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779B1 - 사용자 전자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페이지 표시 모드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전자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페이지 표시 모드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779B1
KR102110779B1 KR1020130074721A KR20130074721A KR102110779B1 KR 102110779 B1 KR102110779 B1 KR 102110779B1 KR 1020130074721 A KR1020130074721 A KR 1020130074721A KR 20130074721 A KR20130074721 A KR 20130074721A KR 102110779 B1 KR102110779 B1 KR 102110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mode
display
addres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461A (ko
Inventor
정의창
임새미
강두석
최보근
황민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779B1/ko
Priority to US14/314,781 priority patent/US10334012B2/en
Priority to EP14174063.9A priority patent/EP2819037B1/en
Publication of KR20150001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2Bookmar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사용자 전자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은 페이지 레이아웃 구성을 지정하는 모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모드 설정 정보에 따라 페이지 요청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페이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전자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페이지 표시 모드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GE DISPLAY MODE IN APPLICATION OF AN USER DEVICE}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사용자 전자기기의 브라우저에서 페이지 표시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전자기기나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가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복수의 표시 모드를 가지는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 모드를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에서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종래의 브라우저의 페이지 표시 기능은 사용자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사이즈에 따라서 고정적으로 정해져 있다. 즉, 사용자 전자기기가 4~5인치 이하의 소형 사용자 전자기기 또는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소형 사용자 전자기기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일 경우에서는 기본적으로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화면보다 사이즈 면에서 작고 내용 면에서 간략하도록 화면을 배치하여 모바일에 최적화된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다.
탭이나 패드와 같은 7인치급 이상의 사용자 전자기기(태블릿 사용자 전자기기 등)에서는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와 동일한 웹 화면을 보여 준다. 이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동작부터 디스플레이 사이즈와 사용자 전자기기의 성능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브라우저 상에서 모바일 모드와 데스크탑 모드를 옵션 기능으로 지원하여 사용자의 결정에 따라 수동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 부가적인 기능으로 북마크, 즐겨찾기, history 등의 방문한 사이트를 기록하는 기능도 사용자가 방문한 페이지를 URL 형태로 표시해준다.
소형 디스플레이 사용자 전자기기와 tablet 형태의 중대형 디스플레이 사용자 전자기기는 기본적으로 고정된 모바일 페이지와 데스트탑 페이지를 지원한다. 다시 말해 소형 디스플레이 사용자 전자기기에서 데스크탑 페이지를 보려면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직접 데스크탑 URL 주소를 입력하여도 동작하지 않거나 소형 사용자 전자기기를 지원하는 페이지로 리다이랙트 될 수 있다. 소형 사용자 전자기기에서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의 추가 옵션 기능 내에 모드 전환 서비스를 실행하고 브라우저에 따라 추가적으로 데스크탑 URL 주소를 입력해야 해당 주소의 데스크탑 화면을 볼 수 있다. 이는 사용상에 불편함을 준다.
반대로 태블릿과 같은 중형급의 사용자 전자기기에서 모바일 페이지를 보고자 한다면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직접 URL을 입력하거나 추가 옵션 기능의 모바일 모드 전환 서비스를 실행해야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URL 입력 방법은 모드 변경 없이 모바일 전용 페이지 주소를 입력해야 하고, 만약 그 주소를 미리 사용자가 알고 있지 못하다면 사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옵션 세팅에서 한 번 정해진 브라우저의 출력모드는 사용자가 다시 옵션을 통해 세팅 과정을 거쳐 전환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적용이 되며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 매번 번거롭고 반복적인 페이지 변환 과정 또는 세팅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특히 북마크, 즐겨찾기, history 등의 방문한 사이트를 기록하는 기능에서는 사용자가 방문한 모바일 페이지와 데스크탑 페이지가 URL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히스토리 상에서 만일 모바일 페이지만을 방문한 사용자는 데스트탑 페이지를 보기 위해서 일단 모바일 페이지로 접근하여 위에서 언급한 번거로운 절차를 다시 거쳐야 하므로 사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 전자기기에서 페이지를 표시할 때 페이지 표시를 위한 주소뿐 아니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표시되는 페이지의 모드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전자기기의 페이지 표시 화면에서 별도의 메뉴 선택 없이, 페이지 표시 화면 상에서 페이지 표시모드를 바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사용자 전자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은 페이지 레이아웃 구성을 지정하는 모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모드 설정 정보에 따라 페이지 요청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페이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사용자 전자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은 1개 이상의 페이지의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 목록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표시된 페이지 목록 중 특정 페이지에 모드 변경 설정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모드 변경 설정에 따라 결정된 모드로 상기 특정 페이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페이지를 표시하는 사용자 전자기기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 페이지 레이아웃 구성을 지정하는 모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입력부; 및 상기 모드 설정 정보에 따라 페이지 요청을 생성하는 하고, 상기 페이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페이지를 표시하는 사용자 전자기기는 1개 이상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페이지 목록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페이지 목록 중 특정 페이지에 모드 변경 설정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모드 변경 설정에 따라 결정된 모드로 상기 특정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전자기기의 사용자가 페이지 표시 시 별도의 옵션 선택 없이 사용자 전자기기에 특화된 페이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성 및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또한 한번의 설정에 따라 차후 동일 또는 유사한 페이지를 방문할 때 설정된 모드에 따라 페이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일괄적으로 페이지 표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사용자 전자기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사용자 전자기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사용자 전자기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a 및 4b는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전자기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전자기기를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지 표시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지 표시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지 표시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지 표시 모드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지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동작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전자기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사용자 전자기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사용자 전자기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사용자 전자기기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사용자 전자기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전자기기(100)은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사용자 전자기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사용자 전자기기(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사용자 전자기기(100)과 사용자 전자기기(1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사용자 전자기기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전자기기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사용자 전자기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 전자기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사용자 