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041B1 -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041B1
KR102107041B1 KR1020190023125A KR20190023125A KR102107041B1 KR 102107041 B1 KR102107041 B1 KR 102107041B1 KR 1020190023125 A KR1020190023125 A KR 1020190023125A KR 20190023125 A KR20190023125 A KR 20190023125A KR 102107041 B1 KR102107041 B1 KR 102107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functional cosmetic
oil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
박현종
Original Assignee
박현
박현종
주식회사 인유어사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 박현종, 주식회사 인유어사이드 filed Critical 박현
Priority to KR1020190023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무기 항균제, 식물성 유화제, 식물성 오일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무기 항균제는 견운모 분말 30~50 중량%, 콜로이달 실리카졸 10~40 중량%, 수산화칼슘 등의 무기질 성분 10~40 중량%, 항균 금속성분 5~20 중량%의 혼합물을 소결하여 얻는 것이다. 상기 무기 항균제는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 5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식물성 유화제는 10 ~ 30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식물성 오일은 5 ~ 2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정제수는 30 ~ 60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은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고 인체에 안전하고 안정성이 높으며, 모발 및 두피의 보호효과, 세정효과 및 보습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두피 내 세균 및 진균, 특히 비듬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하여 탈모증상 완화 및 두피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For Reducing Hair Loss Problem}
본 발명은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견운모를 포함하는 무기 항균제가 식물성 유화제, 식물성 오일 및 정제수와 혼합되어 형성되고 탈모증상을 완화하는데 사용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고 사회활동이 증가됨에 따라 건강에 대한 욕구와 그에 따른 건강함의 외부적 표현인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신체 중의 모발은 다양한 미용적 효과 이외에도 머리를 외부의 충격 및 다양한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이행하고 있다. 부가적으로 중금속을 비롯한 노폐물 배출의 작용, 외부의 자극을 감지하는 감각기능, 건강지표의 역할을 하며, 2차 성징의 하나로 성적인 발달의 표시기능 등을 갖고 있다.
반면 유전적인 요인과 함께 스트레스, 영양의 불균형 등의 다양한 인자로 인해 탈모인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20대 여성은 물론 젊은 학생들까지 탈모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모발이 자라나는 두피는 머리카락이 나 있는 피부조직으로 크게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Hypodermis) 세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 모상건막(Epicranial muscle, Epicranial aponeurosis)이 두개골을 감싸며 위치하고 있다.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 편찬위원회에서 편저한 [피부과학](2001)에 의하면 표피는 0.04~1.6mm의 얇은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부의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색소형성세포(Melanocyte), 랑게르한스세포(Langerhan's cell), 머켈세포(Merkel cell)로 이루어져 있다. 두피는 각질형성세포가 분화하여 각화함에 따라 형태가 변하여 각질층, 투명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구성된다.
모낭은 신경섬유가 가장 밀도 높게 분포되어 있는 피부내 구조물이다. 모낭주기를 통해 이러한 신경섬유의 분포에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고 이러한 신경섬유의 변화는 모낭 발달 및 주기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에 관여하는 물질이 신경펩타이드이다(Philpott MP 외, Human hair growth in vitro., J Cell Sci 1990:97,463~471). 피부에는 수많은 신경펩타이드가 존재하며, 피부과 질환에 연관되어 있다. 신경펩타이드의 모낭에 대한 영향은 특이 수용체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모낭세포를 신경펩타이드가 직접적으로 자극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Ansel JC 외, Interaction of skin of nervous system, J investing Dermatol Symp Proc 1997;2:23~26)&((Grando SA 외, Human keratnocytes synthesize, secrete, and degrade acetylcholine. J Invest Dermatol 1993;101:32~36)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모발의 발생은 최초의 모낭이 만들어 졌을 때부터 시작되며, 전모아기(Pre-germ stage), 모아기(Hair germ stage), 모항기(Hair peg stage), 모구성모항기(Bulbous peg stage)를 거쳐 모낭이 완성되고 3~10년 정도 성장하게 된다. 모발의 성장주기(모주기 또는 모발주기)는 성장기(Anagen stage), 퇴행기(Catagen stage), 휴지기(Telogen stage), 재생기(Re-growing phase, Early-mid anagen)를 거치며 3~5년을 주기로 나고 빠지는 개별주기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휴지기가 진행되는 동안 모발이 탈락되는 탈모현상이 진행되게 되는데, 이때쯤 모낭에 둘러싸여 있던 모구부가 모유두와 결합하여 새로운 모발을 형성하며 성장한다. 새로 생성된 성장기의 모발은 0.2~0.5mm의 성장속도를 가지고 성장하기 때문에 휴지기 모발이 완전히 탈락되기 전에 휴지기 모발 옆 부분으로 성장하게 되며,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휴지기 모발의 탈락현상으로 인한 탈모증세를 알아 채지 못하게 한다. 반면 휴지기 모발의 탈락현상이 새로이 성장하는 모발의 성장속도보다 빠르게 되면 탈모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지금까지 탈모는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이 과잉 작용하거나, 과다한 피지 분비, 혈액순환 불량, 과산화물/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의 저하, 유전적 요인, 노화 등의 주원인으로 파악되었으나 스트레스, 각종 환경오염 및 식생활 변화에 따른 호르몬분비의 이상 등 후천적 요인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30대 젊은 남성들에게서 탈모가 증가하고 있고 과도한 다이어트로 인한 영양 부족 상태, 퍼머, 염색, 드라이 등의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화학제품의 사용증가 등으로 인한 여성의 탈모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탈모증을 다시 세분화하게 되면 크게 남성형 탈모증과 여성형 탈모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남성형 탈모증은 부모로부터 물려 받은 유전적인 특징이 가장 크며, 남성호르몬 안드로겐의 이상에 의해 모근이 약해지고 과다한 피지분비로 인해 두피에 염증을 일으켜 모발이 빠지게 된다. 여성형 탈모증은 남성형 탈모증과 다르게 탈모를 유발시키는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보다 여성 호르몬 에스트로겐이 더 많아 완전한 탈모가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여성형 탈모증은 두피 전체적으로 모발이 연모화 되며 가르마 부위가 넓어지면서 정수리부분이 탈모로 진행되는 현상이 대표적이다. 여성형의 탈모의 주된 원인으로는 습관성 다이어트, 피임약의 남용, 펌 및 염색의 화학적 시술, 스트레스, 갱년기 여성들의 호르몬밸런스 불균형 등을 예로 들 수가 있다. 또한 과다한 스트레스로 인한 원형 탈모증도 남,녀 모두에게 나타나는 탈모증의 현상이다.
