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166B1 - 컴바이너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컴바이너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166B1
KR102108166B1 KR1020187023250A KR20187023250A KR102108166B1 KR 102108166 B1 KR102108166 B1 KR 102108166B1 KR 1020187023250 A KR1020187023250 A KR 1020187023250A KR 20187023250 A KR20187023250 A KR 20187023250A KR 102108166 B1 KR102108166 B1 KR 102108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rojection
combiner
base
optic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113A (ko
Inventor
신스케 히사츠구
히로시 가타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80103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60K35/53Movable instruments, e.g.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4Proj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6Projection screens or comb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컴바이너(20)는 평면상의 시트면(32a)을 형성하고 있는 체결 부재(30)에 의해 이동체(2) 내의 기대(4)에 체결된다. 컴바이너(20)는, 투영 유닛(10)으로부터 표시 광상(100)이 투영됨으로써, 표시 광상(100)을 이동체(2) 내의 탑승자(6)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허상 표시시킨다. 컴바이너(20)는, 투영 본체(25)와, 체결 돌기를 구비한다. 투영 본체(25)는 투영 영역(27)이 설정되고, 투영 영역(27)에 투영된 표시 광상(100)을 반사하여 허상 표시시키는 양쪽 반사면(21, 22)을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체결 돌기는, 투영 본체(25)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삽입 관통된 체결 부재(30)에 의해 기대(4)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26)로서, 시트면(32a)에 면 접촉하는 평면상의 체결면(29b)을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컴바이너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본 출원은, 2016년 2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제2016-37256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여기에 그의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컴바이너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개 미러 등의 컴바이너로 투영 유닛으로부터 표시 광상을 투영함으로써, 표시 광상을 이동체 내의 탑승자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허상 표시시키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HUD 장치」라고 함)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HUD 장치의 컴바이너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체 내의 기대에 체결되어 사용된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대는, 복수 위치의 사이에서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컴바이너에 관해, 이동체나 기대의 진동에 수반하는 흔들림을 작게 억제하여, 허상 표시되는 표시 광상의 명료한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나사 부재 등의 체결 부재를 삽입 관통하여 강고하게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컴바이너에서는, 표시 광상을 반사하는 양쪽 반사면이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새로운 우려가 생겨 버린다. 그 우려란, 나사 부재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시트면 등, 체결 부재에 있어서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시트면은, 컴바이너의 한쪽의 곡면상 반사면과 선접촉 또는 점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당해 곡면상 반사면에 체결 응력을 받는 컴바이너에는 변형이 발생되기 쉽다는 것이다. 여기서, 곡면상 반사면에 변형이 발생되면 표시 광상의 명료한 시인성을 저해해 버리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일본 특허 공표 제2010-525987호 공보
본 개시는 표시 광상의 명료한 시인성을 확보하는 컴바이너 및 HUD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에 있어서의 컴바이너는, 평면상의 시트면을 형성하고 있는 체결 부재에 의해 이동체 내의 기대에 체결되어, 투영 유닛으로부터 표시 광상이 투영됨으로써, 상기 표시 광상을 상기 이동체 내의 탑승자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허상 표시시킨다. 상기 컴바이너는, 투영 영역이 설정되어, 상기 투영 영역에 투영된 상기 표시 광상을 반사하여 허상 표시시키는 양쪽 반사면을,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투영 본체를 구비한다. 상기 컴바이너는, 상기 투영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삽입 관통된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기대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로서, 상기 시트면에 면 접촉하는 평면상의 체결면을 형성하고 있는 체결 돌기를, 더 구비한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에 있어서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면상의 시트면을 형성하고 있는 체결 부재에 의해 이동체 내의 기대에 체결되는 컴바이너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컴바이너에 투영 유닛으로부터 표시 광상을 투영함으로써, 상기 표시 광상을 상기 이동체 내의 탑승자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허상 표시시킨다. 상기 컴바이너는, 투영 영역이 설정되어, 상기 투영 영역에 투영된 상기 표시 광상을 반사하여 허상 표시시키는 양쪽 반사면을,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투영 본체를 구비한다. 상기 컴바이너는, 상기 투영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삽입 관통된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기대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로서, 상기 시트면에 면 접촉하는 평면상의 체결면을 형성하고 있는 체결 돌기를, 더 구비한다.
