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476B1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476B1
KR102124476B1 KR1020130063394A KR20130063394A KR102124476B1 KR 102124476 B1 KR102124476 B1 KR 102124476B1 KR 1020130063394 A KR1020130063394 A KR 1020130063394A KR 20130063394 A KR20130063394 A KR 20130063394A KR 102124476 B1 KR102124476 B1 KR 102124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screen
lock screen
item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1967A (ko
Inventor
이정빈
임소연
이지선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476B1/ko
Priority to US14/071,073 priority patent/US9626083B2/en
Publication of KR20140141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화면이 잠금되면, 통신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상기 잠금된 화면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따라 동시에 상기 잠금된 화면의 잠금 해제 및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고,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또는 휴대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상의 잠금 화면 내에 표시되는 화면 잠금 해제를 위한 UI(User Interface)를 터치하거나 또는 터치 잠금 버튼을 조작하여 잠금된 화면을 잠금 해제할 수 있다.
그러나, 화면이 잠금된 상태에는 상기 잠금된 화면 상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 현재 시간 등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화면의 잠금을 해제한 후 상기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을 위한 메뉴에 진입하여 통신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를 검색한 후에 검색된 외부 기기 중 원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의 화면이 잠금되면, 통신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상기 잠금된 화면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따라 동시에 상기 잠금된 화면의 잠금 해제 및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와; 잠금된 화면(이하, '잠금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화면이 잠금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통신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템을 상기 잠금 화면 내에 표시하고, 상기 잠금 화면 상에 입력되는 터치제스처에 따라 상기 잠금 화면을 잠금 해제 및 상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잠금된 화면(이하, '잠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이 잠금된 상태에서 통신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템을 상기 잠금 화면 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잠금 화면 상에 입력되는 터치제스처에 따라 상기 잠금 화면을 잠금 해제 및 상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터치스크린의 화면이 잠금되면, 통신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상기 잠금된 화면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따라 동시에 상기 잠금된 화면의 잠금 해제 및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빠르게 잠금 화면을 잠금 해제하면서 동시에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기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로 구성된 시스템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휴대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무선 통신부(110)는 터치스크린(151)의 화면이 잠금되면,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통신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를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로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OMA-BCAST,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12)은 터치스크린(151)의 화면이 잠금되면,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통신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를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로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터치스크린(151)의 화면이 잠금되면,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통신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를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로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cnce)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터치스크린(151)의 화면이 잠금되면,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통신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결과를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로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트들 중 두 개 이상의 컨텐트를 지정하는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 이상의 컨텐트를 지정하는 신호는, 터치입력을 통하여 수신되거나, 하드키 및 소프트 키입력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컨텐트들을 선택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휴대 단말기(100)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관련된 아이콘을 생성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입력부(130)는 방향키,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 단말기의 방위, 휴대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휴대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전자도서, 동영상, 송수신 메시지 히스토리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 모듈(152, 도 2a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위해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즉, 휴대 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의 방향으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패드(135) 전용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장착됨으로써,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휴대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구성요소(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무선 통신부, 메모리 등)를 이용한 동작 수행을 위하여 구성요소의 개별 동작 또는 복수의 구성요소들 간의 연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화면이 잠금되면, 통신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상기 잠금된 화면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따라 동시에 상기 잠금된 화면의 잠금 해제 및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와 통신을 연결하고,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또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외부 기기(7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외부 기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기기(700)는 무선 통신부(710)와, 카메라(720)와, 입력부(730)와, 메모리(740)와, 스피커(750)와, 디스플레이부(760) 및 제어부(7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상술한 구성 요소 이외에, 외부 기기(70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언급된 구성 요소(일 예로, 마이크, 인터페이스부 등등)가 추가로 탑재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710)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되고,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700)에 표시 또는 출력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기능의 실행 화면의 영상 데이터와, 휴대 단말기(100)에서 재생 또는 실행된 컨텐트의 영상/음성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710)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700)에 구비된 특정 기능의 실행 및 실행된 기능의 화면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명령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무선 통신부(710)는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부(110)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와 외부 기기(700)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는 이동통신, 무선 인터넷 통신, 블루투스, DLNA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72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76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72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명령 신호에 따라 구동이 될 수 있고, 이 경우 구동된 이후에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은 무선 통신부(710)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입력부(730)는 외부 기기(7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키 신호를 발생시킨다. 입력부(730)는 경우에 따라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40)는 외부 기기(7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동영상 파일, 오디오 파일 및 이미지 파일 등의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스피커(750)는 메모리(74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및 무선 통신부(710)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760)는 외부 기기(7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76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760)는 터치 센서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760)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770)는 외부 기기(7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본 발명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770)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770)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실행시키고, 상기 실행된 기능의 영상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710)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기기(7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의 도 4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100)와 외부 기기(700) 간의 통신 연결 및 데이터 공유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로 구성된 시스템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먼저, 도 4의 (a)는 휴대 단말기(100) 및 하나의 외부 기기(700)로 구성된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51)의 화면이 잠금된 상태에서, 통신 연결이 가능한 외부 기기(700)가 검색되면, 상기 잠금된 화면 상에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잠금된 화면 상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따라 동시에 상기 잠금된 화면의 잠금 해제 및 상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하고,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와, 휴대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기능의 화면의 영상/오디오 데이터와, 휴대 단말기(100)의 상기 외부 기기(700)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기기(7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는 이동통신, 무선 인터넷 통신 및 근거리 통신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간에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할 경우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는 블루투스 및 DLNA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방식을 통해 서로 간에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둘 이상의 외부 기기들(700-1, ... 700-n)을 검색하고,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따라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들(700-1, ... 700-n) 중 하나 또는 둘 이상과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들(700-1, ... 700-n)은 이동통신, 무선 인터넷 통신 및 근거리 통신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을 통해 서로 간에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할 경우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들(700-1, ... 700-n)은 블루투스 및 DLNA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방식을 통해 서로 간에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화면이 잠금되면, 통신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상기 잠금된 화면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따라 동시에 상기 잠금된 화면의 잠금 해제 및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이 없으면, 터치스크린(151)의 화면을 잠금하고, 상기 잠금된 잠금 화면(locked screen)을 표시한다[S110].
상기 잠금 화면은,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잠금 화면의 잠금 해제를 위한 터치제스처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잠금 화면의 잠금 해제를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잠금 화면의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가 입력되기 이전까지 상기 잠금 화면 상에 특정 터치가 입력되어도, 상기 입력된 터치를 무시하는 동작 상태를 뜻한다.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의 화면이 잠금되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통신 연결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검색하고[S120],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템을 상기 잠금 화면 상에 표시한다[S130]. 이때, 상기 아이템은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를 나타내는 텍스트와, 이미지와, 아이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상기 잠금 화면 상에 상기 잠금 화면의 잠금 해제 및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터치제스처가 입력되는지 감지한다[S140].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상기 터치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감지되면[S150], 동시에 상기 잠금 화면의 잠금 해제(unlock) 및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고[S160], 상기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S170].
