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441B1 -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 - Google Patents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441B1
KR101779441B1 KR1020170073772A KR20170073772A KR101779441B1 KR 101779441 B1 KR101779441 B1 KR 101779441B1 KR 1020170073772 A KR1020170073772 A KR 1020170073772A KR 20170073772 A KR20170073772 A KR 20170073772A KR 101779441 B1 KR101779441 B1 KR 101779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transmission line
pair
unit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이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우 filed Critical 이춘우
Priority to KR1020170073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을 제공한다. 상기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은, 상하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양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설치대를 갖는 송전탑 몸체와; 상기 다수의 설치대 각각에 배치되는 애자와; 상기 애자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하를 따라 승강되는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서 양측부를 따라 서로 벌어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각각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송전부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전송하는 송전선이 관통되어 지지되는 지지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송전선의 송전 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장애물로부터 벗어나는 가변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승강부의 승강 구동 및, 상기 회전 지지부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송전선이 상기 가변 위치를 따르도록 상기 송전선로를 가변시키는 위치 가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TRANSMISSION TOWER HAVING TRANSMISSION LINE VARIABLENESS DEVICE}
본 발명은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탑에 설치되는 애자의 위치 및, 애자의 하단에 연결되는 송전선들의 송전선로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해당 송전선 각각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에 관한 것이다.
통상, 현대인이 사는 주거지역에는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의 공급이 필수적이다. 전력은 발전소에서 수요처까지 여러 경로를 거치게 된다.
그러나, 도시를 벗어난 농촌, 도서 산간 등은 발전소와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수요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여러 형태의 지형지물을 통과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송전탑을 설치하여 전력을 수송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송전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종래의 송전탑(50)은 탑지지블록(51)과, 탑지지블록(51) 상에 고정되는 송전탑 몸체(52)와, 송전탑 몸체(52)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는 제 1,2지지대(53a, 53b)를 갖는 지지대들(53)과, 지지대들(53) 하단에 설치되는 애자(55) 및 애자(55)의 하단에 고정되어, 송전선에 연결되는 연결단(54)을 갖는다.
이러한 송전탑은 설치 지역에서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며,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 다수의 송전선을 고정하여 안내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송전탑에 고정되는 송전선들은 선로 방향이 설정된 상태의 송전선로들을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송전선로의 방향이 고정되기 때문에, 송전탑 사이에 다른 지형지물이 건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거나, 송전 선로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송전탑의 설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하여, 송전선들 자체의 자중으로 인해 하방으로 늘어지는 경우, 그 정도가 날씨등의 영향을 받으면, 늘어지는 무게로 인해 단선이 발생되어 전력 송신에 차질이 발생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종래에는 외부 장애물에 의해 송전선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 고소에 위치되는 파손된 송전선까지 작업자가 이동하여 고장 수리를 해야하기 때문에, 전력 송신의 차단을 비롯한 이에 따른 유지 보수의 위험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12197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송전탑에 설치되는 애자의 위치 및, 애자의 하단에 연결되는 송전선들의 송전선로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해당 송전선 각각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로 지지부에서 다수의 송전선을 구비하되, 사용하고 있는 송전선에 사고가 검출되는 경우, 다른 송전선으로 즉시 연결하고, 이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애자를 지지대에서 슬라이딩 수평 가능하게 구비하고, 송전선의 선로를 가변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선로 지지부를 애자의 하단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지지대에 보조 애자를 구비하여, 애자 교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을 제공한다.
상기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은, 상하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양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설치대를 갖는 송전탑 몸체와; 상기 다수의 설치대 각각에 배치되는 애자와; 상기 애자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하를 따라 승강되는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서 양측부를 따라 서로 벌어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각각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송전부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전송하는 송전선이 관통되어 지지되는 지지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송전선의 송전 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장애물로부터 벗어나는 가변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승강부의 승강 구동 및, 상기 회전 지지부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송전선이 상기 가변 위치를 따르도록 상기 송전선로를 가변시키는 위치 가변부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는, 고정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는, 일단이 상기 고정 블록의 양측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회전 가능한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1지지대의 단부에서 하방을 따라 절곡되고, 끝단에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부 각각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제 2지지대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블록의 양측부에는, 상기 위치 가변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지지대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제 1회전 모터가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부 각각은, 관통홀이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 2지지대의 단부에 회전중심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 형상의 회전체와, 상기 제 2지지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 가변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제 2회전 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설치대 각각에는, 수평 이동 부재가 끼워져 설치되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애자는, 상기 수평 이동 부재의 하단에 연결된다.
