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308B1 -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308B1
KR102103308B1 KR1020187013701A KR20187013701A KR102103308B1 KR 102103308 B1 KR102103308 B1 KR 102103308B1 KR 1020187013701 A KR1020187013701 A KR 1020187013701A KR 20187013701 A KR20187013701 A KR 20187013701A KR 102103308 B1 KR102103308 B1 KR 102103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rimary
reuse
link
spatial re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9871A (ko
Inventor
준 주
잉페이 린
준 루오
지용 팡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6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04L5/0025Spatial division following the spatial signature of the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이 방법은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 결정 처리는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됨 -,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따라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 및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중에 1차 링크와 공간 재사용 링크 간의 상호 간섭이 줄어들 수 있으며, 전송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몇몇 네트워크들에서, 예를 들면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에서, 데이터 전송 중의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을 피하기 위해,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이 사용된다. CSMA/CA 메커니즘에 따르면, 프레임 전송을 마친 후, 각각의 스테이션(STA)은 다음 프레임을 보내기 전에 매우 짧은 시구간 동안 기다려야 한다. 이 시구간은 프레임간 간격으로 지칭된다. 프레임간 간격의 길이는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질 프레임의 유형에 의존한다. 높은 우선순위 프레임은 비교적 짧은 프레임간 간격을 가지며, 낮은 우선순위 프레임은 비교적 긴 프레임간 간격을 갖는다. 즉, 높은 우선순위 프레임은 비교적 짧은 전송 대기 시간을 가지며, 낮은 우선순위 프레임은 비교적 긴 대기 시간을 갖는다. 따라서, 낮은 우선순위 프레임에 비해, 높은 우선순위 프레임은 우선적으로 전송 권한을 얻을 수 있다. 즉, 낮은 우선순위 프레임이 전송되지 않고 높은 우선순위 프레임이 전송되기 시작한 경우, 즉 채널 상태가 사용 상태인 경우, 낮은 우선순위 프레임은 전송이 금지되며, 높은 우선순위 프레임이 전송된 후, 즉 채널 상태가 유휴 상태인 경우, 낮은 우선순위 프레임의 전송이 허용된다. 따라서, 하나의 STA만이 충돌을 피하기 위해 채널을 사용하여 일정 시구간 동안 전송을 수행한다.
통신 기술들의 발달로, 집중적인 시나리오에서 시스템 처리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간 재사용(SR)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특정 시나리오 또는 특정 조건 하에서, 둘 이상의 스테이션들이 전송을 위해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사용(즉, 동일한 시구간에서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A 1 및 STA 2가 액세스 포인트(AP) AP 1(AP 1과 STA 1 사이의 링크 및 AP 1과 STA 2 사이의 링크는 이하에서 1차 링크로 총칭됨)에 업링크 데이터를 보낼 때, STA 5는 1차 링크(AP 2와 STA 5 사이의 링크는 이하에서 공간 재사용 링크로 지칭됨)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 AP 2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공간 재사용 링크 상의 데이터 전송이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지하기 때문에, 하나의 STA만이 채널을 사용하여 시구간에서 데이터를 보낸다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 그 결과, 공간 재사용의 도입은 링크들 간의 상호 간섭을 증가시키고 전송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1차 링크와 공간 재사용 링크 간의 간섭을 줄이고 전송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간섭 제어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중에 1차 링크와 공간 재사용 링크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이고 전송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태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1차 링크 및 공간 재사용 링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1차 링크는 1차 액세스 포인트와 1차 스테이션 사이에 설정되며, 이 방법은,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 결정 처리는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됨 -;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따라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 및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와 관련하여, 제1 양태의 제1 구현예에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하거나, 또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는 것이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제1 양태, 및 제1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1 양태의 제2 구현예에서,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N개의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 N개의 결정 파라미터는 1차 링크의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고, 각각의 결정 파라미터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전송 부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N≥2임 - 를 포함하며,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따라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는,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따라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 -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음 - 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및 제1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1 양태의 제3 구현예에서,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보내는 단계는,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1차 스테이션이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낼 때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추가하고,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도록 1차 스테이션에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제1 양태, 및 제1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1 양태의 제4 구현예에서,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과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일 때,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전력 표시 정보를 포함하며, 전력 표시 정보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다.
제1 양태, 및 제1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1 양태의 제5 구현예에서,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이 방법은,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 전송 파라미터는 전송 전력,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및 전송 대역폭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한다.
제1 양태, 및 제1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1 양태의 제6 구현예에서, 결정 파라미터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이다.
제1 양태, 및 제1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1 양태의 제8 구현예에서,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 모두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들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 모두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을 결정하는 단계;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로부터 최소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최소값에 따라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및 제1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1 양태의 제7 구현예에서,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 모두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들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 모두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식
Figure 112018047640598-pct00155
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에서 스테이션 k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56
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스테이션 k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157
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기 위해 스테이션 k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158
은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스테이션 k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요구되는 최소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를 나타내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59
는 스테이션 k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낼 때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을 나타낸다.
제1 양태, 및 제1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1 양태의 제9 구현예에서,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최소값에 따라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식
Figure 112018047640598-pct00006
에 따라 1차 링크의 전송 대역폭에 대한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식
Figure 112018047640598-pct00007
에 따라 N개의 전송 부대역폭에서의 m번째 부대역폭에 대한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Figure 112018047640598-pct00008
는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009
은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로부터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된 최소값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010
는 1차 링크의 전송 대역폭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011
는 시스템에 예약된 리던던시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012
는 m번째 부대역폭에 대한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013
는 N개의 전송 부대역폭에서의 m번째 부대역폭을 나타내고, N≥2이고, 1≤m≤N이다.
제1 양태, 및 제1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1 양태의 제10 구현예에서,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1차 스테이션에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보내는 단계는,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트리거 프레임을 보내는 단계 - 시그널링 A 필드 또는 트리거 프레임의 부하 정보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함 - 를 포함한다.
제2 양태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1차 링크 및 공간 재사용 링크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1차 링크는 1차 액세스 포인트와 1차 스테이션 사이에 설정되며, 이 방법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보내진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됨 -; 및 1차 스테이션에 의해,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는 단계 -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은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함 - 를 포함한다.
제2 양태와 관련하여, 제2 양태의 제1 구현예에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하거나, 또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는 것이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제2 양태, 및 제2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2 양태의 제2 구현예에서,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존재하고,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링크의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고, 각각의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전송 부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N≥2이며,
1차 스테이션에 의해,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는 단계 -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은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함 - 는,
1차 스테이션에 의해, N개의 전송 부대역폭 각각 상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시그널링 A 필드에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하는 단계 - N≥2임 -, 또는
1차 스테이션에 의해, N개의 전송 부대역폭에서의 m번째 전송 부대역폭 상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시그널링 A 필드에 m번째 전송 부대역폭에 대응하는 m번째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하는 단계 - 1≤m≤N이고, m과 N은 모두 양의 정수들임 - 를 포함한다.
제2 양태, 및 제2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2 양태의 제3 구현예에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전력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전력 표시 정보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다.
제2 양태, 및 제2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2 양태의 제4 구현예에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전력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전력 표시 정보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다.
제2 양태, 및 제2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2 양태의 제5 구현예에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되며, 결정 파라미터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이다.
제3 양태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1차 링크 및 공간 재사용 링크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1차 링크는 1차 액세스 포인트와 1차 스테이션 사이에 설정되며, 이 방법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됨 -; 및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와 관련하여, 제3 양태의 제1 구현예에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금지하는데 사용되는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하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 및 제3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3 양태의 제2 구현예에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사용되는 제3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하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제3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 및 제3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3 양태의 제3 구현예에서,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존재하고,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액세스 포인트가 N개의 제1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한 후에 얻어지고,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링크의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고, 각각의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전송 부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N≥2이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 및 제3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3 양태의 제4 구현예에서,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과가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일 때,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전력 표시 정보를 포함하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전력 표시 정보에 따라 결정하고, 최대 전송 전력보다 크지 않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 및 제3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3 양태의 제5 구현예에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제1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되고, 제1 결정 파라미터는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되며, 전송 파라미터는 전송 전력,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및 전송 대역폭을 포함한다.
제3 양태, 및 제3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3 양태의 제6 구현예에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 및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상이한 기본 서비스 세트들(BSS들)에 속한다.
제3 양태, 및 제3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3 양태의 제7 구현예에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 및 1차 액세스 포인트는 동일한 기본 서비스 세트(BSS)에 속하고, 공간 재사용 링크는 BSS에서 스테이션들 간의 D2D 전송에 사용된다.
제3 양태, 및 제3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3 양태의 제8 구현예에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D2D 전송 중에 데이터 프레임에 D2D 전송 표시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 - D2D 전송 표시 정보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를 제외한 BSS에서의 D2D 스테이션이 이 D2D 전송 기회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데 사용됨 - 를 포함한다.
제3 양태, 및 제3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3 양태의 제9 구현예에서, 제1 결정 파라미터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이다.
제3 양태, 및 제3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3 양태의 제10 구현예에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제1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식
Figure 112018047640598-pct00160
에 따라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61
는 최대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162
는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63
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로부터 1차 액세스 포인트로의 전송 동안의 손실을 나타낸다.
제3 양태, 및 제3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3 양태의 제11 구현예에서, 통신 시스템은 제3자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이 방법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 -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제3자 디바이스가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데 사용됨 -; 및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제3자 디바이스가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할 때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기하도록 데이터 전송 중에 데이터 프레임에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4 양태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1차 링크 및 공간 재사용 링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1차 링크는 장치와 1차 스테이션 사이에 설정되며, 이 장치는,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판단 모듈 - 결정 처리는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됨 -; 판단 모듈이 결정 처리를 수행한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따라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 및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생성 모듈에 의해 생성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보내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4 양태와 관련하여, 제4 양태의 제1 구현예에서, 생성 모듈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거나, 또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4 양태, 및 제4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4 양태의 제2 구현예에서, 판단 모듈은 N개의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N개의 결정 파라미터는 1차 링크의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고, 각각의 결정 파라미터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전송 부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N≥2이며, 생성 모듈은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따라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다.
제4 양태, 및 제4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4 양태의 제3 구현예에서, 송신 모듈은 1차 스테이션이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낼 때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추가하고,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도록 1차 스테이션에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보내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4 양태, 및 제4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4 양태의 제4 구현예에서, 생성 모듈은,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과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일 때, 전력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전력 표시 정보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다.
제4 양태, 및 제4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4 양태의 제5 구현예에서, 이 장치는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결정 모듈은 판단 모듈이 결정 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전송 파라미터는 전송 전력,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및 전송 대역폭을 포함한다.
제4 양태, 및 제4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4 양태의 제6 구현예에서, 결정 파라미터는 장치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이다.
제4 양태, 및 제4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4 양태의 제7 구현예에서,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결정 모듈은, 장치가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 모두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을 결정하고,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로부터 최소값을 결정하며, 최소값에 따라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4 양태, 및 제4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4 양태의 제8 구현예에서, 결정 모듈은, 식
Figure 112018047640598-pct00164
에 따라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에서 스테이션 k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이 수신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65
는 장치가 스테이션 k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166
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기 위해 스테이션 k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167
은 장치가 스테이션 k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요구되는 최소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를 나타내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68
는 스테이션 k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낼 때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을 나타낸다.