본 개시에 관한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보다 명확해진다. 그 도면은,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컴바이너를 포함한 HUD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며,
도 2는 도 1과는 상이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며,
도 3은 도 1의 컴바이너를 확대해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며,
도 4는 도 3의 컴바이너를 나타내는 사시 모식도이며,
도 5는 도 1의 컴바이너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며,
도 6은 도 1의 컴바이너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며,
도 7은 도 1의 컴바이너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며,
도 8은 도 3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며,
도 9는 도 3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며, 또한
도 10은 도 3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HUD 장치(1)는, 「이동체」로서의 차량(2)에 탑재되어 있다. HUD 장치(1)는, 투영 유닛(10) 및 컴바이너(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상하 방향」과 「횡 방향」이란, 수평면 위의 차량(2)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을 각각 의미한다.
투영 유닛(10)은, 차량(2) 내에서 인스트루먼트 패널(3) 내에 수용되어 있다. 투영 유닛(10)은, 투사기(11) 및 광학계(12)를 갖고 있다. 투사기(11)는, 예를 들어 액정식 또는 주사식 등의 프로젝터이다. 투사기(11)는, 표시 광상(100)을 화상 형성하여 투사한다. 광학계(12)는, 예를 들어 반사경 등과 같은 광학 부재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 있다. 광학계(12)는, 투사기(11)로부터 투사된 표시 광상(100)의 광속을, 예를 들어 반사 등에 의해 인스트루먼트 패널(3) 외측으로 유도한다. 이와 같이 하여 광속이 광학계(12)에 의해 도 1의 일점쇄선과 같이 유도됨으로써, 표시 광상(100)이 컴바이너(20)에 투영된다.
컴바이너(20)는, 판형으로 수지 성형되어 있다. 컴바이너(20)는, 차량(2) 내에서 인스트루먼트 패널(3)에 설치된 기대(4)에 체결되어 있다. 컴바이너(20)는, 기대(4)와 함께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기대(4)는, 인스트루먼트 패널(3) 내에 컴바이너(20)를 수용시키는 도 2의 규제 위치(Pc)와, 인스트루먼트 패널(3) 외측에 컴바이너(20)를 노출시키는 도 1의 허용 위치(Pp)의 사이에서, 구동된다. 이러한 기대(4)의 구동은, 예를 들어 차량(2) 내의 탑승자(6)에 의한 스위치 조작 등에 따라, 실현된다.
컴바이너(20)는, 허용 위치(Pp)에서 차량(2) 내의 운전석(5)측을 향하는 표면 반사면(21)과, 당해 운전석(5)과는 반대측(즉, 차량(2)의 전방 외측)을 향하는 이면 반사면(22)을 갖고 있다. 컴바이너(20)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등의 투명 수지 또는 반투명 수지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양쪽 반사면(21, 22) 사이에서의 광 투과 기능 또한 각 반사면(21, 22)에서의 광 반사 기능을 발휘한다. 허용 위치(Pp)에서 컴바이너(20)는, 차량(2)의 외측에 있어서의 외계상으로부터의 광속을 투과시킴으로써, 차량(2) 내에서는 운전석(5) 위에 착좌한 탑승자(6)에 의한 당해 외계상의 시인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허용 위치(Pp)에서 컴바이너(20)에는, 표시 광상(100)이 투영 유닛(10)의 광학계(12)로부터 투영된다. 이때 컴바이너(20)에서는, 도 1의 일점쇄선과 같이 표시 광상(100)의 광속이 각 반사면(21, 22)에서 반사된다. 이에 의해, 차량(2) 내의 운전석(5) 위에 착좌한 탑승자(6)의 동공에는, 각 반사면(21, 22)에서 반사된 광속이 입사된다. 그 결과, 컴바이너(20)보다도 차량(2)의 전방 외측에 결상되는 허상으로서, 표시 광상(100)이 탑승자(6)에 의해 시인된다. 즉, 차량(2) 내의 탑승자(6)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표시 광상(100)이 허상 표시된다. 이상으로부터 허용 위치(Pp)에서는, 표시 광상(100)의 탑승자(6)로부터의 시인이 허용된다. 한편, 컴바이너(20)가 인스트루먼트 패널(3) 내로 가려지는 도 2의 규제 위치(Pc)에서는, 표시 광상(100)이 투사기(11)로부터 투사되지 않고 컴바이너(20)에는 투영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표시 광상(100)의 탑승자(6)로부터의 시인이 규제된다.
(컴바이너의 상세 구성)
이하, 컴바이너(2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컴바이너(20)는, 투영 본체(25)와 1쌍의 체결 돌기(26)를 구비하고 있다.
