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008B1 - 맥주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맥주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008B1
KR102106008B1 KR1020190126838A KR20190126838A KR102106008B1 KR 102106008 B1 KR102106008 B1 KR 102106008B1 KR 1020190126838 A KR1020190126838 A KR 1020190126838A KR 20190126838 A KR20190126838 A KR 20190126838A KR 102106008 B1 KR102106008 B1 KR 102106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cube
malt
coupled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성운
Original Assignee
나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성운 filed Critical 나성운
Priority to KR1020190126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6Adapted for dispensing high viscosity products
    • B67D2210/00163Agi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주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안착홈이 구비된 큐브루 크래들과, 물이 유입되는 큐브루 몸체를 상기 안착홈에 유입되게 큐브루 크래들에 결합하며, 몰트가 유입되는 여관수단에 초음파 진동모듈을 설치하고, 그 여과수단을 큐브루 몸체에 결합 구성하여 몰트를 당화하는 과정에서 초음파 진동모듈에서 진동이 발생 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여과수단에 유입된 몰트의 교반을 용이하게 하면서 아밀라제 성분의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맥주 제조의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상기 큐브루 몸체의 내부에 담겨진 물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을 큐브루 몸체에 설치 구성하는 데, 상기 가열수단은 전기 코일 또는 탄소 히터 및 전기 코일 및 탄소 히터로 구성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중앙 서버와 연결된 무선 단말기에 맥주 제조용 레시피 앱을 다운 받은 후에 그 레시피 앱을 활성화시켜 맥주 제조 장치를 제어하기 때문에 맥주 제조 장치의 조작을 용이하면서, 고객과의 소통 및 맥주 제조용 재료를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맥주 제조 장치 { Beer making Device }
본 발명은 맥주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착홈이 구비된 큐브루 크래들과, 물이 유입되는 큐브루 몸체를 상기 안착홈에 유입되게 큐브루 크래들에 결합하며, 몰트가 유입되는 몰트통이 구비된 여과수단에 초음파 진동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여과수단을 상기 큐브루 몸체에 결합 구성하여 몰트를 당화하는 과정에서 초음파 진동모듈에서 진동이 발생 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여과수단에 유입된 몰트의 교반을 용이하게 하면서 아밀라제 성분의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맥주 제조의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상기 큐브루 몸체의 내부에 담겨진 물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을 큐브루 몸체에 설치 구성하는 데, 상기 가열수단은 전기 코일 또는 탄소 히터 및 전기 코일 및 탄소 히터로 구성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중앙 서버와 연결된 무선 단말기에 맥주 제조용 레시피 앱을 다운 받은 후에 그 레시피 앱을 활성화시켜 맥주 제조 장치를 제어하기 때문에 맥주 제조 장치의 조작을 용이하면서, 고객과의 소통 및 맥주 제조용 재료를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한 맥주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란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종래의 맥주는 대량으로 생산된 맥주를 구입하여 음용하므로, 다양한 맥주를 음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직접 맥주 재료를 발효하여 생산하는 수재 맥주를 제조하게 되었다.
상기 맥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물과, 발아된 보리 등으로 이루어진 몰트와 홉을 통해 제조한 맥즙과, 상기 맥주를 발효하는 효모의 재료가 필요하다.
상기 맥즙은 물, 몰트와 홉 등을 혼합한 상태에서 5 시간 내지 7 시간을 자비 및 냉각하여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맥즙에 효모를 투입하여 알코올과 탄산이 혼합된 맥주를 생산하고, 그 생산된 맥주를 일정한 통인 케그에 넣어 숙성시켜 생산한다.