제4 양태, 및 제4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4 양태의 제9 구현예에서, 결정 모듈은, 식
Figure 112018047507354-pct00023
에 따라 1차 링크의 전송 대역폭에 대한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거나, 또는 식
Figure 112018047507354-pct00024
에 따라 N개의 전송 부대역폭에서의 m번째 부대역폭에 대한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Figure 112018047507354-pct00025
는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26
은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로부터 장치에 의해 결정된 최소값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27
는 1차 링크의 전송 대역폭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28
는 시스템에 예약된 리던던시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29
는 m번째 부대역폭에 대한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30
는 N개의 전송 부대역폭에서의 m번째 부대역폭을 나타내고, N≥2, 1≤m≤N이며, m과 N은 모두 양의 정수들이다.
제4 양태, 및 제4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4 양태의 제10 구현예에서, 송신 모듈은 1차 스테이션에 트리거 프레임을 보내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시그널링 A 필드 또는 트리거 프레임의 부하 정보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한다.
제5 양태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1차 링크 및 공간 재사용 링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1차 링크는 장치와 1차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 설정되며, 이 장치는,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보내진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됨 -; 및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 -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은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함 - 을 포함한다.
제5 양태와 관련하여, 제5 양태의 제1 구현예에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하거나, 또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제5 양태, 및 제5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5 양태의 제2 구현예에서,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존재할 때,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링크의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고, 각각의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전송 부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N≥2이며,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N개의 전송 부대역폭 각각 상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시그널링 A 필드에 추가되거나 - N≥2임 -, 또는 m번째 전송 부대역폭에 대응하는 m번째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N개의 전송 부대역폭에서의 m번째 전송 부대역폭 상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시그널링 A 필드에 추가되며, m≥1이다.
제5 양태, 및 제5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5 양태의 제3 구현예에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전력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전력 표시 정보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다.
제5 양태, 및 제5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5 양태의 제4 구현예에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되며, 결정 파라미터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장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이다.
제6 양태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1차 링크 및 공간 재사용 링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1차 링크는 1차 액세스 포인트와 1차 스테이션 사이에 설정되며, 이 장치는,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장치에 의해 사용됨 -; 및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제6 양태와 관련하여, 제6 양태의 제1 구현예에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장치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금지하는데 사용되는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할 때, 처리 모듈은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기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6 양태, 및 제6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6 양태의 제2 구현예에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장치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사용되는 제3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할 때, 처리 모듈은 제3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6 양태, 및 제6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6 양태의 제3 구현예에서,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존재하고,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링크의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고, 각각의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장치가 대응하는 전송 부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N≥2이며, 처리 모듈은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6 양태, 및 제6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6 양태의 제4 구현예에서, 장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전력 표시 정보를 포함할 때, 전력 표시 정보에 따라 장치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장치는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하고, 전송 모듈은 최대 전송 전력보다 크지 않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6 양태, 및 제6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6 양태의 제5 구현예에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제1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되고, 제1 결정 파라미터는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되며, 전송 파라미터는 전송 전력,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및 전송 대역폭을 포함한다.
제6 양태, 및 제6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6 양태의 제6 구현예에서, 장치 및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상이한 기본 서비스 세트들(BSS들)에 속한다.
제6 양태, 및 제6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6 양태의 제7 구현예에서, 장치 및 1차 액세스 포인트는 동일한 기본 서비스 세트(BSS)에 속하고, 공간 재사용 링크는 BSS에서 스테이션들 간의 D2D 전송에 사용된다.
제6 양태, 및 제6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6 양태의 제8 구현예에서, 처리 모듈은 D2D 전송 중에 데이터 프레임에 D2D 전송 표시 정보를 추가하도록 또한 구성되며, D2D 전송 표시 정보는 장치를 제외한 BSS에서의 D2D 스테이션이 이 D2D 전송 기회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데 사용된다.
제6 양태, 및 제6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6 양태의 제9 구현예에서, 제1 결정 파라미터는 장치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이다.
제6 양태, 및 제6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6 양태의 제10 구현예에서, 결정 모듈은 식
Figure 112018047507354-pct00031
에 따라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Figure 112018047507354-pct00032
는 최대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33
는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며,
Figure 112018047507354-pct00034
은 장치로부터 1차 액세스 포인트로의 전송 동안의 손실을 나타낸다.
제6 양태, 및 제6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제6 양태의 제11 구현예에서, 통신 시스템은 제3자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이 장치는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생성 모듈은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제3자 디바이스가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데 사용되며, 처리 모듈은 제3자 디바이스가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할 때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사용하는 것을 포기하도록 데이터 전송 중에 데이터 프레임에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1차 액세스 포인트는 결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장치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은 후에, 장치가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대응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중에 1차 링크와 공간 재사용 링크 간의 상호 간섭이 줄어들 수 있고, 전송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요구되는 첨부 도면들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이하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보여주고,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창조적인 노력들 없이 이들 첨부 도면들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여전히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적용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할당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할당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의 포맷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명확하게 설명한다. 명백히,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전부라기 보다는 일부이다. 창조적인 노력들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반하여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얻어지는 다른 모든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1차 링크 및 공간 재사용 링크를 각각 포함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 예를 들어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시스템, 및 802.11a, 802.11b, 802.11g, 802.11n 및 802.11ac로 대표되는 와이어리스 피델리티(Wi-Fi)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차세대 Wi-Fi 시스템, 차세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시스템 등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WLAN 내의 사용자 스테이션(STA)일 수 있다. 사용자 스테이션은 또한 시스템, 사용자 유닛, 액세스 단말, 모바일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지칭될 수 있다. STA는 셀룰러 폰, 무선 전화기 세트,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DA),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예를 들어, Wi-Fi)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형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WLAN 내의 AP일 수 있다. AP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UE와 통신하고, UE의 데이터를 네트워크측으로 전송하거나 네트워크측에서 UE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해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한 대신에 일례로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의 WLAN 시스템에서의 실행 처리 및 실행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A 1 및 STA 2가 액세스 포인트 AP 1(AP 1과 STA 1 사이의 링크 및 AP 1과 STA 2 사이의 링크는 이하에서 1차 링크로 총칭됨)에 업링크 데이터를 보낼 때, STA 5는 1차 링크(AP 2와 STA 5 사이의 링크는 이하에서 공간 재사용 링크로 지칭됨)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 AP 2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11ax 표준에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줄여서 OFDMA)가 도입되었다. 따라서, 1차 링크가 다운링크인 경우, 수신 스테이션은 1차 링크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줄여서 BSS)에서의 복수의 스테이션들일 수 있다. 복수의 스테이션들의 위치들이 공간 재사용 링크의 스테이션에 알려지지 않기 때문에, 일부 스테이션들이 공간 재사용 링크의 스테이션에 비교적 가까운 경우, 링크들 간의 상호 간섭이 증가한다. 1차 링크의 전송 품질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1차 링크의 수신 스테이션에 대한 공간 재사용 링크로 인한 간섭은 1차 링크가 견딜 수 있는 최대 간섭을 초과할 수 없다.
1차 링크가 업링크인 경우, 수신 스테이션은 AP 1에 의해 스케줄링된 스테이션들의 양과 관계없이 AP 1만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 경우, 공간 재사용 링크는 AP 1에만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나리오는 공간 재사용 전송에 보다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1차 링크가 다운링크인 시나리오에도 또한 적용가능하다.
도 1에서의 응용 시나리오만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AP 2가 속한 기본 서비스 세트 BSS 2는 더 많은 스테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고, BSS 1은 오직 하나의 스테이션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BSS 1 이외에, 통신 시스템에서의 1차 링크는 더 많은 BSS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공간 재사용 링크는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운링크 전송에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2개의 통신 노드 사이의 경로가 링크로 지칭됨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링크들이 1차 링크로 총칭된다. 따라서, 하나의 1차 링크가 있을 수 있거나 복수의 1차 링크들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1차 링크와 함께 공간 재사용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링크들이 공간 재사용 링크로 총칭된다. 따라서, 하나의 공간 재사용 링크가 있을 수 있거나 복수의 공간 재사용 링크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1차 링크의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이 각각 1차 액세스 포인트 및 1차 스테이션으로 지칭됨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공간 재사용 링크가 업링크일 수 있거나 다운링크일 수 있다. 즉, 공간 재사용 링크의 액세스 포인트와 스테이션은 모두 공간 재사용 링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공간 재사용 링크의 액세스 포인트 및 스테이션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로 총칭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한 대신에 예로서 1차 링크가 업링크인 경우를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1차 액세스 포인트의 관점에서 설명된 데이터 전송 방법(100)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100)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110. 1차 액세스 포인트는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며, 결정 처리는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S120. 1차 액세스 포인트는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따라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S130.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보낸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1차 액세스 포인트는, 먼저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여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는지 여부, 및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공간 재사용 링크 상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야기된 간섭이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 다음, 1차 액세스 포인트는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따라, 결정 결과에 대응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1차 액세스 포인트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은 후에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 상의 데이터 전송에 야기된 간섭을 피하기 위해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보낸다.
구체적으로, S110에서 1차 액세스 포인트가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이력 정보에 따라 직접 결정을 수행하거나(즉, 방식 1), 또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1차 링크에 관련된 정보에 따라 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그 다음 결정된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한다(즉, 방식 2).
방식 1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시구간(예를 들어, 현재 시간의 T초 이전)에서 청취에 의해 얻어지는, 주변 BSS의 어떤 전송이 1차 액세스 포인트에 간섭을 야기하는지를 사용하여 간섭 전력에 관한 통계치를 수집하고, 그 다음 통계치 수집 후에 얻어지는 최대 간섭 전력값(또는 평균 간섭 전력값, 또는 특정 확률보다 더 낮은 확률로 발생하는 간섭 전력값)을 임계값(또는 범위)과 비교한다. 최대 간섭 전력값이 임계값보다 더 크거나 범위를 벗어나면, 재사용 전송이 허용되지 않으며, 그렇지 않다면 재사용 전송이 허용된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한 대신에 일례로서, 1차 링크가 20MHz 전송 대역폭을 갖는 예가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시구간(예를 들어, 현재 시간의 T초 이전)에서 20MHz 전송 대역폭 상에서 청취에 의해 얻어지는, 주변 BSS의 어떤 전송이 1차 액세스 포인트에 간섭을 야기하는지를 사용하여 간섭 전력에 관한 통계치를 수집하고, 그 다음 통계치 수집 후에 얻어지는 최대 간섭 전력값(또는 평균 간섭 전력값, 또는 특정 확률보다 더 낮은 확률로 발생하는 간섭 전력값)을 임계값(또는 범위)과 비교할 수 있다. 최대 간섭 전력값이 임계값보다 더 크거나 범위를 벗어나면, 데이터 전송의 이 시간 동안 재사용 전송이 허용되지 않으며, 그렇지 않다면 데이터 전송의 이 시간 동안 재사용 전송이 허용된다.
방식 2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이 업링크 전송 시간 동안 1차 스테이션이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낼 때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그 다음 그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한다.
