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217B1 -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217B1
KR102108217B1 KR1020190020814A KR20190020814A KR102108217B1 KR 102108217 B1 KR102108217 B1 KR 102108217B1 KR 1020190020814 A KR1020190020814 A KR 1020190020814A KR 20190020814 A KR20190020814 A KR 20190020814A KR 102108217 B1 KR102108217 B1 KR 102108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hook
unit
slide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일상
최윤석
조경희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0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H05K13/0434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with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공급 팔레트의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는 팔레트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클램프 모듈(12); 클램프 모듈(12)의 이송을 유도하는 레일 유닛(132); 레일 유닛(132)을 따라 클램프 모듈(12)의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13); 및 팔레트의 이송 경로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탐지 유닛(14, 191, 19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A Transferring Apparatus for a Pallet Supplying an Element}
구체적으로 다수 개의 부품이 적재된 팔레트를 매거진으로부터 인출하여 부품 픽업 위치로 이송하는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대량 생산을 위하여 인쇄회로기판 또는 이와 유사한 전자 기판에 실장이 되는 전자 부품이 연속적으로 빠른 속도로 공급될 필요가 있다. 전자기기의 생산 공정에서 반도체 칩과 같은 전자부품은 예를 들어 팔레트에 의하여 이송되어 공급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전자부품이 수용된 트레이가 적재된 팔레트가 이송 장치에 의하여 부품 픽업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부품 픽업 위치에서 각각의 전자부품이 픽업이 되어 전자기판 또는 전자기기에 실장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팔레트를 픽업 위치로 이송하는 팔레트 공급 장치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특허공개번호 10-2008-0000453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될 부품을 팔레트와 트레이를 이용하여 마운터(mounter)에 공급하는 트레이 피더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09-0076010은 부품실장기의 측면에서 칩 트레이를 논스톱 방식으로 공급하는 칩 트레이 공급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트레이가 적재되는 팔레트는 신속하게 부품의 픽업 위치로 이송되고, 부품 공급이 완료되면 다시 매거진으로 신속하게 이송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하여 팔레트 공급 장치는 부품이 수용된 팔레트 및 빈 팔레트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키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팔레트 공급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10-2008-0000453(삼성테크윈 주식회사, 2008.01.02. 공개) ㅍ파레트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트레이 피더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10-2009-0076010(삼성테크윈 주식회사, 2009.07.13. 공개)칩 트레이 공급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부품이 적재된 팔레트 또는 빈 팔레트를 안정적으로 픽업 위치 또는 매거진으로 이송시키는 부품 공급 팔레트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는 팔레트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클램프 모듈; 클램프 모듈의 이송을 유도하는 레일 유닛; 레일 유닛을 따라 클램프 모듈의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 및 팔레트의 이송 경로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탐지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클램프 모듈은 레일 유닛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유닛; 슬라이드 유닛에 배치되는 한 쌍의 훅 암; 및 훅 암에 연결된 탄성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훅 암의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훅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한 쌍의 훅 암은 이송 경로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 부분; 수평 연장 부위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팔레트에 결합되는 암 핸드; 및 수평 연장 부위의 바깥쪽 끝에 형성된 접촉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구동 모듈은 구동 롤러 유닛; 구동 롤러 유닛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된 조절 롤러; 및 구동 롤러 유닛의 작동을 위한 구동 모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는 하나의 구동 수단에 의하여 팔레트를 공급 또는 회수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는 팔레트의 고정 및 해제가 안정적이고 이로 인하여 팔레트의 공급 오류가 방지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되는 클램프 모듈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되는 팔레트 이송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는 팔레트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클램프 모듈(12); 클램프 모듈(12)의 이송을 유도하는 훅 레일(113); 훅 레일(113)을 따라 클램프 모듈(12)을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13); 및 팔레트의 이송 경로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탐지 유닛(14, 191, 192)을 포함한다.