상기 수평 이동 부재는 상기 위치 가변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설치대 각각에서 수평 위치가 가변 가능하다.
상기 애자의 하단은, 상기 승강부의 상단과 끼움 방식의 결합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애자의 하단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하단에 연결되어 승강되며, 하단이 상기 고정 블록에 연결되는 승강축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위치 가변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송전선의 송전 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재함을 측정하는 비젼 센서들과, 상기 측정되는 상기 송전선의 송전 경로 상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위치를 기초로, 상기 가변 위치를 산출 하는 산출기와, 상기 가변 위치를 따라 상기 송전선의 송전 경로가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부의 실린더 및, 제 1회전 모터, 제 2회전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회전체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를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다수를 이루어 형성되는 관통홀 각각에는, 송전선들이 각각 관통되어 지지된다.
상기 송전선들 각각에는, 전력 송신 여부를 측정하고, 상기 전력 송신 여부를 측정에 대한 결과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전력 측정기들과, 상기 송전부는, 전력을 상기 송전선들 각각으로 전송 또는 전송되지 않도록 온오프하는 스위치들을 갖는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결과에서, 상기 전력이 송신되지 않는 송전선들이 존재하는 경우, 다른 송전선들 중 어느 하나로, 전력이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들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 1지지대에는, 상기 송전선의 장력을 가변시키는 장력 가변부가 설치되되,
상기 장력 가변부는, 상기 제 1지지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하단에서 V 형상으로 벤딩되는 연장대와, 상기 연장대의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전선을 그립하는 그립 블록과, 상기 연장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회전대를 상기 송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그립 블록에 그립되는 송전선의 장력을 가변시키는 제 3회전 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연장대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하단에 연결되는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상기 제 1지지대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전방을 따라 비스듬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 1지지대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구동되는 다른 리니어 모터에 의해 슬라이딩 위치가 가변된다.
본 발명은, 송전탑에 설치되는 애자의 위치 및, 애자의 하단에 연결되는 송전선들의 송전선로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해당 송전선 각각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선로 지지부에서 다수의 송전선을 구비하되, 사용하고 있는 송전선에 사고가 검출되는 경우, 다른 송전선으로 즉시 연결하고, 이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를 지지대에서 슬라이딩 수평 가능하게 구비하고, 송전선의 선로를 가변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선로 지지부를 애자의 하단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지지대에 보조 애자를 구비하여, 애자 교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송전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갖는 송전탑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갖는 송전탑의 동작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지지대에 장력 조절부가 배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송전선들의 전력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갖는 송전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갖는 송전탑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갖는 송전탑의 동작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지지대에 장력 조절부가 배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송전선들의 전력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은, 상하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양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설치대(110)를 갖는 송전탑 몸체(100)와; 상기 다수의 설치대(100) 각각에 배치되는 애자(200)와; 상기 애자(200)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하를 따라 승강되는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300)와; 상기 승강부(300)의 하단에서 양측부를 따라 서로 벌어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400)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400) 각각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송전부(10)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전송하는 송전선(20)이 관통되어 지지되는 지지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 지지부(500);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대(400)에 설치되어, 상기 송전선(20)의 송전 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장애물로부터 벗어나는 가변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승강부(300)의 승강 구동 및, 상기 회전 지지부(500)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송전선(20)이 상기 가변 위치를 따르도록 상기 송전선로를 가변시키는 위치 가변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부(300)의 하단에는, 고정 블록(320)이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400)는, 그 일단이 상기 고정 블록(320)의 양측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회전 가능한 제 1지지대(410)와, 상기 제 1지지대(410)의 단부에서 하방을 따라 절곡되고, 끝단에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부(500) 각각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제 2지지대(420)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블록(320)의 양측부에는, 상기 위치 가변부(6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지지대(410)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제 1회전 모터(321)가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부(500) 각각은, 관통홀(511)이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 2지지대(420)의 단부에 회전중심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 형상의 회전체(510)와, 상기 제 2지지대(4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 가변부(6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체(510)를 회전시키는 제 2회전 모터(520)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설치대(110) 각각에는, 수평 이동 부재(111)가 끼워져 설치되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애자(200)는, 상기 수평 이동 부재(111)의 하단에 연결된다.