방식 2에서, 1차 스테이션이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스케줄링되기 때문에, 1차 액세스 포인트는 1차 스테이션이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낼 때 사용되는 관련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전송 전력, 1차 스테이션이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낼 때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 및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줄여서 MCS)과 같은 1차 스테이션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이들 전송 파라미터들에 따라 계산함으로써, 1차 액세스 포인트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을 얻을 수 있고, 그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 처리를 위한 결정 파라미터로서 사용하여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재사용 전송이 허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간섭 전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더 큰 경우, 재사용 전송이 허용되거나, 또는 최대 간섭 전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더 작은 경우, 재사용 전송이 금지된다.
예를 들어, 1차 액세스 포인트는 20MHz 전송 대역폭 상에서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도록 스케줄링된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20MHz 대역폭 상에서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링크 상에서, 1차 액세스 포인트 AP 1은 1차 스테이션들, 즉 STA 1, STA 6, STA 7 및 STA 8을 스케줄링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스테이션 STA 1은 BWSTAk1의 전송 대역폭을 사용하고, 스테이션 STA 7은 BWSTAk7의 전송 대역폭을 사용하며, 스테이션 STA 6과 스테이션 STA 8은 BWSTAk6/BWSTAk8의 동일한 전송 대역폭을 사용한다. 이 경우, 1차 액세스 포인트 AP 1은 20MHz에 기반하고 또한 1차 스테이션들, 즉 STA 1, STA 6, STA 7 및 STA 8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들에 따라 최대 간섭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1차 액세스 포인트는 또한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MCS에 따라 결정 처리를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MCS의 인덱스가 5 이상인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재사용 전송이 허용되거나, 또는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MCS의 인덱스가 5보다 작으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재사용 전송이 금지된다.
MCS의 인덱스가 5인 예만이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MCS의 인덱스가 3 이상인 경우, 재사용 전송이 허용되거나, 또는 MCS의 인덱스가 3보다 작으면, 재사용 전송이 금지된다. 더욱이, MCS의 인덱스는 또한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1차 액세스 포인트가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N개의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N개의 결정 파라미터는 1차 링크의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고, 각각의 결정 파라미터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전송 부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N≥2이다.
이에 대응하여, 이 경우에, 1차 액세스 포인트는 N개 조각(piece)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특정 프로세스는 이하의 S120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결정 처리를 수행할 때, 1차 액세스 포인트는 1차 링크의 총 전송 대역폭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총 전송 대역폭을 복수의 전송 부대역폭들로 분할하고, 결정 처리를 별도로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전송 부대역폭에 있어서, 전송 부대역폭은 결정 처리를 위해 더 작은 부대역폭들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1차 링크가 40MHz 전송 대역폭을 갖는 예가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1차 액세스 포인트는 40MHz 대역폭을 2개의 20MHz 부대역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 다음,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시구간(예를 들어, 현재 시간의 T초 이전)에서 2개의 20MHz 부대역폭 각각 상에서 청취에 의해 얻어지는, 주변 BSS의 어떤 전송이 1차 액세스 포인트에 간섭을 야기하는지를 사용하여 간섭 전력에 관한 통계치를 수집하고, 그 다음 각각의 20MHz 부대역폭 상에서 통계치 수집 후에 얻어지는 최대 간섭 전력값(또는 평균 간섭 전력값, 또는 특정 확률보다 더 낮은 확률로 발생하는 간섭 전력값)을 임계값(또는 범위)과 비교하여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재사용 전송이 2개의 20MHz 부대역폭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를 별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2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1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이 제1 20MHz 부대역폭에 대해 금지됨을 나타내고, 제2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이 제2 20MHz 부대역폭에 대해 허용됨을 나타낸다. 재사용 전송 중에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대역폭이 제1 20MHz 부대역폭이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재사용 전송 중에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대역폭이 제2 20MHz 부대역폭 또는 제2 20MHz 부대역폭의 일부이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1차 액세스 포인트는 먼저 N개의 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그 다음 N개의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액세스 포인트는 먼저 40MHz 전송 대역폭을 2개의 20MHz 부대역폭으로 분할하고, 그 다음 1차 액세스 포인트는 2개의 20MHz 부대역폭 각각에 대한 결정 파라미터를 계산한다. 제1 20MHz 대역폭에 대한 결정 파라미터를 계산할 때,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제1 20MHz 부대역폭에 기반하고 또한 제1 20MHz 대역폭 상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보내는 1차 스테이션 1, 1차 스테이션 2, 1차 스테이션 3 및 1차 스테이션 6의 업링크 전송 파라미터들에 따라 제1 20MHz에 대한 결정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제2 20MHz 대역폭에 대한 결정 파라미터를 계산할 때,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제2 20MHz 부대역폭에 기반하고 또한 제2 20MHz 대역폭 상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보내는 1차 스테이션 4, 1차 스테이션 5, 1차 스테이션 7 및 1차 스테이션 8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들에 따라 제2 20MHz 대역폭에 대한 결정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그 다음,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제1 20MHz 대역폭에 대한 계산에 의해 얻어진 결정 파라미터와 제2 20MHz 대역폭에 대한 계산에 의해 얻어진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별도로 수행한다.
다른 예로서, 1차 액세스 포인트는 40MHz 대역폭을 2개의 20MHz 부대역폭으로 분할하고, 그 다음 이력 정보에 따라 제1 20MHz 부대역폭에 대한 결정 처리를 수행하여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재사용 전송이 제1 20MHz 부대역폭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20MHz 부대역폭의 경우, 1차 액세스 포인트는 먼저 제2 20MHz 부대역폭 상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보내는 1차 스테이션의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제2 20MHz 부대역폭에 대한 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그 다음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여 재사용 전송이 제2 20MHz 부대역폭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더욱이, 1차 액세스 포인트는 또한 1차 스테이션에 할당된 실제 점유 대역폭에 따라 결정 파라미터를 별도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20MHz 부대역폭에서, 스테이션 1에는 7MHz 전송 대역폭을 할당하고, 스테이션 2에는 5MHz 전송 대역폭을 할당하며, 스테이션 3에는 7.5MHz 전송 대역폭을 할당한다. 이 경우, 1차 액세스 포인트는 7MHz 대역폭, 5MHz 대역폭 및 7.5MHz 대역폭 각각에 따라 대응하는 대역폭에 대한 결정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1차 링크가 40MHz 전송 대역폭을 갖는 예만이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차 링크는 예를 들어 80MHz 대역폭 또는 160MHz 대역폭과 같이 더 큰 전송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1차 링크가 더 큰 전송 대역폭을 가질 때 사용되는 결정 파라미터 결정 방법은 1차 링크가 40MHz 전송 대역폭을 가질 때 사용되는 방법과 유사하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1차 링크가 20MHz 부대역폭을 갖는 예만이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차 링크가 20MHz 전송 대역폭을 갖는 경우, 1차 링크는 10MHz 부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1차 링크가 80MHz 전송 대역폭을 갖는 경우, 1차 링크는 40MHz 부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복수개 조각들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이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전송 대역폭에 대응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재사용 전송은 1차 링크의 제1 20MHz 부대역폭에 대해 허용되며, 재사용 전송은 1차 링크의 제2 20MHz 부대역폭에 대해 금지된다.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에 대응하는 20MHz 대역폭이 1차 링크의 제2 20MHz 부대역폭이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제2 20MHz 부대역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거나, 또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에 대응하는 20MHz 대역폭이 1차 링크의 제1 20MHz 부대역폭이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재사용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은 1차 링크의 제2 20MHz 부대역폭에 대응하고, 제2 20MHz 부대역폭에 대응하는 수신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재사용 전송이 허용됨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1차 링크 상에서 허용될 수 있는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낸다. 이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재사용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최대 간섭 전력에 따라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재사용 전송 중에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계산할 필요가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중에 사용되는 전송 전력은 1차 링크에 야기된 가능한 간섭을 줄이기 위해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중에 1차 링크와 공간 재사용 링크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고, 전송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임의적으로, 결정 파라미터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이다.
즉, 결정 처리를 수행할 때, 1차 액세스 포인트는 1차 스테이션이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낼 때 허용될 수 있는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 파라미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통신 시스템이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을 포함할 때, 1차 액세스 포인트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은,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 모두에 의해 사용되는 업링크 전송 파라미터들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 모두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을 결정하는 것,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로부터 최소값을 결정하는 것, 및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최소값에 따라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시스템에 복수의 1차 스테이션들이 존재하는 경우, 1차 액세스 포인트는 각각의 스테이션의 업링크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이 있다. 1차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의 1차 스테이션들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을 효과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즉 1차 액세스 포인트가 각각의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공간 재사용 링크에 의해 야기된 간섭은 1차 액세스 포인트가 견딜 수 있는 간섭 한계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1차 액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최대 간섭 밀도들 중에서 최소값을 선택하고, 최소값에 따라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임의적으로,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 모두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들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 모두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을 결정하는 것은,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식
Figure 112018047640598-pct00169
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에서 스테이션 k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70
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스테이션 k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171
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기 위해 스테이션 k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172
은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스테이션 k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요구되는 최소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를 나타내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73
는 스테이션 k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낼 때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1차 스테이션은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스케줄링되어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는 스테이션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스테이션 k는 스테이션 1, 스테이션 6, 스테이션 7 또는 스테이션 8일 수 있다. 도 4에서, 제1 20MHz 부대역폭 상의 스테이션 k는 스테이션 1, 스테이션 2, 스테이션 3 또는 스테이션 6일 수 있으며, 제2 20MHz 부대역폭 상의 스테이션 k는 스테이션 4, 스테이션 5, 스테이션 7 또는 스테이션 8일 수 있다.
1차 스테이션의 전송 전력은 1차 스테이션과 AP 1 사이의 전송 동안의 손실로 나눠져서 AP 1의 수신 전력을 얻는다. 수신 전력은 요구되는 최소 SINR로 나눠져서 AP 1이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을 얻는다. 그 다음, 최대 간섭 전력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으로 나눠져서 AP 1이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를 얻는다.
1차 스테이션이 AP 1에 의해 스케줄링되기 때문에, AP 1은 1차 스테이션의 전송 전력, 할당된 전송 대역폭, MCS 및 이와 유사한 정보를 학습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할당된 전송 대역폭을 사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데 요구되는 최소 SINR을 얻을 수 있다. 또한, AP 1은 이력 정보에 따라 1차 스테이션으로부터 AP 1로의 전송 동안의 손실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에 의해 업링크 요청 프레임을 보낼 때, 1차 스테이션은 대개 표준에 지정된 최대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업링크 요청 프레임을 보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AP 1은 AP 1이 업링크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데 사용하여 지정된 최대 전송 전력 및 수신 전력에 따라 전송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최소값에 따라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는 것은,
Figure 112018047507354-pct00040
에 따라 1차 링크의 전송 대역폭에 대한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는 것, 또는 식
Figure 112018047507354-pct00041
에 따라 N개의 전송 부대역폭에서의 m번째 부대역폭에 대한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Figure 112018047507354-pct00042
는 1차 액세스 포인트 AP 1이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43
은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로부터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된 최소값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44
는 1차 링크의 전송 대역폭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45
는 시스템에 예약된 리던던시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46
는 m번째 부대역폭에 대한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며,
Figure 112018047507354-pct00047
는 N개의 전송 부대역폭에서의 m번째 부대역폭을 나타낸다.
