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907B1 - Gripper for unmanned aerial vehicle - Google Patents

Gripper for unmanned aerial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907B1
KR102105907B1 KR1020180078833A KR20180078833A KR102105907B1 KR 102105907 B1 KR102105907 B1 KR 102105907B1 KR 1020180078833 A KR1020180078833 A KR 1020180078833A KR 20180078833 A KR20180078833 A KR 20180078833A KR 102105907 B1 KR102105907 B1 KR 102105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lying device
gripper
unmanned flyin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8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5286A (en
Inventor
유선철
노세환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8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907B1/en
Publication of KR20200005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2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9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는 무인비행장치와 결합되는 그리퍼로서,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한 쌍의 회동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회동부의 회동을 통해 구조물을 파지하거나 상기 구조물을 파지한 상태가 해제되는 한 쌍의 파지부; 상기 한 쌍의 회동부와 링크부를 매개로 각각 링크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의 회동과 연동되어 왕복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일부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배치공간을 갖추고 상기 구동부의 왕복 직선 운동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한 쌍의 잠금부;를 포함한다.A gripper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is provided. A gripper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ipper coupled with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e body including a fixed portion and a pair of rotating portions,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air of fixed portions, respectively. part; A pair of gripping portions each extending from the pair of rotating portions and gripping a structure through rotation of the pair of rotating portions or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is held is released; A pair of driving units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pair of rotation units and link units, and are reciprocating and linearly connected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s; And a pair of locking portions having accommodation spaces for accommodating portions of the driving portions, respectively, and allowing or restraining reciprocating linear motion of the driving portions.

Description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Gripper for unmanned aerial vehicle}Gripper for unmanned aerial vehicle

본 발명은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pper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항공 기술 및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탐사 및 정찰 등을 목적으로 하는 무인비행장치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무인비행장치의 개발은 인간이 직접 탑승하여 수행하기에 위험하거나 어려운 작업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가져왔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avi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the purpose of exploration and reconnaissance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he development of such an unmanned aerial vehicle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dangerous or difficult tasks to be carried out by human beings.

이와 같은 무인비행장치는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Such an unmanned aerial vehicle is widely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everyday life.

즉, 무인비행장치는 카메라 유닛, 센서 모듈,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자 장비를 탑재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직접 원격 조종되거나, 운용자가 무인 비행체가 지나가야 할 지점들을 미리 프로그래밍하면, 무인 비행체가 그 지점에 도달하기 위해 스스로 비행 궤도를 조절하여 비행하기도 한다. That i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equipped with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a camera unit, a sensor module, a communication module, etc., and is remotely controlled directly by a user, or if an operator pre-programs points to which an unmanned aerial vehicle should pas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They also fly by adjusting their flight trajectory to reach the point.

이러한 무인비행장치는 배터리가 매우 빠르게 소모되기 때문에 비행시간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무인비행장치가 비행 중에 한 곳에 멈춘 채로 떠있는 경우 제자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불필요하게 배터리가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Such an unmanned aerial vehicle has a short flight time because the battery is consumed very quickly. In particular,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suspended while floating in one place during the fl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ttery is unnecessarily consumed in order to maintain its posi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무인비행장치의 배터리가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ipper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that can prevent the battery of an unmanned flying device from being unnecessarily consum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인비행장치와 결합되는 그리퍼로서, 상기 무인비행장치와 접촉 또는 결합을 통해 상기 무인비행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한 쌍의 회동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회동부의 회동을 통해 구조물을 파지하거나 상기 구조물을 파지한 상태가 해제되는 한 쌍의 파지부; 상기 한 쌍의 회동부와 링크부를 매개로 각각 링크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의 회동과 연동되어 왕복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일부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배치공간을 갖추고 상기 구동부의 왕복 직선 운동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한 쌍의 잠금부;를 포함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gripper that is coupled to the unmanned flying device, the fixing part for fixing the unmanned flying device through contact or coupling with the unmanned flying device, and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part, respectively A body part including a pair of rotating parts; A pair of gripping portions each extending from the pair of rotating portions and gripping a structure through rotation of the pair of rotating portions or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is held is released; A pair of driving units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pair of rotation units and link units, and are reciprocating and linearly connected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s; It provides a gripper for an unmanned air vehicle comprising a; and a pair of locks to accommodate or constrain the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having a receiving arrangement space for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driving unit, respectively.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회동부와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부와 힌지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nk portion may be hinged to one end of the link portion a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인비행장치는 상기 고정부 및 한 쌍의 잠금부 사이에 형성된 배치공간 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be disposed on a side of an arrangement space formed between the fixing part and a pair of locking parts.

일례로, 상기 한 쌍의 잠금부는 서로 마주하는 대향면 상에 내측으로 인입되는 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인비행장치는 상부측이 상기 고정부를 통해 지지되고 하부측이 상기 단턱부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pair of locking portions may include a stepped portion that is introduced inwardly on opposit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the unmanned flying device is supported by the upper side through the fixing portion and the lower side through the stepped portion. You can.

이때, 상기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잠금부에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턱부와 함께 상기 무인비행장치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ipper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at which both ends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pair of locking portions, and the supporting portion ma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gether with the stepped portion. have.

다른 예로써, 상기 고정부는 상기 무인비행장치 측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xing part may be fixed on the si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rough a fastening memb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동부에 고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pr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spring member may have one end fixed to the fix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otating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회동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ripping portion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ivoting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부는 일단이 상기 구동부와 접촉되어 상기 구동부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king portion may include a spring member having one end contacting the driving portion to press the driving portion in one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링크부와 힌지연결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날개부가 구비되는 이동체 및 상기 로드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둘레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날개부가 구비되는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제2날개부의 위치변경을 통하여 직선운동이 허용되거나 구속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the mo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od portion hingedly connected to the link portion, and at least one first wing portion slidably coupled along the rod portion and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t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od portion and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body and may include a rotating body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cond w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in the driving unit is rotated when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The linear motion may be allowed or restricted through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second wing.

이때, 상기 잠금부는,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중공형의 제1홀더와, 상기 제1홀더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의 단부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가 배치되는 중공형의 제2홀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체의 제2날개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의 직선 이동이 허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의 제2날개부가 상기 가이드홈의 하부측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구동부의 직선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king portion is a hollow-type first holder in which a guide groove i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inner surface, and a spr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holder and pressing the end of the rotating body in one direction is disposed. It may include a two-holder, when the second wing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is located in the guide groove, the linear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may be allowed, and the second wing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deviat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guide groove. In this case, linear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may be restricted.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로드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토퍼는 외경이 상기 스프링부재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부재의 단부측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stopper coupled to an end of the rod portion, and the stopper may be provided to have a relatively smaller size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pring member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end side of the spring member.

또한, 상기 제1홀더는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홈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체의 제2날개부가 상기 가이드홈을 벗어나 상기 돌출부의 하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의 직선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older may include at least two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the guide groove may be formed between two adjacent protrusions, and the driving part may include a second wing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When moving out of the guide groove and moving to the lower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the linear movement of the driving portion may be restricted.

이때, 상기 돌출부는 하부측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결되고 내측으로 절개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may include an incision that is connected to the guide groove on the lower side and is cut inward.