이하, 도 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도 5의 S140 및 S160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템(220)이 상기 잠금 화면(210A) 상에 표시되면, 상기 잠금 화면(210A) 내에 잠금 해제(unlock)를 위한 UI(230)를 표시한다[S141A].
상기 UI(230)는 도 7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 형상으로 표시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도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템(220)이 포함된 잠금 화면(210A)의 표시 영역 중 상기 아이템(220)을 제외한 특정 지점이 터치되면, 상기 UI(230)를 상기 터치된 특정 지점에 표시하고, 상기 특정 지점에 대한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UI(230)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 화면(210A)의 표시 영역 중 상기 아이템(220)의 표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특정 지점이 터치되고, 상기 터치가 유지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된 특정 지점 상에 상기 UI(230)를 표시한다.
그리고,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가 유지 중인 특정 지점 상에 상기 UI(230)를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지점에 대한 터치가 해제되면,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I(230)의 표시를 중단한다.
다시, 도 6으로 복귀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 화면(210A) 내에 상기 아이템(220) 및 상기 UI(230)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템(220)이 표시된 제1 영역 및 상기 잠금 화면(210A) 내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 간에 기 설정된 터치제스처가 입력되는지 감지한다[S141B].
이때, 상기 기 설정된 터치제스처는, 도 5에서 설명한 상기 잠금 화면의 잠금 해제 및 상기 아이템(220)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터치제스처이다.
일 예로, 상기 기 설정된 터치제스처는, 이하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I(230)가 터치되어 상기 아이템(220)으로 드래그되는 터치제스처일 수 있다.
즉,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UI(230)가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UI(230)가 터치된 지점이 상기 아이템(220)의 표시 영역 안으로 드래그되는 터치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화면(210A)을 언락(unlock)(210B)시키고, 동시에 상기 아이템(220)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UI(230)가 터치된 지점이 상기 아이템(220)의 표시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아이템(220)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지 않고, 상기 잠금 화면(210A)만 언락(210B)시킬 수 있다.
즉,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UI(230)가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UI(230)가 터치된 지점이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상기 아이템(220)의 표시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으로 드래그되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화면(210A)만 언락(210B)시키고, 상기 다른 영역 상에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다른 영역 상에 유지된 터치가 상기 아이템(220)의 표시 영역으로 드래그되면,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템(220)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한다.
다른 예로, 상기 기 설정된 터치제스처는, 이하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템(220) 및 상기 UI(230)이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템(220) 및 상기 UI(230)가 각각 터치된 두 지점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감소되는 핀칭-인(Pinching-in) 터치제스처일 수 있다.
즉,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템(220) 및 상기 UI(230)가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템(220) 및 상기 UI(230)가 각각 터치된 제1 및 제2 지점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감소되는 핀칭-인 터치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화면(210A)을 언락(unlock)(210B)시키고, 동시에 상기 아이템(220)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템(220) 및 상기 UI(230)가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템(220) 및 상기 UI(230)가 각각 터치된 제1 및 제2 지점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제1 거리(d1) 이내로 감소되면, 상기 아이템(220)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지 않고, 상기 잠금 화면(210A)만을 언락(unlock)(210B)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의 화면이 언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지점 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d1) 이내에서 기 설정된 제2 거리(d2, d1>d2) 이내로 감소되면, 상기 아이템(220)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기 설정된 터치제스처는, 이하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템(220) 및 상기 UI(230)의 각각에 행해지는 롱-터치일 수 있다.
즉,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템(220) 및 상기 UI(230)가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템(220) 및 상기 UI(230)의 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화면(210A)을 언락(unlock)(210B)시키고, 동시에 상기 아이템(220)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기 설정된 터치제스처는, 이하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템(220) 및 상기 UI(230) 간에 행해지는 스와이프(swipe) 터치제스처가 될 수 있다.
도 12는 화면이 잠금된 상태에서, 둘 이상의 외부 기기가 검색되어, 상기 잠금 화면(210A) 상에 둘 이상의 외부 기기를 나타내는 제1 및 제2 아이템(220A, 220B)을 표시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UI(230)가 터치되고, 상기 UI(230)의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UI(230)가 터치된 지점을 시작으로 제1 아이템(220A)의 표시 영역과 제2 아이템(220A)의 표시 영역을 경유하여 다시 상기 UI(230)로 복귀하는 스와이프 터치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화면(210A)을 언락(unlock)(210B)시키고,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아이템(220A, 220B)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들과 통신을 연결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화면이 잠금된 상태에서, 하나의 외부 기기가 검색되어, 상기 잠금 화면(210A) 상에 제1 아이템(220A)만이 표시된 경우, 도 12처럼, 상기 UI(230)가 터치된 지점을 시작으로 제1 아이템(220A)의 표시 영역을 경유하여 다시 상기 UI(230)로 복귀하는 스와이프 터치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잠금 화면(210A)을 언락(unlock)(210B)시키고, 동시에 상기 제1 아이템(220A)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기 설정된 터치제스처는, 이하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템(220) 및 상기 UI(230)가 포함된 영역 지정을 위한 터치제스처가 될 수 있다.
도 13은 화면이 잠금된 상태에서, 둘 이상의 외부 기기가 검색되어, 상기 잠금 화면(210A) 상에 둘 이상의 외부 기기를 나타내는 둘 이상의 아이템들을 표시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UI(230) 및 둘 이상의 아이템들(220A, 220B)이 포함된 영역을 지정하는 터치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화면(210A)을 언락(unlock)(210B)시키고, 동시에 상기 지정된 영역 내에 포함된 아이템들(220A, 220B)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들과 통신을 연결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UI(230) 및 하나의 아이템이 포함된 영역을 지정하는 터치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잠금 화면(210A)을 언락(unlock)(210B)시키고, 동시에 상기 지정된 영역 내에 포함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UI(230)만이 포함된 영역을 지정하는 터치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잠금 화면(210A)만을 언락(unlock)(210B)시킨다.
그 다음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의 개수에 따라 둘 이상의 잠금 화면을 구성하고,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템을 상기 둘 이상의 잠금 화면 중 현재 표시된 잠금 화면이 아닌 다른 잠금 화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현재 표시된 잠금 화면 상에 상기 아이템이 위치한 다른 잠금 화면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의 잠금 화면을 상기 아이템이 위치한 다른 잠금 화면으로 전환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다른 잠금 화면을 언락시키고, 상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한다.
일 예로,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잠금 화면(210A)을 표시한 상태에서, 통신 연결이 가능한 외부 기기가 1개 검색되면, 상기 잠금 화면(210A)을 2개의 잠금 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2개의 잠금 화면 중 현재 표시된 잠금 화면(210A)이 아닌 다른 잠금 화면 내에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템을 위치시킨다.
또한, 제어부(180)는 잠금 화면(210A)을 표시한 상태에서, 통신 연결이 가능한 외부 기기가 2개 검색되면, 상기 잠금 화면(210A)을 3개의 잠금 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3개의 잠금 화면 중 현재 표시된 잠금 화면(210A)이 아닌 다른 잠금 화면들 내에 상기 검색된 2개의 외부 기기를 각각 나타내는 아이템들을 각각 위치시킨다.