최대 간섭 전력이 다른 논리 변형일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Figure 112018047507354-pct00048
이며,
Figure 112018047507354-pct00049
는 1차 액세스 포인트 AP 1의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즉,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할 때, 1차 액세스 포인트는 1차 링크의 총 전송 대역폭에 따라 계산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총 전송 대역폭보다 작은 부대역폭에 기반하여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링크가 40MHz 총 전송 대역폭을 갖는다면, 공간 재사용 전송 파라미터는 2개의 20MHz 부대역폭 각각에 대해 계산된다. 1차 링크가 더 큰 전송 대역폭을 갖는 경우, 이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공간 재사용 전송 파라미터가 계산될 수 있다. 최소값은 제1 20MHz 부대역폭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최대 간섭 전력 밀도로부터 선택되고, 최소값은 제1 부대역폭의 대역폭 값(즉, 20MHz 대역폭)으로 곱해지고, 그 다음 시스템 리던던시 계수가 곱셈 후에 얻어진 값으로부터 감산되어 AP 1이 제1 기본 부대역폭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을 얻는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m=1일 때, 스테이션 k는 스테이션 1, 스테이션 2, 스테이션 3 또는 스테이션 6일 수 있거나, 또는 m=2일 때, 스테이션 k는 스테이션 4, 스테이션 5, 스테이션 7 또는 스테이션 8일 수 있다.
시스템의 리던던시(
Figure 112018047507354-pct00050
)는 또한 시스템의 리던던시 계수로 지칭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리던던시는 미리 합의된 고정 값일 수 있거나, 또는 미리 합의된 방법에 따른 계산에 의해 얻어진 값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리던던시는 0일 수 있다.
최소값은 계산에 의해 얻어진 최대 간섭 전력 밀도 값들로부터 선택되고, 그 다음 최소값은 총 전송 대역폭으로 곱해진다. 예를 들어, 1차 링크가 20MHz 총 전송 대역폭을 갖는 경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74
=20MHz 대역폭이다. 다른 예를 들면, 1차 링크가 40MHz 총 전송 대역폭을 갖는 경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75
=40MHz 대역폭이다. 그 다음, 곱셈 후에 얻어진 값은 시스템에 예약된 리던던시로 나눠져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이 수신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을 얻는다.
위 식에 따라 최대 간섭 전력을 계산할 때, 그 계산이 데시벨 단위로 수행된다면, 이 식은 또한
Figure 112018047640598-pct00176
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최소 간섭 전력 밀도 값에 1차 링크의 총 전송 대역폭을 곱한 다음, 곱셈 후에 얻어진 값으로부터 시스템에 예약된 리던던시를 감산하여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이 수신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을 얻는다. 따라서, 계산 중에 사용되는 상이한 단위들에 따라 계산식의 논리 형태가 변하는 변형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 내에 들어야 한다.
S120에서, 1차 액세스 포인트는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따라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임의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하거나, 또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는 것이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결정 처리 후에, 1차 액세스 포인트는 결정 결과에 대응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1차 액세스 포인트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서 1비트를 사용하여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재사용 전송이 허용되는지 또는 금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1차 액세스 포인트는 4비트를 사용하여 결정 파라미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0000"은 -80dBm의 허용된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0001"은 -75dBm의 허용된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1111"은 -5dBm의 허용된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1차 액세스 포인트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서 1비트를 사용하여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재사용 전송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4비트를 사용하여 결정 파라미터를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1차 액세스 포인트는 4비트의 모든 "0" 조합을 사용하여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재사용 전송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나머지 비트 조합을 사용하여 결정 파라미터를 나타내거나, 또는 1차 액세스 포인트는 4비트의 모든 "1" 조합을 사용하여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재사용 전송이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나머지 비트 조합을 사용하여 결정 파라미터를 나타내거나, 또는 1차 액세스 포인트는 4비트의 모든 "1" 조합을 사용하여 무조건적인 허용을 나타내거나 4비트의 모든 "0" 조합을 사용하여 무조건적인 금지를 나타낸다.
무조건적인 허용 또는 무조건적인 금지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전송 전력에 대한 요건을 갖지 않음을 나타낸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임의적으로, 1차 액세스 포인트가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따라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것은,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N개의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고,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액세스 포인트는 먼저 40MHz 전송 대역폭을 2개의 20MHz 부대역폭으로 분할하고, 그 다음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제1 20MHz 부대역폭에 대한 결정 파라미터와 제2 20MHz 부대역폭에 대한 결정 파라미터를 별도로 계산한다. 그 다음,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제1 20MHz 대역폭에 대한 계산에 의해 얻어진 결정 파라미터와 제2 20MHz 대역폭에 대한 계산에 의해 얻어진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별도로 수행한다. 즉, 한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각각의 20MHz 부대역폭에 대해 생성된다.
다른 예로서,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이력 정보에 따라 제1 20MHz 부대역폭에 대한 결정 처리를 수행하여 제1 20MHz 부대역폭에 대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할 수 있으며, 그 다음 1차 액세스 포인트는 먼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제2 20MHz 부대역폭에 대한 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그 다음 결정된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제2 20MHz 부대역폭에 대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이 경우, 2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생성된다. 따라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나타내는데 8비트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0 내지 b3은 제1 부대역폭에 대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b4 내지 b7은 제2 부대역폭에 대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또 다른 예로서,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이력 정보에 따라 제1 20MHz 부대역폭 및 제2 20MHz 부대역폭 모두에 대한 결정 처리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한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각각의 20MHz 부대역폭에 대해 생성된다. 이 경우,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재사용 전송이 2개의 20MHz 부대역폭 각각에 대해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2비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1차 액세스 포인트는 1차 링크의 전송 대역폭에 따라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할 수 있거나, 또는 1차 링크의 전송 대역폭보다 더 작은 부대역폭에 기반하여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수신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르고 또한 1차 링크의 전송 대역폭과 재사용 전송 중에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 간의 대응을 참조하여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지 여부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링크에 재사용 전송에 의해 야기된 간섭이 줄어들 수 있으며, 전송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일 때,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전력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전력 표시 정보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한다.
전력 표시 정보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최대 간섭 전력의 다른 논리 변형일 수 있는 다른 파라미터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1차 액세스 포인트는 결정 처리 후에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더욱이, 전력 표시 정보는 또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재사용 전송이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학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학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1차 링크 상의 데이터 전송에 어떠한 간섭도 야기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차 액세스 포인트는 1비트를 사용하여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재사용 전송이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또한 4비트를 사용하여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낼 수 있거나, 또는 1차 액세스 포인트는 4비트의 특정 값들의 그룹을 사용하여 재사용 전송이 허용되는지 또는 금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4비트의 값들의 나머지 그룹을 사용하여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전력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재사용 전송 중에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최대 전송 전력보다 크지 않은 전력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1차 링크와 공간 재사용 링크 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중에 1차 링크와 공간 재사용 링크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고, 전송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S130에서,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보낸다.
임의적으로, 1차 액세스 포인트는 1차 스테이션이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낼 때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추가하고,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도록 1차 스테이션에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보낸다.
구체적으로, 1차 액세스 포인트는 트리거 프레임을 1차 스테이션에 보내어 1차 스테이션이 업링크 데이터를 보내도록 스케줄링한다. 시그널링 A 필드 또는 트리거 프레임의 부하 정보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한다.
이에 대응하여, 1차 스테이션은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보내진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고,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후속하여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한다.
즉,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공간 재사용 전송 파라미터를 수신한다. 공간 재사용 전송 파라미터는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1차 스테이션에 보내지는 트리거 프레임으로부터 얻을 수 있거나, 또는 1차 스테이션에 의해 1차 액세스 포인트에 보내지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그 다음,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금지하는데 사용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 A(즉,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의 일례)를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수신한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다. 다른 예로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사용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 B(즉,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의 일례)를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수신한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 B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명백하게,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재사용 전송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하더라도,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링크에 관한 다른 정보를 참조하여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포기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기타 등등.
1차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개 조각들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보내는 경우, 1차 스테이션은 이에 대응하여 복수개 조각들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1차 스테이션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할 때 이에 대응하여 복수개 조각들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특정한 추가 방식이 도 6에서의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링크는 20MHz 기본 대역폭을 가지며, 각각의 20MHz 대역폭 상의 SIGA 필드는 대응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한다, 즉 20MHz 대역폭들 상의 SIGA 필드들은 상이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링크는 20MHz 기본 부대역폭을 가지며, 각각의 20MHz 대역폭 상의 SIGA 필드는 모든 조각들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한다, 즉 20MHz 대역폭들 상의 SIGA 필드들은 동일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할 수 있다.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하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으로부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전송 대역폭에 대응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파라미터를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공간 재사용 전송 중에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에 대응하는 20MHz 대역폭이 1차 링크의 제2 20MHz 전송 부대역폭인 경우, 비트들 b4 내지 b7에 대응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파라미터가 선택되어 대응하는 허용된 최대 간섭 전력을 얻는다. 다른 예로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2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재사용 전송은 제1 20MHz 전송 부대역폭에 대해 금지되며, 재사용 전송은 제2 20MHz 전송 부대역폭에 대해 허용된다.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이 1차 링크의 제2 20MHz 부대역폭에 대응하는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제2 20MHz 부대역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이 1차 링크의 제1 20MHz 전송 부대역폭에 대응하는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이 재사용 전송 기회만을 포기할 수 있다.
재사용 전송 중에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할 때,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식
Figure 112018047507354-pct00054
에 따라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Figure 112018047507354-pct00055
는 최대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56
는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며,
Figure 112018047507354-pct00057
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로부터 1차 액세스 포인트로의 전송 동안의 손실을 나타낸다.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이 20MHz 대역폭이 아니라 20MHz 대역폭에서의 점유된 부채널인 경우, 예를 들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AP 2에 의해 스케줄링된 업링크 스테이션이고, AP 2는 20MHz 대역폭보다 작은 BWSR의 전송 대역폭을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할당하며, 최대 전송 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보다 엄격한 방식은
Figure 112018047640598-pct00177
이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78
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대역폭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179
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대역폭이 속한 1차 링크의 총 전송 대역폭 또는 부대역폭의 대역폭 값이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이에 대응하여, 재사용 전송 중에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대역폭이 1차 링크의 부대역폭보다 더 큰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1차 링크이고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에 포함되는 부대역폭 세트에 대응하는 최대 간섭 전력값들로부터 최소값을 선택하여 재사용 전송 중에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40MHz 전송 대역폭을 사용하고, 1차 링크가 20MHz 부대역폭, 10MHz 부대역폭 및 10MHz 부대역폭을 갖는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20MHz 대역폭, 10MHz 대역폭 및 10MHz 대역폭을 포함하는 기본 부대역폭 세트에 대응하는 최대 간섭 전력값들로부터 최소값을 선택하여 재사용 전송 중에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계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 C(즉,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의 일례)를 생성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 C는 제3자 디바이스가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 C를 수신할 때 통신 시스템 내의 제3자 디바이스가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에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제3자 디바이스가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사용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재사용 전송 중에 보내진 데이터 프레임에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한다. 이 경우, 통신 시스템에 제3자 디바이스가 있고, 제3자 디바이스가 1차 액세스 포인트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 모두에 비교적 가까운 경우, 제3자 디바이스는 청취에 의해 1차 액세스 포인트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취에 의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보내진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제3자 디바이스가 청취에 의해 1차 링크 상에서 재사용 전송을 허용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얻더라도,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제3자 디바이스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와 동시에 재사용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하기 때문에, 제3자 디바이스는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사용할 수 없다.