전자기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표시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사용자 전자기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사용자 전자기기기(100)의 전, 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사용자 전자기기(100)의 개폐 상태, 사용자 전자기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사용자 전자기기의 방위, 사용자 전자기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사용자 전자기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전자기기(100)이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에 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표시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151)는 사용자 전자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전자기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사용자 전자기기(100)이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표시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표시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전자기기기 바디의 표시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사용자 전자기기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사용자 전자기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표시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전자기기(100)에는 복수의 표시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표시부(151)와 상기 터치 센서(137)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표시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표시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표시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표시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표시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사용자 전자기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호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호칭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사용자 전자기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사용자 전자기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 전자기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표시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표시부(151) 및 음성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사용자 전자기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및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및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전자기기(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사용자 전자기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 전자기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사용자 전자기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사용자 전자기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사용자 전자기기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사용자 전자기기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사용자 전자기기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사용자 전자기기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사용자 전자기기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사용자 전자기기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사용자 전자기기 또는 휴대 사용자 전자기기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사용자 전자기기(100)은 바 형태의 사용자 전자기기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사용자 전자기기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등 보조 저장매체(165)와 같이 탈착이 필요한 부품은 외측으로부터 케이스 내부로 삽입가능하도록 케이스에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매체(165)가 사용자 전자기기(100)의 측면에서 삽입되어 실장되도록 케이스 측면에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고,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도록 카드 슬롯(166, 167)이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101, 102, 103)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 전자기기기 케이스(101, 102)에는 표시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표시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3 조작유닛(133)은 표시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 유닛들(131, 132, 133)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면 인식하는 버튼방식이 있을 수 있고, 상기 표시부(151) 외에 조작 유닛(131, 132, 133)에도 터치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만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전자기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사용자 전자기기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 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사용자 전자기기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사용자 전자기기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바디 후면의 음향 출력부(152')는 바디 전면의 음향 출력부(1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 전자기기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사용자 전자기기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전자기기(100)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도 4a 및 4b는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전자기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동작 405에서 사용자 전자기기는 표시부에 주소 표시 영역, 모드 설정 영역 및 페이지 표시영역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각 영역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각기 다른 영역에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일부 영역이 오버랩(overlap)되면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주소 표시 영역은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표시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주소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설정 영역은 상기 페이지 표시 영역에 표시될 페이지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UI(User Interface)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페이지 설정 영역은 홀드 버튼, 스위치 버튼 및 슬라이드 버튼 중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버튼은 상기 주소 표시 영역과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페이지 표시영역은 상기 주소 표시 영역에 표시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에 따른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주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페이지는 실시 예에 따라 일정 크기보다 큰 표시부를 가진 사용자 전자기기에 적합한 제1모드의 페이지 및 상기 일정 크기보다 작은 표시부를 가진 사용자 전자기기에 적합한 제2모드의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드 및 상기 제2모드의 페이지는 페이지 소스 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의 제어부의 판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되는 페이지가 웹 페이지일 경우 상기 제1모드는 데스크탑용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모드는 모바일용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데스크탑용 페이지 및 모바일용 페이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웹페이지를 전송하는 서버에서 상기 페이지를 요청하는 사용자 전자기기의 요청을 기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웹페이지는 상기 요청의 헤더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용 페이지를 전달하거나 상기 데스크탑용 페이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페이지 및 데스크탑용 페이지는 페이지 레이아웃을 다르게 하는 페이지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데스크탑용 페이지는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비교적 큰 화면에서 페이지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위한 페이지 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용 페이지는 휴대폰, PDA 또는 테블릿과 같은 비교적 작은 화면에서 페이지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위한 페이지 일 수 있다. 상기 데스크탑용 페이지 및 모바일 페이지는 서로 대응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대응되는 내용을 다른 레이아웃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전자 기기에서 레이아웃 구성을 지정하는 모드 설정 정보는 사용자 입력 및 기 설정된 설정 값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결정된 모드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페이지 표시 모드 구성을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전자 기기는 상기 지정된 페이지 표시 모드 구성을 기반으로 서버에 대응하는 모드의 페이지를 요청할 수 있다.