또한, 서로 접촉되는 상기 절개부의 일면과 제2날개부의 상면은 서로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urface of the incision that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ing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having the same inclination to each oth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드부는 상기 링크부와 힌지연결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2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수직 하방 이동시 상기 제1부분의 하부면이 상기 이동체를 가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d portion may include a first portion hingedly connected to the link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wherein the first portion is relatively more than the second portion. It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 diameter,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whe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driving portion can press the moving bod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체는 하부단이 골부와 산부가 교대로 형성된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체의 하부단은 상기 회전체의 제2날개부가 상기 잠금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vable body may be formed in a serrated shape in which the lower end is formed with alternating bones and hills, and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body may deviate from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locking portion of the second wing of the rotating bod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essing force to rotate the rotating bod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홀더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홀더에 결합되는 캡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캡부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king portion may include a cap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holder so as to seal the opened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older, and the cap portion may prevent the position of the spring member from being changed. So that a groove portion into which one end of the spring member is inserted may be form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인비행장치와 결합되는 그리퍼로서, 상기 무인비행장치와 접촉 또는 결합을 통해 상기 무인비행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한 쌍의 회동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회동부의 회동을 통해 구조물을 파지하거나 상기 구조물을 파지한 상태가 해제되는 한 쌍의 파지부; 상기 한 쌍의 회동부와 링크부를 매개로 각각 링크연결되고, 둘레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가 구비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의 회동과 연동되어 왕복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배치공간을 갖추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통해 상기 구동부의 왕복 직선 운동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잠금부; 및 일단이 상기 구동부와 접촉되어 상기 구동부를 일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부에 배치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인비행장치는 상기 고정부 및 한 쌍의 잠금부 사이에 형성된 배치공간 측에 배치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gripper coupled with the unmanned flying device, the fixing part for fixing the unmanned flying device through contact or coupling with the unmanned flying device, and one end is respective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part A body part including a pair of rotating parts; A pair of gripping portions each extending from the pair of rotating portions and gripping a structure through rotation of the pair of rotating portions or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is held is released; It includes a rotating body provided with at least one w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pair of rotation and link portions, and as long as it reciprocates linearly in connection with rotation of the rotation portion A pair of driving units; A locking unit having an accommodation arrangement space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driving unit and allowing or restraining a reciprocating linear motion of the driving unit through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a spring member disposed at the lock part so that one e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drive part and press the drive part in one direction. The unmanned flying device may include a side of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pair of lock parts. It provides a gripper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being deployed.

본 발명에 의하면, 비행 중 파지부를 통해 무인비행장치가 기존의 구조물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인비행장치의 비행시간을 늘릴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being able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suspended from an existing structure through a grip during flight. Through this, the flight tim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지부가 모터나 회로와 같은 전자적인 부품 없이 링크 구조로 회동되는 회동부를 통해 기계적인 방식으로 작동됨으로써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ing portion is operated in a mechanical manner through a rotating portion that is rotated in a link structure without an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 motor or a circuit, so that it can be operated smoothly without using a separate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잠금부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서 파지부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서 주요구성을 발췌한 일부 분리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에서 회동부, 구동부 및 잠금부의 작동관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에 무인비행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에 무인비행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gripper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cutting a portion of the lock in Figure 1,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 portion is rotated in FIG. 1,
Figure 4 is a partial separation from the main configuration in Figure 1,
5 to 9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rotation unit, the driving unit and the locking unit in the gripper for an unmanned fligh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manned flying device is coupled to a gripper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gripper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nmanned flying device is coupled to a gripper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added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에서, 무인비행장치는 조종사가 비행체에 직접 탑승하지 않고 지상에서 사용자가 원격조종을 하거나 기프로그램된 경로에 따라 자동 또는 반자동 방식으로 자율비행하는 비행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비행장치는 인공지능을 탑재하여 자체 환경판단에 따라 임무를 수행하는 비행체일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be an autonomous vehicle in which the pilot remotely controls the vehicle on the ground or autonomously operates in a semi-automatic manner according to a pre-programmed route, without the pilot directly boarding the vehicle. 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be a vehicle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erforming a mission according to its own environmental judgment.

이와 같은 무인비행장치는 비행형태에 따라 회전익(Rotary Wing) 무인항공기일 수도 있고 고정익(Fixed Wing) 무인항공기일 수도 있으며, 프로펠러를 여러 개 가진 멀티콥터 형태의 비행체일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멀티콥터는 드론일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무인비행장치는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산업용이나 레저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Such an unmanned aerial vehicle may be a rotary wing unmanned aerial vehicle or a fixed wing unmanned aerial vehicle depending on the type of flight, or may be a multicopter-type vehicle having several propellers. In one example, the multicopter may be a drone. 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be used for industrial or leisure purposes according to a user's purpose of u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는 상기 무인비행장치(10)를 천장이나 공중에 고정된 구조물 측에 매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무인비행장치(10)는 한 곳에 장시간 머물러 있는 경우 상기 구조물 측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자세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배터리를 추가 장착하지 않더라도 전체 비행시간을 늘릴 수 있다.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 on a ceiling or a structure fixed in the air. Through thi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 can reduce battery consumption for maintaining posture or position by being able to maintain a suspended state on the side of the structure when staying in one place for a long time, even if the battery is not additionally installed, the entire flight You can increase the ti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는 모터나 회로와 같은 전자적인 부품 없이 링크 구조를 통해 기계적인 방식으로 작동됨으로써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smoothly without using a separate battery by operating in a mechanical manner through a link structure without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motor or a circuit. .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제1유닛과 제2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에 각각 구비된 파지부(120a,120b)가 회동을 통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짐으로써 상기 구조물을 파지하거나 상기 구조물을 파지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유닛 및 제2유닛은 각각 분리된 구성일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가 서로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air of first units and second unit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1 to 3 and 11, , The gripping parts 120a and 120b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units may be brought into close proximity to or away from each other through rotation, and the state in which the structures are gripped may be released.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or at least par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와 같은 제1유닛 및 제2유닛은 바디부(110), 파지부(120a,120b), 구동부(130a,130b) 및 잠금부(140a,14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may include a body portion 110, a gripping portion (120a, 120b), a driving portion (130a, 130b) and a locking portion (140a, 140b).

상기 바디부(110)는 피고정대상물인 상기 무인비행장치(10)와 접촉 또는 결합됨으로써 상기 무인비행장치(10)를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파지부(120a,120b)가 상기 구조물을 파지하거나 상기 구조물과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파지부(120a,120b)를 회동시킬 수 있다.The body portion 110 may be fixed to the unmanned flight apparatus 10 by contacting or coupling with the unmanned flight apparatus 10, which is an object to be fixed, and the gripping portions 120a and 120b grip the structure or The gripping portions 120a and 120b may be rotat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이를 위해,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무인비행장치(10)를 고정하는 고정부(111a,111b)와 상기 고정부(111a,111b)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112a,112b)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body portion 110 is provided with a fixed portion (111a, 111b) for fixing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and a rotating portion (112a, 112b)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111a, 111b) It can contain.

즉, 상기 고정부(111a,111b)는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인비행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무인비행장치(10)와 체결부재(170)를 매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무인비행장치(10)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11a,111b)는 일부가 상기 무인비행장치(10) 측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무인비행장치(10)를 고정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fixing portion (111a, 111b)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nmanned flight device 10, as shown in FIGS. 10 and 12 or coupled through the unmanned flight device 10 and the fastening member 170 By doing s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 can be fixed. Here, the fixing part (111a, 111b) may be fixed to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by being partially inserted into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side.