이 실시예에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제3자 디바이스와 동시에 재사용 전송을 수행하기를 원하지 않기 때문에,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어떠한 결정 처리도 수행하지 않고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직접 생성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제2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고, 그 다음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따라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결정 파라미터가 공간 재사용 링크와 관련된 파라미터임을 이해해야 한다.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제2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제3자 디바이스가 공간 재사용 링크 상에서 재사용 전송을 수행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 처리를 수행하고, 이에 대응하여 공간 재사용 링크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즉,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할 수 있다.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제2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프로세스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결정 처리를 수행하고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방법과 유사하다는 점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제3자 디바이스의 재사용 전송을 금지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명백히,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제3자 디바이스의 재사용 전송이 허용된다는 것을 또한 나타낼 수 있다. 재사용 전송이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낼 때,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제3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제2 결정 파라미터 또는 최대 전송 전력을 추가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공간 재사용 링크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즉,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의 일례)을 생성하는 기능은 1차 액세스 포인트가 1차 링크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기능과 유사하며, 생성 프로세스들 및 방법들 또한 유사하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 및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상이한 BSS들에 속할 수 있거나 동일한 BSS에 속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 및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상이한 BSS들에 속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 및 1차 액세스 포인트가 동일한 BSS에 속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1차 액세스 포인트 및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동일한 BSS에 속하는 경우, 1차 링크는 BSS에서의 업링크 다중사용자 UL MU 전송에 사용되며, 공간 재사용 링크는 동일한 BSS에서의 D2D 전송에 사용된다. 이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또한 D2D 전송 스테이션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SR 전송은 D2D 전송이다.
구체적으로, D2D 전송 스테이션은 트리거 프레임 또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트리거 프레임 또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이 BSS의 전송 프레임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트리거 프레임 또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이 BSS의 전송 프레임인 경우, D2D 전송 중에 허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은 트리거 프레임 또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서 운반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계산된다. 트리거 프레임 또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이 BSS의 전송 프레임이 아닌 경우, D2D 전송 중에 허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은 기존의 표준 절차에 따라 계산될 수 있거나, 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절차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D2D 전송 스테이션은 전송 프레임의 프리앰블에서 SIGA 필드 내의 1비트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현재의 전송이 D2D 전송인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1"은 전송 프레임이 D2D 데이터 프레임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0"은 전송 프레임이 공통 데이터 프레임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BSS 내의 다른 D2D 전송 스테이션이 BSS의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한 후, 다른 D2D 전송 스테이션은 전술한 절차에 따라 D2D 전송 중에 허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을 계산하고, 후속하여 가용 채널 평가(CCA) 검출이 수행된다. CCA 검출이 성공하고, 다른 D2D 전송 스테이션이 또한 랜덤 백오프 프로세스에서 BSS의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다른 D2D 전송 스테이션이 데이터 프레임에서의 1비트 표시 정보가 "1"이라고 결정하면, 다른 D2D 전송 스테이션은 D2D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종료되기 전에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포기하거나, 또는 다른 D2D 전송 스테이션이 1비트 표시 정보가 "0"이라고 결정하면, 다른 D2D 전송 스테이션은 재사용 절차를 계속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1차 액세스 포인트는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은 후에,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대응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따라서, 1차 링크와 공간 재사용 링크 간의 간섭이 줄어들 수 있고, 전송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1차 액세스 포인트의 관점에서 전술하였다. 이하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1차 스테이션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1차 스테이션의 관점에서 설명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200)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200)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210. 1차 스테이션은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보내진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어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S220. 1차 스테이션은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며,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은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한다.
구체적으로, 1차 스테이션은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보내진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후속하여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한다.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결정 결과에 대응한다. 결정 결과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한 후에 얻어진다. 결정 처리는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프리앰블 내의 시그널링 A 필드에 있을 수 있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하거나, 또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는 것이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존재하고,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링크의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고, 각각의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전송 부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N≥2이다.
1차 스테이션이 1차 액세스 포인트에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는 것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N개의 전송 부대역폭 각각 상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시그널링 A 필드에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하는 것 - N≥2임 -, 또는 N개의 전송 부대역폭에서의 m번째 전송 부대역폭 상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시그널링 A 필드에 m번째 전송 부대역폭에 대응하는 m번째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하는 것 - m≥1임 - 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1차 스테이션이 복수개 조각들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때문에, 1차 스테이션은 복수개 조각들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프리앰블 내의 시그널링 A 필드에 추가한다. 특정한 추가 방식이 도 6에서의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링크는 20MHz 기본 대역폭을 가지며, 각각의 20MHz 대역폭 상의 SIGA 필드는 대응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한다, 즉 20MHz 대역폭들 상의 SIGA 필드들은 상이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링크는 20MHz 기본 부대역폭을 가지며, 각각의 20MHz 대역폭 상의 SIGA 필드는 모든 조각들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한다, 즉 20MHz 대역폭들 상의 SIGA 필드들은 동일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복수개 조각들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한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전송 대역폭에 대응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사용 전송 중에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20MHz 대역폭이 1차 링크의 제2 20MHz 부대역폭에 대응할 때, 비트들 b4 내지 b7에 대응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선택되어 대응하는 허용된 최대 간섭 전력을 얻는다. 그 다음, 재사용 전송 중에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이 추가로 계산된다.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이 1차 링크의 부대역폭보다 더 큰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을 포함하는 부대역폭 세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간 재사용 전송 파라미터들로부터 최소값을 선택하여 재사용 전송 중에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계산할 필요가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20MHz 부대역폭보다 더 큰 40MHz 전송 대역폭을 사용한다.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비트들 b0 내지 b7에 대응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파라미터들로부터 최소값을 선택하여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계산할 필요가 있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전력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전력 표시 정보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된다. 결정 파라미터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이다.
1차 스테이션은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고, 그 다음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여 1차 링크에 대한 간섭을 줄이도록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고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하도록 스케줄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중에 1차 링크와 공간 재사용 링크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고, 전송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관점에서 설명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300)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300)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310.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어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S320.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한다.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제1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한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대응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결정 처리는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1차 스테이션에 보내진 트리거 프레임으로부터 얻을 수 있거나, 또는 1차 스테이션에 의해 1차 액세스 포인트에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그 다음,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으로부터, 1차 링크 상의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는 동안 공간 재사용 링크 상의 재사용 전송이 금지된다는 것을 학습할 수 있거나, 또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허용한다는 것을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으로부터 학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중에 1차 링크와 공간 재사용 링크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고, 전송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임의적으로,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금지하는데 사용되는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기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사용되는 제3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제3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동시 전송을 수행할 수 있음을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으로부터 학습할 때,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표시된 공간 재사용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링크에 관한 다른 정보를 참조하여 이 동시 전송 기회를 포기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존재하고,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링크의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고, 각각의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전송 부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N≥2이다.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N개 조각의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트리거 프레임 또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트리거 프레임 또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이 현재의 BSS의 전송 프레임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트리거 프레임 또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이 현재의 BSS의 전송 프레임이 아닌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트리거 프레임 또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서 운반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대응하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공간 재사용 전송 파라미터를 운반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공간 재사용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공간 재사용 전송 중에 허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
Figure 112018047640598-pct00180
을 계산할 수 있으며, 식에서의
Figure 112018047640598-pct00181
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전송 대역폭에 대응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는 허용된 최대 간섭 전력이다. 예를 들어, 공간 재사용 전송 중에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에 대응하는 20MHz 대역폭이 1차 링크의 제2 20MHz 전송 부대역폭인 경우, 비트들 b4 내지 b7에 대응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파라미터가 선택되어 대응하는 허용된 최대 간섭 전력을 얻는다.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가용 채널 평가(CCA)가 수행된다. CCA 검출이 성공하면, 랜덤 백오프가 종료된 후, 데이터 패킷은
Figure 112018047640598-pct00182
보다 크지 않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보내질 수 있다. CCA 검출 방법은 기존의 표준, 예를 들어 11n 또는 11ac에서의 CCA 검출 방법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새로운 검출 방법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수신된 1차 링크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자) 값에 따라 CCA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CCA 검출 임계값에 1차 링크 상에서 수신된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 내의 SIGA 필드의 종료 순간 또는 종료 순간 이전의 S초에 대응하는 RSSI 값을 설정한다.
다른 예로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2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동시 전송은 제1 20MHz 전송 부대역폭에 대해 금지되며, 동시 전송은 제2 20MHz 전송 부대역폭에 대해 허용된다. 따라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1차 링크의 제2 20MHz 전송 부대역폭을 사용하여 재사용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40MHz 대역폭을 사용하여 재사용 전송을 수행하고, 1차 링크의 전송 대역폭이 20MHz 부대역폭, 10MHz 부대역폭 및 10MHz 부대역폭으로 분할되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20MHz 대역폭, 10MHz 대역폭 및 10MHz 대역폭을 포함하는 기본 부대역폭 세트에 대응하는 최대 간섭 전력값들로부터 최소값을 선택하여 동시 전송 중에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계산할 필요가 있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제1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된다. 제1 결정 파라미터는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업링크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된다. 업링크 전송 파라미터는 전송 전력,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및 전송 대역폭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제1 결정 파라미터가 또한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이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는 관련 파라미터로서 고려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결정 파라미터는 1차 스테이션의 전송 전력,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및 전송 대역폭일 수 있거나, 또는 1차 액세스 포인트의 MCS 및 수신 전력일 수 있다.
임의적으로,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과가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일 때,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전력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전력 표시 정보에 따라 결정하고, 최대 전송 전력보다 크지 않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이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전력 표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력 표시 정보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일 수 있다.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최대 간섭 전력에 따라 재사용 전송 중에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하여 데이터 전송 중에 1차 링크와 공간 재사용 링크 간의 상호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 및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상이한 기본 서비스 세트들(BSS들)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 및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상이한 BSS들에 속할 수 있거나 동일한 BSS에 속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 및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상이한 BSS들에 속하는 것을 전제로 전술한 설명들 모두가 주어졌다. 이하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 및 1차 액세스 포인트가 동일한 BSS에 속하는 경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임의적으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 및 1차 액세스 포인트는 동일한 기본 서비스 세트(BSS)에 속하며, 공간 재사용 링크는 BSS 내의 스테이션들 간의 D2D 전송에 사용된다.
즉, 1차 액세스 포인트 및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동일한 BSS에 속할 때, 1차 링크는 BSS 내의 업링크 다중사용자 UL MU 전송에 사용되며, 공간 재사용 링크는 동일한 BSS 내의 스테이션들 간의 D2D(device-to-device) 전송에 사용된다. 이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또한 D2D 전송 스테이션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SR 전송은 D2D 전송이다.