따라서, 맥주는 맥즙을 생선하는 맥즙 생성 단계와, 그 생성된 맥즙을 발효하는 발효 단계와, 상기 발효 단계를 거친 후에 숙성하는 숙성 단계로 이루어지며, 질이 좋은 맥즙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맥즙 생성 단계시 온도의 제어가 매우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수재 맥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몰트를 추출하는 당화 과정을 하는 데,
종래에는 당화 하는 과정에서 몰트를 교반하지 못하기 때문에 당화 시간이 길어지며, 교반날개가 구비된 모터를 맥주 제조 장치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맥주 제조 장치의 부피는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몰트를 물에 넣은 상태에서 가열하여 아밀라제 성분이 추출되는 당화를 하는 데, 종래에는 물에 넣은 몰트를 교반하지 못하며, 이로 인하여 맥주의 제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수재 맥주를 제조하는 사람들은 레시피를 확보 하지 못하며, 이로 인하여 많은 시행 착오를 통해서 수재 맥주를 생산해야만 하기 때문에 수재 맥주를 제조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수재 맥주를 제조하는 사람들이 소통하는 공간이 전혀 구현되어 있지 않아 맥주의 제조 레시피를 공유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맥주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를 각각 구입해야만 하므로서, 맥주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질 좋은 수재 맥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맥즙이 생성되는 온도을 수시로 체크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깨끗한 맥즙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은 라우터링 및 몰트에 남아 있는 당을 회수하는 스파징 등과 같은 작업을 직접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한편, 수재 맥주를 제조하는 장치는 선 등록된 특허 제 10-1817480 호와 같이 제조 장치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방안 내지 거실 등과 같은 실내에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종래의 맥주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는 맥즙 발효탱크가 설치되는 케이스와, 맥즙의 발효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구획하는 중간 패널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순환 팬 및 순환 되는 공기를 강제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히터부와 그 히터부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팬 등이 설치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수재 맥주 제조 장치의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수재 맥주 제조 장치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 작업으로 맥주 제조 장치를 제어하기 때문에 맥주 제조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는 맥주를 제조하기 위한 온도 및 시간 타이밍을 놓쳐 제작된 맥주의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 선행 기술 문헌 ◈
1. 한국등록특허 제 10-1817480 호.
2. 한국공개특허 제 10-2002-0070938 호.
3. 한국등록특허 제 10-1549062 호.
4. 한국공개번호 제 10-2016-0132714 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착홈이 구비된 큐브루 크래들과, 물이 유입되는 큐브루 몸체를 상기 안착홈에 유입되게 큐브루 크래들에 결합하며, 몰트가 유입되는 몰트통이 구비된 여과수단에 초음파 진동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여과수단을 상기 큐브루 몸체에 결합 구성하여 몰트를 당화하는 과정에서 초음파 진동모듈에서 진동이 발생 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여과수단에 유입된 몰트의 교반을 용이하게 하면서 아밀라제 성분의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맥주 제조의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상기 큐브루 몸체의 내부에 담겨진 물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을 큐브루 몸체에 설치 구성하는 데, 상기 가열수단은 전기 코일 또는 탄소 히터 및 전기 코일 및 탄소 히터로 구성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중앙 서버와 연결된 무선 단말기에 맥주 제조용 레시피 앱을 다운 받은 후에 그 레시피 앱을 활성화시켜 맥주 제조 장치를 제어하기 때문에 맥주 제조 장치의 조작을 용이하면서, 고객과의 소통 및 맥주 제조용 재료를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한 맥주 제조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안착홈이 구비된 큐브루 크래들과;
큐브루 크래들에 구비된 안착홈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며, 물이 담겨지는 큐브루 몸체와;
큐브루 몸체의 내부에 융비되게 착,탈식으로 결합 되며, 몰트가 유입되는 몰트통이 구비된 여과수단과;
여과수단에 설치 구성되어 몰트를 교반 및 추출을 촉진하는 초음파 진동모듈과;
큐브루 몸체에 구비되는 제1 통신모듈과;
제1 통신모듈과 연결되는 제2 통신모듈이 구비되며, 그 제2 통신모듈이 제1 통신모듈과 교신하였을 때 활성화되고, 활성화 된 후 사용자가 선택한 레시피에 따라 맥주제조 유니트를 제어할 수 있도록 레시피 앱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안착홈이 구비된 큐브루 크래들과, 물이 유입되는 큐브루 몸체를 상기 안착홈에 유입되게 큐브루 크래들에 결합하며, 몰트가 유입되는 몰트통이 구비된 여관수단에 초음파 진동모듈을 설치하고, 그 여과수단을 상기 큐브루 몸체에 결합 구성하여 몰트를 당화하는 과정에서 초음파 진동모듈에서 진동이 발생 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여과수단에 유입된 몰트의 교반을 용이하게 하면서 아밀라제 성분의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맥주 제조의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몰트를 교반 및 추출하는 교반 장치를 초음파 진동모듈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 맥주 제조 장치의 크기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상기 맥주 제조 장치의 크기를 현저히 줄여 업소 이외에 가정 집에서도 맥주 제조 장치를 구입하여 제조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맥주 제조 장치의 판매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큐브루 몸체 내부에 담겨진 물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을 설치 구성하는 데, 상기 가열수단은 전기 코일 또는 탄소 히터 및 전기 코일 및 탄소 히터로 