한편, 도 1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현재의 잠금 화면(210A) 상에 상기 아이템이 위치한 다른 잠금 화면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한다.
일 예로, 도 14의 (a)에서는 상기 가이드 정보가 상기 현재의 잠금 화면(210A)의 측면에 특정 색상의 하이라이트(highlight)(240A)로 표시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하이라이트(240A)의 위치를 보고서, 현재의 잠금 화면(240A)을 상기 하이라이트(240A)가 위치한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를 행하면,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현재의 잠금 화면(210A)을 상기 아이템이 위치한 상기 다른 잠금 화면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다른 잠금 화면을 언락(210B)시키고, 상기 언락된 화면 내에 위치한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가이드 정보로써 상기 하이라이트(240A)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현재의 잠금 화면(240A) 내의 상기 UI(230)가 터치되고, 상기 UI(230)가 터치된 지점이 상기 하이라이트(240A) 내로 드래그되면, 상기 현재의 잠금 화면(210A)을 상기 아이템이 위치한 상기 다른 잠금 화면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다른 잠금 화면을 언락(210B)시키고, 상기 언락된 화면 내에 위치한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가이드 정보로써 상기 현재의 잠금 화면(240A)을 기준으로 상기 아이템이 위치한 상기 다른 잠금 화면의 위치를 나타내는 텍스트 정보("connectable device 1")를 표시하고, 상기 텍스트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현재의 잠금 화면(210A)을 상기 아이템이 위치한 상기 다른 잠금 화면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다른 잠금 화면을 언락(210B)시키고, 상기 언락된 화면 내에 위치한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 14의 (b)에서는 상기 가이드 정보가 상기 현재의 잠금 화면(210A) 내에서 상기 아이템이 위치한 다른 잠금 화면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살표(240B) 형상으로 표시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화살표(240B)의 방향을 보고서, 현재의 잠금 화면(240A)을 기준으로 상기 아이템이 위치한 상기 다른 잠금 화면의 위치를 알 수 있고, 상기 화살표(240B)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를 행하면,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현재의 잠금 화면(210A)을 상기 아이템이 위치한 상기 다른 잠금 화면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다른 잠금 화면을 언락(210B)시키고, 상기 언락된 화면 내에 위치한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가이드 정보로써 상기 화살표(240B)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현재의 잠금 화면(240A) 내의 상기 UI(230)가 터치되고, 상기 UI(230)가 터치된 지점이 상기 화살표(240B) 내로 드래그되면, 상기 현재의 잠금 화면(210A)을 상기 아이템이 위치한 상기 다른 잠금 화면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다른 잠금 화면을 언락(210B)시키고, 상기 언락된 화면 내에 위치한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할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 및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700)가 둘 다 화면이 잠금된 상태일 때,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51) 및 외부 기기(700)의 터치스크린 상에 함께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의 화면을 동시에 언락하고,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5는 휴대 단말기(100) 및 휴대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700)가 둘 다 터치스크린의 화면이 잠금된 상태이고,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가 서로 근접 또는 맞닿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잠금화면 및 외부 기기의 잠금화면 상에 동시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핀칭-인 터치제스처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의 잠금화면을 동시에 언락하고,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700)를 검색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잠금화면 내에 표시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잠금화면의 언락을 위한 제1 UI(230) 및 외부 기기(700)의 화면 내에 표시된 상기 외부 기기(700)의 잠금화면의 언락을 위한 제2 UI(810)가 터치된 것으로 감지되고, 상기 제1 UI(230) 및 제2 UI(810)가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UI(230) 및 제2 UI(810)가 각각 터치된 두 지점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감소되는 핀칭-인 터치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잠금 화면 및 외부 기기(700)의 잠금 화면을 둘 다 동시에 언락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한다.
즉,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상기 제1 UI(230)가 터치된 상태이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700)로 외부 기기(700)의 제2 UI(810)가 터치된 상태인지 문의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700)로부터 제2 UI(810)가 터치된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터치스크린(151) 상에 휴대 단말기(100)에서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 언락을 위한 터치제스처의 패턴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가이드 정보(240A)를 표시한다.
외부 기기(700)의 제어부(770)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7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2 UI(810)가 터치된 상태임이 감지된 상태에서, 무선 통신부(710)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문의 신호가 수신되면, 무선 통신부(710)를 통해 상기 제2 UI(810)가 터치된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를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외부 기기(700)의 제어부(770)는 디스플레이부(760)의 잠금화면 상에 상기 잠금화면의 언락을 위한 터치제스처의 패턴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가이드 정보(240A)를 표시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화면 상에 상기 가이드 정보(240A)가 표시되고,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제2 UI(810)가 터치된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외부 기기(700)가 상기 가이드 정보(240A)를 표시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700)로 상기 가이드 정보(240A)의 표시를 명령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15의 (b)에서는 휴대 단말기(100)의 제1 UI(230) 상에 입력되는 제1 터치제스처(251A)는 상기 제1 UI(230)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가 위치한 방향의 변으로 드래그되는 패턴의 터치제스처이고, 외부 기기(700)의 제2 UI(810) 상에 입력되는 제2 터치제스처(251B)는 상기 제2 UI(81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방향의 변으로 드래그되는 패턴의 터치제스처인 것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두 제1 및 제2 터치제스처(251A, 251B)를 결합하면 핀칭-인 터치제스처가 되는 것이다.
즉,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는 화면 내의 변 중에서 서로 간에 맞닿은 변 상에 특정 색상의 하이라이트와 같은 상기 가이드 정보(240A)를 각각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 정보(240A)를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제1 UI(230) 및 외부 기기(700)의 제2 UI(810) 상에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의 잠금 화면 해제 및 통신 연결을 위한 핀칭-인 터치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제1 UI(230) 상에 상기 제1 터치제스처(251A)가 입력되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700)로 상기 제1 터치제스처(251A)의 입력됨을 알림 및 상기 외부 기기(700)로 상기 제2 터치제스처(251B)의 입력 유무를 문의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외부 기기(700)는 디스플레이부(760)를 통해 상기 제2 UI(810) 상에 상기 제2 터치제스처(251B)가 입력됨이 감지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제1 터치제스처(251A)의 입력됨을 알림 및 상기 제2 터치제스처(251B)의 입력 유무를 문의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760)의 잠금화면을 언락함과 동시에 상기 제2 터치제스처(251B)가 입력됨을 알리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710)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제스처가(251A)가 입력된 상태에서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제2 터치제스처(251B)가 입력됨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을 언락함과 동시에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한다.
또한,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제스처가(251A)가 입력되어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제2 터치제스처(251B)가 입력됨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터치제스처(251A)가 해제되기 이전까지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의 언락 및 상기 외부 기기(700)와의 통신 연결을 보류하고, 상기 제1 및 제2 터치제스처(251A, 251B)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가 동시에 해당 잠금화면 언락 및 서로 간에 통신이 연결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260)를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 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알림 정보(260)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터치제스처(251A)가 상기 잠금화면 상에 해제되면, 상기 알림 정보(260)의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외부 기기(700)가 자신의 잠금화면을 언락하도록 상기 제1 터치제스처(251A)가 해제됨을 알리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하고,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을 언락 및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한다.