동작 410에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페이지 주소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페이지 주소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페이지의 주소를 타이핑 하거나 방문 기록 또는 북마크 기록을 기반으로 페이지 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
동작 415에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페이지 표시 모드 설정 입력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지 표시 모드 설정 입력은 사용자가 상기 동작 410에서 입력한 페이지 주소를 어떻게 표시할 지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에 입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동작 405에서 표시한 상기 모드 설정 영역에 가해지는 입력에 따라 상기 제1모드 또는 상기 제2모드로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홀드 버튼, 스위치 버튼 및 슬라이드 버튼 중 하나 이상을 조작해서 페이지 표시 모드 설정입력 신호를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페이지 주소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페이지 표시 모드 설정 입력을 우선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모드 설정 입력에 따라 상기 수신한 페이지 주소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페이지 표시 모드 설정 입력이 있을 경우 동작 420에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상기 수신한 페이지 주소가 방문 기록 또는 북마크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저장되어 있을 경우 각 기록의 페이지 표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페이지 주소가 동일하지 않고, 도메인이 동일한 경우에도 특정 도메인 하위의 페이지 표시 모드를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동작 415에서 "www.aaa.com"의 페이지 모드 설정 입력이 있고, 방문 기록 또는 북마크에 "www.aaa.com" 및 "page.aaa.com"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www.aaa.com"의 페이지 표시 모드를 상기 모드 설정 입력에 따라 변경할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북마크 또는 방문기록에 있는 "aaa.com"하위의 모든 페이지의 모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동작 425에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상기 동작 410에서 수신한 주소의 페이지를 동작 415에서 설정한 모드로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www.abc.com"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데스크탑용 페이지 및 모바일용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모바일 페이지의 경우 "m.abc.com"으로 제공할 경우를 가정한다. 동작 410에서 사용자가 "www.abc.com"을 입력하고 동작 415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페이지로 상기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 경우 상기 사용자 전자 기기는 m.abc.com으로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요청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는 abc.com의 페이지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모바일 페이지로 상기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서버에 모바일 페이지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는 모바일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페이지의 주소가 상기 사용자 전자 기기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해당 주소에 대응하는 페이지를 상기 서버에 요청함으로써 모바일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동작 420 및 동작 425는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선후 관계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동작 415의 판단에서 페이지 표시 모드 설정 입력이 없을 경우, 동작 430에서 상기 동작 410에서 수신한 주소에 대응하는 방문 기록 또는 북마크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방문기록 또는 북마크가 있는 경우, 동작 435에서 상기 방문 기록 또는 북마크상의 페이지가 이전에 표시되었던 모드에 따라 상기 동작 410에서 수신한 페이지 주소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방문 기록 또는 북마크가 없는 경우 동작 440에서 기본모드로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기본모드는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페이지, 데스크탑용 페이지 및 상기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의 기본 설정을 따르는 페이지 중 하나 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동작 445에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페이지 표시모드 변경 입력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상기 동작 425, 동작 435 또는 동작 440에서 표시한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 표시모드 변경 입력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페이지 표시모드 변경 입력은 사용자가 상기 홀드 버튼, 스위치 버튼 및 슬라이드 버튼 중 하나 이상을 조작하는 것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페이지 표시모드 변경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계속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지 표시모드 변경 입력이 있을 경우, 동작 450에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변경된 모드에 따라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동작 455에서 상기 단말의 방문기록 및 북마크에 대응하는 페이지 주소의 설정을 상기 변경된 표시모드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www.abc.com의 페이지 표시 모드를 모바일로 변경한 경우 대응되는 방문기록 또는 북마크의 페이지의 설정을 변경하여서,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페이지에 대응되는 페이지 주소 입력이 있을 경우 상기 변경된 설정에 따라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동작 450 및 동작 455의 동작은 동시 또는 순서에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4b의 동작은 서로 선후 관계를 가지고 수행될 수 있으나, 선후 관계에 무관하게도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전자기기를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개시된 실시 예는 사용자 전자기기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페이지 표시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05에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페이지 표시 모드 변경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지 표시 모드 변경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면서 대기할 수 있다.
