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884B1 - 차량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884B1
KR102104884B1 KR1020170067822A KR20170067822A KR102104884B1 KR 102104884 B1 KR102104884 B1 KR 102104884B1 KR 1020170067822 A KR1020170067822 A KR 1020170067822A KR 20170067822 A KR20170067822 A KR 20170067822A KR 102104884 B1 KR102104884 B1 KR 102104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eadlamp
carrier
support panel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1166A (ko
Inventor
소원섭
박성욱
민옥렬
조용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7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884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8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mounted on a bracket,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ting of the lamps on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전방에 프레임 형태로 배치되며, 쿨링모듈, 헤드램프 및 범퍼 등이 장착되는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간주행등(DRL)이 헤드램프와 분리형으로 적용된 차량의 헤드램프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 외관 품질 확보를 위해 별물의 체결 브래킷을 이용하여 헤드램프를 캐리어에 장착시킨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캐리어{Carrier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전방에 프레임 형태로 배치되며, 쿨링모듈, 헤드램프 및 범퍼 등이 장착되는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간주행등(DRL)이 헤드램프와 분리형으로 적용된 차량의 헤드램프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 외관 품질 확보를 위해 별물의 체결 브래킷을 이용하여 헤드램프를 캐리어에 장착시킨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자동차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공정을 단순화 및 자동화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다수의 부품들을 조립한 집합체를 조립라인에서 조립하는 즉, 모듈화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예로써 쿨링모듈과 헤드램프 및 범퍼 빔을 포함한 범퍼를 조립하여 모듈화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들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중앙에 배치된 캐리어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캐리어의 쿨링모듈 장착부에 라디에이터와 콘덴서 및 팬 슈라우드를 포함한 쿨링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캐리어의 헤드램프 장착부에는 헤드램프가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의 전면에는 범퍼 빔이 장착되어 모듈화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는 부품들을 조립하여 모듈화함으로써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었다.
도 1은 자동차용 캐리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헤드램프가 장착된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캐리어(C)는 상측 수평지지부(10)와 상기 상측 수평지지부(10)의 아래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측 수평지지부(20)와 상기 상측 및 하측 수평지지부(10, 20)를 연결하는 좌측 및 우측 수직지지부(30, 40)로 이루어져 쿨링모듈 장착부가 구비된 대략 사각틀 형상의 전면패널(50)과 상기 전면패널(50)의 좌측 및 우측에 연장 형성되어 헤드램프(80) 장착을 위한 서포트 패널(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트 패널(60)은 헤드램프(80)를 캐리어(C)에 고정시키며, 조립 시에 범퍼와 헤드램프의 단차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헤드램프(80)가 차량에 정확히 장착되도록 하여 헤드램프(80)의 조립 외관 품질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캐리어(C) 상에 헤드램프(80) 이외에도 주간주행등(daytime running light)이 더 장착된다. 주간주행등은 낮에도 다른 차량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차량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헤드램프(80)를 켜지 않아도 차량 시동 시 자동으로 점등되는 등화장치를 말한다. 주간주행등(DRL)이 처음 적용되었을 시에는, 주간주행등이 헤드램프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가 대부분 이었으나, 최근에는 주간주행등의 디자인이 다양하게 개발됨에 따라 헤드램프와 주간주행등을 분리 배치하여 주간주행등의 다양한 디자인 설계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추세이다.