외부 기기(700)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제1 터치제스처(251A)가 입력된 후 해제됨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760)의 잠금화면을 언락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알림 정보(260)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터치제스처(251A)가 상기 잠금화면 상에 해제되면, 상기 제1 터치제스처(251A)가 입력된 후 해제됨을 알림 및 상기 외부 기기(700)로 상기 제2 터치제스처(251B)가 입력된 후 해제되었는지 문의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제2 터치제스처(251B)가 입력된 후 해제됨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알림 정보(260)의 표시를 중단하고,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을 언락 및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한다.
즉,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의 제1 및 제2 UI(230, 810) 상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의 잠금화면 해제 및 통신 연결을 위한 핀칭-인 터치제스처(251A, 251B)를 입력한 후 상기 핀칭-인 터치제스처(251A, 251B)의 터치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제어부(180)는 상기 알림 정보(260)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핀칭-인 터치제스처(251A, 251B)를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의 잠금화면 상에서 해제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알림 정보(260)의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을 언락 및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도 16은 휴대 단말기(100) 및 상기 외부 기기(700)의 화면이 잠금된 상태이고,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가 서로 근접 또는 맞닿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잠금화면을 경유하여 상기 외부 기기(700)의 잠금화면까지 진행되는 사용자의 드래그 터치제스처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의 화면을 동시에 언락하고,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700)를 검색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잠금화면 내에 표시된 상기 제1 UI(230)가 터치되어 상기 잠금화면 내의 변 중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맞닿은 변의 특정 지점까지 드래그되는 제1 터치제스처(252A)가 입력되고, 외부 기기(700)로부터 휴대 단말기(100)와 맞닿은 변의 특정 지점이 터치되어 상기 외부 기기(700)의 제2 UI(810)까지 드래그되는 제2 터치제스처(252B)가 입력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00)의 잠금 화면 및 외부 기기(700)의 잠금 화면을 둘 다 동시에 언락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한다.
즉,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 상에 상기 제1 터치제스처(252A)가 입력되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700)로 외부 기기(700)의 상기 제1 터치제스처(252A)가 입력됨을 알림 및 상기 제2 터치제스처(252B)의 입력 유무를 문의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외부 기기(700)의 제어부(770)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760)의 잠금화면 상에 상기 제2 터치제스처(252B)가 입력되고,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제1 터치제스처(252A)가 입력됨을 알림 및 상기 제2 터치제스처(252B)의 입력 유무를 문의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760)의 잠금화면을 언락함과 동시에 상기 제2 터치제스처(252B)가 입력됨을 알리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710)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제2 터치제스처(252B)가 입력됨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을 언락함과 동시에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한다.
즉, 사용자는 둘 이상의 장치들(100, 700)의 화면 내에 표시된 잠금화면 해제를 위한 UI들(230, 810)을 순차적으로 드래그 터치하여 연결함으로써, 둘 이상의 장치들(100, 700)의 잠금화면을 언락함과 동시에 서로 간에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제스처(252A)가 입력되고,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700)에 입력된 제2 터치제스처(252B)가 해제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입력된 제2 터치제스처(252B)가 해제됨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기 이전까지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의 언락 및 상기 외부 기기(700)와의 통신 연결을 보류하고, 상기 제1 및 제2 터치제스처(252A, 252B)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가 동시에 해당 잠금화면 언락 및 서로 간에 통신이 연결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260)를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 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알림 정보(260)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입력된 제2 터치제스처(252B)가 해제됨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알림 정보(260)의 표시를 중단하고,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을 언락 및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한다.
즉,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제1 UI(230)를 경유하여 외부 기기(700)의 제2 UI(810)까지 드래그되는 터치제스처(251A, 251B)를 입력한 후 상기 제2 UI(810) 상의 터치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제어부(180)는 상기 알림 정보(260)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2 UI(810) 상의 터치를 해제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알림 정보(260)의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을 언락 및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도 17은 휴대 단말기(100) 및 휴대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700)가 둘 다 터치스크린의 화면이 잠금된 상태이고,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가 서로 근접 또는 맞닿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잠금화면 및 외부 기기의 잠금화면 상에 동시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롱-터치제스처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의 잠금화면을 동시에 언락하고,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의 (a)는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의 각각의 잠금화면 내에 상기 제1 및 제2 UI(230, 810)가 표시되고, 상기 제1 및 제2 UI(230, 810)가 동시에 롱-터치되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UI(230, 810)의 외부에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의 잠금화면의 언락 및 통신 연결을 위한 롱-터치 시간을 가이드하는 각각의 제1 및 제2 동심원(230A, 810A)이 표시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UI(230, 810)의 형상의 크기는 사용자의 롱-터치 시간이 지날수록 상기 제1 및 제2 동심원(230A, 810A)보다 작은 크기에서 점점 동일한 크기로 변화된다.
도 17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제1 UI(230)가 터치된 상태이면, 상기 제1 UI(230)의 터치 유지 시간이 커질수록 상기 제1 UI(230)의 형상의 크기를 상기 제1 동심원(230A)의 크기에 가까워지도록 확대시키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700)로 상기 제2 UI(810)의 터치가 유지된 시간이 상기 외부 기기(700)의 잠금화면의 언락을 위한 시간에 만족하는지 문의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외부 기기(700)의 제어부(770)는 상기 제2 UI(810)가 터치된 상태이면, 상기 제2 UI(810)의 터치 유지 시간이 커질수록 상기 제2 UI(810)의 형상의 크기를 상기 제2 동심원(810A)의 크기에 가까워지도록 확대시킨다.
그리고, 외부 기기(700)의 제어부(770)는 상기 제2 UI(810)에 대한 터치 유지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제2 UI(810)의 형상의 크기가 상기 제2 동심원(810A)의 크기와 동일해진 상태에서,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문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760)의 잠금화면을 언락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100)로 상기 제2 UI(810)의 터치가 유지된 시간이 상기 외부 기기(700)의 잠금화면의 언락을 위한 시간에 만족함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UI(230)의 형상의 크기가 상기 제1 동심원(230A)의 크기와 동일해진 상태에서,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제2 UI(810)의 터치가 유지된 시간이 상기 외부 기기(700)의 잠금화면의 언락을 위한 시간에 만족함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및 제2 UI(230, 810)가 롱-터치된 시간이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의 잠금화면의 언락 및 서로 간의 통신 연결 조건에 만족하므로,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을 언락함과 동시에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한다.