투영 본체(25)는, 외형 윤곽이 대략 직사각형의 만곡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투영 본체(25)는, 상하 방향 및 횡 방향의 각각에 있어서 만곡되어 있다. 즉, 상하 방향 및 횡 방향의 양쪽에 있어서, 곡률이 투영 본체(25)에 부여되어 있다. 이에 의해 투영 본체(25)는, 허용 위치(Pp)에서 운전석(5)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오목 곡면상, 구체적으로는 비구면형 등의 자유 곡면상에, 표면 반사면(21)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투영 본체(25)는, 허용 위치(Pp)에서 운전석(5)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볼록 곡면상, 구체적으로는 비구면형 등의 자유 곡면상에, 이면 반사면(22)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양쪽 반사면(21, 22)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방으로 향할수록 넓어지는 웨지각을 사이에 둠으로써, 투영 본체(25)의 판 두께를 상방을 향하여 후육화하고 있다.
투영 본체(25)에 있어서 외주연부(25a)를 제외한 대략 직사각형의 부분에는, 도 4에 이점쇄선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영 영역(27)이 설정되어 있다. 이 투영 영역(27)의 전역에는, 도 1에 나타내는 허용 위치(Pp)에서, 표시 광상(100)이 투영 유닛(10)으로부터 투영된다. 즉, 투영 본체(25) 중 표시 광상(100)이 실제로 투영되는 부분으로서, 투영 영역(27)이 설정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체결 돌기(26)는, 투영 본체(25)와 일체로 수지 성형되어 있다. 각 체결 돌기(26)는,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의 굴곡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체결 돌기(26)는, 투영 본체(25)에 있어서 횡 방향으로 이격하는 2개소에서, 각각 돌출되어 있다. 각 체결 돌기(26)는, 각각 개별로 대응한 체결 부재(30)에 의해, 도 3과 같이 기대(4)에 체결됨으로써, 기대(4) 및 투영 본체(25)와 함께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기대(4)에의 체결에 의해 허용 위치(Pp)에서의 각 체결 돌기(26)는, 인스트루먼트 패널(3) 외측에서 투영 본체(25)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체결처의 기대(4)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투영 본체(25)로부터 각 체결 돌기(26)가 돌출된 컴바이너(20)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성형 형(40)을 사용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영 본체(25)를 수지 성형하는 본체용 캐비티 부분(41)과, 각 체결 돌기(26)를 각각 수지 성형하는 돌기용 캐비티 부분(42)을 성형 형(40)의 형 폐쇄에 의해 형성한다. 이때, 각 돌기용 캐비티 부분(4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체결 부재(30)의 삽입 관통 개소가 되는 삽입 관통 구멍(29c)(예를 들어 도 3 참조)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코어(43)가 배치된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 형(40)에 있어서 각 돌기용 캐비티 부분(42)의 사이에 설치된 게이트(44)로부터, 용융 수지를 본체용 캐비티 부분(41)으로 주입한다. 이에 의해 용융 수지는, 본체용 캐비티 부분(41) 내를 유동함으로써, 각 돌기용 캐비티 부분(42)에는, 당해 캐비티 부분(41)을 통해 주입된다. 이 후,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융 수지가 냉각 고화됨으로써, 수지 성형된 컴바이너(20)가 성형 형(40)으로부터 이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형된 컴바이너(20)에서는, 투영 본체(25)가 각 체결 돌기(26)의 사이에서, 게이트(44)와 대응한 게이트 커트부(24)를 도 4와 같이 갖게 된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별의 체결 부재(30)에 의해 기대(4)에 체결되는 각 체결 돌기(26)는, 모두 중계부(28) 및 체결부(29)를 갖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체결 돌기(26) 및 각 체결 부재(30)의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한쪽의 체결 돌기(26) 및 한쪽의 체결 부재(30)에 대해 구성을 설명한다.
체결 돌기(26)에 있어서 중계부(28)는, 투영 본체(25)의 외주연부(25a) 중, 허용 위치(Pp)에서의 하연부(25b)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허용 위치(Pp)에서 중계부(28)는, 하연부(25b)로부터 하방으로 향할수록 운전석(5)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돌출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양쪽 반사면(21, 22)의 각각에 따라 체결 돌기(26)의 돌출측에 연장되는 1쌍의 가상 연장 곡면(S1, S2)을 상정한다. 이러한 상정 하에, 쌍방의 가상 연장 곡면(S1, S2)이 통과하는 개소에서는, 하연부(25b)로부터 돌출된 중계부(28)에 의해, 투영 본체(25)와 체결부(29)의 사이가 중계되어 있다.