부품은 반도체 칩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부품이 될 수 있고, 판 형상의 트레이에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트레이는 팔레트(18)에 적재가 될 수 있고, 다수 개의 팔레트(18)가 적층 구조로 매거진(17)에 수용될 수 있다. 다수 개의 팔레트가 적재된 매거진(17)이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172)에 의하여 이동 가이드(171)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매거진(17)은 한쪽 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이 될 수 있고, 수직 부재(15)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가이드(171)를 따라 매거진(17)이 이동되어 컨베이어 모듈(11)의 앞쪽에 위치하면, 클램프 모듈(12)에 의하여 하나의 팔레트(18)가 꺼내질 수 있다. 팔레트(18)가 결합된 클램프 모듈(12)은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 및 다수 개의 롤러로 이루어진 롤러 유닛(131)의 작동에 의하여 컨베이어 모듈(1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컨베이어 모듈(11)은 전체적으로 사각 판 형상이 될 수 있고, 컨베이어 모듈(11)에 형성된 이송 경로에 적어도 하나의 탐지 유닛(14)이 설치되어 팔레트(18)의 이송 상태가 탐지될 수 있다. 클램프 모듈(12)에 의하여 팔레트(18)가 컨베이어 모듈(11)의 끝 부분에 형성된 픽업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픽업 위치에서 트레이에 수용된 부품이 픽업 장치에 의하여 픽업이 되어 전자기판 또는 전자기기에 실장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부품이 모두 소진이 된 빈 트레이가 적재된 팔레트(18)가 클램프 모듈(12)에 의하여 다시 매거진(17)의 위치하는 승강 모듈(EV)로 이동될 수 있다. 빈 팔레트(18)는 빈 팔레트(18)의 수용을 위한 매거진(17)에 적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이송 수단에 의하여 정해진 장소로 이송될 수 있다. 클램프 모듈(12)은 팔레트(18)를 결합하여 고정하거나, 결합 해제를 하여 분리시킬 수 있는 적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클램프 모듈(12)은 훅 레일(113)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유닛(121); 슬라이드 유닛(121)에 배치되는 한 쌍의 훅 암(122a, 122b); 및 훅 암(122a, 122b)에 연결된 탄성 유닛(124)으로 이루어진다.
컨베이어 모듈(11)은 사각 판 형상의 이송 평면(111) 및 이송 평면(111)의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팔레트(18)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팔레트 가이드(112a, 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평면(111)의 길이 방향에 대한 중심선 또는 한 쌍의 팔레트 가이드(112a, 112b)의 중간 부분을 따라 슬라이드 유닛(121)의 이동을 유도하는 훅 레일(113)이 배치될 수 있다. 훅 레일(113)을 따라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이송 수단(V)이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드 유닛(121)은 이송 수단(V)의 회전에 의하여 훅 레일(113)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드 유닛(121)의 위쪽 면은 평면 형상이 될 수 있고, 슬라이드 유닛(121)의 위쪽 평면의 양쪽에 한 쌍의 훅 암(122a, 122b)이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훅 암(122a, 122b)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지면서 슬라이드 유닛(121)에 고정된 한쪽 끝을 기준으로 미리 결정된 각도로 다른 끝에 해당하는 암 핸드 부분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암 핸드 부분은 팔레트 커넥터(181)에 형성된 훅에 결합 또는 결합 해체가 될 수 있다. 매거진(17)으로 팔레트(18)를 인출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유닛(121)이 팔레트 커넥터(181)로 접근하면 훅 암(122a, 122b)이 회전되면서 암 핸드가 팔레트 커넥터(181)에 형성된 훅에 결합될 수 있다. 훅 암(122a, 122b)은 슬라이드 유닛(121)의 아래쪽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 형상의 탄성 유닛(124)에 의하여 복원이 되면서 훅에 결합될 수 있다. 암 핸드가 훅에 결합되면 구동 모듈(13)의 작동에 의하여 훅 레일(113)을 따라 픽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팔레트(18)의 이송 경로에 적어도 하나의 탐지 유닛(14, 191, 192)이 배치되어 팔레트(18)의 이송 상태가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의 제1, 2 탐지 유닛(14, 14a)이 배치되어 팔레트(18) 또는 팔레트(18)에 수용된 트레이가 탐지될 수 있다. 또한 팔레트 가이드(112a, 112b)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제3, 4 탐지 유닛(191, 192)가 배치되어 팔레트(18)의 이송 상태 또는 이송 시각이 탐지될 수 있다.