임의적으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D2D 전송 중에 데이터 프레임에 D2D 전송 표시 정보를 추가하는 것을 포함하며, D2D 전송 표시 정보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를 제외한 BSS에서의 D2D 스테이션이 이 D2D 전송 기회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D2D 전송 스테이션은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하는 트리거 프레임 또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트리거 프레임 또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이 BSS의 전송 프레임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트리거 프레임 또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이 BSS의 전송 프레임인 경우, D2D 전송 중에 허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은 트리거 프레임 또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서 운반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계산된다. 트리거 프레임 또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이 BSS의 전송 프레임이 아닌 경우, D2D 전송 중에 허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은 기존의 표준 절차에 따라 계산될 수 있거나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절차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D2D 전송 스테이션은 전송 프레임의 프리앰블 내의 시그널링 A 필드에서 1비트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현재의 전송이 D2D 전송인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1"은 전송 프레임이 D2D 데이터 프레임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0"은 전송 프레임이 공통 데이터 프레임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BSS 내의 다른 D2D 전송 스테이션이 BSS의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한 후, 다른 D2D 전송 스테이션은 전술한 절차에 따라 D2D 전송 중에 허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을 계산하고, 후속하여 CCA 검출이 수행된다. CCA 검출이 성공하고, 다른 D2D 전송 스테이션이 또한 랜덤 백오프 프로세스에서 BSS의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다른 D2D 전송 스테이션이 데이터 프레임에서의 1비트 표시 정보가 "1"이라고 결정하면, 다른 D2D 전송 스테이션은 D2D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종료되기 전에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포기하거나, 또는 다른 D2D 전송 스테이션이 1비트 표시 정보가 "0"이라고 결정하면, 다른 D2D 전송 스테이션은 재사용 절차를 계속 수행한다.
임의적으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제1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것은,
Figure 112018047507354-pct00064
에 따라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Figure 112018047507354-pct00065
는 최대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66
는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며,
Figure 112018047507354-pct00067
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로부터 1차 액세스 포인트로의 전송 동안의 손실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AP 1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프레임의 수신 전력에 따라 계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83
을 수행하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84
는 AP 1이 비콘 프레임을 보내는데 사용하는 전송 전력이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85
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결정되는 허용된 최대 간섭 전력이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0010"이면, 대응하는 허용된 최대 간섭 전력은
Figure 112018047640598-pct00186
이다. 이력 정보에 따라 얻어진 전송 손실이
Figure 112018047640598-pct00187
라고 가정하면, 재사용 전송 중에 허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은
Figure 112018047640598-pct00188
이다.
임의적으로, 통신 시스템은 제3자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이 방법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제3자 디바이스가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할 때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사용하는 것을 포기하도록 데이터 전송 중에 데이터 프레임에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에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제3자 디바이스가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사용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보내진 데이터 프레임에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한다. 이 경우, 통신 시스템에 제3자 디바이스가 있고, 제3자 디바이스가 1차 액세스 포인트 및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 모두에 비교적 가까운 경우, 제3자 디바이스는 청취에 의해 1차 액세스 포인트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취에 의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보내진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제3자 디바이스가 청취에 의해 1차 링크 상에서 재사용 전송을 허용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얻더라도,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제3자 디바이스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와 동시에 재사용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금지하기 때문에, 제3자 디바이스는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1차 링크와 공간 재사용 링크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으며, 전송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1차 링크가 업링크인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 전술하였다. 1차 링크가 다운링크인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1차 링크가 업링크인 경우에서의 방법과 유사하다. 간결함을 위해, 다음과 같은 간단한 설명을 한다.
먼저, 1차 액세스 포인트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다운링크 프레임을 보낼 때 1차 링크의 이력 정보 또는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여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재사용 전송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1차 액세스 포인트는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이 보내질 때 사용되는 MCS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한다. MCS의 인덱스가 5 이상이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재사용 전송이 허용되거나, 또는 MCS의 인덱스가 5보다 더 작으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의 재사용 전송이 금지된다.
1차 링크가 업링크인 경우와 유사하게, MCS의 인덱스가 5인 예만이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MCS의 인덱스가 3 이상이면, 재사용 전송이 허용되거나, 또는 MCS의 인덱스가 3보다 더 작으면, 재사용 전송이 금지된다. 또한, MCS의 인덱스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추가로 비교될 수 있다.
그 다음,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프레임으로부터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고,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따라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고, 다운링크 프레임에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하며, 다운링크 프레임을 보낸다.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프로세스는 1차 링크가 업링크인 경우에서의 프로세스와 유사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한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개 조각들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대해, 1차 링크가 다운링크인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1차 스테이션으로 보내진 다운링크 프레임으로부터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을 수 있다.
1차 링크가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대한 업링크인 경우,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 관련하여,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기 위한 적어도 세 가지 방식이 포함된다. 즉,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1차 스테이션으로 보내진 트리거 프레임으로부터 얻어지거나, 1차 스테이션에 의해 1차 액세스 포인트로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얻어지거나, 또는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1차 스테이션으로 보내진 다운링크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얻어진다.
유사하게, 1차 링크가 다운링크인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보내진 다운링크 프레임으로부터 공간 재사용 전송 파라미터를 얻은 후,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공간 재사용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공간 재사용 링크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또는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할 수 있다.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제3자 디바이스가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할 때 통신 시스템 내의 제3자 디바이스가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데 사용된다.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제3자 디바이스와 동시에 재사용 전송을 수행하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어떠한 결정 처리도 수행하지 않고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직접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따라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할 수 있다. 결정 처리 방법 및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프로세스는 1차 링크가 업링크인 경우에서의 방법 및 프로세스와 동일하다. 세부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유사하게, 1차 링크가 다운링크인 경우, 임의적으로,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1차 링크 상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프레임에서의 SIGA 필드의 종료 순간 또는 종료 순간 이전의 S초에 대응하는 RSSI 값을 CCA 검출 임계값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는, 공간 재사용 링크가 1차 링크 상의 데이터 전송에 아무런 간섭을 야기하지 않거나, 또는 야기된 간섭이 1차 링크의 허용 범위 내에 있은 경우에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1차 링크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고,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1차 링크와 공간 재사용 링크 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고, 전송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 상세히 전술하였다. 이하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4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400)는,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판단 모듈(410) - 결정 처리는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됨 -,
판단 모듈이 결정 처리를 수행한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따라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420), 및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생성 모듈에 의해 생성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보내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430)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생성 모듈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거나, 또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판단 모듈은 N개의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N개의 결정 파라미터는 1차 링크의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고, 각각의 결정 파라미터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전송 부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N≥2이다.
구체적으로, 생성 모듈은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따라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다.
임의적으로, 송신 모듈은, 1차 스테이션이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낼 때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추가하고,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도록, 1차 스테이션에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보내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생성 모듈은,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과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일 때, 전력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력 표시 정보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다.
임의적으로, 결정 모듈은 판단 모듈이 결정 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파라미터는 전송 전력,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및 전송 대역폭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결정 모듈은 장치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결정 모듈은, 장치가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 모두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을 결정하고,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로부터 최소값을 결정하며, 최소값에 따라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결정 모듈은, 식
Figure 112018047640598-pct00189
에 따라,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에서 스테이션 k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이 수신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90
는 장치가 스테이션 k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191
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기 위해 스테이션 k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192
은 장치가 스테이션 k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요구되는 최소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를 나타내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93
는 스테이션 k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낼 때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을 나타낸다.
임의적으로, 결정 모듈은, 식
Figure 112018047507354-pct00079
에 따라 1차 링크의 전송 대역폭에 대한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거나, 또는 식
Figure 112018047507354-pct00080
에 따라 N개의 전송 부대역폭에서의 m번째 부대역폭에 대한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Figure 112018047507354-pct00081
는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82
은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로부터 장치에 의해 결정된 최소값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83
는 1차 링크의 전송 대역폭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84
는 시스템에 예약된 리던던시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85
는 m번째 부대역폭에 대한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86
는 N개의 전송 부대역폭에서의 m번째 부대역폭을 나타내고, N≥2이며, 1≤m≤N이다.
임의적으로, 송신 모듈은 1차 스테이션에 트리거 프레임을 보내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시그널링 A 필드 또는 트리거 프레임의 부하 정보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의 1차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할 수 있다. 장치(400) 내의 모듈들의 전술한 동작들 및/또는 기능들은 도 2의 방법의 대응하는 절차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여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대응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이 장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은 후에,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보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중에 1차 링크와 공간 재사용 링크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고, 전송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5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500)는,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보내진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510) -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액세스 포인트가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한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대응하며, 결정 처리는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됨 -,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520) -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은,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고,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함 - 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하거나, 또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존재할 때,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링크의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고, 각각의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전송 부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N≥2이다. 송신 모듈은 또한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N개의 전송 부대역폭 각각 상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시그널링 A 필드에 추가하거나 - N≥2임 -, 또는 m번째 전송 부대역폭에 대응하는 m번째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N개의 전송 부대역폭에서의 m번째 전송 부대역폭 상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시그널링 A 필드에 추가하도록 구성되며, m≥1이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전력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전력 표시 정보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된다. 결정 파라미터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장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의 1차 스테이션에 대응할 수 있다. 장치(500) 내의 모듈들의 전술한 동작들 및/또는 기능들은 도 5의 방법의 대응하는 절차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500)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고,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1차 액세스 포인트로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중에 1차 링크와 공간 재사용 링크 간의 상호 간섭이 줄어들 수 있고, 전송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6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600)는,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610) -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제1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한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대응하며, 결정 처리는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장치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됨 -,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620)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장치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금지하는데 사용되는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할 때, 처리 모듈은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기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장치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사용되는 제3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할 때, 처리 모듈은 제3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N개 조각의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존재하고, N개 조각의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링크의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고, 각각의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장치가 대응하는 전송 부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N≥2이다.
처리 모듈은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제1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된다. 제1 결정 파라미터는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된다. 전송 파라미터는 전송 전력,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및 전송 대역폭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이 장치(600)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제1 결정 파라미터를 포함할 때, 제1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 장치는 전송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전송 모듈은 최대 전송 전력보다 크지 않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이 장치 및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상이한 기본 서비스 세트들(BSS들)에 속한다.
임의적으로, 이 장치 및 1차 액세스 포인트는 동일한 기본 서비스 세트(BSS)에 속하며, 공간 재사용 링크는 BSS 내의 스테이션들 간의 D2D 전송에 사용된다.
임의적으로, 처리 모듈은 또한 D2D 전송 중에 데이터 프레임에 D2D 전송 표시 정보를 추가하도록 구성된다. D2D 전송 표시 정보는 장치를 제외한 BSS 내의 D2D 스테이션이 이 D2D 전송 기회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데 사용된다.
임의적으로, 제1 결정 파라미터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이다.
임의적으로, 결정 모듈은 식
Figure 112018047507354-pct00087
에 따라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Figure 112018047507354-pct00088
는 제1 최대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089
는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며,
Figure 112018047507354-pct00090
은 장치로부터 1차 액세스 포인트로의 전송 동안의 손실을 나타낸다.
임의적으로, 통신 시스템은 제3자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장치(600)는 생성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생성 모듈은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모듈은 또한, 제3자 디바이스가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할 때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사용하는 것을 포기하도록, 데이터 전송 중에 데이터 프레임에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장치(600) 내의 모듈들의 전술한 동작들 및/또는 기능들은 도 7의 방법의 대응하는 절차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600)는 1차 액세스 포인트 또는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중에 1차 링크와 공간 재사용 링크 간의 상호 간섭이 줄어들 수 있고, 전송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디바이스(700)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디바이스(700)는,
버스(710),
버스(710)에 연결된 프로세서(720),
버스(710)에 연결된 메모리(730), 및
버스(710)에 연결된 송수신기(7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20)는 버스(710)를 사용하여 메모리(7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 처리를 수행하고,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과에 따라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며, 송수신기(740)를 사용하여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보낸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하거나, 또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프로세서(720)는 N개의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N개의 결정 파라미터는 1차 링크의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고, 각각의 결정 파라미터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전송 부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N≥2이다. 프로세서(720)는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따라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다.