구성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여과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몰트통의 하부에는 다수의 타공홀을 형성하여 당화를 마친후에 맥즙을 내리는 과정에서 이 물질을 자연스럽게 필터링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맥주제조 유니트는 중앙 서버와 연결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맥주 제조용 레스피 앱을 다운 받은 후에 그 레스피 앱을 활성화시켜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맥주 제조 장치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기는 중앙 서버와 연결되기 때문에 고객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면서, 맥주 제조용 레스피의 정보 공유 및 맥주 제조에 필요한 물품의 구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몰트는 티백으로 제작한 상태에서 여과수단을 통해 상기 맥주제조 유니트의 내부로 투입하기 때문에 이중 필터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불순물이 최대한으로 섞이지 않은 맥즙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몰트가 투입된 여과수단은 설정된 시간에 의해 작동되는 몰트통 분리수단을 통해 맥주제조 유니트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맥즙을 내리는 작업인 스파징을 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여과기를 수작업으로 분리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맥주 제조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맥주 제조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열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맥주 제조 장치의 분라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맥주 제조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 단말기와 맥주제조 유니트와 중앙 서버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 단말기에 다운 받은 레시피 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맥주 제조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맥주 제조 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안착홈(131)이 구비된 큐브루 크래들(120)과;
큐브루 크래들(120)에 구비된 안착홈(131)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며, 물이 담겨지는 큐브루 몸체(20)와, 큐브루 몸체(20)의 내부에 유입되게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몰트가 유입되는 몰트통(70)이 구비된 여과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주제조 유니트(10)와;
삭제
여과수단(50)에 설치 구성되어 몰트를 교반 및 추출을 촉진하는 초음파 진동모듈(300)과;
큐브루 몸체(20)에 구비되는 제1 통신모듈(230)과;
제1 통신모듈(230)과 연결되는 제2 통신모듈(231)이 구비되며, 그 제2 통신모듈(231)이 제1 통신모듈(230)과 교신하였을 때 활성화되고, 활성화 된 후 사용자가 선택한 레시피에 따라 맥주제조 유니트(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레시피 앱(211)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210);로 구성하고,
맥주제조 유니트(10)를 이루는 큐브루 몸체(20)에는,
상기 큐브루 몸체(2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유입홀(21) 및 배출홀(22)과;
큐브루 몸체(20)의 내부에 결합 되어 물이 담겨지는 물통(30)과;
물통(30)과 연통되는 중앙홀(41)이 구비되며, 큐브루 몸체(20)의 상부면에 결합 되는 커버(40)와;
중앙홀(41)의 내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여과수단(50)이 착,탈식으로 결합 되는 결합부(42)와;
물통(3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110)와;
온도센서(110)에 감지된 감지 신호가 유입되는 제어부(100)와;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물통(30)을 자비(煮沸) 및 냉각할 수 있도록 큐브루 몸체(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수단 및 및 냉각팬(90);으로 구성하고,
상기 가열수단은,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 코일(80) 또는 탄소 히터(80a) 또는 전기 코일(80) 및 탄소 히터(80a)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수단(50)은, 결합부(42)의 상부면에 거치되며, 끼움홀(60a)이 구비된 뚜껑(60)과;
상단에 손잡이(61a)가 구비되며, 끼움홀(60a)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설치축(61)과;
설치축(61)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초음파 진동모듈(300)과;
하부에는 다수의 타공홀(71)이 구비되며, 초음파 진동모듈(300)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뚜껑(60)에 구비된 몰트통 결합부(62)에 결합 되는 몰트통(7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큐브루 몸체(20)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는 여과수단(50)에 초음파 진동모듈(300)을 설치 구성하여 상기 초음파 진동모듈(30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여과수단(50)의 내부로 유입된 몰트의 교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몰트에 지속적으로 진동을 가해 아밀라제 성분 등의 추출을 빠르게 하여 맥주 제조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맥주를 제조하는 맥주 제조 장치를 무선인 무선 단말기(211)로 제어 하여 맥주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211)는 중앙 서버(220)와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맥주 제제조용 레시피 앱(211)을 다운 받아 맥주를 제조하기 때문에 맥주 제조에 따른 많은 시행 착오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중앙 서버(220)와 연결된 무선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맥주 제조용 레스피를 공유하거나 또는 소통하기 때문에 고객과의 소통을 용이하게 하면서 상기 맥주 제조에 필요한 재료 구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맥주 제조 장치는 도 1과 같이 맥주제조 유니트(10)와, 상기 맥주제조 유니터(10)가 착,탈식으로 결합 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큐브루 크래들(120)과, 맥주제조 유니트(10)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210)로 대별된다.