또한, 상기 회동부(112a,112b)는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일단이 상기 고정부(111a,111b)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파지부(120a,120b)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parts 112a and 112b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fixing parts 111a and 111b and the other end can be connected to the gripping parts 120a and 120b.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는 상기 고정부(111a,111b)를 통해 무인비행장치(10)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112a,112b)가 상기 고정부(111a,111b)에 대하여 힌지축(H1,H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제1유닛의 파지부(120a)와 제2유닛의 파지부(120b)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짐으로써 상기 구조물을 파지하거나 구조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gripper (100,200) for the unmanned f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otating part (112a, 112b) in the state in which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is fixed through the fixing parts (111a, 111b) When rotating about the hinge axis (H1, H2) with respect to the government (111a, 111b), the gripping part (120a) of the first unit and the gripping part (120b) of the second unit are brought closer to each other or away from each other. It can be gripped or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이때, 상기 파지부(120a,120b)는 상기 회동부(112a,112b)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지부(120a,120b)는 상기 회동부(112a,112b)와 간편하게 분리되거나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는 상기 파지부(120a,120b)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파지부(120a,120b)를 상기 회동부(112a,112b)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다른 파지부(120a,120b)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ripping portions 120a and 120b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ivoting portions 112a and 112b. Accordingly, the gripping portions 120a and 120b may be easily separated or fastened from the rotating portions 112a and 112b. Through this, when the gripper (100,200) for the unmanned f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s replacement of the gripping parts (120a, 120b), the gripping parts (120a, 120b) from the rotating parts (112a, 112b) By separating, it can be easily replaced with other gripping parts 120a and 120b.

도면에는, 상기 파지부(120a,120b)로서 전체길이 중 일부의 길이가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1유닛의 파지부(120a)와 제2유닛의 파지부(120b)가 가까워지는 경우 절곡된 부분이 상기 구조물에 걸릴 수 있는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파지부(120a,120b)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구조물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the drawing, when the length of a portion of the entire length is bent as the gripping portions 120a and 120b, the bent portion is the case where the gripping portion 120a of the first unit and the gripping portion 120b of the second unit are brought closer. Although shown in a form that can be hung on the structure, the shape of the gripping parts 120a and 120b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hape that can be easily gripped by the structure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는 파지대상인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파지부(120a,120b)로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grippers 100 and 200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placed with gripping parts 120a and 120b of an appropriate type according to the shape of a structure to be gripped,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of use.

한편, 상기 회동부(112a,112b)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링크부(113)를 매개로 상기 구동부(130a,130b)와 링크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링크부(113)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의 형상일 수 있으며, 일단이 상기 회동부(112a,112b)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부(130a,130b)의 일측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rotating parts 112a and 112b may be linked to the driving parts 130a and 130b via a link part 11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at is, the link portion 113 may be in the shape of a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rotating portions 112a and 112b and the other end can be hinged to one side of the driving units 130a and 130b. have.

이에 따라, 상기 회동부(112a,112b)는 상기 구동부(130a,130b)의 움직임과 연동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130a,130b)의 움직임, 일례로, 상기 구동부(130a,130b)의 직선이동시 힌지축(H1,H2)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유닛의 파지부(120a)와 상기 제2유닛의 파지부(120b)는 상기 구동부(130a,130b)의 움직임과 연동된 회동부(112a,112b)의 회동을 통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짐으로써 상기 구조물을 파지하거나 구조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otation unit (112a, 112b) may be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130a, 130b),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130a, 130b), for example, when the linear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130a, 130b) It can be rotated around the hinge axis (H1, H2). Through this, the gripping part 120a of the first unit and the gripping part 120b of the second unit are close to each other throug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s 112a and 112b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driving parts 130a and 130b. The structure can be gripped or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by losing or moving away.

여기서, 상기 무인비행장치(10)는 상기 고정부(111a,111b)와 상기 제1유닛의 잠금부(140a) 및 제2유닛의 잠금부(140b) 사이에 형성된 배치공간(S)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인비행장치(10)는 상기 고정부(111a,111b)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arrangement space S formed between the fixing parts 111a and 111b and the locking part 140a of the first unit and the locking part 140b of the second unit. As described abov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 may be fixed through the fixing parts 111a and 111b.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유닛의 파지부(120a) 및 제2유닛의 파지부(120b)는 서로 마주하는 대향면 상에 내측으로 인입되는 단턱부(14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치공간(S)에 배치된 무인비행장치(10)는 상기 단턱부(144)를 통해 하부측이 지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ripping portion 120a of the first unit and the gripping portion 120b of the second unit may be formed with stepped portions 144 that are introduced inward on opposit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the arrangement space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disposed in (S) may be supported on the lower side through the stepped portion 144.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는 상기 무인비행장치(10)가 상기 배치공간(S)으로부터 이탈되어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rrangement space S and separated from 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11a,111b)가 상기 무인비행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유닛의 잠금부(140a)와 상기 제2유닛의 잠금부(140b)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when the gripper 100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 the fixing parts 111a and 111b as shown in FIG. It may include a support unit 160 for connecting the locking unit 140a of the first unit and the locking unit 140b of the second unit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지지부(160)는 양단부측이 상기 제1유닛의 잠금부(140a)와 상기 제2유닛의 잠금부(140b)에 각각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단턱부(144)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support portion 160 may be fixed to both ends of the lock unit 140a of the first unit and the lock unit 140b of the second unit, respectively, and have the same height as the stepped portion 144. Can be deployed.

이에 따라, 상기 배치공간(S)에 배치된 무인비행장치(10)는 상부측이 고정부(111a,111b)를 통해 지지될 수 있으며, 하부측이 상기 단턱부(144) 및 지지부(160)를 통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배치공간(S)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disposed in the arrangement space S may be supported on the upper side through the fixing parts 111a and 111b, and the lower side may be the stepped part 144 and the supporting part 160.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rrangement space (S) by being supported through.

다른 예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2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11a,111b)가 체결부재(170)를 매개로 상기 무인비행장치(1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gripper 200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fixing part 111a, 111b is the unmanned flight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170 It can be coupled directly to the device (10).

이에 따라, 상기 배치공간(S)에 배치된 무인비행장치(10)는 상부측이 고정부(111a,111b)와 체결부재(170)를 매개로 직접 고정될 수 있으며, 하부측이 상기 단턱부(144)를 통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배치공간(S)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disposed in the arrangement space (S)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upper side via the fixing parts (111a, 111b) and the fastening member 170, the lower side is the stepped portion By being supported through (144) it can be prevented from deviating from the arrangement space (S).

상기 구동부(130a,13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113)를 매개로 상기 회동부(112a,112b)와 링크연결됨으로써 상기 회동부(112a,112b)의 움직임과 연동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부(112a,112b)의 회동 방향에 따라 왕복 직선이동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30a, 130b) may be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rotation unit (112a, 112b) by being linked to the rotation unit (112a, 112b) via the link unit 113 as described above, the The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rotation units 112a and 112b.