제1, 2 탐지 유닛(14, 14a)에 의하여 팔레트에 적재된 트레이가 탐지될 수 있고, 제3, 4 탐지 유닛(191, 192)에 의하여 팔레트의 위치가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2 탐지 유닛(14, 14a)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면서 각각 서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팔레트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트레이가 적재될 수 있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트레이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센서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제3, 4 탐지 유닛(191, 192)은 이송 경로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배치 위치가 미리 결정될 수 있다. 팔레트의 이송 과정에서 작동이 중단되면 제3, 4 탐지 유닛(191, 192)에 탐지된 시각이 저장될 수 있다. 이후 다시 작동이 개시되면 탐지된 시각을 기준으로 이동 거리에 따른 기준 시간이 초기화가 되어 팔레트가 탐지될 수 있다. 탐지 유닛(14, 14a, 191, 192)은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클램프 모듈(12)은 팔레트 커넥터(181)에 형성된 훅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a, 도 2b,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되는 클램프 모듈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 도 2b 및 도 2c는 각각 클램프 모듈의 평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클램프 모듈은 훅 암(122a, 122b)의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훅 스토퍼(21a, 21b)를 포함한다. 한 쌍의 훅 암(122a, 122b)은 이송 경로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 부분(234); 수평 연장 부위(234)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팔레트에 결합되는 암 핸드(231); 및 수평 연장 부위(234)의 바깥쪽 끝에 형성된 접촉 유닛(233)으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 유닛(121)의 위쪽 면은 평면 형상이 되면서 전체적으로 사각형이 되는 중간 부분 및 중간 부분의 양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날개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 부분에 탄성 유닛(124)이 양쪽 날개 부분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날개 부분에 훅 암(122a, 122b)이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훅 암(122a, 122b)은 각각의 날개 부분과 결합 유닛(232)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결합 유닛(232)은 회전 핀 구조가 될 수 있고, 결합 유닛(232)의 한쪽 방향으로 수평 연장 부분(234)이 연장될 수 있고, 결합 유닛(232)의 바깥쪽 부분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 부분(234)의 끝 부분에 접촉 유닛(233)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 유닛(232)과 접촉 유닛(233)의 사이에 위치하는 수평 연장 부분(234)으로부터 팔레트 커넥터(181)에 양쪽 끝에 형성된 각각의 훅(181a, 181b)에 결합되는 암 핸드(231)가 연장될 수 있다. 암 핸드(231)의 끝 부분에 훅(181a, 181b)과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클램프 모듈에 팔레트 커넥터(181)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롤러 형상의 핸드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 유닛(233)은 수평 연장 부분(234)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에 대하여 아래쪽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다. 구동 모듈(13)의 작동에 따라 이송 수단(V)이 회전되면, 슬라이드 유닛(121)이 훅 레일(113)을 따라 이동된다. 그에 따라 한 쌍의 훅 암(122a, 122b)이 팔레트 커넥터(181)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 유닛(121)과 이동되는 훅 암(122a, 122b)의 이동 과정에서 접촉 유닛(233)이 고정 블록(24a, 24b)에 결합된 훅 스토퍼(21a, 21b)에 접촉되면 훅 암(122a, 122b)이 결합 유닛(232)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팔레트 커넥터(181)가 훅 핸드(231)에 결합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팔레트가 매거진으로부터 배출되면서 슬라이드 유닛(121)을 향하여 이동되어 훅(181a, 181b)이 훅 핸드(233)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면 구동 모듈(13)의 작동에 의하여 슬라이드 유닛(121)이 훅 스토퍼(21a, 21b)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훅 암(122a, 122b)이 탄성 유닛(124)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면서 팔레트 커넥터(181)가 훅 암(122a, 122b)에 결합되고, 슬라이드 유닛(121)이 훅 레일(113)을 따라 이동되면서 이와 함께 팔레트가 픽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 유닛(121)과 팔레트 커넥터(181)의 상대적인 이동의 제한 또는 분리 간격 형성을 위하여 슬라이드 유닛(121)의 앞쪽 가장자리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 판 형상의 서브 가이드(22)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평 연장 부분(234)의 한쪽 끝 부분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슬라이드 유닛(121)의 위쪽 면으로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제한 핀(127)이 결합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유닛(121)의 아래쪽에 레일 형성 유닛(113a)이 배치되고, 레일 형성 유닛(113a)에 훅 레일이 결합되어 슬라이드 유닛(121)의 이동이 유도될 수 있다. 훅 스토퍼(21a, 21b)는 각각 슬라이드 유닛(121)의 날개 부분의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날개 부분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고정 부분(241); 고정 부분(241)의 한쪽 부분에 형성된 유도 부분(213); 및 고정 부분(241)의 다른 쪽에 결합되는 제한 부분(2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부분(241)은 고정 핀에 의하여 고정 블록(24a, 24b)에 고정될 수 있다. 유도 부분(213)은 슬라이드 유닛(121)에 접촉되어 회전 가능한 롤러 구조가 될 수 있고, 제한 부분(211)은 고정 부분(241)의 한쪽 끝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이후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L-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 부위에 훅 암(122a, 122b)의 접촉 유닛(233)이 접촉되어 슬라이드 유닛(121)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훅 스토퍼(21a, 21b)는 슬라이드 유닛(12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훅 스토퍼(21a, 21b)에 접촉되면서 훅 암(122a, 122b)이 회전되면 팔레트(18)가 이동되어 훅 암(122a, 122b)에 결합되면 슬라이드 유닛(121)이 훅 레일을 따라 픽업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되는 팔레트 이송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 모듈(13)은 구동 롤러 유닛(311, 312); 구동 롤러 유닛(311, 312)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된 조절 롤러(321, 322, 331, 332); 구동 롤러 유닛(311, 312)의 작동을 위한 구동 모터로 이루어진다.