상기 맥주제조 유니트(10)를 제어하는 무선 단말기(210)는 도 5와 같이 중앙 서버(220)와 인터넷으로 연결되며, 상기 중앙 서버(220)로부터 다운 받은 래시피 앱(211)을 실행하여 맥주제조 유니트(10)를 제어 한다.
상기 맥주제조 유니트(10)는 도 3과 도 4와 같이 물이 담겨지는 큐브루 몸체(20)와 상기 큐브루 몸체(20)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는 여과수단(50)과 큐브루 몸체(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수단으로 구성한다.
큐브루 몸체(20)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21)을 하부에 형성하고, 상기 유입홀(21)과 대응되게 큐브루 몸체(20)의 상부에 배출홀(2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큐브루 몸체(20)의 내측 하부에 가열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가열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유입되는 물통(30)을 상기 큐브루 몸체(20)의 내부에 결합한다.
상기 물통(30)은 스테인레스 304, 316으로 사용하고, 스피닝(spinning)으로 제작한다.
상기 맥주제조 유니트(10)를 구성하고 있는 큐브루 몸체(20)의 하부에 큐브루 크래들(120)에 구비된 전원 커넥트(132)와 대응되게 연결 커넥트(23)를 형성하여, 상기 맥주제조 유니트(10)를 구성하고 있는 큐브루 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수단, 냉각팬(90), 온도 센서(110) 및 제어부(100)로 전기를 공급한다.
상기 온도 센서(110)는 물통(30)의 외주면에 결합 되어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00)로 측정 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가열수단은 도 3의 (a)와 같이 전기 코일(80) 또는 도 3의 (b)와 같이 탄소 히터(80a) 또는 도 3의 (c)와 같이 전기 코일(80) 및 탄소 히터(80a)가 동시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한다.
상기 전기 코일(80) 및 탄소 히터(80a)가 동시에 큐브루 몸체(20)의 내부에 설치 시 저온은 67℃ 까지는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탄소 히터(80a)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기 탄소 히터(80)에서 발열되는 열을 이용하여 내통(30)에 들어 있는 물을 가열하고, 67℃ 에서 100℃까지는 전기 코일(80)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이용하여 내통(30)에 들어 있는 물을 가열한다.
이때,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코일(80) 및 탄소 히터(80a)는 적층되게 설치되는 것이 아닌 평면에서 가열수단을 봤을 때 탄소 히터(80a)가 내부에 위치하고, 그 탄소 히터(80a)를 감싸도록 전기 코일(80)이 외부에 위치하도록 큐브루 몸체(20) 내측 하부에 설치됨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여과수단(50)은 도 3의 (a) ~ (c)와 같이 하부에 타공홀(71)이 구비된 몰트통(70)과, 상기 몰트통(70)에 결합 되는 뚜껑(60)과, 상기 뚜껑(60)의 하부에 설치되는 초음파 진동모듈(300)로 구성한다.
상기 몰트통(70)은 뚜껑(60)이 하부에 형성된 몰트통 결합부(62)에 결합 되는 것이며, 상기 초음파 진동모듈(300)은 뚜껑(6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끼움홀(60a)에 설치축(61)을 관통되게 설치하고, 그 설치축(61)의 외주면에 설치한다.
