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354B1 - 차량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354B1
KR102261354B1 KR1020190134411A KR20190134411A KR102261354B1 KR 102261354 B1 KR102261354 B1 KR 102261354B1 KR 1020190134411 A KR1020190134411 A KR 1020190134411A KR 20190134411 A KR20190134411 A KR 20190134411A KR 102261354 B1 KR102261354 B1 KR 102261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exchange
disposed
circulation passage
cu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0149A (ko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90134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35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대상체가 삽입되게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삽입부와 연통된 연통홀이 형성된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홀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부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전소자, 그리고 상기 홀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2 삽입부에서 상기 제1 삽입부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나의 열전소자와 대류 열전달을 이용하여 한쌍의 삽입부에 삽입된 2개의 컵을 동시에 보온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부품 수 감소에 따른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머그컵과 같이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등 다양한 형상의 대상체를 수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CUP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류 열전달을 이용하여 한쌍의 삽입부에 삽입된 2개의 컵을 동시에 보온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운전자 및 동승자의 편의성 및 거주성의 향상을 위해 여러가지 다양한 편의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다. 컵홀더는 이러한 편의 장치 중 하나로, 주로 콘솔의 내부나 센터 페시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되거나 암레스트의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되는 등 다양한 부분에 구비된다.
특히, 최근에는 저전력의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냉음료 및 온음료의 온도 유지를 위한 온도 유지 기능이 장착된 컵홀더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4929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지칭)에는 냉온장 컵홀더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특허문헌 1의 냉온장 컵홀더는 한 쌍의 홀더바디(100, 100')와, 각각의 홀더바디(100, 100')에 설치된 한 쌍의 열전소자(200, 200')와 각각의 열전소자와 열교환되도록 한 쌍의 열교환핀(400, 40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냉온장 컵홀더는 홀더바디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홀더바디에 열전소자가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열전소자를 냉각하기 위하여 한쌍의 열교환핀이 구비되므로, 제조 원가의 상승,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냉온장 컵홀더는 홀더바디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머그컵과 같이 손잡이가 있는 컵을 수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49293호 (2014.10.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열전소자와 대류 열전달을 이용하여 한쌍의 삽입부에 삽입된 2개의 컵을 동시에 보온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의 대상체를 수납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는, 대상체가 삽입되게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삽입부와 연통된 연통홀이 형성된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홀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부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전소자; 및 상기 홀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2 삽입부에서 상기 제1 삽입부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는,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제1 삽입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연통홀을 연결시키는 순환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측면 순환유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제1 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1 측면 순환유로; 및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제2 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2 측면 순환유로;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홀더부는, 상기 관통홀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1 측면 순환유로와 상기 제2 측면 순환유로로 분할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바닥면을 따라 형성된 바닥면 순환유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전소자가 밀착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복수의 핀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열교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 핀은, 상기 순환유로와 상기 연통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 그리고 상기 순환유로를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부는, 송풍 팬으로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 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되어 상기 열교환 핀과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2 삽입부로 유입되도록 순환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열전소자를 냉각시키는 방열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접촉하는 히트 파이프; 상기 홀더부에 체결되어 상기 히트 파이프를 고정하는 히트 플레이트; 및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되고, 상기 히트 파이프와 연결된 히트 싱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히트 싱크가 내측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히트 싱크의 상측에 체결되고, 공기가 유동하도록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히트 싱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 싱크를 냉각하도록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방열수단은,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된 히트 싱크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부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복수의 핀이 상기 홀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열교환 핀;을 포함하고, 최외측에 배치된 상기 열교환 핀에 상기 열전소자가 밀착 배치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송풍부는, 송풍 팬으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홀을 통과시켜 상기 열교환 핀과 열교환한 후 상기 제2 삽입부로 유입되도록 순환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 따르면, 하나의 열전소자와 대류 열전달을 이용하여 한쌍의 삽입부에 삽입된 2개의 컵을 동시에 보온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부품 수 감소에 따른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머그컵과 같이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등 다양한 형상의 대상체를 수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온장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 날개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서 일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컵홀더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상기 차량용 컵홀더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 단면도 및 측면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차량용 컵홀더에 날개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100)는 대상체(10)가 삽입되게 제1 삽입부(210)와 제2 삽입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삽입부(220)와 연통된 연통홀(221)이 형성된 홀더부(200)와, 상기 홀더부(200)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홀(221)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300)와, 상기 열교환부(300)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부(300)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전소자(400), 그리고 상기 홀더부(200)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홀(221)을 통하여 상기 제2 삽입부(220)에서 상기 제1 삽입부(210)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대상체(10)는 컵으로 마련될 수 있고, 특히 손잡이(11)가 있는 머그컵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200)는 차량의 콘솔에 배치되고, 두 개의 컵이 각각 수납되도록 제1 삽입부(210)와 제2 삽입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삽입부(220)는 상기 연통홀(221)과 연통되어 있어, 하나의 열전소자(400)와 열교환부(300)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가 상기 연통홀(221)을 통하여 상기 제2 삽입부(220)를 통하여 상기 제1 삽입부(2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홀더부(200)는 원가 절감을 위하여 수지로 사출 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도가 아닌 대류 열전달을 이용하여 컵을 보온하도록 구성되므로 비전도체인 수지로 제작하여도 컵을 보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200)는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제1 삽입부(210)에 형성된 관통홀(211)과 상기 연통홀(221)을 연결시키는 순환유로가 형성된다.