페이지 표시 모드 변경 입력이 수신된 경우 동작 510에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변경된 모드에 대응하는 주소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사용자 전자기기를 예로 들면, 특정 서버에 웹페이지를 요청할 때 동일한 페이지에 대해 모바일용 페이지 및 데스크탑용 페이지의 주소가 다른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주소의 경우 동일한 도메인 내에 일정한 법칙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법칙을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가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페이지를 방문하였을 때 모드 변경에 따라 페이지를 전송하는 서버에서 리다이렉트 했던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특정 페이지의 데스크탑용 페이지 및 모바일 페이지의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변경된 모드에 대응하는 주소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동작 515에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저장된 주소로 상기 페이지를 저장한 서버에 페이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510에서 변경된 모드에 대응하는 주소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동작 520에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상기 페이지가 저장된 서버에 페이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서, 상기 페이지 요청 메시지의 헤더에 변경된 모드에 대응하는 페이지를 요청할 수 있는 메시지를 헤더에 포함시킨 메시지를 상기 페이지를 저장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헤더에 포함된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요청한 페이지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더에 포함된 메시지가 모바일용 페이지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서버는 모바일용 페이지를 전송하고, 상기 헤더에 포함된 메시지가 데스크탑용 페이지를 요창하는 메시지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서버는 데스크탑용 페이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헤더에는 아래와 같은 유저 에이전트(User Agent, UA)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는 상기 유저 에이전트 정보를 기반으로 동일한 주소에 대해 모바일용 페이지를 전송하거나, 데스크탑용 페이지를 전송할지 결정할 수 있다. 유저 에이전트의 종류를 사용자 전자기기,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페이지 표시 모드 변경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유저 에이전트 값을 변경하여 보낼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유저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모바일용 페이지를 전송할지 데스크탑용 페이지를 전송할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 기준은 서버 별로 상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UA가 전송될 경우에도 특정 서버는 모바일용 페이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서버와 다른 서버는 데스크탑용 페이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상기 특정 서버의 판단 기준을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페이지 표시 모드 변경 입력에 따라 UA 값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전자기기는 아래와 같은 UA 값을 가질 수 있다.
Mozilla/5.0 (X11;Linux x86_64) AppleWebKit/534.24(KHTML, like Gecko)
Chrome/11.0.696.34 Safari/534.24
표 1은 실시 예에 따라 데스크탑용 페이지를 요청하는 UA 중 하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이다. 실시 예의 경우 Mozilla/5.0기반으로 X11;Linux x86_64 플랫폼에 따라, 크롬 브라우저에서 전송하며, 사파리 버전과 호완 가능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서버는 이중 하나의 값을 기반으로 데스크탑 페이지를 보낼지 결정할 수 있다.
Mozilla/5.0 (Linux; U; Android 4.0.4; en-us;nexus Build/IMM765D) AppleWebKit/534.30
(KHTML, like Gecko) Version/4.0 Mobile Safari/534.30
표 2는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용 페이지를 요청하는 UA 중 하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이다.
실시 예의 경우 Mozilla/5.0기반으로 Linux;u;Android 4.0.4 플랫폼에 따라, en-us nexus 사용자 전자기기에서 사용되며, KHTML 브라우저 레이아웃 엔진을 사용하며, 크롬 브라우저의 버전과 호환 가능한 사파리의 파전을 나타내고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 서버의 판단 기준은 실시 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 특징은 아니다. 다만 상기 서버의 판단 기준을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가 미리 알고 있거나 추론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데스크탑용 페이지 및 모바일용 페이지를 선택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지 표시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데스크탑용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모바일용 페이지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 전자기기의 표시부(600)는 상태 표시 영역(605), 주소 표시 영역(610), 모드 변경 설정 영역(620) 및 페이지 표시 영역(61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표시 영역(605)은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가 동작하는 상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주소 표시 영역(610)은 표시부(600)에 표시할 페이지의 주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 예에서는 웹페이지를 표시하고 있다.
