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371B1 - 맥주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맥주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371B1
KR102304371B1 KR1020200014453A KR20200014453A KR102304371B1 KR 102304371 B1 KR102304371 B1 KR 102304371B1 KR 1020200014453 A KR1020200014453 A KR 1020200014453A KR 20200014453 A KR20200014453 A KR 20200014453A KR 102304371 B1 KR102304371 B1 KR 102304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t
tank
saccharification
saccharification tank
filtr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456A (ko
Inventor
장태순
Original Assignee
장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순 filed Critical 장태순
Priority to KR1020200014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371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용 맥주제조장치 및 맥주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등에서 간편하고 편리하게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맥주제조장치 및 맥주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맥주제조방법 {Beer brewing method}
본 발명은 맥주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등에서 간편하고 편리하게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맥주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는 보리를 싹 틔워 만든 맥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에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에 해당한다. 이러한 맥주의 제조방법은 맥아를 끓여서 맥즙(wort)을 제조하고, 맥즙에 효모(yeast)를 공급하여 발효시키고, 발효된 맥주를 숙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맥아를 끓여서 맥즙을 제조하고 여과시키는 경우에 종래 기술에 따른 대형 장치에서는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양의 맥주를 제조해야 하므로 펌프 등을 이용하여 맥즙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단시간 내에 맥즙을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맥즙의 높은 온도와 펌프의 압력으로 인해 맥즙이 쉽게 산화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이 경우,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맥주의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정에서 손쉽게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맥주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맥즙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자유 낙하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맥주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맥아가 수용되어 맥즙으로 가열되며, 상기 맥즙을 교반시키는 당화조 및 상기 당화조 내의 맥즙이 이동되어 수용되는 여과조를 구비하고, 상기 당화조와 여과조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당화조와 상기 여과조의 상대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당화조 내의 맥즙을 상기 여과조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여과조 내의 맥즙을 상기 당화조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맥주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당화조 및 여과조 중에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당화조는 상기 맥즙을 배출하거나 상기 맥즙을 유입시키는 제1 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여과조는 상기 제1 밸브와 연결라인에 의해 연결되는 제2 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여과조 내에는 상기 맥즙을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맥즙이 수용되는 당화조와, 상기 당화조 내의 맥즙이 이동되어 수용되는 여과조를 구비한 맥주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당화조 내부의 맥즙을 미리 결정된 초기온도로 가열하면서 교반시키는 단계와, 상기 당화조의 높이를 상기 여과조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여서 상기 당화조 내의 상기 맥즙을 미리 결정된 양만큼 상기 여과조로 이동시키는 제1 단계와, 상기 당화조 내에 남아 있는 맥즙을 미리 결정된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여과조의 높이를 상기 당화조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여서 상기 여과조 내의 맥즙을 상기 당화조로 이동시켜 상기 당화조 내에서 혼합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를 1회 이상 반복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에서 용이하게 맥주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맥즙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자유 낙하 방식으로 이동시킴으로서 맥즙의 산화를 최대한 방지하여 맥주의 맛과 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제조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당화조의 측단면도,
도 3은 여과조의 측단면도,
도 4는 여과의 상부가 개방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맥주제조방법에서 시간에 따른 당화조 및 여과조 내부의 맥즙의 온도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맥주제조장치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고 이어서 맥주제조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맥주제조장치(100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가정용 맥주제조장치(1000)는 맥아가 수용되어 맥즙으로 가열되며, 상기 맥즙을 교반시키는 당화조(100) 및 상기 당화조(100) 내의 맥즙이 이동되어 수용되는 여과조(3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 상기 당화조(100)와 여과조(300)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맥주(beer)는 보리를 싹 틔워 만든 맥아로 맥즙(wort)을 만들어 여과한 후에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들게 된다.
이 경우, 당화조(100)에서 맥아를 끓여서 맥즙을 만든 후 이를 여과하기 위하여 여과조(300)로 옮기는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맥주제조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펌프 등을 사용하여 맥즙을 이동시키게 된다.