즉,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홀더부(200)의 내측에 형성되고, 양측단이 각각 상기 관통홀(211)과 상기 연통홀(221)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송풍부(500)에 의하여 공기 유동이 발생하면, 상기 연통홀(221)에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2 삽입부(220)와 상기 제1 삽입부(210)를 유동한 후 상기 관통홀(211)로 유입되어 상기 순환유로를 흐른 뒤 다시 상기 연통홀(221)로 유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측면 순환유로(241, 251)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의 제1 측면(240)을 따라 형성된 제1 측면 순환유로(241)와,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의 제2 측면(250)을 따라 형성된 제2 측면 순환유로(251)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211)과 상기 연통홀(2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측면 순환유로(241) 및 상기 제2 측면 순환유로(251)와 각각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의 바닥면(260)을 따라 형성된 바닥면 순환유로(261)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측면 순환유로(241, 251)와 상기 바닥면 순환유로(261)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거나, 상기 측면 순환유로(241, 251)와 상기 바닥면 순환유로(261)가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부(200)에는 상기 관통홀(211)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송풍부(500)에 의해 유동하여 상기 관통홀(211)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1 측면 순환유로(241)와 상기 제2 측면 순환유로(251)로 분할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날개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211)은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날개부(23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상기 관통홀(211)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이드 날개부(230)에 의해서 분할되어 상기 제1 측면 순환유로(241)와 상기 제2 측면 순환유로(251)로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날개부(230)가 상기 홀더부(200)와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은 일정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드 형태로 제작되어 이 부분에서 와류의 형성없이 공기 유동을 원활히 가이드 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열교환부(300)는 상기 열전소자(400)와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평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열전소자(400)가 밀착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공기와의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복수의 핀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열교환 핀(320)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 핀(320)은 상기 순환유로와 상기 연통홀(221)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유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마련된다. 이렇게 상기 열교환 핀(320)과 열교환한 공기는 상기 송풍부(50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연통홀(221)을 통하여 상기 제2 삽입부(220)로 다시 유입된다.
상기 송풍부(500)는 송풍 팬으로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 핀(3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되어 상기 열교환 핀(320)과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연통홀(221)을 통하여 상기 제2 삽입부(220)로 다시 유입되도록 순환시켜 열전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 단면도 및 측면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컵홀더(100)는 송풍 팬으로 마련된 송풍부(500)가 상기 열교환부(300)의 후방에 배치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열교환부(300)는 복수의 홀(311)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복수의 핀이 상기 홀(311)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열교환 핀(32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송풍부(500)는 상기 열교환부(3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공기가 상기 열교환부(300)를 통과해야 하므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복수의 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400)는 최외측에 배치된 상기 열교환 핀(320)에 밀착 배치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측에 배치된 상기 열교환 핀(320)의 밀착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최상측 등 최외측에 배치된 열교환 핀(320)의 어디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송풍부(500)가 동작하면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상기 홀(311)을 통과시켜 상기 열교환 핀(320)과 열교환한 후 상기 제2 삽입부(220)로 유입되도록 순환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차량용 컵홀더에서 일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방열수단(600)은 상기 열전소자(400)의 타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열전소자(400)를 냉각시키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열수단(600)은 상기 열전소자(400)의 타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열전소자(400)의 열을 전달받는 히트 파이프(610)와, 상기 홀더부(200)에 체결되어 상기 히트 파이프(610)를 상기 열전소자(400)에 밀착 고정시키는 히트 플레이트(620), 그리고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되고 상기 히트 파이프(610)와 연결어 외부로 방열하는 히트 싱크(6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열전소자(400)가 컵을 냉각하기 위하여 일측면이 냉각되는 경우 타측면은 가열하게 되므로, 상기 히트 파이프(610)는 상기 열전소자(400)의 타측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을 후 상기 히트 싱크(630)에서 대류 열전달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열전소자(400)의 타측면을 냉각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히트 싱크(630)를 냉각하기 위한 구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방열수단(600)은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히트 싱크(630)가 내측에 수용되는 하우징(640)과, 상기 하우징(640)에서 상기 히트 싱크(630)의 상측에 체결되고 공기가 유동하도록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된 커버(650), 그리고 상기 하우징(640)에서 상기 히트 싱크(6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 싱크(630)를 냉각하도록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냉각팬(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팬(660)을 동작시키면 상기 하우징(640)의 내부에 공기 유동이 발생하고,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히트 싱크(630)와 열교환한 후 상기 커버(650)의 연통홀을 통하여 외부로 유동하게 되어 상기 히트 싱크(630)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상기 차량용 컵홀더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700)은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된 히트 싱크가 열전소자(400)의 타측면에 직접 접촉하여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8에 개시되어 있는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600)과 같이 하우징과, 커버와, 냉각팬을 구비하여 상기 히트 싱크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차량용 컵홀더 200 : 홀더부