체결 돌기(26)에 있어서 체결부(29)는, 중계부(28)의 허용 위치(Pp)에서의 하단부(28a)로부터, 더 돌출되어 있다. 허용 위치(Pp)에서 체결부(29)는, 하연부(28a)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똑바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상 연직면(Sh)을 상정한다. 이러한 상정 하, 투영 본체(25)만의 무게 중심(G)을 통하면서 또한 투영 본체(25)의 외주연부(25a) 중 횡 방향의 양쪽 측연부(25c)를 통과하는 가상 연직면(Sh) 위에, 체결부(29)는 위치하고 있다. 그와 더불어 체결부(29)는, 무게 중심(G)을 통과하는 가상 연직면(Sh)을 사이에 두는 양측에 각각 돌기면(29a)과 체결면(29b)을 형성하고 있다. 돌기면(29a)과 체결면(29b)은 모두, 쌍방의 가상 연장 곡면(S1, S2)으로부터 벗어나는 개소에서,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대(4)에의 체결부(29)의 체결 상태 하, 기대(4)가 갖는 평면상의 기면(4a)에 대해서는, 돌기면(29a)의 실질적으로 전체가 면 접촉하게 된다.
체결 부재(30)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체결 부재(30)는, 나사부(31) 및 헤드부(32)를 갖고 있다. 나사부(31)는, 수나사형을 나타내고 있다. 나사부(31)는, 체결부(29)에 있어서 돌기면(29a)과 체결면(29b) 사이를 관통한 삽입 관통 구멍(29c)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나사부(31)는, 기대(4)에 설치된 나사 구멍(4b)에, 나사 장착되어 있다.
헤드부(32)는 나사부(31)보다도 대직경의 원판형을 나타내고 있다. 헤드부(32)는, 나사부(31)측의 원환형 단부면에 의해, 평면상의 시트면(32a)을 형성하고 있다. 나사부(31)가 삽입 관통 구멍(29c)에 삽입 관통되어 나사 구멍(4b)에 나사 장착됨으로써, 체결부(29)가 기대(4)에 체결된 체결 상태 하에서, 체결부(29)의 체결면(29b)에 대해서는, 시트면(32a)의 실질적으로 전체가 면 접촉하게 된다.
(작용 효과)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컴바이너(20)의 투영 본체(25)는, 투영 영역(27)에 투영된 표시 광상(100)을 반사하여 허상 표시시키는 양쪽 반사면(21, 22)을,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컴바이너(20)에서는, 투영 본체(25)로부터 돌출되어 체결 부재(30)에 의해 차량(2) 내의 기대(4)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26)가 시트면(32a)에 면 접촉하는 평면상의 체결면(29b)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체결 부재(30)의 평면상 시트면(32a)과 면 접촉한 평면상 체결면(29b)에서 체결 응력을 받는 체결 돌기(26)에는, 변형이 발생되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체결 돌기(26)의 돌출원이 되는 투영 본체(25)에는, 그러한 체결 응력이 전파되기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투영 영역(27)의 설정된 투영 본체(25)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투영 영역(27)에서 양쪽 반사면(21, 22)에 반사되어 허상 표시되는 표시 광상(100)에 대해, 명료한 시인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체결 돌기(26)의 체결부(29)는, 양쪽 반사면(21, 22)의 각각에 따라 체결 돌기(26)의 돌출측에 연장되는 가상 연장 곡면(S1, S2)의 양쪽으로부터 벗어나는 개소에서, 평면상 체결면(29b)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양쪽의 가상 연장 곡면(S1, S2)으로부터 벗어나는 개소에서는, 체결 부재(30)의 평면상 시트면(32a)과 면 접촉한 평면상 체결면(29b)에서 체결 돌기(26)가 받는 체결 응력은, 당해 개소로부터 가급적 이격되는 투영 본체(25)로의 전파율이 저하된 것이 된다. 그러므로, 투영 본체(25)에서의 변형의 억제에 의해 표시 광상(100)의 명료한 시인성을 확보하는 효과의 신뢰성에 대해,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 돌기(26)에 있어서, 양쪽 반사면(21, 22)의 각각에 따른 가상 연장 곡면(S1, S2)의 양쪽이 통과하는 개소에서는, 투영 본체(25)와 체결부(29)의 사이가 중계부(28)에 의해 중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양쪽의 가상 연장 곡면(S1, S2)으로부터는 확실하게 벗어나는 개소에 체결부(29)의 평면상 체결면(29b)을 형성하여, 당해 체결면(29b)으로부터 투영 본체(25)로의 응력 전파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투영 