생시 열기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55)와, 상기 녹말용기본체(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열감지센서(55)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화약(53)을 점화시키는 점화플러그(56)로 이루어져, 화재가 발생시 상기 열감지센서(55)가 발화된 열을 감지하여 상기 점화플러그(56)에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점화플러그(56)는 상기 화약(53)을 점화시켜 폭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화약(53)이 폭발하면서 상기 녹말용기본체(20)가 파쇄(폭발)되어 내부의 분말소화제(30)가 비산하면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화약(53)이 폭발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가 상기 분사구(54)를 통해 배출되면서 발생되는 추진력에 의해 상기 녹말용기본체(20)가 공중으로 뜨면서 파쇄되어 비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천장이나 벽면과 충돌하여 파쇄되면서 폭발과 함께 분말소화제(30)가 비산되도록 함으로써, 재차 비산효율을 높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40)의 안착홈(41)에는 저면과 측면에 안내롤러들을 더 마련하여, 상기 안내롤러가 상기 안착홈(41)에 끼움된 상기 녹말용기본체(20)의 하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가 화약(53)을 점화시 공중으로 뜨는 과정에서 안내하여 상기 안착홈(41)과 마찰되거나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말용기본체(20)에는 화재시 사용자가 발화지점으로 투척하여, 충돌에 의해 상기 녹말용기본체(20)를 파쇄시켜 내부에 충진된 분말소화제로 화재를 진압하도록 된 투척진압수단(60)이 더 마련된다.
상기 투척진압수단(60)은 상기 녹말용기본체(20)의 외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시 손가락의 일부가 인입되는 걸림파지홈(611)들로 이루어진 걸림홈부(61)와, 상기 녹말용기본체(20)를 투척시 회전시키도록 상기 녹말용기본체(2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 후 투척시 손가락에 걸림되는 걸림돌들로 이루어진 회전걸림부(62)와, 상기 녹말용기본체(20)의 내측 저면과 상면을 연결하며 양단부가 접착되거나 인서트되어 배치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축봉(63)과, 상기 축봉(6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축봉(63)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반발코일스프링(64)들과, 상기 반발코일스프링(64)의 탄성에 의해 상기 녹말용기본체(20)의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반발코일스프링(64)의 타단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금속으로 형성된 곡선의 확산패널(65)과, 상기 축봉(63)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반발코일스프링(64)들을 연결하며 용접되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탄성연결바(66)들로 이루어져, 상기 녹말용기본체(20)를 발화지점으로 투척시 벽면이나 지면과 충돌하면서 상기 반발코일스프링(64)이 압축되고 탄성에 의해 복귀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그 진동이 확산패널(65)과 탄성연결바(66)에 전달되어 분말소화제(30)가 충돌 및 마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말소화제(30)가 뭉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비산되어 확산되는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축봉(63)에는 진동기인 바이브레이터를 더 접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녹말용기본체(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진동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진동센서가 부착되어, 상기 녹말용기본체(20)를 투척시 벽면이나 바닥과 충돌되어 파쇄시 그 진동이나 충격을 상기 진동센서가 감지하여 상기 진동기에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진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축봉(63)과 연결된 반발코일스프링(64)과 확산패널(65)과 상기 탄성연결바(66)에 전달되도함과 아울러 분말소화제(30)에 전달되어 분말소화제(30)가 뭉치는 것을 방지하고 확산 및 비산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탄환녹말소화기
20 : 녹말용기본체
21 : 수용공간
30 : 분말소화제
40 : 받침대
41 : 안착홈
50 : 폭발형비산발사수단
51 : 격벽패널
52 : 충진공간
53 : 화약
54 : 분사구
55 : 열감지센서
56 : 점화플러그
60 : 투척진압수단
61 : 걸림홈부
611 : 걸림파지홈
62 : 회전걸림부
621 : 걸림돌기
63 : 축봉
64 : 반발코일스프링
65 : 확산패널
66 : 탄성연결바

Claims (4)