이때, 초음파 진동모듈(300)은 크브루 크래들(120)에 구비된 전원 커넥트(132)로부터 류브루 몸체(20)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뚜껑(60)에는 초음파 진동모듈(3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수단이 설치됨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초음파 진동모듈(300)을 여과수단(50)을 구성하고 있는 뚜껑(60)에 설치하므로서,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초음파 진동모듈(300)이 On 작동되면서 발생된 진동을 이용하여 몰트통(70)에 들어 있는 몰트에 지속적으로 진동을 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몰트의 교반 및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맥주제조 유니트(10)가 착,탈식으로 결합 되는 큐브루 크래들(120)은 안착홈(131)이 구비된 몸체(130)를 형성하고, 안착홈(131)의 바닥면 중앙에는 맥주제조 유니트(10)에 구비된 연결 커넥트(23)와 대응되게 전원 커넥트(13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맥주제조 유니트(10)를 큐브루 크래들(120)에 결합 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맥주제조 유니트(10)를 구성하고 있는 물통(30)에 적량의 물을 넣은 후에 중앙서버(220)와 연결된 무선 단말기(210)에 구비된 래시피 앱(211)을 도 6의 (a)와 같이 작동시켜 레시피를 선택한다.
이때, 래시피 앱에는 도 6의 (b)와 같이 맥주 제조에 필요한 시간, 온도 및 물의 투입량을 선택할 수 있어 맥주 제조에 필요한 시간, 온도, 물의 투입량을 작동하거나 선택한다.
상기 래시피 앱(211)의 작동을 마친 후에 맥주 제조를 하는 사람들은 래시피 앱(211)에 맞게 몰트통(70)에 몰트를 넣은 후에 도 4의 (a)와 같이 상기 몰트통(70)을 뚜껑(60)에 구비된 몰트통 결합부(62)에 결합한 상태에서 큐브루 몸체(20)의 내부에 삽입되게 결합한다.
이와 같이 맥주제조 유니트(10)의 내부에 맥주 제조에 필요한 물과 몰트가 결합 되면, 맥주를 제조하는 사람은 도면에 도시된 도 4의 (b) 내지 (e)와 같은 작업을 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맥주 제조에 필요한 맥즙을 제조하는 단계를 도 4의 (b) 내지 도 4의 (e)를 이용하여 설명을 하게 되면,
도 4의 (b)는 당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당화 단계는 몰트가 여과수단(50)의 몰트통(70) 내부로 투입되면, 작업자는 뚜껑(60)이 커버(40)에 구비된 결합부(42)의 결합면(43)에 거치되게 몰트통(70)을 물통(30)의 내부로 유입하여 몰트가 물통(30)에 담겨진 물에 잠기도록 한다.
몰트가 물통(30)으로 유입되어 물에 잠기게 되면, 큐브루 크래들(120)에 구비된 전원(도면 미 도시)을 On 작동시켜 외부의 전원이 큐브루 몸체(20)에 구비된 가열수단의 전기 코일(80)로 공급되며, 상기 전기 코일(80)은 래시피 앱(211)과 연결된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On 작동되면서 래시피 앱(211)에 설정한 시간 동안 전기 코일(80)이 발열되면서 물통(30)에 들어 있는 물을 가열한다.
이와 동시에 여과수단(50)에 설치된 초음파 진동모듈(300)은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On 작동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고, 그 발생된 진동에 의해 몰트통(70)이 내부에 들어 있는 몰트를 지속적으로 교반되면서 몰트로부터 아밀라제 등이 추출되는 당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는 가열수단인 전기 코일(80)이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On 작동되면서 물통(30)을 가열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3의 (b)와 같이 탄소 히터(80a) 를 이용하여 물이 들어 있는 물통(30)을 가열하거나 또는 탄소 히터(80a)을 이용하여 물통(30)을 먼저 가열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도 4의 (b)는 당화 단계를 마친후에 맥주제조 유니트(10)를 구성하고 있는 여과수단(50)을 큐브루 몸체(20)로부터 분리하여 맥즙을 내리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당화 단계를 마친후에 맥즙을 내리기 위해서는 먼저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뚜껑(60)에 결합된 초음파 진동모듈(300)을 Off 한 후에 뚜껑(60)을 큐브루 몸체(20)로부터 분리하여 큐브루 몸체(20)의 직상부에 여과수단(50)을 위치한다.
이때,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여과수단(50)의 분리는 제어부(100)와 연결된 무선 단말기(210)로부터 발생되는 알람 소리에 맞쳐 맥주를 제조하는 사람이 작업함을 밝히는 바이다.
