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886B1 - 차량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886B1
KR102108886B1 KR1020180102866A KR20180102866A KR102108886B1 KR 102108886 B1 KR102108886 B1 KR 102108886B1 KR 1020180102866 A KR1020180102866 A KR 1020180102866A KR 20180102866 A KR20180102866 A KR 20180102866A KR 102108886 B1 KR102108886 B1 KR 102108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older
insertion portion
thermoelectric element
cu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468A (ko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80102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8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류 및 전도 열전달을 이용하여 한쌍의 삽입부에 삽입된 2개의 컵을 동시에 보온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용 컵홀더는 컵이 삽입되게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가 연통되게 연통유로가 형성된 홀더부와, 상기 연통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연통유로에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그리고 상기 홀더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 삽입된 컵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상기 열전소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된 컵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바닥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나의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전도 및 대류 열전달을 통해 한쌍의 삽입부에 삽입된 2개의 컵을 동시에 보온할 수 있어 원가 절감 및 부품 수 감소에 따른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CUP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류 및 전도 열전달을 이용하여 한쌍의 삽입부에 삽입된 2개의 컵을 동시에 보온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운전자 및 동승자의 편의성 및 거주성의 향상을 위해 여러가지 다양한 편의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다. 컵홀더는 이러한 편의 장치 중 하나로, 주로 콘솔의 내부나 센터 페시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되거나 암레스트의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되는 등 다양한 부분에 구비된다.
특히, 최근에는 저전력의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냉음료 및 온음료의 온도 유지를 위한 온도 유지 기능이 장착된 컵홀더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4929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지칭)에는 냉온장 컵홀더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특허문헌 1의 냉온장 컵홀더는 한 쌍의 홀더바디(100, 100')와, 각각의 홀더바디(100, 100')에 설치된 한 쌍의 열전소자(200, 200')와 각각의 열전소자와 열교환되도록 한 쌍의 열교환핀(400, 40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냉온장 컵홀더는 홀더바디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홀더바디에 열전소자가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열전소자를 냉각하기 위하여 한쌍의 열교환핀이 구비되므로, 제조 원가의 상승,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49293호 (2014.10.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대류 및 전도 열전달을 통해 한쌍의 삽입부에 삽입된 2개의 컵을 동시에 보온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는, 컵이 삽입되게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가 연통되게 연통유로가 형성된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부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전소자; 상기 열교환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유로에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홀더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 삽입된 컵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상기 열전소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된 컵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바닥부;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부는, 상기 홀더부에 체결되고, 관통 형성된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하측을 폐쇄하는 바닥부 커버;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삽입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부 커버에 체결되는 제1 바닥부재;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삽입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부 커버에 체결되는 제2 바닥부재; 및 금속 재질로 마련되며, 일측단은 상기 열전소자와 접촉하고, 타측단은 상기 제1 바닥부재와 상기 제2 바닥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열전달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는, 일측단이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열교환부 사이에 배치되고, 타측단은 상기 제1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 커버 사이 또는 상기 제2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 커버 사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는,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연통유로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삽입부에 형성된 제1 관통홀과 상기 연통유로를 연결시키는 제1 순환유로; 및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연통유로와 이격되어 상기 제2 삽입부에 형성된 제2 관통홀과 상기 연통유로를 연결시키는 제2 순환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연통유로에서 상기 송풍부와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송풍부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로 분할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상기 제2 순환유로는, 상기 연통유로와 상기 제1 관통홀 그리고 상기 제2 관통홀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홀더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격벽부재와, 상기 격벽부재를 덮도록 체결되는 커버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열교환부를 상기 홀더부에 밀착 고정시키고,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면이 삽입되어 상기 열교환부에 밀착되게 삽입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전소자가 밀착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복수의 핀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열교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 핀은,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상기 제2 순환유로 그리고 상기 연통유로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통유로와 상기 제1 순환유로 및 상기 제2 순환유로를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부는, 송풍 팬으로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 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상기 제2 순환유로로 유입되어 상기 열교환 핀과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연통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로 유입되도록 순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는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열전소자를 냉각시키는 방열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접촉하는 히트 파이프; 상기 홀더부에 체결되어 상기 히트 파이프를 고정하는 히트 플레이트; 및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되고, 상기 히트 파이프와 연결된 히트 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히트 싱크가 내측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히트 싱크의 상측에 체결되고, 공기가 유동하도록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히트 싱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 싱크를 냉각하도록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방열수단은,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된 