종래 기술과 같이 펌프를 이용하여 맥즙을 이동시키게 되면 빠른 시간 내에 맥즙을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펌프의 압력으로 인해 맥즙이 산화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맥즙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당화조(100)와 여과조(300)의 높이 차이에 따른 자유낙하 방식으로 맥즙을 이동시킴으로써 맥즙의 산화를 방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당화조(100)와 상기 여과조(300)의 상대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당화조(100) 내의 맥즙을 상기 여과조(300)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여과조(300) 내의 맥즙을 상기 당화조(100)로 이동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당화조(100) 및 여과조(300) 중에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14)과, 상기 지지프레임(414)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4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당화조(100)와 여과조(300)에 모두 지지프레임(414)과 구동부(410)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당화조(100)와 여과조(300) 중에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410)는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부(412)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며, 상기 지지프레임(414)을 상하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부(410)의 구성은 모터를 이용하거나, 실린더를 이용하거나, 또는 펌프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성은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당화조(100)와 여과조(300)는 연결라인(20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당화조(100)와 여과조(300)의 상대높이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상기 연결라인(200)에 의해 맥즙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라인(200)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당화조(100)와 여과조(300)의 높이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비틀림 또는 구부러짐 등에 의한 파손 또는 손상 등을 방지하게 된다.
도 2는 상기 당화조(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당화조(100)는 맥즙이 수용되는 제1 챔버(110)와 상기 제1 챔버(110)를 지지하는 지지부(112)와, 상기 제1 챔버(1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커버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110)는 산화방지를 위한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stainless)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단열재(111)가 상기 제1 챔버(110)의 외부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12)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챔버(110)의 내부에 수용된 맥즙을 가열하는 가열부(18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180)에 의해 상기 맥즙을 가열하여 당화시키게 된다. 상기 가열부(180)는 상기 챔버(110)의 내측벽 또는 바닥에 구비되는 히터(heater)(미도시)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110)의 하부에 구비된 인덕션레인지(Induction rang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챔버(110)의 내측에는 맥즙을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기(13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반기(130)는 상기 커버부(114)를 관통하여 연결된 회전축(132)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132)의 상단부는 상기 커버부(114)에 구비된 모터(13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134)는 상기 커버부(114)의 일측에 마련된 모터실(120)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134)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교반기(130)가 회전하여 맥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챔버(11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챔버(110) 내측의 온도,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챔버(110) 내측에서 맥즙이 제조되는 경우에 맥즙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1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70)는 예를 들어 상기 제1 챔버(1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맥즙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12)의 일측에는 전술한 온도센서(170)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을 전달받아 상기 가열부(180) 및 교반기(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16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패널(160)에는 전원을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전원조작부(162)와, 상기 교반기(130)의 모터(134)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164)와, 상기 온도센서(170)에서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고 상기 가열부(180)의 온도를 조작하는 온도조절부(166)를 구비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전원조작부(162)에 의해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모터구동부(164)에 의해 교반기(130)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상기 온도조절부(166)에 의해 상기 맥즙의 온도를 확인하고 상기 가열부(180)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당화조(100)에는 상기 맥즙을 상기 제1 챔버(110)에서 배출하거나 상기 제1 챔버(110)의 내부로 상기 맥즙을 유입시키는 제1 밸브(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140)는 전술한 연결라인(200)이 연결되는 연결파이프(144)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라인이 상기 연결파이프(144)에 연결됨으로써 맥즙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140)에는 개폐손잡이(142)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기 제1 밸브(140)를 개방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개폐손잡이(142)를 