일례로, 상기 회동부(112a,112b)가 회동되어 상기 제1유닛의 파지부(120a)와 상기 제2유닛의 파지부(120b)가 서로 멀어지는 경우, 상기 구동부(130a,130b)는 수직 하방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112a,112b)가 회동되어 상기 제1유닛의 파지부(120a)와 상기 제2유닛의 파지부(120b)가 서로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구동부(130a,130b)는 수직 상방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otating parts 112a and 112b are rotated so that the gripping part 120a of the first unit and the gripping part 120b of the second uni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driving parts 130a and 130b are vertically downward. Can move in a straight line. In addition, when the rotating parts 112a and 112b are rotated so that the gripping part 120a of the first unit and the gripping part 120b of the second unit are close to each other, the driving parts 130a and 130b are vertically upward. Can move in a straight line.

이때, 상기 회동부(112a,112b)의 움직임과 연동되는 구동부(130a,130b)는 상기 잠금부(140a,140b)의 내부에서 왕복 직선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부(140a,140b)를 통해 왕복 직선이동이 허용되거나 구속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130a, 130b) is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rotation unit (112a, 112b) can be reciprocated linear movement inside the locking unit (140a, 140b), through the locking unit (140a, 140b) Reciprocating linear motion may be permitted or restricted.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는 상기 구동부(130a,130b)가 잠금부(140a,140b)를 통해 직선이동이 구속된 경우 상기 제1유닛의 파지부(120a)와 제2유닛의 파지부(120b)가 서로 멀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구조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130a,130b)가 잠금부(140a,140b)를 통해 직선이동이 허용된 경우 상기 제1유닛의 파지부(120a)와 제2유닛의 파지부(120b)가 서로 가까워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구조물을 파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gripper (100,200) for the unmanned f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ipping part (1) of the first unit when the linear movement through the locking parts (140a, 140b) is constrained by the driving parts (130a, 130b). 120a) and the holding unit 120b of the second unit can be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by maintaining a state apart from each other, and when the driving unit 130a, 130b is allowed to move linearly through the locking units 140a, 140b The structure can be gripped by maintaining the gripping portion 120a of the first unit and the gripping portion 120b of the second unit close to each other.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는 상기 무인비행장치(10)가 한 곳에 장시간 머물러 있을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파지부(120a,120b)를 통해 상기 구조물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배터리를 소모하지 않더라도 동일한 자세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spended from the structure through the gripping parts 120a and 120b when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needs to stay in one place for a long time. By maintaining the state, the same posture or position can be maintained even if the battery is not consumed.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130a,130b)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부(131)와, 상기 로드부(13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체(132) 및 상기 로드부(13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체(132)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전체(133)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driving unit (130a, 130b) is a rod 131, as shown in Figures 2 and 4, the movable body 132 and the rod is slidably coupled along the rod 131 and the rod It may include a rotating body 133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131) and disposed under the moving body (132).

또한, 상기 잠금부(140a,140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41a)이 형성된 중공형의 제1홀더(141)와, 상기 제1홀더(141)와 결합되는 중공형의 제2홀더(1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홀더(142)의 내부에는 스프링부재(15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부재(150)는 외력시 압축을 통해 탄성력이 제공되는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portion (140a, 140b) is a first holder 141 of the hollow type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141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as shown in Figure 4, the first holder 141 and A second holder 142 of a hollow type to be coupled may be included, and a spring member 1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holder 142. Here, the spring member 150 may be a compression spring provided with elastic force through compression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이때, 상기 로드부(131)는 일측이 상기 링크부(113)와 힌지연결될 수 있고, 상기 이동체(132)는 둘레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날개부(132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133)는 둘레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날개부(133a)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rod portion 131 may be hinged to the link portion 113, and the movable body 132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wing portion 132a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rotating body 133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wing portion 133a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상기 잠금부(140a,140b)는 상기 제2홀더(142)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홀더에 결합되는 캡부(14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캡부(143)는 상기 스프링부재(15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부재(15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홈부(143a)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king portion (140a, 140b) may include a cap portion 143 coupled to the second holder to seal the open bottom of the second holder 142, the cap portion 143 A groove 143a into which one end of the spring member 150 is inserted may be formed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spring member 150 from being changed.

이에 따라, 상기 제2홀더(142)의 내부에 배치된 스프링부재(150)는 일단부가 캡부(143)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체(133)의 단부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회전체(133)를 일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pring member 150 disposed inside the second holder 142 has one end supported by the cap portion 143 and the other end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rotating body 133 so that the rotating body 133 ) Can be pressed in one direction.

이를 통해, 상기 구동부(130a,130b)는 상기 회전체(133)의 회전에 의한 제2날개부(133a)의 위치변경을 통하여 직선운동이 허용되거나 구속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drive unit (130a, 130b) may be allowed or restricted linear motion through the position change of the second wing portion (133a)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33).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의 제2날개부(133a)가 상기 가이드홈(141a)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130a,130b)의 직선 이동이 허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의 제2날개부(133a)가 상기 가이드홈(141a)의 하부측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구동부(130a,130b)의 직선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guide groove 141a, the second wing portion 133a of the rotating body is shown in FIGS. 5 to 9 Linear movement of the driving units 130a and 130b may be permitted, and when the second wing portion 133a of the rotating body deviat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guide groove 141a, the linear movement of the driving units 130a and 130b This can be redeemed.

한편, 상기 로드부(131)의 단부에는 스토퍼(134)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134)는 상기 회전체(133)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로드부(131)에 끼움결합된 이동체(132) 및 회전체(133)는 상기 회전체(133)의 하부가 스토퍼(134)를 통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이동체(132) 및 회전체(133)가 로드부(1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Meanwhile, a stopper 134 may be coupled to an end of the rod portion 131, and the stopper 134 may be located under the rotating body 133. Accordingly, the moving body 132 and the rotating body 133 fitted to the rod part 131 are support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133 through the stopper 134, so that the moving body 132 and the rotating body ( 13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od portion 131.

이때, 상기 스토퍼(1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상기 스프링부재(150)의 내경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부재(150)가 상기 제2홀더(142)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회전체(133)의 단부와 밀착되는 일단부는 상기 스토퍼(134)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pper 134 may have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pring member 150, as shown in FIG. Accordingly, when the spring member 150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holder 142, one end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rotating body 133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stopper 134.

이를 통해, 상기 제2홀더(142)의 내부에 배치된 스프링부재(150)는 일단부가 캡부(143)에 형성된 홈부(143a)를 통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고, 타단부가 상기 스토퍼(134)를 통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osition of the spring member 150 disposed inside the second holder 142 may be fixed through a groove portion 143a formed at one end of the cap portion 143,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topper 134 Through the position can be fixed.

이로 인해, 상기 스프링부재(150)는 상기 구동부(130a,130b)의 직선 이동시 상기 스토퍼(134)의 간섭을 받지 않고 상기 회전체(133)를 일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압할 수 있다.Due to this, the spring member 150 can smoothly press the rotating body 133 in one direction without receiving interference from the stopper 134 when the driving parts 130a and 130b are linearly moved.

또한, 상기 잠금부(140a,140b)는 일측이 상기 바디부(110) 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부(140a,140b)는 상기 잠금부(140a,140b)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홈(141a)을 따라 원활하게 왕복 직선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locking portions 140a and 140b may be fixed to the body portion 110 side. Accordingly, the locking portions 140a and 140b may be smoothly moved reciprocally along the guide groove 141a inside the locking portions 140a and 140b.