본체(25)에 있어서의 변형의 억제에 의해 표시 광상(100)의 명료한 시인성을 확보하는 효과에 대해, 높은 신뢰성을 보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허용 위치(Pp)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더 연신하여 투영 본체(25)의 무게 중심(G)을 통과하는 가상 연직면(Sh) 위에서, 체결 돌기(26)의 체결부(29)가 위치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면, 평면상 체결면(29b)이 체결 부재(30)의 평면상 시트면(32a)에 면 접촉하여 체결 돌기(26)가 기대(4)에 지지되는 상태 하에서, 체결 돌기(26)가 위치하는 가상 연직면(Sh)이 무게 중심(G)을 통과하는 투영 본체(25)에서는, 차량(2)의 진동에 수반되는 흔들림이 작게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연직면(Sh)이 무게 중심(G)을 통과하는 투영 본체(25)에서는, 이동 중인 차량(2)에 발생하는 전후 방향의 진동에 대해 특히, 흔들림이 작게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러한 흔들림에 기인하여 표시 광상(100)의 시인성이 저해되는 사태에 대해,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영 본체(25)와 체결부(29)가 중계부(28)에 의해 중계되어 이격하고 있는 점에서, 투영 본체(25)의 무게 중심(G)을 통과하는 가상 연직면(Sh) 위에 체결부(29)를 위치시키기 위한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고 있다.
추가로, 허용 위치(Pp)에서는 투영 본체(25)의 횡 방향의 복수 개소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체결 돌기(26)는, 체결처의 기대(4)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는 점에서, 차량(2)의 진동에 수반되는 흔들림이 투영 본체(25)에서 작게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러한 흔들림에 기인하여 표시 광상(100)의 시인성이 저해되는 사태에 대해,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추가로, 체결 돌기(26)는, 표시 광상(100)의 탑승자(6)로부터의 시인을 허용하는 허용 위치(Pp)와, 당해 시인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Pc)의 사이에서, 기대(4) 및 투영 본체(25)와 함께 구동되는 점에서, 기대(4)의 진동에 수반되는 투영 본체(25)의 흔들림이 우려된다. 그러나, 상술한 원리에 의하면, 차량(2)의 진동에 수반되는 흔들림 뿐만 아니라, 기대(4)의 진동에 수반되는 흔들림도 투영 본체(25)에서 작게 억제될 수 있으므로, 그들의 흔들림에 기인하여 표시 광상(100)의 시인성이 저해되는 사태에 대해,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추가로, 체결 돌기(26)와 일체로 수지 성형되어 있는 투영 본체(25)는, 게이트 커트부(24)를 갖는다. 이에 의해 성형 형(40)에서는, 투영 본체(25)를 수지 성형하는 본체용 캐비티 부분(41)에서, 게이트 커트부(24)와 대응하는 게이트(44)로부터의 수지 흐름이, 체결 부재(30)의 삽입 관통 개소와 대응하는 슬라이드 코어(43)에 따라서는 저해되기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그러한 수지 흐름의 저해에 기인하는 성형 불량, 예를 들어 웰드 라인 또는 함몰 등이 투영 본체(25)에 발생함으로써 표시 광상의 시인성을 저해하는 사태에 대해,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더욱 추가로 체결 돌기(26)에서는, 체결 부재(30)의 평면상 시트면(32a)과 면 접촉한 평면상 체결면(29b)에서도, 기대(4)의 평면상 시트면(4a)과 면 접촉한 평면상 돌기면(29a)에서도, 체결 응력에 따른 변형이 발생되기 어려워질뿐만 아니라, 그러한 체결 응력이 투영 본체(25)에는 전파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르면, 투영 본체(25)에 있어서의 변형의 억제에 의해 표시 광상(100)의 명료한 시인성을 확보하는 효과의 신뢰성에 대해, 높일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당해 실시 형태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형예 1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상 연장 곡면(S1, S2) 중 적어도 한쪽이 통과하는 개소에, 체결 돌기(26)의 체결면(29b)을 형성해도 된다. 여기서, 도 8의 변형예 1에서는, 운전석(5)측의 표면 반사면(21)에 따르는 가상 연장 곡면(S1) 위에 체결 돌기(26)의 체결면(29b)을 형성하고 있다.