탈모증의 치료를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현재까지 안정적인 치료물질로 미국 FDA에 승인받은 약물로서는 미녹시딜(Minoxidil)과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두가지 제품이 있다((Sharpiro &Price VH, 'Hair growth therapeutic agents'. Dermatologic clinics, 1998)&(미국공개특허 US 4,377,584, 미국공개특허 US 4,760,071, 대한민국등록특허 10-0415858,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6-0046659, 대한민국공개특허 2003-0042504, 일본공개특허 평7-267830, 일본공개특허 평7- 277930, 일본공개특허 평5-58851, 대한민국등록특허 10-0311199)).
피나스테라이드는 전립선치료제로 개발되었으나, 부작용으로 발모현상이 나타나 현재는 먹는 발모제로도 판매되고 있다. 테스테스테론(Testostrene)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작용하는 효소인 5α-Reductase의 억제제로서, 혈관확장을 통한 영양공급 증가 및 칼륨 통로를 여는 효과등이 모발 성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Shapiro & Price, 1998, 조솔 외, 2016, '모발성장요소의 녹나무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단백질발현 효능'에서 인용). 미국공개특허 US 9,687,554 B2 에서 Adriana Raffin Pohlemann 등은 피나스테라이드와 미녹시딜 나노파티클이 함유된 중합고분자 조성물, 특히 나노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공개특허 10-2005-0029495에서 이은주는 피나스테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 US 5,225,189에서 Lorraine E 등은 미녹시딜이 포함된 겔상의 제품을 개시하였으며, 미국특허 US2016/0220365 A1에서 Ofer A. Goren 등은 Minoxidil이 2~20%와 전분이 함유된 육모를 유도하는 기능성 화장품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US 7,44,369 A1에서 Lorrain Elizabeth Pena 등은 미녹시딜, 후막제, 용제등으로 구성된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671580에서 조경현 등은 미녹시딜을 아포지단백질,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혼합하여 제형화한 약학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78198등에서 이규현 등은 고농도의 미녹시딜을 용해시키면서 안정한 겔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겔조성물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FDA(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승인된 대표적인 두 제품은 표1에 언급한 바와 같이 여러 부작용도 같이 연구되고 있다. (Hagemann T 외, 'Positive lymphocyte transformation test in a patient with allergic contact dermatitis of the scalp after short-term use of topical minoxidil solution', Contact Dermatitis, 2005) & Suzuki K 외 'Allergic contact dermatitis form minoxidil : Study of cross-reaction to minoxidil', American Journal of Contac Dermatitis, 2002)
미녹시딜과 피나스테라이드의 부작용
약물명 부작용 내용
미녹시딜 모발성장효과는 6개월에서 12개월 이후에 나타나며, 도포를 중단하면 급속하게 탈모가 재진행되어 4~6개월 후에는 치료이전 상태로 돌아가고 장기간 사용할 경우 여러 부작용을 초래한다.
대표적인 부작용은 두피의 가려움증, 홍반, 표피 벗겨짐과 건성화를 동반한 피부염과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및 지루성 피부염이다.