히트 싱크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접촉하여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 따르면, 하나의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대류 및 전도 열전달을 통해 한쌍의 삽입부에 삽입된 2개의 컵을 동시에 보온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부품 수 감소에 따른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온장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서 바닥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서 홀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후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서 홀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서 커버부재와 열교환부 그리고 송풍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2의 I-I'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2의 II-II'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 일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서 일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컵홀더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차량용 컵홀더에서 바닥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상기 차량용 컵홀더에서 홀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후면 사시도 및 정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차량용 컵홀더에서 커버부재와 열교환부 그리고 송풍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2의 I-I' 영역 및 II-II'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100)는 컵(미도시)이 삽입되게 제1 삽입부(210)와 제2 삽입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가 연통되게 연통유로(230)가 형성된 홀더부(200)와, 상기 홀더부(200)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유로(230)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300)와, 상기 열교환부(3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부(300)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전소자(400)와, 상기 열교환부(300)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유로(230)에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부(500), 그리고 상기 홀더부(200)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에 삽입된 컵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상기 열전소자(40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된 컵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바닥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600)는 상기 홀더부(200)에 체결되어 삽입된 컵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상기 열전소자(4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열전도에 의해 삽입된 컵을 가열 또는 냉각하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부(600)는 상기 홀더부(200)에 체결되고 관통 형성된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의 하측을 폐쇄하는 바닥부 커버(610)와,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삽입부(2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부 커버(610)에 체결되는 제1 바닥부재(620)와,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삽입부(22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부 커버(610)에 체결되는 제2 바닥부재(630), 그리고,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열전소자(400)와 상기 제1 바닥부재(620)와 상기 제2 바닥부재(6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열전달 플레이트(6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는 일측단(641)이 상기 열전소자(400)와 상기 열교환부(300) 사이에 배치되고, 타측단(642)은 상기 제1 바닥부재(620)와 상기 바닥부 커버(610) 사이 또는 상기 제2 바닥부재(630)와 상기 바닥부 커버(610) 사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 커버(610)는 상기 홀더부(200)의 후방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 커버부(611)와, 상기 제1 커버부(611)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홀더부(200)의 하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 커버부(612)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커버부(611)에는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일측단(641)이 위치하여 상기 열전소자(400)와 상기 열교환부(300)와 접촉하도록 관통홀(6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커버부(612)에는 상기 제1 바닥부재(620)와 상기 제2 바닥부재(630)가 삽입 체결되게 체결홈(614)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614)에는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타측단(642)이 삽입되게 삽입홈(61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홈(615)에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타측단(642)이 배치되어 상기 제1 바닥부재(620)와 상기 제2 바닥부재(6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타측단(642)이 상기 제1 바닥부재(620)와 상기 제2 바닥부재(630) 모두와 접촉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바닥부재(620)와 상기 제2 바닥부재(630)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홀더부(200)는 차량의 콘솔에 배치되고, 두 개의 컵이 각각 삽입되도록 제1 삽입부(210)와 제2 삽입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는 상기 연통유로(230)로 연통되어 있어, 하나의 열전소자(400)와 열교환부(300)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가 상기 연통유로(230)를 통하여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홀더부(200)는 원가 절감을 위하여 수지로 사출 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부(200)에서는 대류 열전달을 이용하여 컵을 보온하도록 구성되므로 비전도체인 수지로 제작하여도 컵을 보온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부(200)에서는 대류 열전달을 이용하고, 상기 바닥부(600)에서는 전도 열전달을 이용하여 컵을 보온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200)에는 상기 연통유로(230)에서 상기 송풍부(500)와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송풍부(50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로 분할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날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날개부(240)가 상기 홀더부(200)와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은 일정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드 형태로 제작되어 이 부분에서 와류의 형성없이 공기 유동을 원활히 가이드 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홀더부(200)에는 상기 제1 삽입부(210) 내부와 상기 제2 삽입부(22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순환유로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삽입부(210)에는 상기 연통유로(230)와 이격되어 제1 관통홀(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211)은 상기 제1 삽입부(210)의 외부에서 상기 연통유로(230)와 연결되어 제1 순환유로(25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삽입부(220)에는 상기 연통유로(230)와 이격되어 제2 관통홀(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221)은 상기 제2 삽입부(220)의 외부에서 상기 연통유로(230)와 연결되어 제2 순환유로(260)를 형성한다.
이러한 순환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연통유로(230)와 상기 제1 관통홀(211) 그리고 상기 제2 관통홀(221)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홀더부(20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격벽부재(270)와, 상기 격벽부재(270)를 덮도록 체결되는 커버부재(28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280)는 상기 열교환부(300)를 상기 홀더부(200)에 밀착 고정시키고,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일측면이 삽입되어 상기 열교환부(300)에 밀착되게 삽입홀(281)이 형성된다.