도 3에는 종래의 헤드램프(80)의 서포트 패널(60) 체결구조에 따른 헤드램프(80)의 차량 전후 방향 단차 조절을 나타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종래의 주간주행등(90)이 적용된 헤드램프(80) 체결구조에 따른 헤드램프(80)의 차량 전후 방향 단차 조절 불가를 나타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간주행등(90)이 헤드램프(8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경우 주간주행등(90)은 주간주행등 조립부(91)가 서포트 패널(60)의 상측에 형성된 제1 서포트 패널 체결부(60a)를 통해 상하 길이방향으로 볼트 조립된다. 헤드램프(80)는 탈부착 편의성을 위해 헤드램프 조립부(81)가 서포트 패널(60)의 전측에 형성된 제2 서포트 패널 체결부(60b)를 통해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볼트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헤드램프 조립부(81)를 차량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볼트 체결되도록 구성할 경우 헤드램프(80) 탈부착을 위해 주간주행등(90)을 분리해야 헤드램프 조립부(81)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한편, 범퍼와 주간주행등(90) 또는 범퍼와 헤드램프(80)의 단차를 없애기 위해서는 주간주행등(90) 또는 헤드램프(80)의 차량 전후 방향 단차 조절이 매우 중요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는 헤드램프(80)의 조립부가 차량 상하 방향을 따라 조립 가능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차량 전후 방향 단차 조절이 가능하였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간주행등(90)이 헤드램프(80)의 상측에 배치되는 캐리어(C)의 경우 주간주행등(90)은 차량 전후 방향 단차 조절이 가능하지만, 헤드램프(80)는 차량 전후 방향 단차 조절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램프를 캐리어에 체결시기 위한 별물 체결 브래킷을 구비하여 헤드램프의 캐리어 체결 시 차량 전후 방향 볼트 조립을 통해 헤드램프를 캐리어에 고정하며, 헤드램프의 차량 전후 방향 단차조절도 가능하도록 한 차량용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캐리어는, 쿨링모듈 장착부가 구비된 사각형태의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의 차량 폭 방향 양측에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300)을 포함하는, 차량용 캐리어(C)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C)는, 상기 서포트 패널(300)에 결합되는 헤드램프(100); 및 상기 서포트 패널(300)에 결합되되, 상기 헤드램프(100)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는 주간주행등(900);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헤드램프(100)는, 상기 서포트 패널(300)의 차량 전방면에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볼트 조립되고, 상기 주간주행등(900)은, 상기 서포트 패널(300)의 상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볼트 조립된다.
또한, 상기 캐리어(C)는, 상기 헤드램프(100)가 상기 서포트 패널(300)에 선 조립된 후, 상기 주간주행등(900)이 상기 서포트 패널(300)에 후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헤드램프(100)는 별물로 구비되는 체결 브래킷(200)을 통해 서포트 패널(300)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 브래킷(200)은, 상기 헤드램프(100)의 상측에 체결되되, 차량 상하 방향을 따라 볼트 체결되는 수평 브래킷(210); 및 상기 수평 브래킷(210)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 패널(300)에 체결되되,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볼트 체결되는 수직 브래킷(2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 브래킷(210)에는, 상기 헤드램프(100)와 볼트 체결을 위한 제1 체결홀(211)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체결홀(211)은 상기 헤드램프(100)의 차량 전후 방향 단차 조절이 가능하도록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직 브래킷(220)에는, 상기 서포트 패널(300)과 볼트 체결을 위한 제2 체결홀(212)이 형성되되, 상기 제2 체결홀(212)은 상기 헤드램프(100)의 차량 폭 방향 또는 상하 방향 단차 조절이 가능하도록 차량 폭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 형태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헤드램프(100)는, 차량 전후 방향 단차 조절 시 상기 헤드램프(100)의 차량 전후 방향 슬라이드를 안내하도록 상기 수평 브래킷(210)과 볼트 체결되는 조립부(110) 양단에 가이드 돌기(210)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210)는, 상기 수평 브래킷(210) 조립 시 상기 수평 브래킷(210)의 차량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맞닿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는, 헤드램프가 체결 브래킷을 통해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볼트 체결되기 때문에 상측에 배치되는 주간주행등을 분리하지 않고도 탈부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체결 브래킷과 헤드램프의 체결부를 통해 헤드램프의 차량 전후 방향 단차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범퍼와의 체결단차를 최소화하여 헤드램프의 조립 외관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캐리어 사시도
도 2는 헤드램프를 포함하는 종래의 캐리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헤드램프 체결구조에 따른 헤드램프 차량 전후 방향 단차 조절 개략도