팔레트 커넥터(181)에 훅 핸드(231)가 결합되면, 구동 모듈(13)이 작동되어 슬라이드 유닛(121)이 이동되면서 훅 암(122a)이 훅 스토퍼(21a)로부터 분리되고, 이후 훅 암(122a)에 결합된 팔레트가 픽업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구동 모듈(13)은 구동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된 제1 구동 롤러(311)와 제1 구동 롤러(311)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구동 롤러(312)로 이루어진 구동 롤러 유닛(311, 312); 구동 롤러 유닛(311, 312)의 아래쪽에 배치된 한 쌍의 장력 조절 롤러(321, 322); 컨베이어 모듈(11)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형성 유닛(113a)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한 쌍의 유도 롤러(331, 332); 및 훅 스토퍼(21a)의 앞쪽에 배치되는 순환 롤러(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 구조를 가진 구동 모듈(13)에 컨베이어 벨트와 이송 수단(V)은 컨베이어 모듈의 앞쪽으로부터 뒤쪽으로 순환되면서 회전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송 수단의 배치 구조에 의하여 팔레트 이송 구조가 간단해지도록 하면서 작동 구조가 간단해지도록 한다. 매거진으로부터 픽업 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 팔레트는 다양한 이송 구조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는 하나의 구동 수단에 의하여 팔레트를 공급 또는 회수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는 팔레트의 고정 및 해제가 안정적이고 이로 인하여 팔레트의 공급 오류가 방지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컨베이어 모듈 12: 클램프 모듈
13: 구동 모듈 14, 14a, 191, 192: 탐지 유닛
15: 수직 부재
17: 매거진 18: 팔레트
21a, 21b: 훅 스토퍼 22: 서브 가이드24a, 24b: 고정 블록
111: 이송 평면 112a, 112b: 팔레트 가이드
113: 훅 레일 121: 슬라이드 유닛
122a, 122b: 훅 암 124: 탄성 유닛
127: 회전 제한 핀
131: 롤러 유닛 113a: 레일 형성 유닛
171: 이동 가이드
172: 구동 수단 181: 팔레트 커넥터
231: 암 핸드 233: 접촉 유닛
234: 수평 연장 부분
233: 접촉 유닛 311, 312: 구동 롤러 유닛
321, 322, 331, 332: 구동 롤러 유닛

Claims (5)

  1. 팔레트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클램프 모듈(12);
    클램프 모듈(12)의 이송을 유도하는 훅 레일(113);
    훅 레일(113)을 따라 클램프 모듈(12)을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13); 및
    팔레트의 이송 경로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탐지 유닛(14, 191, 192)을 포함하고,
    클램프 모듈(12)은 훅 레일(113)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유닛(121); 슬라이드 유닛(121)에 배치되는 한 쌍의 훅 암(122a, 122b); 및 훅 암(122a, 122b)에 연결된 탄성 유닛(124)으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드 유닛(121)은 평면 형상이 되면서 전체적으로 사각형이 되는 중간 부분 및 중간 부분의 양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날개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중간 부분에 탄성 유닛(124)이 양쪽 날개 부분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한 쌍의 훅 암(122a, 122b)은 이송 경로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 부분(234); 수평 연장 부분(234)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팔레트에 결합되는 암 핸드(231); 및 수평 연장 부분(234)의 바깥쪽 끝에 형성된 접촉 유닛(233)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훅 암(122a, 122b)은 슬라이드 유닛(121)의 각각의 날개 부분과 회전 핀 구조의 결합 유닛(232)에 의해 결합되고 수평 연장 부분(234)의 한쪽 끝 부분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슬라이드 유닛(121)의 위쪽 면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제한 핀(127)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훅 암(122a, 122b)의 이동을 제한하는 한 쌍의 훅 스토퍼(21a, 21b)를 더 포함하는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 모듈(13)은 구동 롤러 유닛(311, 312); 구동 롤러 유닛(311, 312)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된 조절 롤러(321, 322, 331, 332); 및 구동 롤러 유닛(311, 312)의 작동을 위한 구동 모터로 이루어진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