피나스테라이드 성기능 장애, 간기능 저하, 여성형 유방, 피나스테라이드 후 증후군(무기력증, 피로감, 우울증, 등)
부작용의 원인으로 상기 언급한 제품들을 기피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발성장과 관련하여 한약재와 천연물질들, 특히 양모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녹용 외 식물추출물로서 인삼, 적하수오(Polygonum multuiflorum), 브린그라즈(Bhringraj), 오미자(Schisandra nigra), 한련초, 편백, 문주란,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섬오갈피나무, 포포, 백수오, 우슬, 마름, 개똥쑥, 다래 등과 소염 및 항균성을 가진 익모초 및 혈관순환에 좋은 계피, 항바이러스성 및 항염증약으로 쓰이는 어성초 및 방가지똥(Sow thistle), 강력한 항산화제인 자소엽(Perillae)등을 이용한 다수의 발명들이 선행되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0075626에서 김무영은 솔잎, 미역 콩, 산초 등에서 복합발효추출한 천연물발효추출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6-0083666에서 측백엽 및 부평초 비극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방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 10-1873159에서 류현열 등은 문주란 추출물, 마름 추출물 및 개똥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82203에서 박갑도는 천궁, 하수오 싹, 작약, 계피, 삼백초, 박하, 어성초, 칡뿌리, 감초, 당귀, 구기자 나뭇잎, 뽕나무 뿌리, 구절초 싹, 누릅나무 껍질, 솔잎 및 쑥으로 조성된 원료혼합물을 분쇄, 증숙, 원적외선 조사 및 증류에 의해 탈모예방 액상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였으며, 원적외선 및 음이온 작용으로 두피의 체표온도 변화를 유도하여 혈류흐름을 원활히 하고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스트레스로 인한 탈모를 예방하는 것을 언급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0112019에서 전도용 등은 유황오일 조성물, 천연 약재 발효액, 광물 분말, 천연 오일 및 해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유황은 독성물질로서 상기 특허에서는 독성을 제거하거나 독성을 나타내지 않을 정도로 최소량을 사용함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유황의 독성은 피부과민반응 등의 부작용 우려가 있어 두피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음이 보고 되고 있다(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독성정보제공시스템, http://www.nifds.go.kr/toxinfo/SearchUtil_getDetailChemTcd.action?hddnToxicCode=T2000000148).
또한 여타의 특허에서는 광물성분을 이용하여 두피내 비듬 방지나, 세정, 나아가 탈모를 방지하는 발명들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729946에서 김수민 등은 복합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정제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이전 발명에서 개시된 광물성분의 분말제품을 날 것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인해 효과를 제대로 나타내기 어렵다고 언급하고 있으나[0007], 실질적으로 증류추출물이 광물 본연의 분말 대비 유효성분의 차이와 효능의 차이에 대해 증명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755593에서 신민정 등은 견운모를 물과 체로 여과하여 400~450℃로 소결하여 얻은 분말을 한약추출물과 혼합하여 피지 제거와 여드름 제거에 효능이 있는 견운모 함유 비누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사용된 견운모 파우더의 크기는 1,000㎛의 직경의 파우더를 사용함으로서 다수의 무기질 필링제가 보여주는 각질 및 피지제거 효과와 비교하였을 때 녹차에 의한 부분과 견운모 성분에 의한 영향인지에 대해 그 효과의 유효인자가 명확치 않으며, 그 유이차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융합화학연구원에 의뢰하여 측정한 결과, 견운모의 비듬균의 원인균인 Malassezia furfur의 항균특성은 41.9%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44932에서 박현종은 한약재 및 견운모를 함유하는 마사지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원적외선 방사능에 따른 혈행개선 효능을 가진 견운모 더욱 자세하게는 금천견운모의 사용과 효능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62483에서 박세호는 견운모를 분쇄하여 용해성 바인더와 함께 혼합, 200~300℃로 소결하여 제조된 지름 10~100㎛의 탈취제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항균성이 높은 금속성분 중 은>구리>3가크롬>코발트>아연 등으로 치환된 용해성 탈취제에 대해 명시하고 있으나 검출시료량 100g을 사용한 결과치로 확인하였을 때 그 효과가 미미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102429에는 세리사이트와 정제수를 혼합 및 교반한 다음 항균성 금속 이온과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여 항균성 및 탈취성이 연장된 세리사이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견운모에 항균 금속성분을 결합시키고 이의 산화에 따른 항균성의 저하를 막기 위하여 산화방지제를 사용하여 금속이온의 변성을 억제함으로써 세리사이트의 항균수명을 연장하고 있으나,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62483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온화경향성이 높은 금속성분의 함량이 일정하고, 견운모는 안정된 결정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액상에서 악취성분 흡착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탈취제로서 제품에 적용하는데 제약이 있다.
거의 모든 무기물(Ceramic)은 일정 온도에서 적외선을 방출한다. 일정 온도에서 Stefan-Boltzmann 법칙에 의하여 단위면적당 발산되는 총에너지의 양으로 표기하며, Fatma Vatansever 등은 'Far infrared radiation (FIR): its biological effects and medical applications(Photonics Lasers Med. 2012 Nov 1; 4: 255-266)에서 원적외선의 생물학적, 의학적 효능을 언급하고 있다.