도 4는 종래의 주간주행등이 적용된 헤드램프 체결구조에 따른 헤드램프 차량 전후 방향 단차 조절 불가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부분 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헤드램프 및 체결 브래킷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헤드램프 및 체결 브래킷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의 헤드램프 차량 전후 단차 조절 개략도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C)의 세부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캐리어 구성과 대동소이하므로,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인 캐리어(C)의 서포트 패널(300)과, 헤드램프(100) 및 주간주행등(200)의 체결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C)의 서포트 패널(300)과, 헤드램프(100) 및 주간주행등(900)의 체결부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C)는 헤드램프(100) 장착을 위해 전면 패널의 좌측 및 우측에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서포트 패널(300) 상에는 헤드램프(100)와 주간주행등(900)이 고정 설치되며, 본실시 예에서는 주간주행등(900)이 헤드램프(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경우에 그 특징이 있는바 주간주행등(900)이 헤드램프(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주간주행등(900)은 차량 시동 시 자동 점등되며, 시동이 꺼지지 전까지 점등 상태가 유지된다. 주간주행등(900)은 소정의 밝기를 갖는 통상의 전등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인 예로 LE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간주행등(900)은 필요에 따라 미등 또는 헤드램프 점등 시 밝기가 줄어들도록 디밍(dimming)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주간주행등(900)은 주간주행등 조립부(910)가 서포트 패널(300)의 상측에 형성된 제1 서포트 패널 체결부(310)를 통해 상하 길이방향으로 볼트 조립된다. (도 8 참조) 이는 종래 기술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범퍼와의 체결단차를 최소화하여 주간주행등(900)의 조립 외관 품질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헤드램프(100)는 주간주행등(900) 하측에 이격 되어 서포트 패널(300) 상에 체결되되, 서포트 패널(300)의 전측에 형성된 제2 서포트 패널 체결부(320)를 통해 차량 전후 방향으로 볼트 조립(도 8 참조)됨과 동시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단차 조절이 가능하도록 체결 브래킷(200)을 통해 서포트 패널(300) 상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C)는 조립 편의성을 위해 헤드램프(100)가 서포트 패널(300)에 선 조립된 후 주간주행등(900)이 서포트 패널(300)에 후조립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C)의 헤드램프(100)와 체결 브래킷(200)의 세부 형상 및 체결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헤드램프(100)와 체결 브래킷(200)의 체결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헤드램프(100)와 체결 브래킷(2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패널(300)과, 주간주행등(900) 및 헤드램프(100) 체결구조에 따른 헤드램프(100)의 차량 전후 방향 단차 조절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브래킷(200)은 헤드램프(100)의 상측에 형성된 헤드램프 체결부(110)에 볼트 체결되는 수평 브래킷(210)과, 수평 브래킷(210)의 차량 후방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서포트 패널(300)에 형성된 제2 서포트 패널 체결부(320)에 볼트 체결되는 수직 브래킷(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 브래킷(210) 상에는 헤드램프 체결부(110)와 볼트 체결을 위한 제1 체결홀(2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평 브래킷(210)과 헤드램프(100)는 제1 체결홀(211)과 헤드램프 조립부(110)를 통해 상하 방향을 따라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홀(211)은 헤드램프(100)의 차량 전후 방향 단차 조절이 가능하도록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롯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헤드램프(100) 상에는 수평 브래킷(210)의 헤드램프(100) 가조립 시 헤드램프(100)의 차량 전후 방향 단차 조절을 안내하도록 가이드 돌기(1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0)는 헤드램프(100)의 상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수평 브래킷(210)이 체결되었을 때 수평 브래킷(210)의 차량 폭 방향 양측면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가이드 돌기(120)가 "L" 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헤드램프(100)를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형태로 돌출되어도 무방하다. 위 가이드 돌기(120)의 구성을 통해 헤드램프(100)의 차량 전후 방향 단차 조절 시 헤드램프(100)가 상하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틸트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직 브래킷(220) 상에는 제2 서포트 패널 체결부(320, 도 8 참조)와 볼트 체결을 위한 제2 체결홀(2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직 브래킷(220)과 서포트 패널(300)은 제2 체결홀(212)과 제2 서포트 패널 체결부(320)를 통해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홀(212)은 헤드램프(100)의 차량 폭 방향 또는 상하 방향 단차 조절이 가능하도록 차량 폭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롯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 슬롯의 방향은 차량 설계 조건에 따라 헤드램프(100)의 단차 조절이 요구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체결 브래킷(200)을 통해 헤드램프(100)를 서포트 패널(300)에 체결시키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체결 브래킷(200)의 수평 브래킷(210)을 통해 헤드램프(100)와 체결 브래킷(200)이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볼트 조립이 가능해짐에 따라 헤드램프(100)의 차량 전후 방향(x-axis) 단차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캐리어(C)에 범퍼 조립 시 범퍼와 헤드램프(100)의 체결단차를 최소화하여 헤드램프(100)의 조립 외관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 브래킷(200)의 수직 브래킷(220)을 통해 헤드램프(100)와 서포트 패널(300)이 차량 전후 방향(x-axis)을 따라 볼트 조립이 가능해짐에 따라 상측에 주간전조등(900)이 배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주간전조등(900)의 탈거 없이 헤드램프(100)를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C : 캐리어
100 : 헤드램프 110 : 헤드램프 조립부
120 : 가이드 돌기
200 : 체결 브래킷 210 : 수평 브래킷
211 : 제1 체결홀 220 : 수직 브래킷
212 : 제2 체결홀
300 : 서포트 패널 310 : 서포트 패널 조립부

Claims (7)