  1. 화재를 진압하도록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녹말소화기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녹말용기본체;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분말소화제; 및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하부게 체결되어 고정시키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녹말용기본체에는 화재시 사용자가 발화지점으로 투척하여, 충돌에 의해 상기 녹말용기본체를 파쇄시켜 내부에 충진된 분말소화제로 화재를 진압하도록 된 투척진압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투척진압수단은,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시 손가락의 일부가 인입되는 걸림파지홈들로 이루어진 걸림홈부와,
    상기 녹말용기본체를 투척시 회전시키도록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 후 투척시 손가락에 걸림되는 걸림돌기들로 이루어진 회전걸림부와,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내측 저면과 상면을 연결하며 배치되는 축봉과,
    상기 축봉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축봉에 고정되는 반발코일스프링들과,
    상기 반발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반발코일스프링의 타단에 고정되는 확산패널과,
    상기 축봉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반발코일스프링들을 연결하는 탄성연결바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하단부가 끼움되어 고정되도록 상면에 안착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말용기본체에는 화재가 발생시 열을 감지한 후 녹말용기본체를 파쇄시켜 내부의 분말소화제가 비산되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폭발형비산발사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폭발형비산발사수단은,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수용공간을 구획,분할하도록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패널과,
    상기 격벽패널에 의해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충진공간과,
    상기 충진공간에 배치되는 화약과,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저면 중앙에 상기 충진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분사구와,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화재가 발생시 열기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와,
    상기 녹말용기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열감지센서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화약을 점화시키는 점화플러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
  4. 삭제
KR1020190154276A 2019-11-27 2019-11-27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 KR102102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276A KR102102767B1 (ko) 2019-11-27 2019-11-27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
PCT/KR2020/000419 WO2021107261A1 (ko) 2019-11-27 2020-01-09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276A KR102102767B1 (ko) 2019-11-27 2019-11-27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767B1 true KR102102767B1 (ko) 2020-04-23

Family

ID=70472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276A KR102102767B1 (ko) 2019-11-27 2019-11-27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2767B1 (ko)
WO (1) WO20211072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974A (ko) 2020-12-16 2022-06-23 대신아이브(주) 소화약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634B1 (ko) 2000-11-20 2005-03-23 채민수 웹상에서의 순간돌출광고 제공장치 및 그 방법
CN202052237U (zh) * 2011-05-16 2011-11-30 曾川红 灭火纸飞弹
US20120048577A1 (en) * 2010-08-27 2012-03-01 Gregory Keaton Ball Fire suppression device
KR20120056388A (ko) * 2010-11-25 2012-06-04 조남윤 투척용 소화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664U (ko) * 1995-07-28 1997-02-19 플랙시블 주입부트가 구비된 저장탱크
KR20070101675A (ko) * 2006-04-12 2007-10-17 이웅부 장거리 화재 진화용 소화로켓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634B1 (ko) 2000-11-20 2005-03-23 채민수 웹상에서의 순간돌출광고 제공장치 및 그 방법
US20120048577A1 (en) * 2010-08-27 2012-03-01 Gregory Keaton Ball Fire suppression device
KR20120056388A (ko) * 2010-11-25 2012-06-04 조남윤 투척용 소화탄
CN202052237U (zh) * 2011-05-16 2011-11-30 曾川红 灭火纸飞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974A (ko) 2020-12-16 2022-06-23 대신아이브(주) 소화약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261A1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321B1 (ko) 대형 산불 진화용 소화탄
US6318473B1 (en) Expansive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2131916B1 (ko) 고층건물 내부 화재진압용 자폭드론
KR102112323B1 (ko) 화재진압용 소화볼
US20120037717A1 (en) Dispersing device, its use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pulverized spreading a physical agent
KR102102767B1 (ko)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탄환녹말소화기
KR102102768B1 (ko) 분말소화제가 충진된 화재진압용 녹말소화볼
KR20120056389A (ko) 화재진압용 소화탄 발사장치
KR102133945B1 (ko) 대형산불 진화용 소화탄 기폭 장치
CN113509666A (zh) 一种消防用破窗灭火弹
CN104436482A (zh) 球型爆炸式干粉灭火器
KR20070104344A (ko) 빌딩 내의 소화 장치
KR101037659B1 (ko) 산불진압용 소화탄
KR102112322B1 (ko) 화재진압용 탄환소화기
KR20120056387A (ko) 타격식 소화탄 발사장치
Klemens et al. Dynamics of dust explosions suppression by means of extinguishing powder in various industrial conditions
KR20070048843A (ko) 화재 진압용 소화탄
KR20200132615A (ko) 센서 감지형 투척식 소화탄
US7121354B2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method
KR20240003081A (ko) 가스 하이드레이트 소화탄 및 이를 이용한 화염 진압 방법
JP2003525668A (ja) 鎮火装置及び方法
US20160067533A1 (en) Fire Prevention Capsules and Method of Use
KR20070048845A (ko) 화재 진압용 소화탄
CN2296515Y (zh) 一种灭火飞雷
KR200373981Y1 (ko) 폭발 분사식 분말 소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