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007B1 - 알루미늄 활차 및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한 철탑 전선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활차 및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한 철탑 전선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007B1
KR102103007B1 KR1020190064814A KR20190064814A KR102103007B1 KR 102103007 B1 KR102103007 B1 KR 102103007B1 KR 1020190064814 A KR1020190064814 A KR 1020190064814A KR 20190064814 A KR20190064814 A KR 20190064814A KR 102103007 B1 KR102103007 B1 KR 102103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adjustment guide
electric wire
uni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복연
Original Assignee
조복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복연 filed Critical 조복연
Priority to KR102019006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활차에 과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철탑 전선 공사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활차는 링형상으로 제공되며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방사형 형상으로 형성된 보조체와 그리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활차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가장지레에는 전선이 놓이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알루미늄 활차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 활차 및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한 철탑 전선 시공방법{Aluminum pulley and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tower wire using aluminum pulley}
본 발명은 알루미늄 활차 및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한 철탑 전선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선 시공 시 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활차 및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한 철탑 전선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송전선로공사의 케이블 연선을 위해서는 송전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선행 작업으로 예정된 연선구간에 메신저 기능의 전선을 먼저 연결하고, 이 연결된 전선을 이용해 송전 케이블을 견인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활차는 송전선용 케이블 설치 현장에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활차는 연선 공사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송전선용 케이블 설치에 사용되는 활차는 통상 케이블을 장거리에 걸처 설치하는 경우, 특히 야외에 높이 설치된 철탑 등을 이용하여 케이블을 설치하는 경우, 각 철탑에 매달려 다른 철탑으로 연속 설치되는 케이블이나 외이어가 해당 철탑을 경우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도록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활차는 수직상태의 가이드, 중심축 그리고 바퀴의 구성을 포함한다. 바퀴는 가장자리에 홈이 형성되어 있다. 바퀴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된다. 바퀴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에는 전력선이 지나갈 수 있다.
활차는 가공송전선로 철찹 건설공사시에 사용될 수 있다. 활차 및 철탑에 고리 등으로 고정시킨 후 고정된 활차의 바퀴가 전력선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전력선이 드럼장 연선차 측에서 엔진장 연선차측으로 끌어당겨질 경우, 활차 바퀴는 전력선의 진행방향으로 회동한다.
하지만, 현 연선 공사의 활차를 적용하는 경우 전력선의 장력 및 각도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활차가 통과되면, 바퀴와 전력선의 접촉으로 인해 전선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한국등록특허 10-101756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알루미늄 활차 및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한 철탑 전선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철탑 전선 공사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활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링형상으로 제공되며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방사형 형상으로 형성된 보조체와 그리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활차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가장지레에는 전선이 놓이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알루미늄 활차는 상기 활차부 중 상기 본체의 외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는 상기 전선을 지지하여, 상기 전선의 장력 및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와 상기 가이드홈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전선이 받는 압력 등을 센싱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압력 값을 기초로 상기 조절부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한 상기 전선의 상부에서 하부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전선의 장력 및 상기 전선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가이드와 상기 조절 가이드와 결합되어 상기 조절 가이드의 이동을 조절하는 누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가이드 중 상기 전선과 인접하는 일단은 상기 전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조절 가이드의 경사 방향은 조절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복수개가 제공되며, 상기 복수개의 조절부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조절부의 간격은 서로 상이하게 제공되며, 상기 센서부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센서부 중 일부는 상기 조절 가이드와 마주하는 면에 위치하여 상기 조절 가이드와 접하는 상기 전선의 압력을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전선의 압력을 표시해주는 표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전선의 압력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작업자에게 알림음을 제공하는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름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하여 철탑 전선 공사를 수행하는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한 철탑 전선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알루미늄 활차가 조절 가이드를 가지어 전선의 지지를 제어하여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절 가이드의 끝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전선의 장력 또는 지지 각도를 조절하여 시공 안전성 및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부를 통해서 전선이 받는 압력 등의 값을 측정하여 시공 안전성 및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를 통해서 전선이 받는 압력 등을 실시간 측정하여 조절부를 제어하여 시공 안전성 및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켓 매트리스 파쇄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포켓 매트리스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이송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부분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활차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활차는 철탑 전선 공사 시공에 사용되는 것으로 전선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알루미늄 활차의 용도는 상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하여 전선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이외 다른 용도로도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루미늄 활차(1)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알루미늄 활차(1)에 전선이 놓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조절부(20)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제어부(4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알루미늄 활차(1)는 활차부(10), 조절부(20), 센서부(30) 그리고 제어부(40)를 포함한다.