이를 위해, 상기 제1홀더(141)는 내부면에 복수 개의 돌출부(141b)가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141b)는 상기 제1홀더(141)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holder 141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1b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41b may be spac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lder 141. And can be spaced apart.

이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돌출부(141b) 사이에는 제1홀더(141)의 높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이드홈(141a)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 guide groove 141a may be formed between two adjacent protrusions 141b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holder 141.

이로 인해, 상기 이동체의 제1날개부(132a) 및 회전체의 제2날개부(133a)가 상기 가이드홈(141a)에 삽입된 경우 상기 이동체의 제1날개부(132a) 및 회전체의 제2날개부(133a)는 상기 가이드홈(141a)을 따라 수직 상방 또는 수직 하방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체(132) 및 회전체(133)는 상기 가이드홈(141a)을 통해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irst wing portion 132a of the moving body and the second wing portion 133a of the rotating body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41a, the first wing portion 132a of the moving body and the removal of the rotating body 2 The wing portion (133a) can be freely moved vertically or vertically along the guide groove (141a), the movable body 132 and the rotating body 133 is restricted rotation through the guide groove (141a) Can be.

이때, 상기 로드부(131)는 상기 링크부(113)와 힌지연결되는 제1부분(131a)과 상기 제1부분(131a)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부분(131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부분(131a)은 상기 제2부분(131b)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d portion 131 may include a first portion 131a hingedly connected to the link portion 113 and a second portion 131b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portion 131a. The first portion 131a may b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portion 131b.

이에 따라, 상기 이동체(132)가 상기 로드부(1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더라도 외력에 의해 상기 로드부(131)가 수직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부분(131a)은 하부면이 상기 이동체(132)의 상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이동체(132)를 가압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movable body 13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d part 131, when the rod part 131 moves vertically by external force, the first part 131a has a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body. The movable body 132 may be pressed by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132.

이로 인해, 상기 이동체(132) 및 회전체(133)는 상기 로드부의 제1부분(131a)을 통해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141a)을 따라 수직 하방으로 직선이동될 수 있다. Due to this, the movable body 132 and the rotating body 133 may be moved vertically downward along the guide groove 141a by the pressing force provided through the first portion 131a of the rod portion.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회전체(133)의 하부에 배치된 스프링부재(150)는 상기 회전체(133)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탄성력이 저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pring member 150 disposed under the rotating body 133 may be pressed by the rotating body 133 to store elastic force.

이에 따라, 상기 로드부(131) 측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부재(150)는 저장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체(133)를 상방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이동체(132) 및 로드부(131)가 수직 상방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od portion 131 is removed, the spring member 150 uses the stored elastic force to push the rotating body 133 upwards, thereby moving the body 132 and the rod portion. (131) may move in a straight line vertically upward.

이때, 상기 돌출부(141b)의 하부측에는 절개부(141c)가 내측방향으로 절개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141c)는 상기 가이드홈(141a)과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a cutout 141c may be cut inward in the lower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141b, and the cutout 141c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141a.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130a,130b)는 상기 회전체의 제2날개부(133a)가 상기 가이드홈(141a)을 따라 수직하방으로 이동한 후 상기 가이드홈(141a)으로부터 돌출부(141b)의 하부측에 형성된 절개부(141c)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130a,130b)의 수직 상방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iving unit (130a, 130b) is the lower portion of the projection (141b) from the guide groove (141a) after the second wing portion (133a) of the rotating body moves vertically down along the guide groove (141a) When moving toward the incision 141c formed on the side, vertical upward movement of the driving units 130a and 130b may be restricted.

이로 인해, 상기 구동부(130a,130b)의 수직 하방 이동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부재(150)는 상기 로드부(131)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더라도 상기 제2날개부(133a)가 절개부(141c)를 통해 수직 상방 이동이 구속됨으로써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날개부(133a)가 상기 절개부(141c)로부터 가이드홈(141a)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저장된 탄성력을 통해 상기 구동부(130a,130b)를 수직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Due to this, the spring member 150 compressed by the pressing force applied during the vertical downward movement of the driving units 130a and 130b, even i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od unit 131 is removed, the second wing unit 133a is cut away. When the vertical upward movement is constrained through the portion 141c, the compressed state can be maintained, and when the second wing portion 133a moves from the incision portion 141c to the guide groove 141a, the elastic force is stored. A pressing force capable of moving the driving units 130a and 130b vertically upward may be provided.

이때, 상기 회전체(133)는 회전을 통해 상기 제2날개부(133a)가 상기 가이드홈(141a)으로부터 절개부(141c) 측으로 이동하거나 절개부(141c)에서 가이드홈(141a)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rotating body 133, the second wing portion 133a is moved from the guide groove 141a to the incision portion 141c through rotation, or from the incision portion 141c to the guide groove 141a. You can.

이를 위해, 상기 이동체(1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단이 골부와 산부가 교대로 형성된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접촉되는 상기 절개부(141c)의 일면과 제2날개부의 상면은 서로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ure 4, the movable body 132 may be formed in a sawtooth shape in which the lower end is formed with alternating bones and peaks, and one surface and a second wing of the incision 141c contacting each other. The upper surfaces may be formed of inclined surfaces having the same inclination to each other.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130a,130b)가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체의 제2날개부(133a)가 상기 가이드홈(141a)의 하부측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회전체(133)는 상기 이동체(132)의 하부단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구조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riving unit (130a, 130b) moves vertically downward so that the second wing portion (133a) of the rotating body deviat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guide groove (141a), the rotating body (133) is the moving body ( It can be rotated through a toothed structu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132).

즉, 상기 제2날개부(133a)의 상면이 상기 이동체(132)의 하부단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날개부(133a)를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2날개부(133a)의 상면은 상기 이동체(132)의 하부단에 형성된 골부 또는 산부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음으로써 상기 회전체(133)가 회전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ing portion (133a) is provided with a pressing force to press the second wing portion (133a) vertically downward while the lower end of the mobile body 13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wing portion The upper surface of (133a) can be rotated by rotating the rotator 133 by being able to slide along the valleys or hill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body (132).

이를 통해, 상기 제2날개부(133a)는 상기 회전체(133)의 회전을 통해 상기 가이드홈(141a)으로부터 상기 절개부(141c) 측으로 이동하거나 절개부(141c)로부터 상기 가이드홈(141a)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second wing portion 133a moves from the guide groove 141a to the incision portion 141c throug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33, or the guide groove 141a from the incision portion 141c. Can be moved to the sid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는 상기 바디부(110)에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재(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grippers 100 and 200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pring member 114 in the body portion 110.

이와 같은 스프링부재(114)는 상기 회전체(133)의 제2날개부(133a)가 상기 절개부(141c) 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141a)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부(130a,130b)가 수직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130a,130b)가 빠르게 수직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spring member 114 is moved to the guide groove (141a) side while the second wing portion (133a) of the rotating body 133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incision portion (141c), the drive unit (130a, 130b) When is moved vertically upward, the driving units 130a and 130b may provide a restoring force capable of rapidly moving vertically upward.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부재(114)는 소정의 길이를 갖추고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111a,111b)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동부(112a,112b)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부재(114)는 인장스프링일 수 있다. To this end, the spring member 114 has a predetermined length, one end is fixed to the fixing parts 111a and 111b, and the other end can be fixed to the pivoting parts 112a and 112b, and the spring member 114 ) May be a tension spring.