상기 수평 이동 부재(111)는 상기 위치 가변부(6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설치대(110) 각각에서 수평 위치가 가변 가능하다.
상기 애자(200)의 하단은, 상기 승강부(300)의 상단과 끼움 방식의 결합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300)는, 상기 애자(200)의 하단에 설치되는 실린더(310)와, 상기 실린더(3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승강되며, 하단이 상기 고정 블록(320)에 연결되는 승강축(311)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위치 가변부(600)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320)에 설치되어, 상기 송전선(20)의 송전 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재함을 측정하는 비젼 센서들(610)과, 상기 측정되는 상기 송전선(20)의 송전 경로 상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위치를 기초로, 상기 가변 위치를 산출 하는 산출기(620)와, 상기 가변 위치를 따라 상기 송전선(20)의 송전 경로가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부(300)의 실린더(310) 및, 제 1회전 모터(321), 제 2회전 모터(5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630)를 구비한다.
상기 관통홀(511)은, 상기 회전체(510)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를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다수를 이루어 형성되는 관통홀(511) 각각에는, 송전선들(20)이 각각 관통되어 지지된다.
상기 송전선들(20) 각각에는, 전력 송신 여부를 측정하고, 상기 전력 송신 여부를 측정에 대한 결과를 상기 제어기(630)로 전송하는 전력 측정기들(640)과, 상기 송전부(10)는, 전력을 상기 송전선들(20) 각각으로 전송 또는 전송되지 않도록 온오프하는 스위치들(640)을 갖는다.
상기 제어기(630)는, 상기 결과에서, 상기 전력이 송신되지 않는 송전선들(20)이 존재하는 경우, 다른 송전선들(20) 중 어느 하나로, 전력이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들(650)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한다.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제 1지지대(410)에는, 상기 송전선(10)의 장력을 가변시키는 장력 가변부(700)가 설치된다.
상기 장력 가변부(700)는, 상기 제 1지지대(4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블록(710)과, 상기 슬라이딩 블록(710)의 하단에서 V 형상으로 벤딩되는 연장대(720)와, 상기 연장대(720)의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730)와, 상기 회전대(73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전선(20)을 그립하는 그립 블록(740)과, 상기 연장대(7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63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회전대(730)를 상기 송전선(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그립 블록(740)에 그립되는 송전선의 장력을 가변시키는 제 3회전 모터(750)를 구비한다.