활차부(10)는 전선을 지지 할 수 있다. 활차부(10)는 전선 시공 시 전선을 지지하며 가이드 할 수 있다. 활차부(10)는 본체(11) 및 지지체(13)를 포함한다.
본체(11)는 링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체(11)의 가장자리에는 전선이 놓일 수 있는 가이드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홈(15)은 링형상의 본체(11)부의 가장 자리에 형성되어 전선이 감길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보조체(12)는 본체(11)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며, 각각 본체(11)와 결합될 수 있다. 보조체(12)는 본체(11)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체(12)는 복수개의 막대기 형상이 본체(11)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형 형태로 구성되어, 각각 본체(11)와 결합될 수 있다. 보조체(12)는 본체(1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도 1에서는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방사 형태로 6개의 보조체(12)를 가지는 형태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체(11)의 보조체(12) 개수 및 형태는 다르게 제공될 수 있으며, 도 1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체(13)는 본체(11)를 지지한다. 지지체(13)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지지부를 가질 수 있다. 지지부는 서로 마주보며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는 본체(11)를 기준을 서로 마주보며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의 끝단은 서로 연결되어 본체(11)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지지체(13)는 "ㄷ" 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체(11)는 지지체(13)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조절부(20)는 본체(11)의 가이드홈(15)에 지지된 전선의 풀림 또는 지지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조절부(20)는 전선의 장력 또는 타단과 연결된 각도를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조절부(20)는 조절 가이드(21) 및 누름 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 가이드(21)는 본체(11)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조절 가이드(21)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조절 가이드(21)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조절 가이드(21)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알루미늄 활차(1)에 전선이 없는 경우 조절 가이드(21)와 가이드홈(15) 사이에 일정 거리를 두도록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선이 가이드홈(15)에 위치하는 경우 전선을 지지하도록 하부로 내려와 전선을 지지할 수 있다. 전선의 지지는 전선의 타단과 연결된 장력 및 전선의 풀림 정도를 조절 하도록 하부로 내려오는 위치를 조절 할 수 있다. 조절 가이드(21)는 위치는 후술하는 누름 부재(23)를 통해서 조절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조절 가이드(21)의 끝단은 흰지와 같은 동작을 통해서 가이드홈(15)이 놓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절 가이드(21)의 끝단 경사진 형태로 제공되어 위치에 따라서 전선의 지지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조절 가이드(21)는 전선의 지지 시 끝단이 전선의 면과 수직한 상태로 내려와 전선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전선의 지지 시 끝단과 전선의 면이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전선의 끝단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전선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조절 가이드(21)는 전선의 공사 시 장력 또는 지지각도를 조절하여 알루미늄 활차(1)를 이용한 시공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조절 가이드(21)는 본체(1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 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절 가이드(21)는 전선이 알루미늄 활차(1)에 위치한 경우 원하는 위치에서 전선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누름 부재(23)의 일단은 조절 가이드(21)와 연결될 수 있다. 누름 부재(23)의 타단은 지지체(13)와 연결될 수 있다. 누름 부재(23) 중 지지체(13)의 상부에 있는 부분은 일단은 조절 가이드(21)와 연결되며,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회동하여, 조절 가이드(21)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누름 부재(23)는 작업자의 회동으로 조절 가이드(21)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전선의 지지상태를 조절 할 수 있다.
센서부(30)는 활차부(10)의 본체(11)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30)는 전선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부(30)는 가이드홈(15)의 하부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30) 주 일부는 조절부(20) 중 조절 가이드(21)가 설치된 하단의 가이드홈(15)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30)는 압력 센서(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압력 센서(31)는 전선이 받는 압력을 측정하여 전선이 받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30)가 제공되어, 알루미늄 활차(1)를 시공 시 시공 중 전선이 받는 압력을 체크하여 시공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시공 중 전선이 받는 압력이 강할 경우 전선이 끊어지는 현상으로 공사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력 센서(31)는 공지의 압력 센서(31)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압력 센서(31)는 장력, 수직 압력, 전선과 가이드홈(15)의 각도 등을 측정 가능한 센서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조절부(20) 또는 센서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표시부(41), 알림부(43) 그리고 동작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센서부(30)에서 측정된 압력 등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조절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20)를 단독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40)는 전선의 지지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 가이드(21)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누름 부재(23)를 조절하여 조절 가이드(21)의 위치를 조절 할 수 있다.