변형예 2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석(5)과는 반대측의 이면 반사면(22)에 따르는 가상 연장 곡면(S2)으로부터 어긋난 개소에서, 오목부(26a)의 평면상 저면에 의해 체결 돌기(26)의 체결면(29b)을 형성해도 된다. 변형예 3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석(5)과는 반대측의 이면 반사면(22)에 따르는 가상 연장 곡면(S2)으로부터 연속되는 개소에서, 평면상 판면에 의해 체결 돌기(26)의 체결면(29b)을 형성해도 된다.
변형예 4에서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상 연장 곡면(S1, S2) 중 적어도 한쪽이 통과하는 개소에, 체결 돌기(26)의 돌기면(29a)을 형성해도 된다. 여기서, 도 9, 도 10의 변형예 4에서는, 운전석(5)측의 표면 반사면(21)에 따르는 가상 연장 곡면(S1) 위에 체결 돌기(26)의 돌기면(29a)을 형성하고 있다.
변형예 5에서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대(4)의 기면(4a)을 곡면상으로 형성하여, 당해 기면(4a)을 보완하는 곡면상에 체결 돌기(26)의 돌기면(29a)을 형성해도 된다. 변형예 6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영 본체(25)만의 무게 중심(G)을 통과하는 가상 연직면(Sh) 위에서 벗어나는 개소에, 체결 돌기(26)의 체결부(29)를 형성해도 된다.
변형예 7에서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결 돌기(26)에 중계부(28)를 설치하지 않고, 투영 본체(25)로부터 직접적으로 체결부(29)를 돌출시켜도 된다. 변형예 8에서는, 투영 본체(25)의 하연부(25b)로부터 하방으로 향할수록 운전석(5)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중계부(28)를 돌출시켜도 된다.
변형예 9에서는, 투영 본체(25)의 횡 방향에 있어서의 1 개소 또는 3 개소 이상으로부터, 체결 돌기(26)를 돌출시켜도 된다. 변형예 10에서는, 투영 본체(25)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1 개소 또는 복수 개소로부터, 체결 돌기(26)를 돌출시켜도 된다.
변형예 11에서는, 기대(4)를 인스트루먼트 패널(3)에 고정시켜도 된다. 변형예 12에서는, 회전 축선 주위의 허용 위치(Pp) 및 규제 위치(Pc)의 사이에서, 기대(4)를 회전 구동해도 된다.
변형예 13에서는, 컴바이너(20)의 일부를, 수지 이외의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변형예 14에서는, 게이트 커트부(24)를 갖는 체결 돌기(26)를, 채용해도 된다. 변형예 15에서는, 투영 본체(25)의 전역에 투영 영역(27)을 설정해도 된다.
변형예 16에서는, 양쪽 반사면(21, 22) 사이에 웨지각을 사이에 두지 않고, 투영 본체(25)의 판 두께를 적어도 투영 영역(27)의 전역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설정해도 된다. 변형예 17에서는, 반사면(21, 22) 중 적어도 한쪽을, 상하 방향 및 횡 방향의 한쪽에서만 만곡시켜도 된다.
변형예 18에서는, 투영 유닛(10)에 광학계(12)를 설치하지 않고, 투사기(11)로부터 컴바이너(20)에 표시 광상(100)을 직접적으로 투영시켜도 된다. 변형예 19에서는, 차량(2) 이외의 선박 내지는 비행기 등과 같은 각종 「이동체」에 탑재되는 HUD 장치 및 컴바이너에 본 개시를 적용해도 된다.