구비한 수동 방식이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자식으로 자동으로 개폐되는 구성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챔버(110)의 다른쪽에는 추가파이프(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추가파이프(150)를 통해 상기 제1 챔버(110)의 내측에 잔존하는 잔여물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상기 여과조(300)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여과조(300)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여과조(300)는 제2 챔버(310)와 상기 제2 챔버(310)를 지지하는 지지부(312)와, 상기 제2 챔버(3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커버부(3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챔버(310)는 산화방지를 위한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stainless)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단열재(312)가 상기 제2 챔버(310)의 외부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챔버(310)의 내부에는 제조된 맥즙을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340)는 맥즙을 여과시키도록 다수의 홀 또는 슬릿이 형성된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챔버(310)에는 전술한 제1 밸브(140)와 연결라인(200)에 의해 연결되는 제2 밸브(320)를 구비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제2 밸브(320)를 개폐함으로써 맥즙을 상기 제2 챔버(310)의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챔버(3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챔버(310)에는 내부에 잔존하는 잔존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라인(330)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가정용 맥주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맥주제조방법에서 시간에 따른 당화조(100) 및 여과조(300) 내부의 맥즙의 온도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맥주제조방법은 상기 당화조(100) 내부의 맥즙을 미리 결정된 초기온도로 가열하면서 교반시키는 단계(S510)와, 상기 당화조(100)의 높이를 상기 여과조(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게 하여 상기 당화조(100) 내의 상기 맥즙을 미리 결정된 양만큼 상기 여과조(300)로 이동시키는 제1 단계(S530)와, 상기 당화조(100) 내에 남아 있는 맥즙을 미리 결정된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제2 단계(S550) 및 상기 여과조(300)의 높이를 상기 당화조(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게 하여 상기 여과조(300) 내의 맥즙을 상기 당화조(100)로 이동시켜 상기 당화조(100) 내에서 혼합시키는 제3 단계(S57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당화조(100) 내부의 맥아를 미리 결정된 초기온도(T0)로 가열하면서 교반시켜 맥즙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초기온도(T0)는 대략 35℃ 정도이며, 대략 20분 정도 가열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당화조(100) 내부의 맥즙을 분리하여 가열(A1)하게 된다. 즉, 상기 당화조(100)의 높이를 상기 여과조(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게 하여 상기 당화조(100) 내의 상기 맥즙을 미리 결정된 양만큼 상기 여과조(300)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자유 낙하 방식으로 맥즙을 이동시키게 되면 맥즙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맥주의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당화조(100) 내의 맥즙을 상기 여과조(300)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당화조(100)에 남아있는 맥즙의 양은 아래 [식1]로 정의된다.
[식 1]
당화조에 남아 있는 양 = 총량 × ((목표온도-초기온도)/(끓는점 - 초기온도))
예를 들어, 초기온도(T0)가 35℃이고, 목표온도가 50℃인 경우, 총량의 대략 23%정도가 상기 당화조(100)에 남아 있고 대략 77%정도를 상기 여과조(300)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끓는점은 대략 100℃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1 중간온도(T1)가 대략 50℃ 내지 55℃인 경우, 상기 당화조(100)의 높이를 상기 여과조(300)에 비해 높게 하여 자유 낙하방식으로 상기 당화조(100)의 맥즙을 상기 여과조(300)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당화조(100)에 남아 있는 맥즙의 양은 총량 대비 대략 23% 내지 30%에 해당하며, 상기 여과조(300)로 이동되는 맥즙의 양은 총량 대비 대략 70% 내지 77%에 해당한다.
이어서, 상기 당화조(100) 내에 남아 있는 맥즙을 미리 결정된 가열온도로 가열하게 된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맥즙을 대략 100℃까지 가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맥즙의 온도를 한번에 100℃까지 가열하기 보다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계를 거쳐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여과조(300)의 높이를 상기 당화조(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게 하여 상기 여과조(300) 내의 맥즙을 상기 당화조(100)로 이동시켜 상기 당화조(100) 내에서 혼합시키게 된다.
상기 당화조(100)에 남아있는 맥즙을 가열온도까지 가열한 후, 상기 여과조(300)의 맥즙을 상기 당화조(100)로 옮겨 서로 혼합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여과조(300)의 높이를 높게 하여 자유낙하 방식으로 맥즙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맥즙을 서로 혼합하게 되면 상기 당화조(100) 내부의 맥즙은 제1 중간온도(T1)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제1 중간온도(T1)는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 대략 50℃ 내지 55℃에 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당화조(100)의 맥즙을 분리하고, 상기 당화조(100)의 맥즙을 가열하여 다시 혼합하는 단계는 1회만 수행되거나, 또는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총 3회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총 2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회째(A2)에는 제2 중간온도(T2)가 대략 65℃ 내지 68℃에 해당한다. 이 경우, 목표온도를 65℃로 하게 되면 상기 당화조(100)에 남아 있는 맥즙량은 총량의 대략 30%에 해당하며, 상기 여과조(300)로 이동되는 이동양은 총량의 대략 70%에 해당한다. 또한, 3회째(A3)에는 최종온도(Tf)가 75℃에 해당한다. 이 경우, 목표온도를 75℃로 하게 되면, 상기 당화조(100)에 남아 있는 맥즙량은 총량의 대략 28%에 해당하며, 상기 여과조(300)로 이동되는 이동양은 총량의 대략 72%에 해당한다.