즉, 상기 홀더부(200)에 상기 열교환부(300)를 삽입한 후 상기 커버부재(280)를 상기 홀더부(200)에 체결하여 상기 열교환부(300)를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커버부재(280)에 형성된 삽입홀(281)에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를 삽입하여 일측면을 상기 열교환부(300)에 밀착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타측면에는 상기 열전소자(400)가 밀착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열전소자(400)가 가열 또는 냉각되는 경우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전도 열전달을 통해 상기 열교환부(300)가 가열 또는 냉각된다.
상기 열교환부(300)는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와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평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가 밀착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공기와의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복수의 핀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열교환 핀(320)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상기 커버부재(280)의 삽입홀(281)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280)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삽입홀(281)을 통하여 삽입된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전도 열전달을 통해 냉각 또는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핀(320)은 상기 제1 순환유로(250)와 상기 제2 순환유로(260) 그리고 상기 연통유로(2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순환유로(250)와 상기 제2 순환유로(26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마련된다. 이렇게 상기 열교환 핀(320)과 열교환한 공기는 상기 송풍부(50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연통유로(230)로 다시 유입된다.
상기 송풍부(500)는 송풍 팬으로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 핀(3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순환유로(250)와 상기 제2 순환유로(260)로 유입되어 상기 열교환 핀(320)과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연통유로(230)를 통하여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로 다시 유입되도록 순환시켜 열전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송풍부(500)가 동작하면 공기가 상기 연통유로(230)를 통하여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에 유입된 공기는 컵(미도시)의 외주면을 유동하면서 열교환한 후 상기 제1 관통홀(211)과 상기 제2 관통홀(221)을 통하여 상기 제1 순환유로(250)와 상기 제2 순환유로(260)로 유입된 후 상기 열교환부(300)와 다시 열교환한 후 상기 송풍부(500)를 통하여 상기 연통유로(230)로 다시 유입된다.
따라서, 하나의 열전소자(400)에 열전달 플레이트(640)와 열교환부(300)를 연결하여 전도 및 대류 열전달을 통해 제1 삽입부(210)와 제2 삽입부(220) 각각에 삽입된 2개의 컵 모두를 보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상기 차량용 컵홀더에 일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방열수단(700)은 상기 열전소자(400)의 타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열전소자(400)를 냉각시키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열수단(700)은 상기 열전소자(400)의 타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열전소자(400)의 열을 전달받는 히트 파이프(710)와, 상기 홀더부(200)에 체결되어 상기 히트 파이프(710)를 상기 열전소자(400)에 밀착 고정시키는 히트 플레이트(720), 그리고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되고 상기 히트 파이프(710)와 연결어 외부로 방열하는 히트 싱크(7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열전소자(400)가 컵을 냉각하기 위하여 일측면이 냉각되는 경우 타측면은 가열하게 되므로, 상기 히트 파이프(710)는 상기 열전소자(400)의 타측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을 후 상기 히트 싱크(730)에서 대류 열전달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열전소자(400)의 타측면을 냉각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히트 싱크(730)를 냉각하기 위한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열수단(700)은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히트 싱크(730)가 내측에 수용되는 하우징(740)과, 상기 하우징(740)에서 상기 히트 싱크(730)의 상측에 체결되고 공기가 유동하도록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된 커버(750), 그리고 상기 하우징(740)에서 상기 히트 싱크(7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 싱크(730)를 냉각하도록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냉각팬(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팬(760)을 동작시키면 상기 하우징(740)의 내부에 공기 유동이 발생하고,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히트 싱크(730)와 열교환한 후 상기 커버(750)의 연통홀을 통하여 외부로 유동하게 되어 상기 히트 싱크(730)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800)은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된 히트 싱크가 열전소자(400)의 타측면에 직접 접촉하여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10 및 도 11에 개시되어 있는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700)과 같이 하우징과, 커버와, 냉각팬을 구비하여 상기 히트 싱크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차량용 컵홀더 200 : 홀더부
210 : 제1 삽입부 211 : 제1 관통홀
220 : 제2 삽입부 221 : 제2 관통홀
230 : 연통유로 240 : 가이드 날개부
250 : 제1 순환유로 260 : 제2 순환유로
270 : 격벽부재 280 : 커버부재
281 : 삽입홀 300 : 열교환부
310 : 베이스 플레이트 320 : 열교환 핀
400 : 열전소자 500 : 송풍부
600 : 바닥부 610 : 바닥부 커버
611 : 제1 커버부 612 : 제2 커버부
613 : 관통홀 614 : 체결홈
615 : 삽입홈 620 : 제1 바닥부재
630 : 제2 바닥부재 640 : 열전달 플레이트
700 : 방열수단 710 : 히트 파이프
720 : 히트 플레이트 730 : 히트 싱크
740 : 하우징 750 : 커버
760 : 냉각팬 800 : 방열수단

Claims (14)

  1. 컵이 삽입되게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가 연통되게 연통유로가 형성된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부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전소자;
    상기 열교환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유로에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홀더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 삽입된 컵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상기 열전소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된 컵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홀더부에 체결되고, 관통 형성된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하측을 폐쇄하는 바닥부 커버;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삽입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부 커버에 체결되는 제1 바닥부재;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삽입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부 커버에 체결되는 제2 바닥부재; 및