상기 연장대(720)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7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상기 제 1지지대(41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전방을 따라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710)은, 상기 제 1지지대(410)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63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구동되는 다른 리니어 모터(M2)에 의해 슬라이딩 위치가 가변된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송전탑에 설치되는 애자의 위치 및, 애자의 하단에 연결되는 송전선들의 송전선로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해당 송전선 각각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선로 지지부에서 다수의 송전선을 구비하되, 사용하고 있는 송전선에 사고가 검출되는 경우, 다른 송전선으로 즉시 연결하고, 이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애자를 지지대에서 슬라이딩 수평 가능하게 구비하고, 송전선의 선로를 가변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선로 지지부를 애자의 하단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지지대에 보조 애자를 구비하여, 애자 교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송전탑 몸체
200 : 애자
300 : 승강부
400 : 지지대
500 : 회전 지지부
600 : 위치 가변부
700 : 장력 가변부

Claims (4)

  1. 상하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양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설치대를 갖는 송전탑 몸체;
    상기 다수의 설치대 각각에 배치되는 애자;
    상기 애자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하를 따라 승강되는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서 양측부를 따라 서로 벌어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각각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송전부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전송하는 송전선이 관통되어 지지되는 지지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송전선의 송전 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장애물로부터 벗어나는 가변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승강부의 승강 구동 및, 상기 회전 지지부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송전선이 상기 가변 위치를 따르도록 상기 송전선로를 가변시키는 위치 가변부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는, 고정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는, 일단이 상기 고정 블록의 양측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회전 가능한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1지지대의 단부에서 하방을 따라 절곡되고, 끝단에 상기 한 쌍의 회전 지지부 각각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제 2지지대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 블록의 양측부에는, 상기 위치 가변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지지대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제 1회전 모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설치대 각각에는, 수평 이동 부재가 끼워져 설치되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애자는, 상기 수평 이동 부재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 이동 부재는 상기 위치 가변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설치대 각각에서 수평 위치가 가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애자의 하단은, 상기 승강부의 상단과 끼움 방식의 결합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애자의 하단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하단에 연결되어 승강되며, 하단이 상기 고정 블록에 연결되는 승강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
KR1020170073772A 2017-06-13 2017-06-13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 KR101779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772A KR101779441B1 (ko) 2017-06-13 2017-06-13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772A KR101779441B1 (ko) 2017-06-13 2017-06-13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441B1 true KR101779441B1 (ko) 2017-09-18

Family

ID=60034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772A KR101779441B1 (ko) 2017-06-13 2017-06-13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4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321B1 (ko) * 2018-01-29 2018-07-18 김종선 변전선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구
CN113327730A (zh) * 2021-07-02 2021-08-31 中安达电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棒形支柱绝缘子高程控制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371B1 (ko) * 2016-12-01 2017-06-14 변석훈 배전선로 지지를 위한 지지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371B1 (ko) * 2016-12-01 2017-06-14 변석훈 배전선로 지지를 위한 지지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321B1 (ko) * 2018-01-29 2018-07-18 김종선 변전선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구
CN113327730A (zh) * 2021-07-02 2021-08-31 中安达电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棒形支柱绝缘子高程控制设备
CN113327730B (zh) * 2021-07-02 2023-08-18 中安达电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棒形支柱绝缘子高程控制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441B1 (ko) 송전선로 가변 전환 장치를 구비한 송전탑
AU2007353299B2 (en) Boom mountable robotic arm
KR100979520B1 (ko) 지상부전차선 장력조정상태 검사장치
CN101834347B (zh) 无线通信天线姿态自动检测控制装置
KR100978139B1 (ko) 송배전 철탑용 선로 장력유지장치
DE69502964T2 (de) Auf einen ausleger montierbarer auslegerarm
US20020008167A1 (en) Ground based remote sensing system
KR101504121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AU2014252986A1 (en) Cantilever for overhead contact line
HRP20191796T1 (hr) Rotacioni nosač električnog konduktora
KR102461766B1 (ko) 가공송전 현수애자 장력 밸런스 장치
KR101924230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방향 가변 장치
US2326642A (en) Awning belt center support
US5772158A (en) Apparatus for laterally offsetting power lines from utility poles
CA2510904A1 (en) Tower banner display system and apparatus
KR102181990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알림시스템
CN106121347A (zh) 一种电力杆塔
RU144854U1 (ru) Поворотный подвес контактного шинопровода системы питания высокоскоростных электропоездов
CN106771749B (zh) 一种输电杆塔避雷试验装置
KR20100098175A (ko) 와이어지지용 활차를 구비하는 무대장치
KR101870205B1 (ko) 배전선로 부재 고정기능을 가진 전주
RU175369U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проводов контактной подвески
CN212201526U (zh) 一种用于电力工程的定位装置
KR20150112278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중량물 지지장치
KR20210046130A (ko) 송전 철탑의 전력 케이블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