전술한 단계를 거쳐 맥즙을 제조하게 되면, 제조된 맥즙을 상기 여과조(300)로 이동시키고 여과를 하게 된다. 상기 여과조(300) 내부의 필터부(340)에 의해 맥즙이 여과되며, 여과된 맥즙을 별도의 챔버 또는 상기 당화조(100)로 다시 옮겨 홉(hop)을 첨가하여 대략 60 분정도 가열하여 끓이게 된다. 이후 가열된 맥즙을 대략 8 ℃정도로 냉각시키고, 냉각시킨 맥즙에 효모(yeast)를 첨가하여 발효시키고, 숙성시켜 맥주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당화조
200 : 연결라인
300 : 여과조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맥즙이 수용되는 당화조와, 상기 당화조 내의 맥즙이 이동되어 수용되는 여과조를 구비한 맥주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당화조 내부의 맥즙을 미리 결정된 초기온도로 가열하면서 교반시키는 단계;
    상기 당화조의 높이를 상기 여과조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여서 상기 당화조 내의 상기 맥즙을 미리 결정된 양만큼 상기 여과조로 이동시키는 제1 단계;
    상기 당화조 내에 남아 있는 맥즙을 미리 결정된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여과조의 높이를 상기 당화조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여서 상기 여과조 내의 맥즙을 상기 당화조로 이동시켜 상기 당화조 내에서 혼합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를 1회 이상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방법.
KR1020200014453A 2020-02-06 2020-02-06 맥주제조방법 KR102304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453A KR102304371B1 (ko) 2020-02-06 2020-02-06 맥주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453A KR102304371B1 (ko) 2020-02-06 2020-02-06 맥주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456A KR20210100456A (ko) 2021-08-17
KR102304371B1 true KR102304371B1 (ko) 2021-09-17

Family

ID=77466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453A KR102304371B1 (ko) 2020-02-06 2020-02-06 맥주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37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126A (ko) * 2002-01-07 2003-07-16 주식회사 대창기계 맥즙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17001A (ko) * 2004-08-19 2006-02-23 주식회사 유성건설 간이 상수도 고도 정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456A (ko)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6660B2 (ja) 2容器式小型ビール醸造システム
US20160208205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beer
US5937740A (en) Automatic bread maker
EP20618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ewing beer
KR101031348B1 (ko) 자가양조기 및 이를 이용한 증류주 제조방법
KR101239362B1 (ko) 막걸리 술밥 찜장치
KR101661095B1 (ko) 맥즙 제조장치
KR102304371B1 (ko) 맥주제조방법
KR101817480B1 (ko) 수제 맥주 제조장치
KR101549062B1 (ko) 맥즙 제조장치
CN107964474A (zh) 一种用于酿酒的发酵装置
DE10003155B4 (de) Verfahren und Brauanlage zur Schnellherstellung von Bier
CN105886229A (zh) 一种黄酒的绿色酿造工艺
KR102446302B1 (ko) 떡 숙성 및 찜 장치
KR20200022658A (ko) 포도주 발효 장치
KR102106008B1 (ko) 맥주 제조 장치
CN112210460A (zh) 一种玛咖和枸杞与猕猴桃混酿的制备装置及用途
KR102303768B1 (ko) 맥주 제조 방법
CN220413309U (zh) 一种青稞加工用发酵储存装置
CN115044439B (zh) 一种低醇米酒酿造装置及其酿造方法
CN215327977U (zh) 一种具有蒸汽除氧功能的糖化锅
KR102534864B1 (ko) 발효주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2421060B1 (ko) 몰트 제조장치
Miedl-Appelbee Brewhouse Technology
KR20210011127A (ko) 맥주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