원적외선은 피부조직 아래 4cm 까지 침투하여 혈액의 흐름에 영향을 준다. 또한 Ting-Kai Leung 등은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eramic far infrared radiation on the hydrogen peroxide-scavenging capacity and on murine macrophages under oxidative stress.'(J. Med Biol Eng. 2011;31(5):345-51)에서 원적외선 조사가 세포내 NO를 증가시키고, 세포생존능력을 향상시키며, 세포내 과산화물 생성을 억제하고 암세포의 발생지연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고 인체에 안전하고 안정성이 높으며, 모발 및 두피의 보호효과, 세정효과 및 보습효과가 우수하여 탈모증상 완화 및 두피 개선에 유용한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두피 내 세균 및 진균, 특히 비듬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하여 탈모증상 완화 및 두피 개선에 유용한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은 무기 항균제, 식물성 유화제, 식물성 오일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무기 항균제는 정제수에 상기 정제수를 제외한 성분들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견운모, 백운모 또는 흑운모 분말(이하, '견운모 분말'이라 함) 30~50 중량%, 콜로이달 실리카졸 10~40 중량% 그리고 수산화칼슘, 산화칼슘, 산화아연, 수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산화알루미늄 및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최소한 하나 이상 선택되는 무기질 성분 10~40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을 60~90℃의 온도로 승온한 후 상기 혼합용액에 질산은, 황산구리, 황산아연, 질산아연, 인산칼슘 및 인산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최소한 하나 이상 선택되는 항균 금속성분 5~20 중량%를 투입하여 반응시킨 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에 의하여 얻은 생성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생성물을 전기로에서 분당 10~20℃의 가열속도로 600~1000℃의 온도로 승온하고 상기 온도에서 소결한 후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소결된 생성물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무기 항균제는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 5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식물성 유화제는 10 ~ 30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식물성 오일은 5 ~ 2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정제수는 30 ~ 60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무기질 성분은 상기 무기 항균제를 제조할 때 상기 정제수를 제외한 성분들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수산화칼슘 6~20 중량%, 산화아연 3~15 중량% 및 이산화티타늄 1~3 중량%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무기질 성분은 수산화칼슘 7~20 중량% 및 산화아연 3~1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 금속성분은 상기 무기 항균제를 제조할 때 상기 정제수를 제외한 성분들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질산은 2~5 중량%, 황산구리 3~7 중량% 및 황산아연 3~7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제수에 상기 견운모 분말, 상기 콜로이달 실리카졸 및 상기 무기질 성분을 혼합하는 단계는 상온에서 교반하는 것이고, 상기 소결하는 단계는 전기로에서 분당 15℃의 가열속도로 800℃의 온도로 승온하고 상기 온도에서 8시간 동안 소결한 후 상온까지 자연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 ~ 15 중량%의 보습제, 1 ~ 5 중량%의 증점제 및 1 ~ 5 중량%의 피부보호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성 유화제는 올리브 왁스, 몬타노브 왁스, 레시틴,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올리브 계면활성제, 코코베타인, 코코글루코사이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애플위시 및 그것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 오일, 코코넛 오일, 피마자 오일, 호호바 오일, 동백 오일, 아보카도 오일, 아르간 오일, 티트리 오일, 그것들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그것들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피부보호성분은 코퍼펩타이드, 비타민 E, 로즈마리 추출물 및 그것들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세틸알코올, 잔탄검, 폴리쿼터늄, 카르보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그것들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무기 항균제는 비듬균(Malassezia furfur)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은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고 인체에 안전하고 안정성이 높으며, 모발 및 두피의 보호효과, 세정효과 및 보습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두피 내 세균 및 진균, 특히 비듬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하여 탈모증상 완화 및 두피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은 모발 및 두피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모발 및 두피의 수분 및 유분 함량이 적절하게 조화되게 하여 세균에 대한 저항력을 높임으로써 염증성 두피질환이 발생하지 않게 예방하며, 인체에 유익한 물질이 모발 및 두피로 침투 또는 도포되어 모발 및 두피의 노화를 예방함으로써 탈모증상 완화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휘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어떤 피실험자에게 지속적으로 적용한 실험에 대한 결과로서 피부 각질의 변화를 도시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어떤 피실험자에게 지속적으로 적용한 실험에 대한 결과로서 전체적인 모발의 성장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어떤 피실험자에게 지속적으로 적용한 실험에 대한 결과로서 정수리 부위에서 모발의 성장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다른 피실험자에게 지속적으로 적용한 실험에 대한 결과로서 모발의 성장을 보여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은 무기 항균제, 식물성 유화제, 식물성 오일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무기 항균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정제수에 견운모 분말, 콜로이달 실리카졸, 무기질 성분을 혼합한다. 이때, 정제수에 견운모 분말과 콜로이달 실리카졸을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무기질 성분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견운모 분말은 견운모, 백운모 또는 백운모 분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표적으로 견운모 분말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견운모 분말은 평균입도 40~60㎛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평균입도 50㎛의 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견운모 분말은 정제수를 제외한 성분들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이하, 동일함) 30~5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견운모 분말은 그 자체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항균 금속 성분을 담지하는 담체 역할도 하는 것이다. 따라서, 견운모 분말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담체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없게 되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무기 항균제의 항균 활성이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콜로이달 실리카졸은 정제수에 견운모 분말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콜로이달 실리카졸은 10~4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콜로이달 실리카졸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정제수에 견운모 분말을 분산시키는 것이 충분하지 않게 되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다른 성분들의 함량을 제약하게 되므로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무기 항균제의 항균 활성이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기질 성분은 수산화칼슘, 산화칼슘, 산화아연, 수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산화알루미늄 및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최소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기질 성분은 10~4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3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무기질 성분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항균 금속성분이 견운모 분말에 담지되는 양이 적어질 뿐만 아니라 견운모 분말에 담지된 항균 금속성분의 항균 활성이 떨어지게 되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다른 성분들의 함량을 제약하게 되므로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무기 항균제의 항균 활성이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무기질 성분은 특히 수산화칼슘 6~20 중량%, 산화아연 3~15 중량% 및 이산화티타늄 1~3 중량%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무기질 성분은 수산화칼슘 7~20 중량% 및 산화아연 3~15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기질 성분이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견운모 분말에 담지되는 항균 금속성분의 양이 향상되고 또한 견운모 분말에 담지되는 항균 금속성분의 항균 활성이 향상된다.