210 : 제1 삽입부 211 : 관통홀
220 : 제2 삽입부 221 : 연통홀
230 : 가이드 날개부 240 : 제1 측면
241 : 제1 측면 순환유로 250 : 제2 측면
251 : 제2 측면 순환유로 260 : 바닥면
261 : 바닥면 순환유로 300 : 열교환부
310 : 베이스 플레이트 320 : 열교환 핀
400 : 열전소자 500 : 송풍부
600 : 방열수단 610 : 히트 파이프
620 : 히트 플레이트 630 : 히트 싱크
640 : 하우징 650 : 커버
660 : 냉각팬 700 : 방열수단

Claims (15)

  1. 대상체가 삽입되게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삽입부와 연통된 연통홀이 형성된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홀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부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전소자; 및
    상기 홀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2 삽입부에서 상기 제1 삽입부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제1 삽입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연통홀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제1 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1 측면 순환유로와,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제2 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2 측면 순환유로를 포함하는 순환유로; 및
    상기 관통홀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1 측면 순환유로와 상기 제2 측면 순환유로로 분할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바닥면을 따라 형성된 바닥면 순환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전소자가 밀착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복수의 핀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열교환 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핀은,
    상기 순환유로와 상기 연통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 그리고 상기 순환유로를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송풍 팬으로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 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되어 상기 열교환 핀과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2 삽입부로 유입되도록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열전소자를 냉각시키는 방열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접촉하는 히트 파이프;
    상기 홀더부에 체결되어 상기 히트 파이프를 고정하는 히트 플레이트; 및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되고, 상기 히트 파이프와 연결된 히트 싱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히트 싱크가 내측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히트 싱크의 상측에 체결되고, 공기가 유동하도록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히트 싱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 싱크를 냉각하도록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냉각팬;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은,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된 히트 싱크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복수의 핀이 상기 홀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열교환 핀;을 포함하고,
    최외측에 배치된 상기 열교환 핀에 상기 열전소자가 밀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송풍 팬으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홀을 통과시켜 상기 열교환 핀과 열교환한 후 상기 제2 삽입부로 유입되도록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KR1020190134411A 2019-10-28 2019-10-28 차량용 컵홀더 KR102261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411A KR102261354B1 (ko) 2019-10-28 2019-10-28 차량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411A KR102261354B1 (ko) 2019-10-28 2019-10-28 차량용 컵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149A KR20210050149A (ko) 2021-05-07
KR102261354B1 true KR102261354B1 (ko) 2021-06-08

Family

ID=75916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411A KR102261354B1 (ko) 2019-10-28 2019-10-28 차량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3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719A (ko) 2021-05-31 2022-12-07 (주)대한솔루션 수납형 컵홀더가 구비된 자동차용 콘솔박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1374A (ja) 2009-04-09 2010-10-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コンソール構造
KR101449293B1 (ko) *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 컵홀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146A (ko) * 2014-05-08 2015-11-19 현대다이모스(주) 컵홀더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1374A (ja) 2009-04-09 2010-10-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コンソール構造
KR101449293B1 (ko) *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 컵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149A (ko)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39678B (zh) 车辆用杯托
US10267558B2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US9416994B2 (en)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US10076987B2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CN104545267B (zh) 加热和冷却杯保持器
CN105150901B (zh) 冷却和加热杯架
US20140130517A1 (en)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KR102261354B1 (ko) 차량용 컵홀더
US9175886B2 (en) Heat exchanger having thermoelectric element
KR101344526B1 (ko) 차량용 냉온장 장치
CN107614992B (zh) 冷热柜
KR102108886B1 (ko) 차량용 컵홀더
CN104545266B (zh) 加热和冷却杯座
CN111425922A (zh) 散热片组件及电热油汀
KR101715727B1 (ko) 열전소자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073137A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CN115867756A (zh) 冰箱
KR101534584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CN212029698U (zh) 散热片组件及电热油汀
CN114728610A (zh) 汽车用冷热杯架
KR101886391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KR20200057857A (ko) 차량용 냉각 장치
CN110001477A (zh) 车辆座椅和配备有通风和热控制系统的座椅元件
KR20240054673A (ko) 차량용 컵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100726373B1 (ko) 라디에이터의 탱크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