따라서, 몰트통(70)의 내부에 들어 있는 몰트로부터 흘러 나오는 맥즙은 상기 몰트통(70)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의 타공홀(71)을 통해 물통(30) 내부로 유입되는 스파징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상기 스파징 작업이 완료되면 맥주를 제조하는 사람은 물통(30) 내부에 추출된 맥즙의 비중을 확인 한 후에 래시피 앱(211)에 입력한다.
도 4의 (d)는 스파징 작업을 마친 후에 내통(30)을 가열하여 자비를 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물통(30)으로부터 여과수단(50)이 완전히 분리되면,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은 가열수단인 전기 코일(80)은 물통(30)을 가열하여 맥즙이 내포된 물을 래시피에 맞게 100℃까지 가열한다.
이때, 큐브루 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110)는 물통(30)의 내부에 자비되는 맥즙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감지 신호를 발송하고, 감지 신호가 유입된 제어부(100)는 전기 코일(80)로 제어 신호를 발송하여 맥즙이 일정한 온도인 100℃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물통(30)이 전기 코일(80)로 가열되는 동안 맥주를 제조하는 사람은 티백으로 이루어진 홉을 물통(30)으로 투입한다.
이때, 홉을 물통(30)으로 투입 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어부(100)와 연결된 무선 단말기(210)에서 발생되는 알람에 의해 작업자가 물통(30)으로 홉을 투입함을 밝히는 바이다.
도 4의 (e)는 자비를 마친 후에 큐브루 몸체(20)에 구비된 냉각팬(90)을 작동시켜 가열된 물통(30)을 냉가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레피시 앱(211)에 의해 설정된 시간 만큼 물통(30)이 가열된 후에는 작업자는 상기 레시피 앱(211)에 구비된 온도를 35℃로 설정하고, 그 온도가 설정과 동시에 무선 단말기(210)는 제어부(100)와 통신하여 큐브루 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냉각팬(90)으로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가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냉각팬(90)은 On 작동한다.
상기 냉각팬(90)이 On 작동함에 따라 큐브루 몸체(20)의 하부에 구비된 유입홀(21)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서 가열된 물통(30)을 냉각한다.
상기 큐브루 몸체(2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부에 구비된 배출홀(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을 밝히는 바이다.
물통(30)이 냉각과 동시에 큐브루 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110)는 물통(30)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발송하고, 상기 제어부(100)는 온도 센서(110)로 유입된 감지 신호에 따라 냉각팬(90)을 작동시켜 물통(30)을 냉각하는 것이다.
상기 물통(30)이 레시피 앱(211)에 설정된 온도만큼 냉각되면, 작업자는 물통(30)의 내부로 효모를 투입하여 맥즙을 발효하는 것이다.
이때, 큐브루 크래들(120)에는 레시비 앱(211)의 설정에 맞게 맥주제조 유니트(10)가 작동을 마친 상태를 외부로 알릴 수 있는 램프 내지 알람이 설치됨을 밝히는 바이다.
이때, 본 발명은 발효/숙성하는 케그의 전 단계까지 맥주를 생산하는 과정을 하는 장치로서, 이로 인하여 맥주 이외에 위스키 등을 생산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한편, 도 8과 도 9는 맥주 제조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일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맥주제조 유니트(10)가 결합 되는 큐브루 크래들(120)에 여과기 분리수단(150)을 더 설치 구성한 것이다.
상기 여과기 분리수단(150)은 도 8과 같이 큐브루 크래들(120)의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인출홈(133)과;
뚜껑(60)이 결합부(42)에 결합 된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발송할 수 있게 상기 결합부(42)의 결합면(43)에 설치되는 접촉 센서(200)와;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정역 회전되게 큐브루 크래들(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60)와;
구동 모터(16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인출홈(133)에 출몰 가능하게 큐브루 크래들(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랙(170)과;
랙(170)의 작동 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게 인출홈(133)에 결합 되는 이동부(180)와;
상승되는 이동부(180)의 상부면에 거치되어 상기 뚜껑(60)을 결합면(43)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뚜껑(6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거치돌기(181);로 구성하고,
상기 이동부(180)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봉(190)을 형성하고,
가이드봉(190)을 수직 안내하는 가이드부(191)를 큐브루 크래들(120)의 내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어부(100)와 구동 모터(160)의 연결은 연결 커넥트(23)와 전원 커넥트(132)를 이용하여 연결됨을 밝히는 바이다.