정제수에 견운모 분말, 콜로이달 실리카졸, 무기질 성분을 혼합하는 단계는 상온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1시간 정도 교반함으로써 완료될 수 있다. 이때, 혼합단계의 온도는 너무 낮거나 높지 않다면 크게 상관없으며, 교반시간도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용액을 60~90℃의 온도, 특히 80℃의 온도로 승온한 후 상기 혼합용액에 항균 금속성분 5~20 중량%를 투입하여 반응시키고 여과한다. 본 발명에서 항균 금속성분은 견운모 분말에 흡착되거나 치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항균 금속성분은 질산은, 황산구리, 황산아연, 질산아연, 인산칼슘 및 인산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최소한 하나 이상 선택된다. 항균 금속성분은 질산은, 황산구리 및 황산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최소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질산은 2~5 중량%, 황산구리 3~7 중량% 및 황산아연 3~7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에 의하여 얻은 생성물을 건조한다. 건조는 열풍건조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후에는 소결을 더욱 잘 수행하기 위하여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건조된 생성물은 전기로에서 소결된다. 구체적으로 건조된 생성물을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은 후 전기로에서 분당 10~20℃의 가열속도, 특히 15℃의 가열속도로 600~1000℃의 온도, 특히 800℃의 온도로 승온하고 상기 온도에서 8 시간 정도 동안 소결한 후 상온까지 냉각, 특히 자연 냉각한다.
다음으로, 소결된 생성물은 평균입도 50㎛ 정도 크기로 분쇄한 후 볼밀(Ball Mill)을 사용하여 평균입도 0.1~10㎛, 특히 평균입도 1 ㎛ 정도의 크기로 초미세분쇄를 하여 무기 항균제 분말을 최종적으로 얻는다.
이렇게 얻은 무기 항균제 분말은 환경오염 및 인체에 피해를 주지 않고, 두피 내 세균 및 진균, 특히 비듬균(Malassezia furfur)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하다. 또한 원적외선 방출 특성 및 탈취 특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무기 항균제 분말은 상기한 조성 및 제조방법에 의하여 표면적이 확대되었고 또한 치환반응 및 소결과정을 통해 기공 형성 및 조성에 변화가 발생하여 항균활성 및 항진균활성이 강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기 때문에, 무기 항균제는 본 발명의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서, 무기 항균제 분말은 식물성 유화제, 식물성 오일 및 정제수와 혼합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에서 무기 항균제 분말은 화장료에 스크럽 효과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 5 중량%의 무기 항균제, 10 ~ 30 중량%의 식물성 유화제, 5 ~ 20 중량%의 식물성 오일 및 30 ~ 60 중량%의 정제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물성 유화제는 다른 성분들과 상용성을 가져서 무기 항균제 분말을 분산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알려진 다양한 식물성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지만, 특히 올리브 왁스, 몬타노브 왁스, 레시틴,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올리브 계면활성제, 코코베타인, 코코글루코사이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애플위시 및 그것들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물성 오일은 다른 성분들과 상용성을 가져서 무기 항균제 분말을 분신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알려진 다양한 식물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지만, 특히 올리브 오일, 코코넛 오일, 피마자 오일, 호호바 오일, 동백 오일, 아보카도 오일, 아르간 오일, 티트리 오일 및 그것들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정제수와 식물성 오일은 그것들만으로는 혼합되지 않지만, 식물성 유화제의 매개에 의하여 서로 균일하게 혼합되며, 이때 무기 항균제도 또한 균일하게 분산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습제, 증점제, 피부보호성분 및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습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 ~ 15 중량%로 포함되고, 증점제는 1 ~ 5 중량%로 포함되며, 피부보호성분은 1 ~ 5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습제는 화장품에 보습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지만, 특히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그것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증점제는 화장품에 증점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지만, 특히 세틸알코올, 잔탄검, 폴리쿼터늄, 카르보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그것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부보호성분은 화장품에 유효성분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코퍼펩타이드, 비타민 E, 로즈마리 추출물 및 그것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은 조성비율에 따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클린징폼, 모발보전처리제 등 다양한 용도에 맞는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에 제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실시예 1 - 무기 항균제의 제조
1) 1ℓ4구 플라스크에 정제수 500㎖ 넣고 교반기(stirrer)를 사용하여 400rpm으로 교반하면서 견운모 분말(평균입도 50um) 40.0중량%에 콜로이달 실리카졸(Colloidal Silica Sol) 30중량%, 무기질 성분인 수산화칼슘(Ca(OH)2) 10.0중량%, 산화아연(ZnO) 5.0중량%, 이산화티타늄(TiO2) 2.0중량%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2) 위 혼합물 용액을 80℃ 승온한 후 항균금속성분 질산은(AgNO3) 3중량%, 황산구리(CuSO4) 5중량%, 황산아연(ZnSO4) 5중량%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2시간 흡착 치환반응한 후 여과하였다.
3) 위 여과한 생성물을 열풍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4) 위 건조된 생성물을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은후 전기로에서 분당 15 ℃로 승온하여 800℃ 유지하며 8시간 소결한후 상온까지 자연 냉각하였다.