즉, 사용자는 둘 이상의 장치들(100, 700)의 화면 내에 표시된 잠금화면 해제를 위한 UI들(230, 810)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롱-터치함으로써, 둘 이상의 장치들(100, 700)의 잠금화면을 언락함과 동시에 서로 간에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UI(230)의 형상의 크기가 상기 제1 동심원(230A)과 동일하고, 상기 제1 UI(230)에 대한 롱-터치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제2 UI(810)에 대한 롱-터치가 해제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UI(230)에 대한 롱-터치가 해제되기 이전 또는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제2 UI(810)에 대한 롱-터치가 해제됨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기 이전까지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의 언락 및 상기 외부 기기(700)와의 통신 연결을 보류하고, 상기 제1 및 제2 UI(230, 810)에 대한 롱-터치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가 동시에 해당 잠금화면 언락 및 서로 간에 통신이 연결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260)를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 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알림 정보(260)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UI(230)에 대한 롱-터치가 해제되거나 또는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제2 UI(810)에 대한 롱-터치가 해제됨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알림 정보(260)의 표시를 중단하고,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을 언락 및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UI(230, 810)에 대한 롱-터치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제어부(180)는 상기 알림 정보(260)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UI(230, 810)에 대한 어느 하나가 터치 해제되거나 또는 둘 다 터치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알림 정보(260)의 표시를 중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잠금화면을 언락 및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하는 것이다.
이상, 도 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도 5의 S140 및 S160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의 도 18 내지 도 25에서는, 도 5의 S110 내지 S160 과정에 의해 잠금 화면 언락 및 외부 기기(700)와 통신을 연결한 상태에서, S170 과정의 상기 외부 기기(700)의 동작 제어 과정의 일 실시예로써, 휴대 단말기(100)와 외부 기기(700) 간에 기능을 연동(interwork)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8 내지 도 25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도 5 내지 도 17의 과정에 의해 상기 잠금 화면이 언락(unlock)되고,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기능 중에서 상기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700)와 연동(interworkable)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아이템을 상기 언락된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기능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능 아이템에 해당하는 기능을 상기 외부 기기(700)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연동 가능한 기능은,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위젯, 컨텐트, 메뉴 기능 등 휴대 단말기(100)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연동 가능한 모든 기능을 포함한다.
일 예로, 도 18는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연동 가능한 기능으로써,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 기능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도 5 내지 도 17의 과정에 의해 상기 잠금 화면이 언락(unlock)되고,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이 연결되면,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기능 중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연동(interworkable)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아이템을 상기 언락된 화면(210B)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기능 아이템 중 카메라 기능 아이템(310)이 선택되면, 카메라(121)를 구동시키고,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21)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311)을 표시하고, 도 1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리뷰 영상(311)이 상기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700)에 표시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카메라(121)로부터 실시간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311)을 상기 외부 기기(700)에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형태로 전송하거나 또는 카메라(121)로부터 입력된 프리뷰 영상(311)을 캡처하여 상기 외부 기기(7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121)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311)을 대화면을 가진 외부 기기(700)를 통해서도 볼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도 19는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연동 가능한 기능으로써, 외부 기기(700)의 카메라 기능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도 5 내지 도 17의 과정에 의해 상기 잠금 화면이 언락(unlock)되고,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이 연결되면,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기능 중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연동(interworkable)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아이템을 상기 언락된 화면(210B)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기능 아이템 중 카메라 기능 아이템(310)이 선택되면, 도 15와는 다르게,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121)를 구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700)의 카메라(720)의 프리뷰 영상(312) 송신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한다.
그러면,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기기(700)의 제어부(770)는 외부 기기(700)의 카메라(720)를 구동시키고, 상기 외부 기기(700)의 카메라(720)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312)을 상기 외부 기기(700)의 디스플레이부(760)에 표시하고, 휴대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프리뷰 영상(312)이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51)의 언락된 화면(210B) 상에 표시되도록, 상기 외부 기기(700)의 무선 통신부(710)를 통해 상기 프리뷰 영상(312)을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770)는 무선 통신부(710)를 통해 카메라(720)로부터 실시간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312)을 휴대 단말기(100)에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형태로 전송하거나 또는 카메라(720)로부터 입력된 프리뷰 영상(312)을 캡처하여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700)로부터 수신된 프리뷰 영상(312)을 터치스크린(151)의 언락된 화면 상에 표시한다.
그 다음으로, 도 20은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연동 가능한 기능으로써,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 기능 및 외부 기기(700)의 카메라 기능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도 5 내지 도 17의 과정에 의해 상기 잠금 화면이 언락(unlock)되고,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이 연결되면,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기능 중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연동(interworkable)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아이템을 상기 언락된 화면(210B)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기능 아이템 중 카메라 기능 아이템(310)이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121)를 구동시키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카메라(121)로부터 입력된 프리뷰 영상(315)과 함께 외부 기기(700)의 카메라(720)의 프리뷰 영상(316) 송신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외부 기기(700)의 제어부(770)는 외부 기기(700)의 카메라(720)를 구동시키고, 상기 외부 기기(700)의 카메라(720)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316)과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프리뷰 영상(315)을 디스플레이부(760) 화면 상에 함께 표시하고, 휴대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프리뷰 영상(316)이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프리뷰 영상(315)과 함께 표시되도록, 상기 외부 기기(700)의 무선 통신부(710)를 통해 상기 프리뷰 영상(316)을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 기기(700)로부터 프리뷰 영상(316)이 수신되면,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된 프리뷰 영상(315)과 상기 수신된 프리뷰 영상(316)을 화면 상에 함께 표시한다.
이때,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의 프리뷰 영상(315)을 화면 전체에 표시하고, 상기 외부 기기(700)로부터 수신된 프리뷰 영상(316)을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프리뷰 영상(315) 내에 작은 크기로 표시하거나, 또는 반대로 상기 외부 기기(700)로부터 수신된 프리뷰 영상(316)을 화면 전체에 표시하고, 휴대 단말기(100)의 프리뷰 영상(315)을 상기 외부 기기(700)로부터 수신된 프리뷰 영상(316) 내에 작은 크기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기기(700)의 제어부(770)는 상기 외부 기기(700)의 프리뷰 영상(316)을 화면 전체에 메인으로 표시하고,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프리뷰 영상(315)을 상기 외부 기기(700)의 프리뷰 영상(316) 내에 작은 크기로 표시하거나, 또는 반대로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프리뷰 영상(315)을 화면 전체에 메인으로 표시하고, 외부 기기(700)의 프리뷰 영상(316)을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프리뷰 영상(315) 내에 작은 크기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화면 상에 휴대 단말기(100)의 프리뷰 영상(315) 및 외부 기기(700)의 프리뷰 영상(316)을 함께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캡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프리뷰 영상(315) 및 외부 기기(700)의 프리뷰 영상(316)이 하나로 머징(merging)된 영상을 캡처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하고, 동시에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700)에게도 캡처를 명령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기기(700)의 제어부(770)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캡처 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화면 상에 표시된 외부 기기(700)의 프리뷰 영상(316) 및 휴대 단말기(100)의 프리뷰 영상(315)이 하나로 머징(merging)된 영상을 캡처하여 메모리(740)에 저장할 수 있다.