KR1020190020814A 2019-02-22 2019-02-22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 KR102108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14A KR102108217B1 (ko) 2019-02-22 2019-02-22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14A KR102108217B1 (ko) 2019-02-22 2019-02-22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217B1 true KR102108217B1 (ko) 2020-05-28

Family

ID=7092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814A KR102108217B1 (ko) 2019-02-22 2019-02-22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21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202A (ko) * 2003-11-17 2005-05-20 주식회사 프로텍 트레이 피더
KR20080000453A (ko) 2006-06-27 2008-01-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파레트 충돌방지기능을 갖는 트레이 피더
KR20090076010A (ko) 2008-01-07 2009-07-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칩 트레이 공급장치
KR101193984B1 (ko) * 2011-08-12 2012-10-24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피더의 파레트 클램프 장치
KR101206829B1 (ko) * 2007-12-20 2012-11-30 배희정 수지패널용 연심장치
KR101821631B1 (ko) * 2016-11-09 2018-01-24 김재석 적재속도가 빠르게 개량된 무인 자동적재장치
JP2018193246A (ja) * 2017-05-16 2018-12-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パレット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202A (ko) * 2003-11-17 2005-05-20 주식회사 프로텍 트레이 피더
KR20080000453A (ko) 2006-06-27 2008-01-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파레트 충돌방지기능을 갖는 트레이 피더
KR101206829B1 (ko) * 2007-12-20 2012-11-30 배희정 수지패널용 연심장치
KR20090076010A (ko) 2008-01-07 2009-07-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칩 트레이 공급장치
KR101193984B1 (ko) * 2011-08-12 2012-10-24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피더의 파레트 클램프 장치
KR101821631B1 (ko) * 2016-11-09 2018-01-24 김재석 적재속도가 빠르게 개량된 무인 자동적재장치
JP2018193246A (ja) * 2017-05-16 2018-12-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パレット搬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6777B1 (en) Feeding system
US4599026A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inuous supply of workpieces
CN108899298B (zh) 半导体基板加载载具的上料机
US20110232082A1 (en) Apparatus for mounting semiconductor device
KR20060046424A (ko) 부품 배치 장치, 부품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347531B1 (ko) 테스트 트레이 스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
JP7164319B2 (ja) 搬送装置、実装装置、搬送方法
KR101403890B1 (ko) 트레이 공급 장치
CN109427638B (zh) 载体传输设备和方法
KR102108217B1 (ko) 부품 공급 팔레트 이송 장치
JP6043871B2 (ja) 基板の搬送装置、表面実装機、及び基板の搬送方法
KR102236104B1 (ko) 트레이 이송 장치
CN110248777B (zh) 作业机
TWM532454U (zh) 用於移載料盤之輸送裝置
KR20060049194A (ko) 부품 배치 장치 및 방법
KR102148144B1 (ko) 부품 공급 팔레트를 위한 훅 어셈블리
KR101448527B1 (ko) 테스트 트레이 보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
KR101144620B1 (ko) 트레이 공급장치
CN110063095B (zh) 元件安装机
JP2003094259A (ja) 基板搬送ライン
CN112753292B (zh) 元件供给装置
KR102030051B1 (ko) 기판 이송 장치 및 방법
KR102231407B1 (ko) 전자부품 분류 장비
TWI276590B (en) Conveyance system
KR102024945B1 (ko) 테스트 트레이 회수장치 및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