5) 위 소결된 생성물을 평균입도 50um 까지 분쇄한 후, 볼밀(Ball Mill)을 사용하여 초미세분쇄 가공하여 견운모 기반 무기항균제 분말(평균입도 1㎛)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무기항균제 분말은 분말유동성이 좋으며, 색상은 밝은 회백색이다.
실시예 2 - 무기 항균제의 제조
1) 1ℓ4구 플라스크에 정제수 500㎖ 넣고 교반기(stirrer)를 사용하여 400rpm으로 교반하면서 견운모 분말(평균입도 50um) 40.0중량%에 콜로이달 실리카졸(Colloidal Silica Sol) 20중량%, 무기질 성분인 수산화칼슘(Ca(OH)2) 15.0중량%, 산화아연(ZnO) 10.0중량%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2) 나머지 공정은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견운모 기반 무기항균제 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무기 항균제 분말에 대하여 원적외선 방사율 측정시험을 한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무기질 복합물의 원적외선 방사율 측정시험결과(시험기관 :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
방사율(5~20㎛) 방사에너지(mW/㎠㎛,@37℃)
0.922 3.55 x 102
상기에서 얻은 무기 항균제 분말에 대하여 각종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시험을 수행한 바, 아래 표 3의 결과를 얻었다.
무기 항균제의 항균, 항진균 특성 측정시험결과(시험기관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항목 테스트 방법 관련 균/진균 결과
항균성 JIS Z 2801:2012
(시편 : 무기질 분말 3% 함유 실리콘 시편)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Log값 4.8(99.99%)
Log값 4.6(99.99%)
항진균성(곰팡이저항성) ASTM G21: 2013
(시편 : 무기질 분말3% 함유 실리콘 시편)
Aspergollus niger ATCC 9642
Penicillium pinophilium ATCC11797
Chaetomium globosum ATCC 6205
Gliocladium virens ATCC 9645
Aureobasidium pullulans ATCC 15233
Level 0
(시험편의 접종한 부분에 균사의 발육이 인지되지 않음.)
상기에서 얻은 무기 항균제 분말에 대하여 탈취성능을 시험한 바, 아래 표 4의 결과를 얻었다.
무기 항균제의 탈취성능 측정결과 (시험기관 : 한국분석시험연구원, 시료량: 8g)
항목 무기 항균제(가칭 : TopLIVE)
30분 60분 90분 120분
암모니아 90% >99% >99% >99%
아세트산 60% 90% >99% >99%
트리메틸아민 10% 80% >99% >99%
실시예 3 - 비듬균에 대한 무기 항균제의 항균활성 시험
모발 내의 비듬 및 지루성두피염의 제거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얻은 무기 항균제(테스트 시료명 : TopLIVE)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 적용된 시험균주 Malassezia furfur는 비듬 및 지루성 두피염의 원인균이다(본 테스트는 한국융합시험연구원에서 용역시험을 실시한 시험결과이다).
- 시험기준 : ASTM E2149-13a
- 시험균주 : Malassezia furfur ATCC 14521
- 시험번호 : TBK-2018-008703
A) 시험균의 전배양
① 시험균주를 mLNA agar에 접종하여 (35±1)℃에서 5일동안 배양하고, 이 과정을 1회 추가로 반복하였다.
B) 시험균액의 조제
① 배양된 시험균을 멸균된 Buffer solution을 이용하여 (1.5~3.0) x 105 CFU/mL가 되도록 조제하여 시험균액으로 사용하였다.
C) 시료의 준비
① 시료 (1.0±0.1)g을 취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D) 시험절차
① 시험균액 (50±0.5)mL에서 시료 (1.0±0.1)g을 각각 넣고 진탕배양기에서 (22.1±1)℃, 200r/min의 조건으로 24h±5min 동안 교반하였다.
② 최초 희석은 D/E neutralizing broth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③ 중화된 시험액은 단계별로 희석하여 각 농도당 Petri dish 3매에 1mL씩 분주하였다.
④ 미리 준비된 (45~50)℃의 modified LNA agar를 petri dish에 (15~25)mL 분주하고, 상온에서 응고시켰다.
⑤ 응고된 Petri dish는 거꾸로 하여 (35±1)℃에서 5일 동안 배양하였다.
⑥ 대조군은 시료를 넣지 않는 조건으로 설정하였으며, 대조군의 생균수는 접종 후 즉시 및 24h±5 min 후에 회수하여 측정하였다.
E) 결과관찰
① 배양 후, 생균수의 관찰은 (30~300)개를 나타내는 Petri dish를 선택하여 실시하였다.
② 최저 희석단계에서만 생균수가 관찰되는 경우에는 관찰범위에 상관없이 계수하였다.
③ 세균이 증식한 경우, 배지상의 균수에 희석 배수를 곱하여 산출하였다.
④ 배지에서 세균이 증식하지 않는 경우는 중화단계에서 이루어진 희석배수를 곱하여 '30미만(<30)'으로 표시하였다.
⑤ 생균수 계산은 다음의 식(식1)에 따라 계산되었고, 항균감소율은 (식2)에 따라 결정하였다.
⑥ 식1. 생균수 계산
N = C x D
N : 생균수
C : 집락수(3매의 집락 수 평균치)
D : 희석배수
⑦ 식2. 항균감소율 계산
Reduction(%) = (B-A)/B X 100
R : 감소율
A : 시험군의 일정시간 후 생균수(평균)
B : 대조군의 일정시간 후 생균수(평균)
F) 결과 및 결론
① 초기 접종균수는 2.5x105 CFU/mL, 24시간 후 대조군은 2.1x105 CFU/mL, 24시간 후 시험군은 <30 CFU/mL로 관찰되었다.