  1. 쿨링모듈 장착부가 구비된 사각형태의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의 차량 폭 방향 양측에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300)을 포함하는, 차량용 캐리어(C)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C)는,
    상기 서포트 패널(300)에 결합되는 헤드램프(100); 및
    상기 서포트 패널(300)에 결합되되, 상기 헤드램프(100)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는 주간주행등(900); 을 포함하되,
    상기 헤드램프(100)는 별물로 구비되는 체결 브래킷(200)을 통해 서포트 패널(300)에 체결되며,
    상기 체결 브래킷(200)은,
    상기 헤드램프(100)의 상측에 체결되되, 차량 상하 방향을 따라 볼트 체결되는 수평 브래킷(210); 및
    상기 수평 브래킷(210)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 패널(300)에 체결되되,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볼트 체결되는 수직 브래킷(2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캐리어(C).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램프(100)는, 상기 서포트 패널(300)의 차량 전방면에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볼트 조립되고,
    상기 주간주행등(900)은, 상기 서포트 패널(300)의 상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볼트 조립되는, 차량용 캐리어(C).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C)는,
    상기 헤드램프(100)가 상기 서포트 패널(300)에 선 조립된 후, 상기 주간주행등(900)이 상기 서포트 패널(300)에 후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C).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브래킷(210)에는,
    상기 헤드램프(100)와 볼트 체결을 위한 제1 체결홀(211)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체결홀(211)은 상기 헤드램프(100)의 차량 전후 방향 단차 조절이 가능하도록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 형태로 이루어진, 차량용 캐리어(C).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브래킷(220)에는,
    상기 서포트 패널(300)과 볼트 체결을 위한 제2 체결홀(212)이 형성되되,
    상기 제2 체결홀(212)은 상기 헤드램프(100)의 차량 폭 방향 또는 상하 방향 단차 조절이 가능하도록 차량 폭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 형태로 이루어진, 차량용 캐리어(C).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램프(100)는,
    차량 전후 방향 단차 조절 시 상기 헤드램프(100)의 차량 전후 방향 슬라이드를 안내하도록 상기 수평 브래킷(210)과 볼트 체결되는 조립부(110) 양단에 가이드 돌기(210)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210)는, 상기 수평 브래킷(210) 조립 시 상기 수평 브래킷(210)의 차량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맞닿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캐리어(C).
KR1020170067822A 2017-05-31 2017-05-31 차량용 캐리어 KR102104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822A KR102104884B1 (ko) 2017-05-31 2017-05-31 차량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822A KR102104884B1 (ko) 2017-05-31 2017-05-31 차량용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166A KR20180131166A (ko) 2018-12-10
KR102104884B1 true KR102104884B1 (ko) 2020-05-29

Family

ID=6467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822A KR102104884B1 (ko) 2017-05-31 2017-05-31 차량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8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7785B (zh) * 2020-10-15 2022-07-12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安装方法、车辆和安装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742B1 (ko) * 2002-09-16 2009-06-15 한라공조주식회사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장착구조
KR100521168B1 (ko) * 2002-12-26 2005-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전방차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166A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8139B2 (en) Vehicle bumper and mounting bracket assembly for a lamp
KR100589266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모듈의 고정구조
KR20050117905A (ko) 캐리어의 범퍼 커버 마운팅 구조
KR102104884B1 (ko) 차량용 캐리어
CN113459942A (zh) 车辆照明总成和安装方法
KR20070065033A (ko)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의 마운팅 구조
WO2009081694A1 (ja) ヘッドランプ取付構造
WO2016156894A1 (en) Position light structure for a motorcycle
JP3636906B2 (ja) 自動車のランプ取付構造
JP4140137B2 (ja) 自動二輪車の計器盤取付装置
JP2005145266A (ja) 車両用灯体の取り付け装置
CN216448083U (zh) 一种双灯式车灯
KR200357611Y1 (ko)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CN214930306U (zh) 一种具有照明灯的挡泥板组件
KR20190005394A (ko) 범퍼커버와 헤드램프 갭 단차 조절구조
EP4049896B1 (en) Vehicle light assembly, installation method thereof and vehicle
CN216069780U (zh) 客车及其大灯安装结构
CN217022431U (zh) 前保险杠与分体式大灯的安装结构以及具有其的汽车
KR970005195Y1 (ko) 차량의 안개등
KR200492551Y1 (ko)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JPH07165117A (ja) 車両の前部構造
KR102141639B1 (ko)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100683221B1 (ko) 헤드램프 장착장치
CN117048481A (zh) 车辆前部的车灯组件及车辆的前部结构
KR100534345B1 (ko) 대형트럭의 헤드램프 마운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