모드 변경 설정 영역(620)은 표시부(600)에 표시할 페이지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UI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실시 예에서 모드 변경 설정 영역(620)은 홀드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버튼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 가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페이지 표시 영역(615)는 주소 표시영역(610)에 입력된 주소에 대응하는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aol.com 사이트의 데스크탑용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표시부(600)는 상태 표시 영역(625), 주소 표시 영역(630), 모드 변경 설정 영역(635) 및 페이지 표시 영역(64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표시 영역(625)은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가 동작하는 상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주소 표시 영역(630)은 표시부(600)에 표시할 페이지의 주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 예에서는 웹페이지를 표시하고 있다.
모드 변경 설정 영역(635)은 표시부(600)에 표시할 페이지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UI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실시 예에서 모드 변경 설정 영역(635)은 홀드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페이지 표시 영역(640)는 주소 표시영역(630)에 입력된 주소에 대응하는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aol.com 사이트의 모바일용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a 및 6b에서 사용자는 모드 변경 설정 영역(620, 635)에 입력을 가함으로써 표시하는 페이지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은 터치 입력 또는 상기 터치입력을 일정시간 유지하는 홀드 입력일 수 있으며, 상기 입력에 따라 모바일 모드 페이지 및 데스크탑 페이지를 요청할 수 있도록 브라우저가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6a와 같이 데스크탑용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모드 변경 설정 영역(620)에 홀드 입력을 가할 경우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서버에 다시 모바일 페이지를 전송하는 요청을 보내고 그에 대응한 페이지를 도 6b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 동작과 함께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방문 기록 또는 북 마크에 저장된 상기 페이지와 대응되는 페이지 요청시 기본적으로 요청하는 페이지 모드를 모바일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소 입력 영역(610)에 주소를 입력하고 모드 변경 설정 영역(635)에 입력을 가할 경우 바로 변경된 모드로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상기 주소에 대응하는 서버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지 표시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데스크탑용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모바일용 페이지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표시부(700)는 상태 표시 영역(705), 주소 표시 영역(710), 모드 변경 설정 영역(715), 즐겨찾기 설정 영역(720) 및 페이지 표시 영역(72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표시 영역(705)은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가 동작하는 상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주소 표시 영역(710)은 표시부(700)에 표시할 페이지의 주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 예에서는 웹페이지를 표시하고 있다.
모드 변경 설정 영역(715)은 표시부(700)에 표시할 페이지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UI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실시 예에서 모드 변경 설정 영역(715)은 스위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버튼에 터치 혹은 드래그 입력을 입력 하면 표시하는 모드가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되는 모드를 표시하는 정보를 상기 스위치 버튼에 표시할 수 있다.
즐겨찾기 설정 영역(720)은 브라우저의 방문 페이지를 북마크에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페이지 표시 영역(725)는 주소 표시영역(710)에 입력된 주소에 대응하는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aol.com 사이트의 데스크탑용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표시부(700)는 상태 표시 영역(735), 주소 표시 영역(740), 모드 변경 설정 영역(745), 즐겨찾기 설정 영역(750) 및 페이지 표시 영역(75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표시 영역(735)은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가 동작하는 상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주소 표시 영역(740)은 표시부(700)에 표시할 페이지의 주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 예에서는 웹페이지를 표시하고 있다.
모드 변경 설정 영역(745)은 표시부(700)에 표시할 페이지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UI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실시 예에서 모드 변경 설정 영역(745)은 스위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버튼에 터치 혹은 드래그 입력을 입력 하면 표시하는 모드가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되는 모드를 표시하는 정보를 상기 스위치 버튼에 표시할 수 있다.
즐겨찾기 설정 영역(750)은 브라우저의 방문 페이지를 북마크에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페이지 표시 영역(755)는 주소 표시영역(750)에 입력된 주소에 대응하는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aol.com 사이트의 모바일용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a 및 7b에서 사용자는 모드 변경 설정 영역(715, 745)에 입력을 가함으로써 표시하는 페이지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은 터치 입력 또는 터치를 가한 상태에서 특정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 일 수 있으며, 상기 입력에 따라 모바일 모드 페이지 및 데스크탑 페이지를 요청할 수 있도록 브라우저가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7a와 같이 데스크탑용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모드 변경 설정 영역(715)에 터치 또는 드래그 입력을 가할 경우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서버에 다시 모바일 페이지를 전송하는 요청을 보내고 그에 대응한 페이지를 도 7b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 동작과 함께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방문 기록 또는 북 마크에 저장된 상기 페이지와 대응되는 페이지 요청시 기본적으로 요청하는 페이지 모드를 모바일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소 입력 영역(710)에 주소를 입력하고 모드 변경 설정 영역(715)에 입력을 가할 경우 바로 변경된 모드로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상기 주소에 대응하는 서버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지 표시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데스크탑용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모바일용 페이지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 전자기기의 표시부(800)는 상태 표시 영역(805), 주소 표시 영역(810), 즐겨찾기 설정영역(815) 및 페이지 표시 영역(82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표시 영역(805)은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가 동작하는 상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주소 표시 영역(810)은 표시부(800)에 표시할 페이지의 주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 예에서는 웹페이지를 표시하고 있다.