임의적으로, 송수신기(740)는, 1차 스테이션이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낼 때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에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하고,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도록,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1차 스테이션에 보내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일 때,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전력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전력 표시 정보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임의적으로, 프로세서(720)는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전송 파라미터는 전송 전력,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및 전송 대역폭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결정 파라미터는 디바이스(700)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이다.
임의적으로, 통신 시스템이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720)는,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 모두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들에 따라,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 모두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들이 수신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을 결정하고,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로부터 최소값을 결정하며, 최소값에 따라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프로세서(720)는, 식
Figure 112018047640598-pct00194
에 따라, 적어도 2개의 1차 스테이션에서 스테이션 k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이 수신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95
는 디바이스가 스테이션 k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 밀도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196
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기 위해 스테이션 k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197
은 디바이스가 스테이션 k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요구되는 최소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를 나타내며,
Figure 112018047640598-pct00198
는 스테이션 k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낼 때 사용되는 전송 대역폭을 나타낸다.
임의적으로, 프로세서(720)는, 식
Figure 112018047640598-pct00199
에 따라 1차 링크의 전송 대역폭에 대한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거나, 또는 식
Figure 112018047640598-pct00200
에 따라 N개의 전송 부대역폭에서의 m번째 부대역폭에 대한 최대 간섭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며,
Figure 112018047640598-pct00201
는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202
은 최대 간섭 전력 밀도들로부터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된 최소값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203
는 1차 링크의 전송 대역폭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204
는 시스템에 예약된 리던던시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205
는 m번째 부대역폭에 대한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640598-pct00206
는 N개의 전송 부대역폭에서의 m번째 부대역폭을 나타내고, N은 2 이상인 양의 정수이며, m은 1 이상 N 이하의 양의 정수이다.
임의적으로, 송수신기(740)는 트리거 프레임을 1차 스테이션에 보내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시그널링 A 필드 또는 트리거 프레임의 부하 정보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디바이스(7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의 1차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디바이스(700) 내의 모듈들 및 전술한 다른 동작들 및/또는 기능들은 도 2의 방법(100)의 대응하는 절차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디바이스(800)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디바이스(800)는,
버스(810),
버스(810)에 연결된 프로세서(820),
버스(810)에 연결된 메모리(830), 및
버스(810)에 연결된 송수신기(8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20)는 버스(810)를 사용하여 메모리(8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보내진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송수신기(840)를 사용하여 수신하고 -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액세스 포인트가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한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대응하며, 결정 처리는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됨 -, 송수신기(840)를 사용하여 1차 액세스 포인트로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며,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은, 공간 재사용 링크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얻고,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운반한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하거나, 또는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존재할 때,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링크의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고, 각각의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전송 부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N≥2이다. 송수신기(840)는,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N개의 전송 부대역폭 각각 상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시그널링 A 필드에 추가하거나 - N≥2임 -, 또는 m번째 전송 부대역폭에 대응하는 m번째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N개의 전송 부대역폭에서의 m번째 전송 부대역폭 상의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시그널링 A 필드에 추가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며, m≥1이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전력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전력 표시 정보는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된다. 결정 파라미터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디바이스(800)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디바이스(8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의 1차 스테이션에 대응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디바이스(800) 내의 모듈들 및 전술한 다른 동작들 및/또는 기능들은 도 5의 방법(200)의 대응하는 절차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디바이스(900)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디바이스(900)는,
버스(910),
버스(910)에 연결된 프로세서(920),
버스(910)에 연결된 메모리(930), 및
버스(910)에 연결된 송수신기(9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20)는 버스(910)를 사용하여 메모리(9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송수신기(940)를 사용하여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액세스 포인트가 제1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 처리를 수행한 후에 얻어진 결정 결과에 대응한다. 결정 처리는 공간 재사용 링크의 디바이스(900)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프로세서(920)는 버스(910)를 사용하여 메모리(9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한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디바이스(900)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금지하는데 사용되는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할 때, 프로세서(920)는 제2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기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디바이스(900)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사용되는 제3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포함할 때, 프로세서(920)는 제3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이 존재하고, N개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1차 링크의 N개의 전송 부대역폭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고, 각각의 조각의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디바이스(900)가 대응하는 전송 부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N≥2이다. 프로세서(920)는 N개 조각의 제1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에 따라 공간 재사용 링크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결정 처리 후에 얻어진 결과가 공간 재사용 링크의 디바이스(900)가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일 때,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전력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20)는 1차 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전송 전력을 전력 표시 정보에 따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송수신기(940)는 최대 전송 전력보다 크지 않은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임의적으로,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은 제1 결정 파라미터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된다. 제1 결정 파라미터는 1차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1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결정된다. 전송 파라미터는 전송 전력,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및 전송 대역폭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디바이스(900) 및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상이한 기본 서비스 세트들(BSS들)에 속한다.
임의적으로, 디바이스(900) 및 1차 액세스 포인트는 동일한 기본 서비스 세트(BSS)에 속하며, 공간 재사용 링크는 BSS 내의 스테이션들 간의 D2D 전송에 사용된다.
임의적으로, 송수신기(940)는 D2D 전송 중에 데이터 프레임에 D2D 전송 표시 정보를 추가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D2D 전송 표시 정보는 디바이스(900)를 제외한 BSS 내의 D2D 스테이션이 이 D2D 전송 기회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데 사용된다.
임의적으로, 제1 결정 파라미터는 1차 액세스 포인트가 1차 스테이션에 의해 보내진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 허용되는 최대 간섭 전력이다.
임의적으로, 프로세서(920)는, 식
Figure 112018047507354-pct00104
에 따라 최대 전송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며,
Figure 112018047507354-pct00105
는 최대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47507354-pct00106
는 최대 간섭 전력을 나타내며,
Figure 112018047507354-pct00107
은 디바이스로부터 1차 액세스 포인트로의 전송 동안의 손실을 나타낸다.
임의적으로, 통신 시스템이 제3자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때, 프로세서(920)는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생성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송수신기(940)는, 제3자 디바이스가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수신할 때 이 재사용 전송 기회를 사용하는 것을 포기하도록, 데이터 전송 중에 데이터 프레임에 제4 공간 재사용 전송 시그널링을 추가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또한 CPU로 지칭될 수 있다.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응용에서, 데이터 전송 디바이스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표준 이더넷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이에 내장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디바이스의 모듈들은 버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된다. 데이터 버스 외에, 버스 시스템은 전력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들에 개시된 단계들 및 논리 블록도들을 구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기존의 프로세서, 디코더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개시된 방법들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가능한 프로그램가능한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에서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된다. 디코딩 유닛 또는 처리 유닛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디코딩 유닛 또는 처리 유닛의 하드웨어와 조합하여 전술한 방법들에서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줄여서 "CPU")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이산 하드웨어 어셈블리 등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기존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구현예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방법들의 단계들은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된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개시된 방법들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 있거나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가능한 프로그램가능한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은 관련 기술분야에서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와 조합하여 전술한 방법들에서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세부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디바이스(9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의 재사용 전송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디바이스(900) 내의 모듈들 및 전술한 다른 동작들 및/또는 기능들은 도 7의 방법(300)의 대응하는 절차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프로세스들의 시퀀스 번호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실행 시퀀스들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스들의 실행 시퀀스들은 프로세스들의 기능들 및 내부 논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현예 프로세스들에 대한 임의의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예들과 조합하여, 유닛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기능들이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기술적 해결책들의 특정한 응용들 및 설계 제약 조건들에 의존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한 응용에 대해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동작 프로세스들에 대해, 편리하고 간단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들을 참조하는 것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세부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들은 단지 예들이다. 예를 들어, 유닛 분할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 분할이고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들 또는 구성요소들이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되거나, 또는 일부 특징들이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되는 상호 결합들 또는 직접 결합들 또는 통신 연결들은 일부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장치들 또는 유닛들 간의 간접 결합들 또는 통신 연결들은 전자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별도의 부분들로 설명되는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들로서 표시되는 부분들은 물리적 유닛들일 수 있거나 물리적 유닛들이 아닐 수 있으며, 즉 하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들 상에 분산될 수 있다.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본 실시예들의 해결책들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건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능 유닛들은 하나의 처리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유닛들 각각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유닛들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된다.
기능들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된 제품으로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이러한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들,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해결책들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 디바이스(퍼스널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음)에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수개의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이동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들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알아내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에 따를 것이다.

Claims (56)

  1.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1차 링크 및 공간 재사용 링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1차 링크는 1차 장치들 사이에 설정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1차 장치들에 의해, 공간 재사용 전송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정보는 공간 재사용 전송이 금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정보는 4비트를 차지하고, 4비트의 값이 0이면, 상기 정보는 공간 재사용 전송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냄 -; 및
    상기 1차 장치들에 의해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장치는 1차 액세스 포인트인,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장치는 1차 스테이션인,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SIG-A 필드에서 운반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정보를 운반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비트의 값이 1-14이면, 상기 정보는 결정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상기 결정 파라미터는 상기 공간 재사용 전송이 수행될 때 허용되는 간섭 전력과 연관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1차 링크 및 공간 재사용 링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1차 링크는 1차 액세스 포인트와 1차 스테이션 사이에 설정되며,
    상기 방법은,
    트리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공간 재사용 전송을 나타내는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정보는 공간 재사용 전송이 금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정보는 4비트를 차지하고, 4비트의 값이 0이면, 상기 정보는 상기 공간 재사용 전송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냄 -; 및
    상기 트리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SIG-A 필드는 상기 정보를 운반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4비트의 값이 1-14이면, 상기 정보는 결정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상기 결정 파라미터는 상기 공간 재사용 전송이 수행될 때 허용되는 간섭 전력과 연관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1차 링크 및 공간 재사용 링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공간 재사용 링크는 공간 재사용 전송 장치들 사이에 설정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공간 재사용 전송 장치에 의해, 공간 재사용 전송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정보는 공간 재사용 전송이 금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정보는 4비트를 차지하고, 4비트의 값이 0이면, 상기 정보는 상기 공간 재사용 전송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냄 -; 및
    상기 4비트의 값이 0이면, 상기 공간 재사용 전송 장치에 의해, 공간 재사용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1.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1차 링크 및 공간 재사용 링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공간 재사용 링크는 공간 재사용 전송 장치들 사이에 설정되며,
    상기 방법은: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공간 재사용 전송을 나타내는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정보는 공간 재사용 전송이 금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정보는 4비트를 차지하고, 4비트의 값이 0이면, 상기 정보는 상기 공간 재사용 전송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냄 -; 및
    상기 4비트의 값이 0이면, 공간 재사용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4비트의 값이 1-14이면, 상기 정보는 결정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상기 결정 파라미터는 상기 공간 재사용 전송이 수행될 때 허용되는 간섭 전력과 연관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3.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1차 링크 및 공간 재사용 링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1차 링크는 1차 장치들 사이에 설정되며,
    상기 1차 장치는:
    공간 재사용 전송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 상기 정보는 공간 재사용 전송이 금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정보는 4비트를 차지하고, 4비트의 값이 0이면, 상기 정보는 상기 공간 재사용 전송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냄 -; 및
    상기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장치는 1차 액세스 포인트인, 데이터 전송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장치는 1차 스테이션인, 데이터 전송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SIG-A 필드에서 운반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정보를 운반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4비트의 값이 1-14이면, 상기 정보는 결정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상기 결정 파라미터는 상기 공간 재사용 전송이 수행될 때 허용되는 간섭 전력과 연관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9. 1차 액세스 포인트로서,
    장치가 1차 링크 및 공간 재사용 링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1차 링크는 상기 1차 액세스 포인트와 1차 스테이션 사이에 설정되며, 상기 1차 액세스 포인트는:
    트리거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 -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공간 재사용 전송을 나타내는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정보는 공간 재사용 전송이 금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정보는 4비트를 차지하고, 4비트의 값이 0이면, 상기 정보는 공간 재사용 전송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냄 -; 및
    상기 트리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1차 액세스 포인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액세스 포인트는: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 프레임의 SIG-A 필드는 상기 정보를 운반하는, 1차 액세스 포인트.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4비트의 값이 1-14이면, 상기 정보는 결정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상기 결정 파라미터는 상기 공간 재사용 전송이 수행될 때 허용되는 간섭 전력과 연관되는, 1차 액세스 포인트.