일례로, 상기 스프링부재(114)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111a,111b)에 형성된 결합홈(115)에 고정될 수 있고, 타단부가 상기 회동부(112a,112b)에 형성된 결합공(116)에 고정될 수 있으며, 길이 중간이 상기 회동부(112a,112b)와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pring member 114 may have one end fixed to a coupling groove 115 formed in the fixing parts 111a and 111b, and the other end having a coupling hole 116 formed in the rotation parts 112a and 112b. ), And the middle of the length may be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parts 112a and 112b.

이에 따라, 상기 제1유닛의 파지부(120a) 및 제2유닛의 파지부(120b)가 서로 멀어지도록 상기 회동부(112a,112b)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부재(114)는 전체길이가 늘어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홈(115)에 고정된 일단부 및 상기 회동부(112a,112b)와 접촉된 부분을 통해 길이 중간이 휘어짐으로써 탄성력이 저장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ivoting portions 112a and 112b rotate so that the gripping portion 120a of the first unit and the gripping portion 120b of the second uni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entire length of the spring member 114 increases. The elastic force may be stored by bending the middle of the length through one end fixed to the coupling groove 115 and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parts 112a and 112b.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유닛의 파지부(120a) 및 제2유닛의 파지부(120b)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기 회동부(112a,112b)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부재(114)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을 통해 상기 제1유닛의 파지부(120a) 및 제2유닛의 파지부(120b)는 빠르게 가까워질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rotating parts 112a and 112b rotate so that the gripping part 120a of the first unit and the gripping part 120b of the second unit come close to each other, the spring member 114 is provided. Through the elastic force, the gripping part 120a of the first unit and the gripping part 120b of the second unit can be quickly approached.

이를 통해, 상기 제1유닛의 파지부(120a) 및 제2유닛의 파지부(120b)는 건물의 천장이나 공중에 고정된 구조물(20)을 파지하는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구조물(20)을 신속하게 파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gripping part 120a of the first unit and the gripping part 120b of the second unit are changed to the state of gripping the structure 20 fixed to the ceiling or the air of the building, the structure 20 It can be gripped quickly.

본 발명에서, 상기 로드부(131)에 가해지는 외력은 상기 무인비행장치(1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파지부(120a,120b)가 건물의 천장이나 구조물 측에 부딪힘으로써 발생하는 가압력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od part 131 moves upward while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is mounted on 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 gripping parts 120a and 120b may be a pressing force generated by striking the ceiling or structure side of the building.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는 상기 무인비행장치(10)를 천장이나 공중에 고정된 구조물 측에 매달고자 하는 경우, 상기 무인비행장치(10)의 고도를 상승시켜 상기 파지부(120a,120b)의 단부가 건물의 천장이나 구조물에 부딪힐 수 있다.Accordingly, 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hang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on a ceiling or a structure fixed in the air, the altitude of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By raising the end of the gripping portion (120a, 120b) may hit the ceiling or structure of the building.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는 상기 파지부(120a,120b)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외력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상기 제1유닛의 파지부(120a)와 제2유닛의 파지부(120b)는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Through this, 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external force that presses the gripping parts (120a, 120b) downward, and the wave of the first unit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branch 120a and the gripping portion 120b of the second unit may be moved closer to each other or closer to each other.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가 장착된 무인비행장치(10)는 천장이나 공중에 고정된 구조물(20) 측에 매달리거나 상기 구조물(20)로부터 분리된 후 자유로운 비행이 가능할 수 있다.Due to this,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equipped with 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spended from the ceiling or the structure 20 fixed to the air or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20 Afterwards, a free flight may be possible.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닛의 파지부(120a) 및 제2유닛의 파지부(120b)가 서로 가까운 제1상태인 경우, 상기 무인비행장치(10)의 고도를 상승시켜 상기 파지부(120a,120b)의 단부를 건물의 천장이나 구조물에 부딪힐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구동부(130a,130b)의 수직 하방 이동 및 회동부(112a,112b)의 회동을 통해 상기 제1유닛의 파지부(120a) 및 제2유닛의 파지부(120b)가 서로 멀어지는 제2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5 and 9, when the gripping part 120a of the first unit and the gripping part 120b of the second unit are in a first state close to each other,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By raising the altitude, the ends of the gripping portions 120a and 120b may hit the ceiling or structure of the building. Through this, 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moved and rotated 112a of the driving units 130a and 130b in the first state as illustrated in FIGS. 5 to 7. , 112b), the holding unit 120a of the first unit and the holding unit 120b of the second unit may be changed to a second state away from each other.

이때, 상기 제2상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133)의 제2날개부(133a)가 상기 절개부(141c)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이동체(132) 및 회전체(133)의 수직상방 이동이 구속된 상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state of the moving body 132 and the rotating body 133 by moving the second wing portion 133a of the rotating body 133 toward the incision portion 141c as shown in FIG. The vertical upward movement may be constrained.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가 장착된 무인비행장치(10)는 비행을 통해 상기 구조물(20)이 상기 제1유닛의 파지부(120a) 및 제2유닛의 파지부(120b) 사이에 위치하도록 위치를 변경한 후 고도 변경을 통해 상기 파지부(120a,120b)의 단부를 건물의 천장이나 구조물에 다시 부딪힐 수 있다.In this state,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equipped with 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llow the structure 20 to fly through the gripping part 120a of the first unit and After changing the position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gripping portions 120b of the second unit, the ends of the gripping portions 120a and 120b may be hit back to the ceiling or structure of the building by changing the altitude.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를 거쳐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상태로 변경됨으로써 상기 제1유닛의 파지부(120a) 및 제2유닛의 파지부(120b)를 통해 상기 무인비행장치(10)를 구조물(20)에 매달 수 있다.Due to this, 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through the state as shown in FIGS.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may be suspended from the structure 20 through the branch 120a and the gripping portion 120b of the second unit.

이후, 상기 무인비행장치(10)를 구조물(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무인비행장치(10)의 고도를 상승시켜 상기 파지부(120a,120b)의 단부를 건물의 천장이나 구조물에 부딪힘으로써 상기 파지부(120a,120b) 측에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20, by raising the altitude of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the end portions of the gripping parts 120a and 120b collide with the ceiling or structure of the building. A pressing force may be provided to the gripping portions 120a and 120b.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는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무인비행장치(10)는 구조물(20)로부터 분리되어 자유롭게 비행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and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is freely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20 Can fly.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용 그리퍼(100,200)는 비행 중 파지부를 통해 무인비행장치가 기존의 구조물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인비행장치의 비행시간을 늘릴 수 있다.Accordingly, 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airf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battery consumption by being able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an unmanned flying device is suspended from an existing structure through a grip during flight. Through this, the flight tim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용 그리퍼(100,200)는 파지부가 모터나 회로와 같은 전자적인 부품 없이 링크 구조로 회동되는 회동부를 통해 기계적인 방식으로 작동됨으로써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airf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separate battery because the gripping part is operated in a mechanical manner through a rotating part that is rotated in a link structure without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motor or a circuit. If not, it can work smoothly.