② 본 시험조건하에서 시료 TopLIVE의 M. furfur에 대한 항진균 감소율은 99.9%이상으로 나타났다.
M.furfur에 대한 항진균 테스트 결과(단위 : CFU/mL)
초기 접종균수 대조군
24시간후 균수
시험균
24시간후 균수
감소율(%) : R
견운모 2.5 x 105 2.1 x 105 1.2 x 105 41.9
무기계항균제(TopLIVE) 2.5 x 105 2.1 x 105 <30 99.9 이상
실시예 4 -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무기 항균제 분말 3.0 중량%, 식물성 유화제 성분 15.0 중량%, 식물성 오일성분 12.5 중량%, 보습제(글리세린) 15.0 중량%, 증점제(폴리쿼터늄) 3.5 중량%, 피부보호성분 4.0 중량%, 및 정제수 47.0 중량%를 혼합하여 탈모증상완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식물성 유화제 성분은 15.0 중량%의 올리브 왁스로 구성되고, 식물성 오일 성분 12.5 중량%는 5.0 중량%의 올리브 오일, 4.0 중량%의 코코넛 오일, 2.5 중량%의 피마자 오일, 0.5 중량%의 호호바 오일 및 0.5 중량%의 티트리 오일로 구성되었다. 피부보호성분 4.0 중량%는 코퍼펩타이드 1.0 중량%, 비타민 E 2.5 중량%, 로즈마리 추출물 0.4 중량%, 및 천연 오렌지향 0.1 중량%로 구성되었다.
실시예 5 -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무기 항균제 분말 3.0 중량%, 식물성 유화제 성분 28.0 중량%, 식물성 오일성분 6.0 중량%, 보습제(글리세린) 13.0 중량%, 증점제(폴리쿼터늄) 4.0 중량%, 피부보호성분 4.0 중량%, 및 정제수 42.0 중량%를 혼합하여 탈모증상완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식물성 유화제 성분 28.0 중량%는 7.0 중량%의 올리브 왁스, 12.0 중량%의 올리브 계면활성제 및 9.0 중량%의 코코베타인으로 구성되고, 식물성 오일 성분 6.0 중량%는 3.5 중량%의 올리브 오일, 2.0 중량%의 코코넛 오일, 및 0.5 중량%의 티트리 오일로 구성되었다. 피부보호성분 4.0 중량%는 코퍼펩타이드 1.0 중량%, 비타민 E 2.5 중량%, 로즈마리 추출물 0.4 중량%, 및 천연 오렌지향 0.1 중량%로 구성되었다.
실시예 6 -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의 탈모완화 효능 시험
상기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이 탈모완화 효능을 갖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남성 안드로겐성 탈모환자 피실험자 1인의 모발 및 두피에 상기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매일 1회 발랐다. 그리고 피실험자의 모발 및 전두부 관찰을 통한 두피 각질층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7개월간 진행된 본 테스트에서 다음과 같은 테스트 결과를 수득하였다.
모발의 변화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 초기에는 하루 30 ~ 100 여개의 탈모가 이루어졌으나, 1개월 경과후에는 탈모가 많이 감소하고 작은 크기의 모발들이 생성되었고, 3개월 경과후에는 탈모가 많이 감소하고 작은 크기의 모발들이 지속적으로 생성되었으며, 7개월 경과후에는 탈모가 많이 감소하고 모발들의 굵기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피부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 초기에는 각질화가 심하였으나, 1개월 경과후에는 각질층의 변화가 시작되고 비듬이 감소하였으며, 3개월 경과후에는 표면 각질화 부분이 사라졌고, 7개월 경과후에는 표면 각질층의 변화가 유지되었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지속적으로 두피 및 모발에 적용한 결과,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발의 성장이 지속되었고 이에 탈모증상이 상당한 수준으로 완화되었다. 이때, 도 2는 상기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상기 피실험자에게 지속적으로 적용한 실험에 대한 결과로서 전체적인 모발의 성장을 보여주고, 도 3은 정수리 부위에 대한 확대도로서 정수리 부위에서 모발의 성장을 보여준다.
실시예 7 -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의 탈모완화 효능 시험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피실험자의 모발 성장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때 피실험자는 40대 후반의 남성 안드로겐성 탈모환자이다. 시험은 2018년 3월부터 7월까지 4개월 간 진행되었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지속적으로 두피 및 모발에 적용한 결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발의 두께가 두꺼워졌고 단위면적 당 모발의 갯수도 증가하였다. 즉, 모발의 성장이 지속되었다. 이에 탈모증상이 상당한 수준으로 완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상기 피실험자에게 지속적으로 적용한 실험에 대한 결과로서 모발의 성장을 보여준다.