  22. 공간 재사용 전송 장치로서, 상기 공간 재사용 전송 장치는 1차 링크 및 공간 재사용 링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공간 재사용 링크는 공간 재사용 전송 장치들 사이에 설정되며, 상기 공간 재사용 전송 장치는:
    공간 재사용 전송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 상기 정보는 공간 재사용 전송이 금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정보는 4비트를 차지하고, 상기 4비트의 값이 0이면, 상기 정보는 공간 재사용 전송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냄 -; 및
    상기 4비트의 값이 0이면, 공간 재사용 전송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장치.
  23. 공간 재사용 전송 장치로서, 싱기 공간 재사용 전송 장치는 1차 링크 및 공간 재사용 링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공간 재사용 링크는 공간 재사용 전송 장치들 사이에 설정되며, 상기 공간 재사용 전송 장치는: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공간 재사용 전송을 나타내는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정보는 공간 재사용 전송이 금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정보는 4비트를 차지하고, 4비트의 값이 0이면, 상기 정보는 공간 재사용 전송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냄 -; 및
    상기 4비트의 값이 0이면, 공간 재사용 전송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장치.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4비트의 값이 1-14이면, 상기 정보는 결정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상기 결정 파라미터는 상기 공간 재사용 전송이 수행될 때 허용되는 간섭 전력과 연관되는, 공간 재사용 전송 장치.
  25.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된 프로그램.
  26.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KR1020187013701A 2015-10-20 2016-06-01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103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680806.4 2015-10-20
CN201510680806.4A CN106603211B (zh) 2015-10-20 2015-10-20 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PCT/CN2016/084310 WO2017067176A1 (zh) 2015-10-20 2016-06-01 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871A KR20180069871A (ko) 2018-06-25
KR102103308B1 true KR102103308B1 (ko) 2020-04-22

Family

ID=5855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701A KR102103308B1 (ko) 2015-10-20 2016-06-01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122578B2 (ko)
EP (2) EP3358776B1 (ko)
JP (1) JP6559891B2 (ko)
KR (1) KR102103308B1 (ko)
CN (2) CN106603211B (ko)
AU (1) AU2016343378B2 (ko)
BR (1) BR112018008030A2 (ko)
CA (1) CA3002694C (ko)
ES (1) ES2917323T3 (ko)
MX (1) MX2018004955A (ko)
RU (1) RU2686852C1 (ko)
WO (1) WO2017067176A1 (ko)
ZA (1) ZA2018027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93163B1 (en) * 2016-01-11 2022-08-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EP3632174A1 (en) 2017-05-31 2020-04-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for handling interference
CN109245851B (zh) * 2017-07-11 2022-11-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帧传输的方法与装置
US11683833B2 (en) * 2017-09-28 2023-06-20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 listen-before-talk (LBT) with channel variation consideration
CN111684833A (zh) * 2018-02-07 2020-09-18 索尼公司 通信装置及通信方法
CN111543113B (zh) * 2018-04-03 2022-02-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CN110536469A (zh) * 2018-05-23 2019-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多接入点ap协作的空间复用的方法和装置
KR102160878B1 (ko) * 2018-12-31 2020-09-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공간 재사용 전송 방법 및 장치
CN117200955A (zh) * 2019-01-30 2023-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空间复用的指示方法及无线通信装置
JP7233248B2 (ja) * 2019-02-26 202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678326B2 (en) * 2019-07-12 2023-06-13 Mediatek Singapore Pte. Ltd. Multi-access point uplink collaboration
US11546938B2 (en) 2019-08-09 2023-01-03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layer preamble and signal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13676202B (zh) * 2020-04-30 2022-10-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射频抗干扰方法及相关设备
US11445452B1 (en) * 2020-12-08 2022-09-13 T-Mobile Innov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device transmit power
TWI748839B (zh) * 2021-01-08 2021-12-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具有資料重用機制的資料傳輸方法及裝置
US11690024B2 (en) * 2021-01-27 2023-06-27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ing client device regulation modes for sidelink communic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8235A1 (en) * 2013-03-29 2014-10-02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distributed channel access for d2d communications
US20150103654A1 (en) 2010-06-30 2015-04-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anagement inform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WO2015112780A1 (en) 2014-01-24 2015-07-30 Mediatek Singapore Pte. Ltd. Adaptive cca and tx power level adjustment for dense deployment of 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5839A1 (en) * 2003-08-07 2005-02-17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Channel coordination in wireless network systems
US8493955B2 (en) * 2007-01-05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mechanism to enable spatial reuse in UWB networks
RU2454834C2 (ru) * 2007-11-27 2012-06-27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Управление помехам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адаптивной подстройки потерь на трассе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US8391882B2 (en) * 2008-10-22 2013-03-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spectrum shared by WAN and femto cells
KR101023441B1 (ko) * 2009-02-12 2011-03-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공간 재사용을 사용하는 멀티 홉 네트워크을 위한 방법
KR20110007935A (ko) * 2009-07-17 2011-01-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간 재활용 기법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및 상기 네트워크의 운용 방법
CA2830758A1 (en) * 2011-03-24 2012-09-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empowered radio resource system
CN102892120B (zh) * 2011-07-22 2017-10-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降低宏小区终端对微小区上行带外辐射干扰的方法及系统
JP6065005B2 (ja) * 2012-06-05 2017-01-25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基地局、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9451604B2 (en) * 2012-08-03 2016-09-20 Intel Corporation Signaling and channel designs for D2D communications
US8982895B2 (en) * 2012-09-21 2015-03-17 Blackberry Limited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205268172U (zh) 2013-03-14 2016-06-01 贝克顿·迪金森公司 连续葡萄糖监视体上传感器
US9160515B2 (en) * 2013-04-04 2015-10-13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handover enhancement using scaled time-to-trigger and time-of-stay
US9408230B2 (en) * 2013-05-03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opportunity (TXOP) based channel reuse
JP6162328B2 (ja) * 2013-05-24 2017-07-12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送信機会(txop)ベースのチャネル再使用
EP3014795B1 (en) * 2013-06-28 2020-09-16 MediaTek Singapore Pte Ltd. Beamforming enhancements for spatial reuse in wireless networks
CN104284441B (zh) * 2013-07-12 2019-04-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空间复用下的信道接入方法及站点
US9825729B2 (en) * 2014-06-26 2017-11-21 Intel IP Corporation Spatial reuse of Wi-Fi channels with interference estimation and control
US9794790B2 (en) * 2014-10-29 2017-10-17 Intel IP Corporation Wireless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spatial reuse for device-to-device links
US20160233940A1 (en) * 2015-02-06 2016-08-11 Po-Kai Huang Wireless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spatial reuse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ocal-area network
US10172137B1 (en) * 2015-03-02 2019-01-01 Newracom,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efficient wireless channel usage
US9894653B2 (en) * 2015-04-24 2018-02-13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method for multi-user request-to-send and clear-to-send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ocal-area network
JP6697003B2 (ja) * 2015-04-29 2020-05-20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Wlanにおけるサブチャネル化送信方式の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10701730B2 (en) * 2015-06-05 2020-06-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EP3313140B1 (en) * 2015-07-17 2023-11-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setting nav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device
WO2017018801A1 (en) 2015-07-29 2017-02-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026824A1 (ko) * 2015-08-12 201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nav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스테이션 장치
US20170064644A1 (en) * 2015-08-24 2017-03-02 Intel IP Corporation [11ax] conditional spatial reuse
US9749967B2 (en) * 2015-09-07 2017-08-29 Mediatek Inc. Spatial reuse parameters for opportunistic adaptive TPC and CC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03654A1 (en) 2010-06-30 2015-04-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anagement inform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WO2014158235A1 (en) * 2013-03-29 2014-10-02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distributed channel access for d2d communications
WO2015112780A1 (en) 2014-01-24 2015-07-30 Mediatek Singapore Pte. Ltd. Adaptive cca and tx power level adjustment for dense deployment of wireles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343378A1 (en) 2018-05-17
CN112491521B (zh) 2022-08-19
MX2018004955A (es) 2018-09-12
CA3002694A1 (en) 2017-04-27
CN112491521A (zh) 2021-03-12
RU2686852C1 (ru) 2019-05-06
CA3002694C (en) 2023-12-19
EP3358776A4 (en) 2018-10-03
JP2018537886A (ja) 2018-12-20
EP4096138C0 (en) 2024-01-31
AU2016343378B2 (en) 2020-02-20
KR20180069871A (ko) 2018-06-25
CN106603211B (zh) 2020-11-27
CN106603211A (zh) 2017-04-26
EP4096138B1 (en) 2024-01-31
ES2917323T3 (es) 2022-07-07
BR112018008030A2 (pt) 2018-10-23
JP6559891B2 (ja) 2019-08-14
ZA201802799B (en) 2021-02-24
US20180242331A1 (en) 2018-08-23
US11122578B2 (en) 2021-09-14
EP3358776A1 (en) 2018-08-08
WO2017067176A1 (zh) 2017-04-27
EP4096138A1 (en) 2022-11-30
EP3358776B1 (en)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308B1 (ko)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EP37967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 reuse based on multi-access point (ap) coordination
TWI745779B (zh) 在非授權頻譜上處理通訊方法及相關通訊裝置
US104766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
CN106961733B (zh) 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CN107027133B (zh) 一种处理信息的方法、第一接入点及第一站点
EP3493581B1 (en) Method for signal transmission and terminal
WO2020182057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相关设备
US201703252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ubband resource
US1145210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3890696A (zh) 旁链路辅助信息的确定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5474736B (zh) 传输数据的方法及装置
EP3242517B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EP3910828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bandwidth and device
CN106658725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11543107A (zh) 时分双工物联网中传输系统信息块类型一的方法和装置
KR20190076036A (ko)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