표시부(41)는 누름 부재(23)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부(41)는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부(41)에는 조절 가이드(21)의 현재 위치, 끝단의 각도, 센서부(30)에 측정된 전선이 받는 압력 또는 전선과 조절 가이드(21)로 이루어진 지지각도 등을 표시하여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다.
알림부(43)는 센서부(30)에서 측정된 압력값 등이 기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알림을 울릴 수 있다. 일 예로, 알림부(43)는 센서부(30)에서 측정된 압력값이 너무 낮아서 전선이 활차부(10)를 이탈하는 경우 울릴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알림부(43)는 센서부(30)에서 측정된 압력값이 너무 높아 전선이 끊어질 위험이 있는 경우 알림음을 울릴 수 있다.
동작부(45)는 누름 부재(23)를 작동시켜 조절 가이드(21)를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조절 가이드(21)의 끝단의 위치를 조절 할 수 있다 .일 예로, 조절 가이드(21)로 전선을 지지시 누름 부재(23)를 이용하여 조절 가이드(21)를 하부로 위치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조절 가이드(21)의 끝단의 위치를 조절하여 전선과 조절 가이드(21)의 끝단의 지지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동작부(45)는 여러 개의 동작 버튼을 가지어, 조절 가이드(21) 상부 이동, 조절 가이드(21) 하부 이동, 조절 가이드(21) 끝단의 일방향 회동, 조절 가이드(21)의 끝단의 반대 방향 회동 등을 각각 수행하도록 4개의 버튼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하여 철탑 전선 공사를 수행하는 알루미늄 활차 시공 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알루미늄 활차가 조절 가이드를 가지어 전선의 지지를 제어하여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절 가이드의 끝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전선의 장력 또는 지지 각도를 조절하여 시공 안전성 및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부를 통해서 전선이 받는 압력 등의 값을 측정하여 시공 안전성 및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를 통해서 전선이 받는 압력 등을 실시간 측정하여 조절부를 제어하여 시공 안전성 및 시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알루미늄 활차 10: 활차부
11: 본체 12: 보조체
13: 지지체 15: 가이드 홈
20: 조절부 21: 조절 가이드
23: 누름 부재 30: 센서부
31: 압력 센서 40: 제어부
41: 표시부 43: 알림부
45: 동작부

Claims (3)

  1. 철탑 전선 공사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활차에 있어서,
    링형상으로 제공되며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방사형 형상으로 형성된 보조체와 그리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활차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링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는 전선이 놓이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체는 상기 본체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형 형상으로 복수개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알루미늄 활차는 상기 활차부 중 상기 본체의 외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는 상기 전선을 지지하여, 상기 전선의 장력 및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와 상기 가이드홈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전선이 받는 압력 등을 센싱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압력 값을 기초로 상기 조절부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한 상기 전선의 상부에서 하부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전선의 장력 및 상기 전선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가이드와
    상기 조절 가이드와 결합되어 상기 조절 가이드의 이동을 조절하는 누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부재는 일단은 상기 조절 가이드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지지체와 연결되고,
    상기 누름 부재 중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있는 부분은 일단은 상기 조절 가이드와 연결되며,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조절 가이드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며,
    상기 조절 가이드 중 상기 전선과 인접하는 일단은 상기 전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조절 가이드의 경사 방향은 조절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복수개가 제공되며,
    상기 복수개의 조절부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조절부의 간격은 서로 상이하게 제공되며,
    상기 센서부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센서부 중 일부는 상기 조절 가이드와 마주하는 면에 위치하여 상기 조절 가이드와 접하는 상기 전선의 압력을 측정하고,
    복수개의 상기 센서부 중 일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하부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상기 센서부 중 일부는 상기 조절 가이드가 설치된 하단의 상기 가이드 홈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센서부 중 일부는 상기 조절 가이드와 마주하는 면에 위치하여 상기 조절 가이드와 접하는 상기 전선의 압력을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전선의 압력을 표시해주는 표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전선의 압력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작업자에게 알림음을 제공하는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름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는 여러 개의 동작 버튼을 가지며,
    상기 동작 버튼 중 일부는 상기 조절 가이드의 상부 이동을 조절하며,
    상기 동작 버튼 중 일부는 상기 조절 가이드의 하부 이동을 조절하며,
    상기 동작 버튼 중 일부는 상기 조절 가이드의 끝단의 일방향 회동을 조절하며,
    상기 동작 버튼 중 일부는 상기 조절 가이드의 끝단의 반대 방향 회동을 조절하며,
    상기 조절 가이드는 상기 전선의 지지 시 끝단이 전선의 면과 수직한 상태로 내려와 전선을 지지하거나, 상기 조절 가이드의 끝단과 전선의 면이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전선의 끝단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전선을 지지하며,
    상기 표시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압력 등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조절부를 제어하는 알루미늄 활차.