상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가 제1상태-제2상태-제1상태-제2상태로 순차적으로 변경됨으로써 상기 무인비행장치(10)가 자유 비행상태와 구조물(20)에 매달린 상태로 변경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100,200)가 제2상태인 경우 제2상태-제1상태-제2상태로 순차적으로 변경됨으로써 상기 무인비행장치(10)가 자유 비행상태와 구조물(20)에 매달린 상태로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is free by changing the grippers 100 and 200 for the unmanned flying device sequentially to the first state-the second state-the first state-the secon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light state and the structure 20 are changed to a suspended st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 gripper 100,200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second state, the second state-the first state -It is revealed that the unmanned flying device 10 can be changed to a free flight state and a state suspended from the structure 20 by sequentially changing to a second stat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However, other embodiments may be easily proposed by changing, deleting, adding, or the like, but it will also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200 :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110 : 바디부
111a,111b : 고정부 112a,112b : 회동부
113 : 링크부 114 : 스프링부재
115 : 결합홈 116 : 결합공
120a,120b : 파지부 130a,130b : 구동부
131 : 로드부 131a : 제1부분
131b : 제2부분 132 : 이동체
132a : 제1날개부 133 : 회전체
133a : 제2날개부 134 : 스토퍼
140a,140b : 잠금부 141 : 제1홀더
141a : 가이드홈 141b : 돌출부
141c : 절개부 142 : 제2홀더
143 : 캡부 143a : 홈부
144 : 단턱부 150 : 스프링부재
160 : 지지부 170 : 체결부재
100,200: Gripper for unmanned flying device 110: Body part
111a, 111b: fixing section 112a, 112b: rotating section
113: link portion 114: spring member
115: coupling groove 116: coupling hole
120a, 120b: gripping unit 130a, 130b: driving unit
131: rod portion 131a: first part
131b: second part 132: moving object
132a: first wing portion 133: rotating body
133a: second wing portion 134: stopper
140a, 140b: lock 141: first holder
141a: guide groove 141b: protrusion
141c: incision 142: second holder
143: cap portion 143a: groove
144: stepped portion 150: spring member
160: support 170: fastening member

Claims (19)

무인비행장치와 결합되는 그리퍼로서,
상기 무인비행장치와 접촉 또는 결합을 통해 상기 무인비행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한 쌍의 회동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회동부의 회동을 통해 구조물을 파지하거나 상기 구조물을 파지한 상태가 해제되는 한 쌍의 파지부;
상기 한 쌍의 회동부와 링크부를 매개로 각각 링크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의 회동과 연동되어 왕복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일부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배치공간을 갖추고 상기 구동부의 왕복 직선 운동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한 쌍의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인비행장치는 상기 고정부 및 한 쌍의 잠금부 사이에 형성된 배치공간 측에 배치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As a gripper combined with an unmanned flying device,
A body part including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unmanned flying device through contact or coupling with the unmanned flying device, and a pair of rotating parts, each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part;
A pair of gripping portions each extending from the pair of rotating portions and gripping a structure through rotation of the pair of rotating portions or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is held is released;
A pair of driving units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pair of rotation units and link units, and are reciprocating and linearly connected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s; And
It includes; a pair of locking portions having a receiving arrangement space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driving portion, and allowing or restraining a reciprocating linear motion of the driving portion;
The unmanned flying device is a gripper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which is disposed on a side of an arrangement space formed between the fixing part and a pair of locking par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회동부와 힌지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부와 힌지연결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portion is a gripper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 which one end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rota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driving por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잠금부는 서로 마주하는 대향면 상에 내측으로 인입되는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인비행장치는 상부측이 상기 고정부를 통해 지지되고 하부측이 상기 단턱부를 통해 지지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locking portions include stepped portions that are introduced inwardly on opposite surfaces facing each other,
The unmanned flying device is a gripper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whose upper side is supported through the fixing part and the lower side is supported through the stepped par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잠금부에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턱부와 함께 상기 무인비행장치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The method of claim 4,
The gripper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at which both ends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pair of lock portions, and the support portion is a gripper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gether with the stepped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무인비행장치 측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is a gripper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that is fixed to the unmanned flying device through a fastening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동부에 고정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pr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spring member has one end fixed to the fix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otating portion.
무인비행장치와 결합되는 그리퍼로서,
상기 무인비행장치와 접촉 또는 결합을 통해 상기 무인비행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한 쌍의 회동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회동부의 회동을 통해 구조물을 파지하거나 상기 구조물을 파지한 상태가 해제되는 한 쌍의 파지부;
상기 한 쌍의 회동부와 링크부를 매개로 각각 링크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의 회동과 연동되어 왕복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일부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배치공간을 갖추고 상기 구동부의 왕복 직선 운동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한 쌍의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회동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As a gripper combined with an unmanned flying device,
A body part including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unmanned flying device through contact or coupling with the unmanned flying device, and a pair of rotating parts, each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part;
A pair of gripping portions each extending from the pair of rotating portions and gripping a structure through rotation of the pair of rotating portions or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is held is released;
A pair of driving units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pair of rotation units and link units, and are reciprocating and linearly connected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s; And
It includes; a pair of locking portions having a receiving arrangement space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driving portion, and allowing or restraining a reciprocating linear motion of the driving portion;
The gripper is a gripper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detachably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무인비행장치와 결합되는 그리퍼로서,
상기 무인비행장치와 접촉 또는 결합을 통해 상기 무인비행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한 쌍의 회동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회동부의 회동을 통해 구조물을 파지하거나 상기 구조물을 파지한 상태가 해제되는 한 쌍의 파지부;
상기 한 쌍의 회동부와 링크부를 매개로 각각 링크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의 회동과 연동되어 왕복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일부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배치공간을 갖추고 상기 구동부의 왕복 직선 운동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한 쌍의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일단이 상기 구동부와 접촉되어 상기 구동부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As a gripper combined with an unmanned flying device,
A body part including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unmanned flying device through contact or coupling with the unmanned flying device, and a pair of rotating parts, each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part;
A pair of gripping portions each extending from the pair of rotating portions and gripping a structure through rotation of the pair of rotating portions or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is held is released;
A pair of driving units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pair of rotation units and link units, and are reciprocating and linearly connected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s; And
It includes; a pair of locking portions having a receiving arrangement space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driving portion, and allowing or restraining a reciprocating linear motion of the driving portion;
A gripper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including a spring member having one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driving part and presses the driving part in one direction.
무인비행장치와 결합되는 그리퍼로서,
상기 무인비행장치와 접촉 또는 결합을 통해 상기 무인비행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한 쌍의 회동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회동부의 회동을 통해 구조물을 파지하거나 상기 구조물을 파지한 상태가 해제되는 한 쌍의 파지부;
상기 한 쌍의 회동부와 링크부를 매개로 각각 링크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의 회동과 연동되어 왕복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일부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배치공간을 갖추고 상기 구동부의 왕복 직선 운동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한 쌍의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링크부와 힌지연결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날개부가 구비되는 이동체 및 상기 로드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둘레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날개부가 구비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제2날개부의 위치변경을 통하여 직선운동이 허용되거나 구속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As a gripper combined with an unmanned flying device,
A body part including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unmanned flying device through contact or coupling with the unmanned flying device, and a pair of rotating parts, each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part;
A pair of gripping portions each extending from the pair of rotating portions and gripping a structure through rotation of the pair of rotating portions or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is held is released;
A pair of driving units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pair of rotation units and link units, and are reciprocating and linearly connected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s; And
It includes; a pair of locking portions having a receiving arrangement space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driving portion, and allowing or restraining a reciprocating linear motion of the driving portion;
The driving unit,
The rod portion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link portion, a movable body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rst wing portion slidably coupled along the rod portion and protruding outward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rod portion and the It is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and includes a rotating body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cond w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driving unit is a gripper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in which linear motion is allowed or restricted through a position change of the second wing when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중공형의 제1홀더와, 상기 제1홀더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의 단부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가 배치되는 중공형의 제2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의 제2날개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의 직선 이동이 허용되며, 상기 회전체의 제2날개부가 상기 가이드홈의 하부측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구동부의 직선 이동이 구속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The method of claim 10,
The lock portion,
A hollow first holder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and a second holder of a hollow type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holder and is disposed with a spring member for pressing the end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in one direction,
When the second wing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is located in the guide groove, linear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is allowed, and when the second wing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deviat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guide groove, the linear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is restrained. Gripper for flight device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로드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외경이 상기 스프링부재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부재의 단부측에 삽입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The method of claim 11,
The drive unit includes a stopper coupled to an end of the rod portion, and the stopper is provid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pring member, so that the gripper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inserted into the end side of the spring memb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는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체의 제2날개부가 상기 가이드홈을 벗어나 상기 돌출부의 하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의 직선 이동이 구속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holder includes at least two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The guide groove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protrusions,
The driving unit is a gripper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in which the linear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is restrained when the second wing of the rotating body moves out of the guide groove and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projecting unit.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하부측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결되고 내측으로 절개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The method of claim 13,
The protrusion is connected to the guide groove on the lower side and a gripper for an unmanned flight apparatus including an incision formed inwardly.
제 14항에 있어서,
서로 접촉되는 상기 절개부의 일면과 제2날개부의 상면은 서로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The method of claim 14,
A gripper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 which one surface of the incision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ing part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formed with inclined surfaces having the same inclination to each othe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상기 링크부와 힌지연결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2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의 수직 하방 이동시 상기 제1부분의 하부면이 상기 이동체를 가압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The method of claim 10,
The rod portion includes a first portion hingedly connected to the link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The first portion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portion,
A gripper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 which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pressurizes the moving body when the driving portion moves vertically downward.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하부단이 골부와 산부가 교대로 형성된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체의 하부단은 상기 회전체의 제2날개부가 상기 잠금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The method of claim 16,
The mobile body is formed in a sawtooth shape in which the lower end is formed alternately with the valley and the mountain,
The lower end of the moving body is a gripper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that provides a pressing force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so that the second wing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can be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locking por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홀더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홀더에 결합되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The method of claim 11,
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cap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holder so as to seal the opened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older,
The cap portion is a gripper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in which a groove portion into which one end of the spring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spring member from being changed.
무인비행장치와 결합되는 그리퍼로서,
상기 무인비행장치와 접촉 또는 결합을 통해 상기 무인비행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한 쌍의 회동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회동부의 회동을 통해 구조물을 파지하거나 상기 구조물을 파지한 상태가 해제되는 한 쌍의 파지부;
상기 한 쌍의 회동부와 링크부를 매개로 각각 링크연결되고, 둘레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가 구비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의 회동과 연동되어 왕복 직선 운동하는 한 쌍의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배치공간을 갖추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통해 상기 구동부의 왕복 직선 운동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잠금부; 및
일단이 상기 구동부와 접촉되어 상기 구동부를 일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부에 배치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인비행장치는 상기 고정부 및 한 쌍의 잠금부 사이에 형성된 배치공간 측에 배치되는 무인비행장치용 그리퍼.
As a gripper combined with an unmanned flying device,
A body part including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unmanned flying device through contact or coupling with the unmanned flying device, and a pair of rotating parts, each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part;
A pair of gripping portions each extending from the pair of rotating portions and gripping a structure through rotation of the pair of rotating portions or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is held is released;
It includes a rotating body provided with at least one w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each of which is linked by a pair of the rotating portion and the link portion, as long as it reciprocates linearly in conne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ortion. A pair of driving units;
A locking unit having an accommodation arrangement space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driving unit and allowing or restraining a reciprocating linear motion of the driving unit through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It includes; a spring member disposed at the lock part so that one end may contact the driving part and press the driving part in one direction.
The unmanned flying device is a gripper for an unmanned flying device which is disposed on a side of an arrangement space formed between the fixing part and a pair of locking parts.
KR1020180078833A 2018-07-06 2018-07-06 Gripper for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1059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833A KR102105907B1 (en) 2018-07-06 2018-07-06 Gripper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833A KR102105907B1 (en) 2018-07-06 2018-07-06 Gripper for unmanned aerial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286A KR20200005286A (en) 2020-01-15
KR102105907B1 true KR102105907B1 (en) 2020-04-29