    금속 재질로 마련되며, 일측단은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열교환부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접촉하고, 타측단은 상기 제1 바닥부재 및 상기 제2 바닥부재와 접촉하는 열전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커버는,
    상기 홀더부의 후방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의 일측단이 위치하며, 상기 열전소자가 삽입되어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의 일측단에 접촉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홀더부의 하측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닥부재와 상기 제2 바닥부재가 삽입 체결되게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에는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의 타측단이 삽입되게 삽입홈이 형성된 제2 커버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연통유로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삽입부에 형성된 제1 관통홀과 상기 연통유로를 연결시키는 제1 순환유로; 및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연통유로와 이격되어 상기 제2 삽입부에 형성된 제2 관통홀과 상기 연통유로를 연결시키는 제2 순환유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연통유로에서 상기 송풍부와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송풍부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로 분할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날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상기 제2 순환유로는,
    상기 연통유로와 상기 제1 관통홀 그리고 상기 제2 관통홀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홀더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격벽부재와, 상기 격벽부재를 덮도록 체결되는 커버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열교환부를 상기 홀더부에 밀착 고정시키고,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면이 삽입되어 상기 열교환부에 밀착되게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전소자가 밀착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복수의 핀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열교환 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핀은,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상기 제2 순환유로 그리고 상기 연통유로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통유로와 상기 제1 순환유로 및 상기 제2 순환유로를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송풍 팬으로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 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상기 제2 순환유로로 유입되어 상기 열교환 핀과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연통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로 유입되도록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열전소자를 냉각시키는 방열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접촉하는 히트 파이프;
    상기 홀더부에 체결되어 상기 히트 파이프를 고정하는 히트 플레이트; 및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되고, 상기 히트 파이프와 연결된 히트 싱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히트 싱크가 내측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히트 싱크의 상측에 체결되고, 공기가 유동하도록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히트 싱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 싱크를 냉각하도록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냉각팬;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은,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된 히트 싱크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KR1020180102866A 2018-08-30 2018-08-30 차량용 컵홀더 KR102108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866A KR102108886B1 (ko) 2018-08-30 2018-08-30 차량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866A KR102108886B1 (ko) 2018-08-30 2018-08-30 차량용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468A KR20200025468A (ko) 2020-03-10
KR102108886B1 true KR102108886B1 (ko) 2020-05-11

Family

ID=6980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866A KR102108886B1 (ko) 2018-08-30 2018-08-30 차량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8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005B1 (ko) * 2006-04-11 2007-06-22 주식회사 대창 차량용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300B1 (ko) * 2012-11-23 2018-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 컵홀더
KR101449293B1 (ko)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 컵홀더
US20170282773A1 (en) * 2014-09-25 2017-10-05 Dae Chang Co., Ltd. Cup holder for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005B1 (ko) * 2006-04-11 2007-06-22 주식회사 대창 차량용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468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301B1 (ko) 차량용 컵홀더
KR101592708B1 (ko) 냉온장 컵홀더
US10076987B2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CN107640074B (zh) 加热和冷却用杯托
KR20140007299A (ko) 차량용 히터
CN104545267A (zh) 加热和冷却杯保持器
KR20150025221A (ko) 차량용 히터 장치
KR101344526B1 (ko) 차량용 냉온장 장치
KR102108886B1 (ko) 차량용 컵홀더
KR102261354B1 (ko) 차량용 컵홀더
KR101950751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KR20190003309A (ko) 냉온고
KR20140007175A (ko) 피티씨 히터
KR20140096486A (ko) 피티씨 히터
US20040033063A1 (en) Electric heater
KR20180066452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101980268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KR101980266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CN111425922A (zh) 散热片组件及电热油汀
KR20200001006A (ko) 히팅모듈 및 그 커버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히팅 시스템
KR20140073137A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CN104545266A (zh) 加热和冷却杯座
KR101534584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CN212029698U (zh) 散热片组件及电热油汀
US11841168B2 (en) Wall mountable electric heater with slim form f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