즐겨찾기 설정영역(815)은 사용자 전자기기의 북마크 관리를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페이지 표시 영역(825)는 주소 표시영역(810)에 입력된 주소에 대응하는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aol.com 사이트의 데스크탑용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표시부(800)는 상태 표시 영역(835), 주소 표시 영역(840), 즐겨찾기 설정 영역(845) 및 페이지 표시 영역(85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표시 영역(835)은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가 동작하는 상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주소 표시 영역(840)은 표시부(800)에 표시할 페이지의 주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 예에서는 웹페이지를 표시하고 있다.
즐겨찾기 설정영역(845)은 사용자 전자기기의 북마크 관리를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페이지 표시 영역(855)는 주소 표시영역(840)에 입력된 주소에 대응하는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aol.com 사이트의 모바일용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a 및 8b에서 사용자는 주소 표시 영역(810, 840)에 슬라이드 입력(820, 840)을 입력함으로써 페이지 표시 모드를 변경하도록 사용자 전자기기에게 명령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주소 표시 영역(810, 840)은 모드 설정 영역과 일부가 오버랩 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소 표시 영역(810)에 주소를 입력하고 우측으로 슬라이드 입력(820)을 가하면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상기 주소에 대응하는 서버에 데스크탑용 페이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으며, 좌측으로 슬라이드 입력(840)을 할 경우 상기 주소에 대응하는 서버에 모바일용 페이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입력의 방향은 실시예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주소를 먼저 입력하고 모드 선택입력을 수신하거나, 이미 표시된 페이지에 대해서도 상기 슬라이드 입력에 따라 페이지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드래그 모드에 따라 상기 입력이 수신되었다는 UI를 도면상과 같이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UI는 투명한 UI로 구성되어 주소 표시 영역(810)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또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지 표시 모드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방문페이지 목록 또는 북마크 목록 페이지에서 페이지 표시 목록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전자기기의 표시부는 상태표시 영역(905), 메뉴 선택 영역(910), 및 페이지 목록 표시 영역(915)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태 표시 영역(905)은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가 동작하는 상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메뉴 선택 영역(910)은 북마크, 기록페이지 및 방문 페이지 목록을 선택할 수 있는 UI를 표시한다.
페이지 목록 표시 영역(915)는 1개 이상의 페이지 내용(92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지 내용(920)은 메뉴 선택 영역(910)의 메뉴에 대응하는 페이지 목록을 표시하며 사이트 이름, 설정된 페이지 모드(925) 및 페이지 URL을 표시할 수 있다. 설정된 페이지 모드(925)는 실시 예에서 모바일 페이지일 경우 M, 데스크탑용 페이지일 경우 D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목록에서 모드 선택입력(930)을 입력하면 해당 목록의 페이지 표시 모드가 수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좌측 및 우측 드래그 입력에 따라 각각 데스크탑 및 모바일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개시하였으나,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의 스위치를 표시하여 본 입력을 수행할 수 있음을 밝힌다.