반대로, 외부 기기(700)의 제어부(770)는 화면 상에 휴대 단말기(100)의 프리뷰 영상(315) 및 외부 기기(700)의 프리뷰 영상(316)을 함께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캡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프리뷰 영상(315) 및 외부 기기(700)의 프리뷰 영상(316)이 하나로 머징(merging)된 영상을 캡처하여 메모리(740)에 저장하고, 동시에 무선 통신부(710)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에게도 캡처를 명령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캡처 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화면 상에 표시된 외부 기기(700)의 프리뷰 영상(316) 및 휴대 단말기(100)의 프리뷰 영상(315)이 하나로 머징(merging)된 영상을 캡처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도 21은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연동 가능한 기능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과 통화 시에 상기 상대방에게 메모를 송신하는 기능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메모 송신 기능은, 특정 상대방과 통화 시에,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 입력되는 메모 내용이 상기 특정 상대방의 단말기의 화면에서도 동일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메모 내용을 상기 특정 상대방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이다.
즉, 도 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도 5 내지 도 17의 과정에 의해 상기 잠금 화면이 언락(unlock)되고,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이 연결되면,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기능 중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연동(interworkable)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아이템을 상기 언락된 화면(210B)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기능 아이템 중 특정 상대방과 통화 중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아이템(320)이 선택되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특정 상대방의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기능 아이템(320)이 선택되면, 기 구비된 연락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서 상기 특정 상대방의 연락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상대방의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특정 상대방의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면, 휴대 단말기(100)에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송/수신되는 통화용 음성(321)만이 입/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도 2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외부 기기(700)가 메모 작성 모드로 동작하도록 명령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송신하고, 외부 기기(700)로부터 작성된 메모 내용(322)이 수신되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모 내용을 상기 통화 중인 특정 상대방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서는 상기 특정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하면서, 동시에 대화면을 가진 외부 기기(700)를 통해 상기 특정 상대방에게 전송할 메모 내용을 작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도 22는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연동 가능한 기능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 기능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도 5 내지 도 17의 과정에 의해 상기 잠금 화면이 언락(unlock)되고,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이 연결되면,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기능 중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연동(interworkable)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아이템을 상기 언락된 화면(210B)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기능 아이템 중 특정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아이템(330)이 선택되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특정 상대방의 단말기와 영상 통화를 연결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기능 아이템(330)이 선택되면, 기 구비된 연락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연락처 리스트에서 상기 특정 상대방의 연락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상대방의 단말기와 영상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특정 상대방의 단말기와 영상 통화가 연결되면, 휴대 단말기(100)에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송/수신되는 통화용 음성(321)만이 입/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도 2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실시간 수신되는 상대방의 영상(332)이 상기 외부 기기(700)에 실시간 표시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실시간 수신되는 상대방의 영상(332)을 외부 기기(700)로 실시간 전송한다.
또한, 도 2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외부 기기(700)에게 카메라(720)의 구동 및 카메라(72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가 포함된 프리뷰 영상(333)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7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외부 기기(700)는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720)를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720)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333)을 상기 상대방의 영상(332)과 함께 표시하고, 상기 프리뷰 영상(333)을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외부 기기(700)로부터 사용자가 포함된 프리뷰 영상(333)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프리뷰 영상(333)을 영상 통화용 사용자의 영상으로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영상 통화 중에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서는 상기 특정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하면서, 동시에 대화면을 가진 외부 기기(700)를 통해 상기 특정 상대방의 영상(332) 및 사용자의 영상(333)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도 22와는 다르게, 상기 상대방과 영상 통화가 연결되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의 영상(332)을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도 2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외부 기기(700)에게 카메라(720)의 구동 및 카메라(72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가 포함된 프리뷰 영상(333)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7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외부 기기(700)는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720)를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720)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333)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프리뷰 영상(333)을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외부 기기(700)로부터 사용자가 포함된 프리뷰 영상(333)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프리뷰 영상(333)을 영상 통화용 사용자의 영상으로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24는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연동 가능한 기능으로써, 그림판 기능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그림판 기능은, 도형, 문자, 그림 등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51)을 통해 모든 형상의 드로잉이 가능한 기능을 뜻하고, 상기 그림판 기능은 메모 기능, 이메일 기능, 메신저 기능, 메시지 기능, 문서 기능, 스케줄 기능, 이미지 편집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도 5 내지 도 17의 과정에 의해 상기 잠금 화면이 언락(unlock)되고,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이 연결되면,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기능 중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연동(interworkable)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아이템을 상기 언락된 화면(210B)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기능 아이템 중 그림판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아이템(340)이 선택되면, 상기 그림판 기능을 실행하고,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림판 기능의 실행 화면 중에서 그림 드로잉(drawing)을 위한 그림판 UI(User Interface)(341)만을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 표시하고, 도 2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판 UI(341)를 통해 드로잉되는 그림 표시를 위한 그림 표시창(342)이 외부 기기(700)에 표시되도록 상기 그림 표시창(342)을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7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그림판 UI(341)를 통해 그림 드로잉을 위한 드로잉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 기기(700)가 상기 드로잉 신호에 상응하게 상기 그림판 표시창(342)에 해당 드로잉된 그림을 표시하도록, 상기 입력된 드로잉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한다.
그 다음으로, 도 25는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연동 가능한 기능으로써, 문자 작성 기능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문자 작성 기능은, 휴대 단말기(100)가 출시된 국가의 언어, 영어, 숫자, 특수 문자, 기호 등 모든 문자의 입력이 가능한 기능을 뜻하고, 상기 문자 작성 기능은, 메모 기능, 메시지 기능, 이메일 기능, 메신저 기능, 문서 기능, 스케줄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포함될 수도 있다.
즉,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도 5 내지 도 17의 과정에 의해 상기 잠금 화면이 언락(unlock)되고,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이 연결되면,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기능 중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연동(interworkable)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아이템을 상기 언락된 화면(210B)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기능 아이템 중 문자 작성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아이템(350)이 선택되면, 상기 문자 작성 기능을 실행하고, 도 2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자 작성 기능의 실행 화면 중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UI(User Interface)(351)만을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 표시하고, 도 2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UI(351)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표시를 위한 문자 표시창(352)이 외부 기기(700)에 표시되도록 상기 문자 표시창(352)을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7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 UI(351)를 통해 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 기기(700)가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상응하게 상기 문자 표시창(352)에 해당 문자를 표시하도록, 상기 입력된 문자 입력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한다.