  2. 삭제
  3. 제1항의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하여 철탑 전선 공사를 수행하는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한 철탑 전선 시공방법.
KR1020190064814A 2019-05-31 2019-05-31 알루미늄 활차 및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한 철탑 전선 시공방법 KR102103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814A KR102103007B1 (ko) 2019-05-31 2019-05-31 알루미늄 활차 및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한 철탑 전선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814A KR102103007B1 (ko) 2019-05-31 2019-05-31 알루미늄 활차 및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한 철탑 전선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007B1 true KR102103007B1 (ko) 2020-04-21

Family

ID=70456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814A KR102103007B1 (ko) 2019-05-31 2019-05-31 알루미늄 활차 및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한 철탑 전선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0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1148A (ko) * 2004-05-21 2005-11-24 황일규 자동 선감기 장치
KR100953688B1 (ko) * 2009-12-10 2010-04-19 지승건설(주) 송전선로 설치를 위한 전력선 연선용 와이어 안내 장치와 전력선 연선용 와이어 안내장치를 이용한 전력선 연선공법
KR101017568B1 (ko) 2009-07-22 2011-02-28 삼아산업 주식회사 송전선로 연선용 다륜활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1148A (ko) * 2004-05-21 2005-11-24 황일규 자동 선감기 장치
KR101017568B1 (ko) 2009-07-22 2011-02-28 삼아산업 주식회사 송전선로 연선용 다륜활차
KR100953688B1 (ko) * 2009-12-10 2010-04-19 지승건설(주) 송전선로 설치를 위한 전력선 연선용 와이어 안내 장치와 전력선 연선용 와이어 안내장치를 이용한 전력선 연선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986B1 (ko) 가공배전선로의 전선 스페이서장치
KR100978139B1 (ko) 송배전 철탑용 선로 장력유지장치
KR101572938B1 (ko) 부유 구조물의 중력식 계류장치
KR102374358B1 (ko) 케이블포설장치
KR102167952B1 (ko) 송전용 철탑에 설치된 가공송전선로 간격유지용 스페이서
US4420917A (en) Guyline tension device for communication towers
US20090290365A1 (en) Pole-suspended flag illumination
WO2010097842A1 (ja) アンテナ昇降機及び電磁波計測システム
US3464647A (en) Portable cable reel
US4686325A (en) Catenary sag adjustment using added weights
KR101261458B1 (ko)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JP2007187025A (ja) 風力発電装置の設置機構及び設置方法
KR102103007B1 (ko) 알루미늄 활차 및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한 철탑 전선 시공방법
KR101765035B1 (ko) 케이블 선로 가변이 가능한 송전탑
KR102103003B1 (ko) 알루미늄 활차 및 알루미늄 활차를 이용한 철탑 전선 시공방법
US4198022A (en) Power cable guide for high-mast luminaire raising and lowering system
KR101219123B1 (ko) 바튼 안전 승강장치
US11604056B2 (en) Device for the inspection of wind power plants
KR101983631B1 (ko) 가공송전선 연결애자 고정용 완금
KR101804159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 완화장치
KR101958303B1 (ko) 애자 점검장치
KR101921506B1 (ko) Cable 풀링 전선로 보호용 케이블 스타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Cable 보호방법
KR101779441B1 (ko)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
KR20170043705A (ko) 와이어 디스크형 드럼 보호수단이 구비된 디스크형 드럼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대장치
UA66379C2 (en) Device for drawing samples or extracting the content of a closed pit at an exactly determined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