이와 같이 특정 URL 목록에서 포함되는 URL의 표시 모드를 수정함에 따라 차후 해당 페이지를 방문할 경우 설정된 모드를 기본적으로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각 페이지 표시시에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방문 모드를 변경할 경우 도 9에 표시되는 페이지의 기본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페이지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1010에서 사용자 전자기기는 1개 이상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페이지 목록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지 목록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기 페이지가 포함된 출처 정보, 상기 페이지가 표시되는 모드 정보, 상기 페이지가 표시되는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모드 변경 영역, 상기 페이지의 주소 및 상기 페이지의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모드 변경 영역은 상기 모드 정보와 함께 스위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는 홀드 버튼에 따라 상기 모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모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단계 1015에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상기 표시된 페이지 목록에서 특정 페이지에 대한 모드 변경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모드 변경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사용자 입력이 있고,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페이지를 표시하는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이지 목록에서 상기 특정 페이지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에 사용자의 드래그(슬라이드)입력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방향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페이지를 표시하는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상기 페이지를 상기 변경된 모드로 표시하도록 하는 요청을 다른 통신 엔티티 또는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의 저장부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020에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상기 단계 1015에서 변경된 모드로 상기 특정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상기 페이지가 저장된 서버에 상기 단계 1015에서 전송한 요청에 기반한 응답을 기반으로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1025에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상기 특정페이지의 표시 모드를 상기 변경된 모드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에 상기 특정 페이지에 대한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는 상기 변경된 모드로 상기 특정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계 1020 및 상기 단계 1025는 순서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1)

  1. 사용자 전자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에 포함된 터치스크린의 주소 표시 영역에서 표시 모드의 슬라이드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 - 상기 표시 모드는 상기 슬라이드 입력의 방향으로 결정되고, 상기 주소 표시 영역은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에 의해 표시되거나, 표시되는 페이지의 주소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 모드는 상기 페이지의 레이아웃이 지정된 것이고;
    상기 검출된 슬라이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주소에 대응하는 서버로 상기 표시 모드의 페이지를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페이지를 상기 표시 모드에서 지정된 레이아웃에 따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지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표시 모드와 관련된 유저 에이전트(User Agent, UA)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은 가상의 홀드 버튼을 포함하는 모드 변경 설정 영역 및 페이지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은,
    상기 홀드 버튼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신된 터치 입력 또는 프레스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지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 또는 프레스 입력에 따라 선택된 설정 정보에 따라 페이지 요청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은 가상의 스위치 버튼을 포함하는 모드 변경 설정 영역 및 페이지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은,
    상기 스위치 버튼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신된 터치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지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선택된 설정 정보에 따라 페이지 요청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은 페이지 주소를 표시하는 주소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일부가 오버랩 되도록 형성된 모드 변경 설정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은,
    상기 모드 변경 설정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신된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지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된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을 기반으로 선택된 설정 정보에 따라 페이지 요청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은 모드 변경 설정 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상기 페이지에 대응하는 주소가 방문 기록 또는 북마크에 있는지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페이지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방문 기록 또는 북마크에 상기 페이지에 대응하는 주소가 있는 경우, 상기 대응하는 주소에 저장된 모드에 따라 페이지 요청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은 모드 변경 설정 정보에 대응하여, 페이지 주소에 대응하는 페이지의 방문 기록에 모드 변경 설정에 대응하는 모드를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페이지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은,
    이후 상기 페이지 주소에 대응하는 페이지 표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모드로 페이지 요청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페이지의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 목록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표시된 페이지 목록 중 특정 페이지에 모드 변경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모드 변경 설정에 따라 결정된 모드로 상기 특정 페이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의 정보는 페이지 주소 정보 및 모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은 상기 모드 변경 설정에 따라 결정된 모드를 저장하는 동작; 및
    이후 상기 특정 페이지의 표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결정된 모드로 페이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표시 모드 관리 방법.
  12. 페이지를 표시하는 사용자 전자기기에 있어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주소 표시 영역에서 표시 모드의 슬라이드 입력을 검출하는 입력부, 상기 표시 모드는 상기 슬라이드 입력의 방향으로 결정되고, 상기 주소 표시 영역은 상기 사용자 전자기기에 의해 표시되거나, 표시되는 페이지의 주소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 모드는 상기 페이지의 레이아웃이 지정된 것이고, 및
    상기 검출된 슬라이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주소에 대응하는 서버로 상기 표시 모드의 페이지를 위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페이지를 상기 표시 모드에서 지정된 레이아웃에 따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이지 요청을 전송 시, 상기 표시 모드와 관련된 유저 에이전트(User Agent, UA)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기기.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가상의 홀드 버튼을 포함하는 모드 변경 설정 영역 및 페이지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홀드 버튼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신된 터치 입력 또는 프레스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 또는 프레스 입력에 따라 선택된 설정 정보에 따라 페이지 요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기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가상의 스위치 버튼을 포함하는 모드 변경 설정 영역 및 페이지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스위치 버튼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신된 터치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터치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선택된 설정 정보에 따라 페이지 요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기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페이지 주소를 표시하는 주소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일부가 오버랩 되도록 형성된 모드 변경 설정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모드 변경 설정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신된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을 기반으로 선택된 설정 정보에 따라 페이지 요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기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드 변경 설정 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상기 페이지에 대응하는 주소가 방문 기록 또는 북마크에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방문 기록 또는 북마크에 상기 페이지에 대응하는 주소가 있는 경우, 상기 대응하는 주소에 저장된 모드에 따라 페이지 요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기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드 변경 설정 정보에 대응하여, 페이지 주소에 대응하는 페이지의 방문 기록에 모드 변경 설정에 대응하는 모드를 저장하고, 이후 상기 페이지 주소에 대응하는 페이지 표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모드로 페이지 요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기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1개 이상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페이지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표시된 페이지 목록 중 특정 페이지에 모드 변경 설정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변경 설정에 따라 결정된 모드로 상기 특정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의 정보는 페이지 주소 정보 및 모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전자기기.