이상, 도 15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도 5의 S170 과정의 상기 외부 기기(700)의 동작 제어 과정의 일 실시예로써, 휴대 단말기(100)와 외부 기기(700) 간에 기능을 연동(interwork)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한편, 제어부(180)는 도 5의 S170 과정의 상기 외부 기기(700)의 동작 제어 과정의 다른 실시예로써, 휴대 단말기(100)의 컨텐트를 외부 기기(7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컨텐트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실행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고, 일 예로써, 방송, 동영상, 음악, 사진, 게임, 문서, 맵, 네비게이션, 메뉴 기능, 어플리케이션, 위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도 5 내지 도 17의 과정에 의해 상기 잠금 화면이 언락(unlock)되고,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이 연결되면,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컨텐트 중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에서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이 연결되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700)로 상기 외부 기기(700)의 장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700)의 장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장치 정보를 근거로,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컨텐트 중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에서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나타내는 컨텐트 아이템을 상기 언락된 화면(210B) 상에 표시하고, 특정 컨텐트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트 아이템에 해당하는 컨텐트가 상기 외부 기기(700)에서 실행되도록 상기 컨텐트를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선택된 특정 컨텐트 아이템에 해당하는 컨텐트가 상기 외부 기기(700)에 구비되어 있으면, 제어부(180)는 상기 컨텐트의 실행을 명령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한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특정 컨텐트 아이템에 해당하는 컨텐트의 구비 여부를 문의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컨텐트가 구비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트 데이터 자체를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컨텐트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트의 실행을 명령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언락된 화면(210B) 상에서 특정 컨텐트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트 아이템에 해당하는 컨텐트를 실행하고, 상기 실행 중인 컨텐트의 실행 화면의 영상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외부 기기(700)에서 실시간 출력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실시간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도 5의 S170 과정의 상기 외부 기기(700)의 동작 제어 과정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휴대 단말기(100)의 컨텐트 중 최근 사용된 컨텐트를 외부 기기(7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도 5 내지 도 17의 과정에 의해 상기 잠금 화면이 언락(unlock)되고,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이 연결되면,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컨텐트 중에서 최근에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검색한다.
상기 최근에 사용된 기준은, 일정 기간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기간을 말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나타내는 컨텐트 아이템을 상기 언락된 화면(210B) 상에 표시하고, 특정 컨텐트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트 아이템에 해당하는 컨텐트가 상기 외부 기기(700)에서 실행되도록 상기 컨텐트를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선택된 특정 컨텐트 아이템에 해당하는 컨텐트가 상기 외부 기기(700)에 구비되어 있으면, 제어부(180)는 상기 컨텐트의 실행을 명령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한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특정 컨텐트 아이템에 해당하는 컨텐트의 구비 여부를 문의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컨텐트가 구비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트 데이터 자체를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컨텐트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트의 실행을 명령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언락된 화면(210B) 상에서 특정 컨텐트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트 아이템에 해당하는 컨텐트를 실행하고, 상기 실행 중인 컨텐트의 실행 화면의 영상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외부 기기(700)에서 실시간 출력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실시간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도 5의 S170 과정의 상기 외부 기기(700)의 동작 제어 과정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휴대 단말기(100)의 컨텐트 중 상기 외부 기기(700)와 이전에 공유되었던 컨텐트를 외부 기기(7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도 5 내지 도 17의 과정에 의해 상기 잠금 화면이 언락(unlock)되고,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이 연결되면,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컨텐트 중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이전에 통신이 연결되어 공유되었던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검색한다.
즉, 제어부(180)는 외부 기기들과 통신이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100)의 컨텐트를 상기 외부 기기들과 공유할 때마다, 공유된 컨텐트 및 컨텐트를 공유한 외부 기기의 히스토리를 메모리(160)에 저장하고,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히스토리를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컨텐트 중에서 상기 외부 기기(700)와 이전에 공유되었던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나타내는 컨텐트 아이템을 상기 언락된 화면(210B) 상에 표시하고, 특정 컨텐트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트 아이템에 해당하는 컨텐트가 상기 외부 기기(700)에서 실행되도록 상기 컨텐트를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선택된 특정 컨텐트 아이템에 해당하는 컨텐트가 상기 외부 기기(700)에 구비되어 있으면, 제어부(180)는 상기 컨텐트의 실행을 명령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한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특정 컨텐트 아이템에 해당하는 컨텐트의 구비 여부를 문의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컨텐트가 구비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트 데이터 자체를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기기(700)로부터 상기 컨텐트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트의 실행을 명령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7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언락된 화면(210B) 상에서 특정 컨텐트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트 아이템에 해당하는 컨텐트를 실행하고, 상기 실행 중인 컨텐트의 실행 화면의 영상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외부 기기(700)에서 실시간 출력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실시간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술한 도 5 내지 도 14의 과정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의 잠금화면이 언락되고,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 다시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이 잠금되면, 상술한 도 5 내지 도 14에서 설명된 터치제스처를 상기 다시 잠금된 화면 상에 입력하여 상기 다시 잠금된 화면을 언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술한 도 15 내지 도 17의 과정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의 잠금화면이 언락되고, 상기 외부 기기(700)와 통신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 다시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의 화면이 잠금되면, 상술한 도 15 내지 도 17에서 설명된 터치제스처를 상기 다시 잠금된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의 화면 상에 입력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기기(700)의 잠금화면을 다시 언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11: 방송 수신부 112: 이동통신 모듈
113: 무선 인터넷 모듈 114: 근거리 통신 모듈
115: 위치 정보 모듈 120: A/V 입력부
121: 카메라 122: 마이크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41: 근접 센서 150: 출력부
151: 디스플레이부 152: 음향 출력 모듈
153: 알람 모듈 154: 햅틱 모듈
155: 프로젝터 모듈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81: 멀티미디어 모듈 190: 배터리

Claims (20)

  1. 무선 통신부;
    잠금된 화면(이하, '잠금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화면이 잠금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통신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템을 상기 잠금 화면 내에 표시하고, 상기 잠금 화면 상에 입력되는 터치제스처에 따라 상기 잠금 화면을 잠금 해제 및 상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화면은,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의 개수에 따라 둘 이상의 잠금 화면들로 구성되고,
    상기 아이템은, 상기 잠금 화면들 중 현재 표시된 잠금 화면이 아닌 다른 잠금 화면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표시된 잠금 화면 상에 상기 아이템이 위치한 다른 잠금 화면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현재의 잠금 화면이 상기 다른 잠금 화면으로 전환되면, 상기 다른 잠금 화면을 잠금 해제하고, 상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화면 내에 상기 잠금 화면의 잠금 해제를 위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상기 UI 및 상기 아이템 간에 행해지는 터치제스처에 따라 상기 잠금 화면을 잠금 해제하고, 상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삭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가 터치되고, 상기 터치된 UI가 상기 아이템의 표시 영역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잠금 화면을 잠금 해제하고, 상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삭제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 및 상기 아이템이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UI 및 상기 아이템이 각각 터치된 두 지점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감소되면, 상기 잠금 화면을 잠금 해제하고, 상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와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기능 중 상기 연결된 외부 기기와 연동(interwork)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아이템을 상기 잠금 해제된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기능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능 아이템에 해당하는 기능을 상기 외부 기기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가능한 기능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이 상기 외부 기기에서 표시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가능한 기능은, 상기 외부 기기의 카메라 기능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의 송신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프리뷰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가능한 기능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및 상기 외부 기기의 카메라 기능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구동시키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제2 프리뷰 영상의 송신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 및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프리뷰 영상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가능한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과 통화 시에 상기 상대방에게 메모를 송신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과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통화용 음성을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입/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가 메모 작성 모드로 동작하도록 명령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작성된 메모 내용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모 내용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에게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가능한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 기능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과 영상 통화가 연결되면,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대방의 영상이 상기 외부 기기에서 표시되도록 상기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063394A 2013-06-03 2013-06-03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394A KR102124476B1 (ko) 2013-06-03 2013-06-03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4/071,073 US9626083B2 (en) 2013-06-03 2013-11-04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of a locked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394A KR102124476B1 (ko) 2013-06-03 2013-06-03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967A KR20140141967A (ko) 2014-12-11