그리고 맥주제조 유니트(10)를 큐브루 크래들(120)의 안착홈(131)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24)는 큐브루 몸체(20)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의 맥주 제조 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과 도 4의 (a)를 이용하여 당화 단계를 마친 상태에서 결합부(42)의 결합면(43)에 구비된 접촉 센서(200)는 뚜껑(60)이 결합부(42)에 결합된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접촉 센서(200)는 결합부(42)에 뚜껑(60)이 결합된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100)로 발송한다.
상기 제어부(100)로 유입되는 감지 신호에 의해 결합부(42)의 결합면(43)에 뚜껑(60)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제어부(100)는 큐브루 크래들(120)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 모터(160)로 제어 신호를 발송하여 랙(170)과 결합된 구동 기어(161)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130)에 형성된 인출홈(133)을 통해 랙(170)을 유출한다.
상기 인출홈(133)을 통해 랙(170)이 유출됨과 동시에 상기 랙(170)의 상단에 결합 된 이동부(180)는 도 9의 (b)와 같이 뚜껑(60)에 구비된 거치돌기(181)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부로 이동되면서 몰트가 내부로 투입된 몰트통(70)을 물통(30)으로부터 인출시켜 스파징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큐브루 크래들(120)에는 당화 단계를 마친 후에 몰트가 결합된 여과수단(50)을 맥주제조 유니트(10)의 커버(40)로부터 분리하는 여과기 분리수단(150)을 형성하므로서, 설정된 시간 이외에 당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10: 맥주제조 유니트, 20: 큐브루 몸체,
21: 유입홀, 22: 배출홀,
23: 연결 커넥트, 30: 물통,
40: 커버, 41: 중앙홀,
42: 결합부, 43: 결합면,
50: 여과수단, 60: 뚜껑,
60a: 끼움홀,
61: 설치축, 62: 몰트통 결합부,
70: 몰트통, 71: 타공홀,
80: 전기 코일, 80a: 탄소 히터,
90: 냉각팬,
100: 제어부, 110: 온도 센서,
120: 큐브루 크래들, 130: 몸체,
131: 안착홈, 132: 전원 커넥트,
133: 인출홈, 150: 여과기 분리수단,
160: 구동 모터, 161: 구동 기어,
170: 랙, 180: 이동부,
181: 거치 돌기, 190: 가이드봉,
191: 가이드부, 200: 접촉 센서,
210: 무선 단말기, 211: 레시피 앱,
220: 중앙 서버, 300: 초음파 진동모듈,

Claims (5)

  1. 안착홈(131)이 구비된 큐브루 크래들(120)과;
    큐브루 크래들(120)에 구비된 안착홈(131)에 착,탈식으로 결합 되며, 물이 담겨지는 큐브루 몸체(20)와, 큐브루 몸체(20)의 내부에 유입되게 착,탈식으로 결합 되며, 몰트가 유입되는 몰트통(70)이 구비된 여과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맥주제조 유니트(10)와;
    여과수단(50)에 설치 구성되어 몰트를 교반 및 추출을 촉진하는 초음파 진동모듈(300)과;
    큐브루 몸체(20)에 구비되는 제1 통신모듈(230)과;
    제1 통신모듈(230)과 연결되는 제2 통신모듈(231)이 구비되며, 그 제2 통신모듈(231)이 제1 통신모듈(230)과 교신하였을 때 활성화되고, 활성화 된 후 사용자가 선택한 레시피에 따라 맥주제조 유니트(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레시피 앱(211)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210);로 구성하고,
    맥주제조 유니트(10)를 이루는 큐브루 몸체(20)에는,
    큐브루 몸체(2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유입홀(21) 및 배출홀(22)과;
    큐브루 몸체(20)의 내부에 결합 되어 물이 담겨지는 물통(30)과;
    물통(30)과 연통되는 중앙홀(41)이 구비되며, 큐브루 몸체(20)의 상부면에 결합 되는 커버(40)와;
    중앙홀(41)의 내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여과수단(50)이 착,탈식으로 결합 되는 결합부(42)와;
    물통(3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110)와;
    온도센서(110)에 감지된 감지 신호가 유입되는 제어부(100)와;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물통(30)을 자비(煮沸) 및 냉각할 수 있도록 큐브루 몸체(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수단 및 및 냉각팬(90);으로 구성하고,
    상기 가열수단은,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 코일(80) 또는 탄소 히터(80a) 또는 전기 코일(80) 및 탄소 히터(80a)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 제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50)은,
    결합부(42)의 상부면에 거치되며, 끼움홀(60a)이 구비된 뚜껑(60)과;
    상단에 손잡이(61a)가 구비되며, 끼움홀(60a)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설치축(61)과;
    설치축(61)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초음파 진동모듈(300)과;
    하부에는 다수의 타공홀(71)이 구비되며, 초음파 진동모듈(300)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뚜껑(60)에 구비된 몰트통 결합부(62)에 결합 되는 몰트통(7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 제조 장치.