  21. 삭제
KR1020130074721A 2013-06-27 2013-06-27 사용자 전자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페이지 표시 모드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110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721A KR102110779B1 (ko) 2013-06-27 2013-06-27 사용자 전자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페이지 표시 모드 관리 방법 및 장치
US14/314,781 US10334012B2 (en) 2013-06-27 2014-06-25 Display mode of electronic device
EP14174063.9A EP2819037B1 (en) 2013-06-27 2014-06-26 Display mode of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721A KR102110779B1 (ko) 2013-06-27 2013-06-27 사용자 전자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페이지 표시 모드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61A KR20150001461A (ko) 2015-01-06
KR102110779B1 true KR102110779B1 (ko) 2020-05-14

Family

ID=5116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721A KR102110779B1 (ko) 2013-06-27 2013-06-27 사용자 전자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페이지 표시 모드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34012B2 (ko)
EP (1) EP2819037B1 (ko)
KR (1) KR102110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9747A1 (en) * 2013-06-19 2014-12-25 Microsoft Corporation Identifying relevant apps in response to queries
CN107992505B (zh) * 2016-10-27 2022-02-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网页信息处理方法及终端
CN108073438B (zh) * 2018-01-02 2020-05-12 武汉斗鱼网络科技有限公司 页面展示方法、装置及电子终端
CN112114920A (zh) * 2020-09-14 2020-12-22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多媒体资源的显示方法及装置
CN113094135B (zh) * 2021-04-06 2023-05-30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页面显示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7933A1 (en) 2003-02-24 2004-08-26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 for changing views of web content
US20120096344A1 (en) * 2010-10-19 2012-04-19 Google Inc. Rendering or resizing of text and images for display on mobile / small screen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6287C (zh) 2002-04-05 2008-10-15 汤姆森许可公司 具有设置保存特性的浏览器
US9785329B2 (en) * 2005-05-23 2017-10-10 Nokia Technologies Oy Pocket computer and associated methods
KR101079624B1 (ko) * 2008-05-06 2011-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브라우저의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77743B1 (ko) * 2008-06-16 2014-12-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KR101635640B1 (ko) * 2008-12-11 2016-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327273B2 (en) 2009-09-28 2012-12-04 Disney Enterprises, Inc. User-driven mobile device profiling for a mobile website
US20120136698A1 (en) * 2010-06-02 2012-05-31 Kent Carl E Barcode enabled coupon search, retrieval, presentation and redemption via telecommunications devices
KR101143458B1 (ko) * 2010-08-30 2012-05-23 유상규 휴대폰 디스플레이 인식에 따른 휴대폰의 인터넷 브라우징 모드 제어 방법 및 그 인터넷 브라우징 모드 제어 시스템
US8627204B2 (en) * 2011-10-18 2014-01-07 Microsoft Corporation Custom optimization of web pages
US10565296B2 (en) * 2011-11-08 2020-0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signing interactive web templates
US20130305145A1 (en) * 2012-05-09 2013-11-14 Ni Group Limited A Method of Publishing Digital Content
US9342618B2 (en) * 2012-06-04 2016-05-17 Sap Se Web application compositon and modification edi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7933A1 (en) 2003-02-24 2004-08-26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 for changing views of web content
US20120096344A1 (en) * 2010-10-19 2012-04-19 Google Inc. Rendering or resizing of text and images for display on mobile / small screen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61A (ko) 2015-01-06
EP2819037B1 (en) 2018-08-08
US10334012B2 (en) 2019-06-25
EP2819037A1 (en) 2014-12-31
US20150007044A1 (en) 201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46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3535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38506B1 (ko) 이동 단말기
KR10212447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1606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027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150033129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50024728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35478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170003A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accessing wireless internet of mobile terminal
KR10204611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182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079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38518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753632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2480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10779B1 (ko) 사용자 전자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페이지 표시 모드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17266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애플리케이션 그룹화 방법
KR10198070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767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0687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60196058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77605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공유 방법
KR102118406B1 (ko) 단말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12452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