상술한 컴바이너(20)는, 평면상의 시트면(32a)을 형성하고 있는 체결 부재(30)에 의해 이동체(2) 내의 기대(4)에 체결되어, 투영 유닛(10)으로부터 표시 광상(100)이 투영됨으로써, 표시 광상을 이동체 내의 탑승자(6)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허상 표시시킨다. 투영 본체(25)는, 투영 영역(27)이 설정되고, 투영 영역에 투영된 표시 광상을 반사하여 허상 표시시키는 양쪽 반사면(21, 22)을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체결 돌기는, 투영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삽입 관통된 체결 부재에 의해 기대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26)로서, 시트면에 면 접촉하는 평면상의 체결면(29b)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평면상의 시트면(32a)을 형성하고 있는 체결 부재(30)에 의해 이동체(2) 내의 기대(4)에 체결되는 컴바이너(20)를 포함하고, 컴바이너로 투영 유닛(10)으로부터 표시 광상(100)을 투영함으로써, 표시 광상을 이동체 내의 탑승자(6)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허상 표시시킨다. 컴바이너는, 투영 본체(25)와 체결 돌기를 구비한다. 투영 본체(25)는, 투영 영역(27)이 설정되고, 투영 영역에 투영된 표시 광상을 반사하여 허상 표시시키는 양쪽 반사면(21, 22)을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체결 돌기는, 투영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삽입 관통된 체결 부재에 의해 기대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26)로서, 시트면에 면 접촉하는 평면상의 체결면(29b)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에 의하면, 컴바이너의 투영 본체는, 투영 영역에 투영된 표시 광상을 반사하여 허상 표시시키는 양쪽 반사면을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제1 및 제2 개시의 컴바이너에서는, 투영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체결 부재에 의해 이동체 내의 기대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가, 시트면에 면 접촉하는 평면상의 체결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체결 부재의 평면상 시트면과 면 접촉한 평면상 체결면에서 체결 응력을 받는 체결 돌기에는, 변형이 발생되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체결 돌기의 돌출원이 되는 투영 본체에는, 그러한 체결 응력이 전파되기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투영 영역의 설정된 투영 본체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투영 영역에서 양쪽 반사면에 반사되어 허상 표시되는 표시 광상에 대해, 명료한 시인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개시는 실시예에 준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당해 실시예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된다. 게다가, 다양한 조합이나 형태, 더욱이, 그것들에 1 요소만, 그 이상, 혹은 그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Claims (9)

  1. 평면상의 시트면(32a)을 형성하고 있는 체결 부재(30)에 의해 이동체(2) 내의 기대(4)에 체결되어, 투영 유닛(10)으로부터 표시 광상(100)이 투영됨으로써, 상기 표시 광상을 상기 이동체 내의 탑승자(6)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허상 표시시키는 컴바이너(20)이며,
    투영 영역(27)이 설정되어, 상기 투영 영역에 투영된 상기 표시 광상을 반사하여 허상 표시시키는 양쪽 반사면(21, 22)을 곡면상으로 형성하고 있는 투영 본체(25)와,
    상기 투영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삽입 관통된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기대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26)로서, 상기 시트면에 면 접촉하는 평면상의 체결면(29b)을 형성하고 있는 체결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양쪽 반사면의 각각을 따라 상기 체결 돌기의 돌출측에 연장되는 1쌍의 가상 연장 곡면(S1, S2)을 상정한 경우에,
    상기 체결 돌기는 양쪽의 상기 가상 연장 곡면으로부터 벗어나는 개소에서 상기 체결면(29b)을 형성하고 있는 체결부(29)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상 연직면(Sh)을 상정한 경우에,
    상기 체결부(29)는 상기 투영 본체의 무게 중심(G)을 통과하는 상기 가상 연직면 위에 위치하는, 컴바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는, 적어도 한쪽의 상기 가상 연장 곡면이 통과하는 개소에서 상기 투영 본체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를 중계하고 있는 중계부(28)를 갖는, 컴바이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투영 본체에 있어서의 횡 방향의 복수 개소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체결처의 상기 기대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는, 컴바이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는, 상기 표시 광상의 상기 탑승자로부터의 시인을 허용하는 허용 위치(Pp)와, 당해 시인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Pc)의 사이에서 구동 가능하고,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기대 및 상기 투영 본체와 함께 구동되는, 컴바이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본체와 상기 체결 돌기는 일체로 수지 성형되어 있고,
    상기 투영 본체는, 게이트 커트부(24)를 갖는, 컴바이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는 평면상의 기면(4a)을 갖고,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기면에 면 접촉하는 평면상의 돌기면(29a)을 형성하고 있는, 컴바이너.