Claims (11)

  1. 무기 항균제, 식물성 유화제, 식물성 오일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이고,
    상기 무기 항균제는 정제수에 상기 정제수를 제외한 성분들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견운모, 백운모 또는 흑운모 분말(이하, '견운모 분말'이라 함) 30~50 중량%, 콜로이달 실리카졸 10~40 중량% 그리고 수산화칼슘, 산화칼슘, 산화아연, 수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산화알루미늄 및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최소한 하나 이상 선택되는 무기질 성분 10~40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을 60~90℃의 온도로 승온한 후 상기 혼합용액에 질산은, 황산구리, 황산아연, 질산아연, 인산칼슘 및 인산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최소한 하나 이상 선택되는 항균 금속성분 5~20 중량%를 투입하여 반응시킨 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에 의하여 얻은 생성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생성물을 전기로에서 분당 10~20℃의 가열속도로 600~1000℃의 온도로 승온하고 상기 온도에서 소결한 후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소결된 생성물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무기 항균제는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 5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식물성 유화제는 10 ~ 30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식물성 오일은 5 ~ 2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정제수는 30 ~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 성분은 상기 무기 항균제를 제조할 때 상기 정제수를 제외한 성분들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수산화칼슘 6~20 중량%, 산화아연 3~15 중량% 및 이산화티타늄 1~3 중량%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무기질 성분은 수산화칼슘 7~20 중량% 및 산화아연 3~1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금속성분은 상기 무기 항균제를 제조할 때 상기 정제수를 제외한 성분들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질산은 2~5 중량%, 황산구리 3~7 중량% 및 황산아연 3~7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에 상기 견운모 분말, 상기 콜로이달 실리카졸 및 상기 무기질 성분을 혼합하는 단계는 상온에서 교반하는 것이고, 상기 소결하는 단계는 전기로에서 분당 15℃의 가열속도로 800℃의 온도로 승온하고 상기 온도에서 8시간 동안 소결한 후 상온까지 자연 냉각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 ~ 15 중량%의 보습제, 1 ~ 5 중량%의 증점제 및 1 ~ 5 중량%의 피부보호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유화제는 올리브 왁스, 몬타노브 왁스, 레시틴,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올리브 계면활성제, 코코베타인, 코코글루코사이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애플위시 및 그것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 오일, 코코넛 오일, 피마자 오일, 호호바 오일, 동백 오일, 아보카도 오일, 아르간 오일, 티트리 오일, 그것들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그것들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보호성분은 코퍼펩타이드, 비타민 E, 로즈마리 추출물 및 그것들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세틸알코올, 잔탄검, 폴리쿼터늄, 카르보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그것들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항균제는 비듬균(Malassezia furfur)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20190023125A 2019-02-27 2019-02-27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2107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125A KR102107041B1 (ko) 2019-02-27 2019-02-27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125A KR102107041B1 (ko) 2019-02-27 2019-02-27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041B1 true KR102107041B1 (ko) 2020-05-06

Family

ID=7073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125A KR102107041B1 (ko) 2019-02-27 2019-02-27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0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821A (ja) * 1993-10-04 1995-04-18 Sangi Co Ltd 抗菌性化粧料
KR20030048422A (ko) * 2000-10-06 2003-06-19 가부시키가이샤 상기 향균성 수지
KR20060052518A (ko) * 2004-11-08 2006-05-19 (주)바이오드림스 항진균성 약제학적 조성물
KR20130020742A (ko) * 2010-02-07 2013-02-27 제이.피.엠.이.디. 리미티드 모낭 표적 조성물
KR20170123009A (ko) * 2016-04-28 2017-11-07 김선미 규산염((NaSiO3_10H2O) 은(Ag) 수용액 또는 규산염(NaSiO3_10H2O) 구리(Cu)수용액 조성물 그리고 수용성 규산은염 또는 수용성 규산 구리염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821A (ja) * 1993-10-04 1995-04-18 Sangi Co Ltd 抗菌性化粧料
KR20030048422A (ko) * 2000-10-06 2003-06-19 가부시키가이샤 상기 향균성 수지
KR20060052518A (ko) * 2004-11-08 2006-05-19 (주)바이오드림스 항진균성 약제학적 조성물
KR20130020742A (ko) * 2010-02-07 2013-02-27 제이.피.엠.이.디. 리미티드 모낭 표적 조성물
KR20170123009A (ko) * 2016-04-28 2017-11-07 김선미 규산염((NaSiO3_10H2O) 은(Ag) 수용액 또는 규산염(NaSiO3_10H2O) 구리(Cu)수용액 조성물 그리고 수용성 규산은염 또는 수용성 규산 구리염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0816B2 (ja) 皮膚老化防止剤
KR101769416B1 (ko)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JP7275103B2 (ja) ネフェリウム・ラパセウム(Nephelium lappaceum)抽出物の新規な美容的使用
JP5758174B2 (ja) 抗酸化剤、及び抗酸化化粧料
JP2009155227A (ja) 生体組織修復促進薬剤
WO2022142669A1 (zh) 抗衰老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非治疗目的用途以及制备化妆品的用途
KR101810229B1 (ko) 티트리 잎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3696862B2 (ja) 保湿剤および植物抽出物の使用方法ならびに外用剤
KR101056129B1 (ko) 항염증용 조성물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070065926A (ko)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가지는 녹차 추출물 및 브로컬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03440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7041B1 (ko) 탈모증상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JP3839390B2 (ja) 化粧料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JP4169814B2 (ja) リュウゼツラン又はサイザル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
KR20150116504A (ko) 티트리 추출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302A (ko) 옹기를 구비하는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황기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40056079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JP3504590B2 (ja) 皮膚外用剤
KR100909729B1 (ko) 남실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09175980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