  4.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여과수단(50)을 물통(3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여과기 분리수단(150)을 더 형성하되,
    상기 여과기 분리수단(150)은,
    큐브루 크래들(120)의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인출홈(133)과;
    뚜껑(60)이 결합부(42)에 결합 된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발송할 수 있게 상기 결합부(42)의 결합면(43)에 설치되는 접촉 센서(200)와;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정역 회전되게 큐브루 크래들(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60)와;
    구동 모터(16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인출홈(133)에 출몰 가능하게 큐브루 크래들(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랙(170)과;
    랙(170)의 작동 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게 인출홈(133)에 결합 되는 이동부(180)와;
    상승되는 이동부(180)의 상부면에 거치되어 상기 뚜껑(60)을 결합면(43)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뚜껑(6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거치돌기(181);로 구성하며,
    이동부(180)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봉(190)을 더 형성하고,
    가이드봉(190)을 수직 안내하는 가이드부(191)를 큐브루 크래들(120)의 내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 제조 장치.
  5.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레시피 앱(211)은 무선 단말기(210)와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중앙 서버(22)를 통해 다운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 제조 장치.
KR1020190126838A 2019-10-14 2019-10-14 맥주 제조 장치 KR102106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838A KR102106008B1 (ko) 2019-10-14 2019-10-14 맥주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838A KR102106008B1 (ko) 2019-10-14 2019-10-14 맥주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008B1 true KR102106008B1 (ko) 2020-04-29

Family

ID=7046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838A KR102106008B1 (ko) 2019-10-14 2019-10-14 맥주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0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3848A (ja) * 1997-05-19 1998-12-02 Toshiba Corp ビール醸造装置
KR20160124508A (ko) * 2015-04-20 2016-10-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맥주 제조 장치
KR20170032750A (ko) * 2015-09-15 2017-03-2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소력가가 증진된 국산보리 맥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3848A (ja) * 1997-05-19 1998-12-02 Toshiba Corp ビール醸造装置
KR20160124508A (ko) * 2015-04-20 2016-10-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맥주 제조 장치
KR20170032750A (ko) * 2015-09-15 2017-03-2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소력가가 증진된 국산보리 맥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26471A1 (en) Appliance for brewing beer
KR102191514B1 (ko) 발효 장치 및 발효 장치의 음료 제조방법
CN107400582B (zh) 啤酒酿造装置
EP3246391B1 (en) Beer maker
CN111094527A (zh) 啤酒制造装置
CN107232985B (zh) 可实现远程操控的咖啡机
CN111094528A (zh) 酵母胶囊一体型小桶盖、酵母胶囊一体型小桶盖结合用连接器、具备其的啤酒制造装置
KR101490080B1 (ko) 막걸리 제조 장치
JPH10313848A (ja) ビール醸造装置
KR101661095B1 (ko) 맥즙 제조장치
KR102106008B1 (ko) 맥주 제조 장치
CN109294780A (zh) 一种酿酒机及其控制系统
KR102303768B1 (ko) 맥주 제조 방법
KR102185420B1 (ko) 맥주 제조장치
JP3721042B2 (ja) ジューサー
CN210300673U (zh) 一种吹气冷萃咖啡壶
KR102135905B1 (ko) 맥주 제조장치
KR20210011127A (ko) 맥주 제조 장치
KR102304371B1 (ko) 맥주제조방법
KR102534864B1 (ko) 발효주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2534866B1 (ko) 발효주 제조장치
KR102114304B1 (ko) 맥주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20989B1 (ko) 맥주 제조장치
US20180002648A1 (en) Electric Brewing System
KR102243398B1 (ko) 맥주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