KR102124476B1 true KR102124476B1 (ko) 2020-06-19

Family

ID=5198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394A KR102124476B1 (ko) 2013-06-03 2013-06-03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26083B2 (ko)
KR (1) KR102124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2322B2 (en) 2011-09-29 2015-04-07 Apple Inc.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US8769624B2 (en) 2011-09-29 2014-07-01 Apple Inc. Access control utilizing indirect authentication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US9444926B2 (en) * 2013-04-27 2016-09-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721476B2 (en) * 2013-11-06 2017-08-01 Sync-Think,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ognitive training
KR20150079106A (ko) * 2013-12-31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18906B1 (ko) * 2014-01-17 2021-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9483763B2 (en) 2014-05-29 2016-11-0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9967401B2 (en) 2014-05-30 2018-05-0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hone call routing among devices
WO2015183367A1 (en) 2014-05-30 2015-12-03 Apple Inc. Continuity
EP3862898A1 (en) * 2014-08-15 2021-08-11 Apple Inc. Authenticated device used to unlock another device
US10339293B2 (en) 2014-08-15 2019-07-02 Apple Inc. Authenticated device used to unlock another device
DE202015006142U1 (de) 2014-09-02 2015-12-09 Apple Inc. Elektronische Touch-Kommunikation
US9547419B2 (en) 2014-09-02 2017-01-17 Apple Inc. Reduced size configuration interface
CN104809373B (zh) * 2015-03-02 2018-06-1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解锁的方法
US10254911B2 (en) 2015-03-08 2019-04-09 Apple Inc. Device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CN104714414B (zh) * 2015-03-25 2018-11-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US20160358133A1 (en) 2015-06-05 2016-12-0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for a wearable device
CN105187671A (zh) * 2015-10-29 2015-12-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录音方法及装置
CN105792383A (zh) * 2016-02-22 2016-07-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组网方法和装置
KR102538955B1 (ko) * 2016-03-02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의 영상 디스플레이 및 전송 방법
DK179186B1 (en) 2016-05-19 2018-01-15 Apple Inc REMOTE AUTHORIZATION TO CONTINUE WITH AN ACTION
DK201670622A1 (en) 2016-06-12 2018-02-1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transactions
CN106648539B (zh) * 2017-01-03 2020-06-05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解锁方法及电子终端
US11431836B2 (en) 2017-05-02 2022-08-30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initiating media playback
US10992795B2 (en) 2017-05-16 2021-04-27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US20220279063A1 (en) 2017-05-16 2022-09-01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CN111343060B (zh) 2017-05-16 2022-02-11 苹果公司 用于家庭媒体控制的方法和界面
WO2018227825A1 (zh) * 2017-06-16 2018-12-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屏幕锁定方法及装置
KR20190003118A (ko) * 2017-06-30 2019-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로봇 시스템
CN110291525A (zh) * 2017-07-06 2019-09-27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基于功率状态转变来控制相机的操作
CN107395879B (zh) * 2017-07-07 2018-08-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防止终端锁屏的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EP4274286A3 (en) 2018-01-22 2023-12-27 Apple Inc. Secure login with authentication based on a visual representation of data
KR102629413B1 (ko) * 2018-03-22 2024-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US11010121B2 (en) 2019-05-31 2021-05-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KR102436985B1 (ko) 2019-05-31 2022-08-29 애플 인크. 오디오 미디어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11062224B (zh) * 2019-10-30 2023-02-10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内容传输方法和终端设备
CN111596837B (zh) * 2020-04-21 2021-03-16 广州日晷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感应的多媒体交互方法及装置
KR20220005702A (ko) * 2020-07-07 2022-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인증 동작 수행 방법
US11392291B2 (en) 2020-09-25 2022-07-19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media control with dynamic feedback
KR20220079159A (ko) * 2020-12-04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847378B2 (en) 2021-06-06 2023-12-19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rout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6556A1 (en) * 2010-08-06 2012-02-09 Google Inc. Input to Locked Compu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3105B2 (en) * 2004-11-12 2009-10-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of making phone calls from a locked out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20070300063A1 (en) * 2006-06-23 2007-12-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Pairing to a Wireless Peripheral Device at the Lock-Screen
KR101517967B1 (ko) * 2008-07-07 201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230075B1 (en) * 2008-11-15 2012-07-24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devices which can be targete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ession
KR101467796B1 (ko) * 2009-01-12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7706B1 (ko) * 2009-04-16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37064A (ko) * 2009-10-05 2011-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756532B2 (en) * 2010-01-21 2014-06-17 Cisco Technology, Inc. Using a gesture to transfer an object across multiple multi-touch devices
US20110283241A1 (en) * 2010-05-14 2011-11-17 Google Inc. Touch Gesture Actions From A Device's Lock Screen
KR20120034297A (ko) * 2010-10-01 2012-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US8935613B1 (en) * 2010-10-28 2015-01-13 Google Inc. Communication initiation control
KR101660747B1 (ko) * 2010-11-09 201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075619A (zh) * 2010-12-15 2011-05-25 华为终端有限公司 触摸屏手机的解锁方法和触摸屏手机
KR101677639B1 (ko) * 2011-05-06 2016-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5762944B2 (ja) * 2011-12-28 2015-08-12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187753A1 (en) * 2012-01-20 2013-07-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Predictive Context-Aware Dynamic Lock Screen
US8478195B1 (en) * 2012-02-17 2013-07-02 Google Inc. Two-factor user authentic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130283199A1 (en) * 2012-04-24 2013-10-24 Microsoft Corporation Access to an Application Directly from a Lock Screen
US8847903B2 (en) * 2012-04-26 2014-09-30 Motorola Mobility Llc Unlocking an electronic device
US20130346921A1 (en) * 2012-06-26 2013-12-26 Google Inc. Light field lockscreen
JP5404860B2 (ja) * 2012-07-10 2014-02-05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端末及び情報処理方法
WO2014030875A1 (en) * 2012-08-24 201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on information by using image on device display
US9137723B2 (en) * 2013-03-15 2015-09-15 Facebook, Inc. Portable platform for networked computing
KR102022666B1 (ko) * 2013-05-16 2019-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6556A1 (en) * 2010-08-06 2012-02-09 Google Inc. Input to Locked Compu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967A (ko) 2014-12-11
US9626083B2 (en) 2017-04-18
US20140359454A1 (en)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47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8506B1 (ko) 이동 단말기
KR10210546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241743B2 (en) Mobile terminal for matching displayed text with recorded external audio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10178804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581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4043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0877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45233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1979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182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0920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480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3182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38518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219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370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448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7767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741254B1 (ko) 이동 단말기 및 다중 클립보드 제어 방법
KR2015001294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226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2221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입력 제어 방법
KR102118406B1 (ko) 단말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11020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