Family

ID=6915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833A KR102105907B1 (en) 2018-07-06 2018-07-06 Gripper for unmanned aerial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9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4404A1 (en) * 2020-03-02 2021-09-10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Locking assembly and movable platform
KR102266527B1 (en) * 2021-03-15 2021-06-18 유윤상 Substrate clamping device for surface treatment
CN114212263A (en) * 2021-11-02 2022-03-22 普宙科技(深圳)有限公司 Centering structur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nes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3201A (en) * 2010-02-24 2011-09-08 Toyota Motor Corp Robot hand
JP2016107843A (en) * 2014-12-08 2016-06-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Three-dimensional shape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using multicop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3201A (en) * 2010-02-24 2011-09-08 Toyota Motor Corp Robot hand
JP2016107843A (en) * 2014-12-08 2016-06-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Three-dimensional shape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using multicop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286A (en)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907B1 (en) Gripper for unmanned aerial vehicle
US10625857B2 (en) Self-enclosed air vehicle
KR101640362B1 (en) Winch Apparatus For Autonomous Flight Robot
CN107000843B (en) Survival aids delivery device and unmanned vehicle
WO2019007133A1 (en) Landing gear and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same
US6851647B1 (en) Portable catapult launcher for small aircraft
US20030137268A1 (en) Miniature robotic vehicl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same
EP3446985A1 (en) Rail recovery system for aircraft
EP3632793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landing gear thereof
EP2946437B1 (en) A collapsible portable antenna
WO2019007130A1 (en) Landing gear and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same
KR102110911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of folding wing-type
CN110198893A (en) Space junk acquisition equipment and space junk removing device
CA3043140A1 (en) Subsea garages for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US20050247144A1 (en) Reconfigurable structure
CN112384443A (en) Flight vehicle system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able flight vehicles
KR101883223B1 (en) Payload of A Drone
CN105029854A (en) Folding umbrella frame capable of automatically unfolding
KR102132661B1 (en) Apparatus for taking-off and landing of Drone
WO2019116323A1 (en) A grasping apparatus and a vehicle including a grasping apparatus
US202002551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derwater deployment of a payload
CN211651388U (en) Hidden unmanned aerial vehicle counter-braking device
CN109703438B (en) Vehicle-mounted unmanned aerial vehicle winding and unwinding device and system
FR3040688A1 (en) DEVICE FOR ROBOTIC ARMS MANIPULATORS FIXED TO A DRONE
CN108190003A (en) A kind of unmanned plane with buffer g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