  7. 평면상의 시트면(32a)을 형성하고 있는 체결 부재(30)에 의해 이동체(2) 내의 기대(4)에 체결되는 컴바이너(20)를 포함하고, 상기 컴바이너에 투영 유닛(10)으로부터 표시 광상(100)을 투영함으로써, 상기 표시 광상을 상기 이동체 내의 탑승자(6)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허상 표시시키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이며,
    상기 컴바이너는,
    투영 영역(27)이 설정되고, 상기 투영 영역에 투영된 상기 표시 광상을 반사하여 허상 표시시키는 양쪽 반사면(21, 22)을 곡면상으로 형성하고 있는 투영 본체(25)와,
    상기 투영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삽입 관통된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기대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26)로서, 상기 시트면에 면 접촉하는 평면상의 체결면(29b)을 형성하고 있는 체결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양쪽 반사면의 각각을 따라 상기 체결 돌기의 돌출측에 연장되는 1쌍의 가상 연장 곡면(S1, S2)을 상정한 경우에,
    상기 체결 돌기는, 양쪽의 상기 가상 연장 곡면으로부터 벗어나는 개소에서 상기 체결면을 형성하고 있는 체결부(29)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상 연직면(Sh)을 상정한 경우에,
    상기 체결부는, 상기 투영 본체의 무게 중심(G)을 통과하는 상기 가상 연직면 위에 위치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87023250A 2016-02-29 2017-01-24 컴바이너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08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7256 2016-02-29
JP2016037256A JP6390641B2 (ja) 2016-02-29 2016-02-29 コンバイナ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PCT/JP2017/002211 WO2017150001A1 (ja) 2016-02-29 2017-01-24 コンバイナ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113A KR20180103113A (ko) 2018-09-18
KR102108166B1 true KR102108166B1 (ko) 2020-05-08

Family

ID=5974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250A KR102108166B1 (ko) 2016-02-29 2017-01-24 컴바이너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59827B2 (ko)
JP (1) JP6390641B2 (ko)
KR (1) KR102108166B1 (ko)
DE (1) DE112017001050T5 (ko)
WO (1) WO2017150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136B1 (ko) * 2018-01-18 2019-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JP7257622B2 (ja) * 2019-07-26 2023-04-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表示媒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4927A (ja) * 2013-06-24 2015-01-08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5019401A1 (ja) 2013-08-05 2015-02-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虚像表示装置
JP2015087202A (ja) 2013-10-30 2015-05-07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及び車載システム
JP2015212780A (ja) 2014-05-07 2015-11-26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2742A (ja) * 1997-08-29 1999-03-16 Shimadzu Corp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4387608B2 (ja) * 2001-03-30 2009-12-16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表示システム用コンバイナの支持装置
EP2153265B1 (fr) 2007-05-04 2014-03-05 Johnson Controls GmbH Dispositif d'affichage
US9188781B2 (en) 2012-03-29 2015-11-17 Nippon Seiki Co., Ltd. Combiner storage device, head-up display device
JP6327052B2 (ja) 2014-08-11 2018-05-23 スズキ株式会社 電動船外機
US10365484B2 (en) * 2015-06-26 2019-07-30 Konica Minolta, Inc. Head-up display device
JP6575855B2 (ja) * 2015-06-29 2019-09-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載用コンバイナ昇降装置および車載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4927A (ja) * 2013-06-24 2015-01-08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5019401A1 (ja) 2013-08-05 2015-02-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虚像表示装置
JP2015087202A (ja) 2013-10-30 2015-05-07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及び車載システム
JP2015212780A (ja) 2014-05-07 2015-11-26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113A (ko) 2018-09-18
JP6390641B2 (ja) 2018-09-19
US20190061638A1 (en) 2019-02-28
US10859827B2 (en) 2020-12-08
DE112017001050T5 (de) 2018-12-06
JP2017154529A (ja) 2017-09-07
WO2017150001A1 (ja) 201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9826B2 (en) Head-up display device
TWI541543B (zh) 分光模組及應用其之投影裝置
JP6558017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KR101681856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컴바이너
JP2008268883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80231774A1 (en) Head-up display device
JP6848219B2 (ja) 画像表示装置
US11402630B2 (en) Head-up display and moving body with head-up display mounted thereon
US11422376B2 (en) Display apparatus and head mounted display
KR102108166B1 (ko) 컴바이너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7800B1 (ko) 허상 표시 장치
JP2015152718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510578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10520726B2 (en) Head-up display (HUD) apparatus for vehicle
CN111386488A (zh) 平视显示装置
US20240151955A1 (en) Image projection device
US11867902B2 (en) Display device, head-up display, moving body, and light guide panel
WO2021002428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515796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WO2017110519A1 (ja) 死角補助装置
JP3219059U (ja) 光学投影装置
JP6969424B2 (ja) 平面鏡ユニット
KR102144462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097752A1 (en) Display device, head-up display, and mobile object
JP6958558B2 (ja) 虚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