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573B1 -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573B1
KR102102573B1 KR1020200012354A KR20200012354A KR102102573B1 KR 102102573 B1 KR102102573 B1 KR 102102573B1 KR 1020200012354 A KR1020200012354 A KR 1020200012354A KR 20200012354 A KR20200012354 A KR 20200012354A KR 102102573 B1 KR102102573 B1 KR 102102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machine room
driving
unit
autonomous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대원
Original Assignee
윤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대원 filed Critical 윤대원
Priority to KR1020200012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2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mechanical sensing means, e.g. for sensing treated area
    • G05D1/0229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mechanical sensing means, e.g. for sensing treated area in combination with fixed gui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기계실 바닥에 설치된 무선충전스테이션과; 장비 점검 동선을 따라 기계실 바닥에 마킹된 주행유도라인과; 장비에 장착되는 위치신호발신부와; 유도라인감지부와, 추종센서부가 구비된 자율주행점검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은, 기계실 내 장비 위치를 고려한 주행유도라인을 따라 자율 주행하는 자율주행점검카에 탑승하여 장비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므로, 모든 장비를 빠짐없이 또한 신속히 점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장비 자체에, 해당 장비에 대한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상태표시부가 설치되어, 상태표시부만 보더라도 해당 장비의 이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어 관리가 한결 편리하고, 더 나아가 자율주행점검카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상태표시부를 확인할 수 있어, 자율주행점검카를 원격 조정하여 장비에 대한 원거리 점검도 가능하다. 아울러, 사전 인증된 작업자만 자율주행점검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무자격자의 점검 활동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Equipment maintenance system in building machine room}
본 발명은 건물의 기계실 내에 설치되는 각종 장비를 관리하기 위한 유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해진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자율주행점검카를 이용해 모든 장비를 빠짐없이 점검할 수 있어, 신속하고 완벽한 유지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공항이나 지하철역은 물론 쇼핑센터나 관공서, 아파트나 오피스빌딩 등의 지하에 위치하는 기계실에는, 보일러나 공조장치는 물론 물탱크나 펌프 또는 오폐수 처리장비 등과 같은 여러 장비가 배치 및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계실 내의 장비는 해당 건물을 관리하는 전문 관리 인력을 통해 유지 및 보수된다. 장비에 대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점검은, 장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화재나 폭발과 같은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가령, 발전기나 배전설비와 같은 장비들의 경우 많은 열이 발생하므로 설정온도로 유지되고 있는지, 또는 습기가 차지는 않았는지 등을 확인하는 점검은 매우 중요한다.
기계실 내부의 장비는, 장비의 효율적 작동과 점검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배치되기 마련이다. 가령, 공조에 관련된 장비, 소방에 관련된 장비, 냉난방에 관련된 장비, 전기에 관련된 장비 등이 종류별로 나뉘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한 전문 관리 인력은, 개별 장비로 접근하여 장비의 운전 상태나 고장여부 등을 체크하고 체크한 내용을 별도로 기록한다.
상기한 장비에 대한 점검은 철저하고 빠짐없이 수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현실적으로는, 장비에 대한 점검이 제대로 준수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를테면, 기계실의 구석에 배치되어 있는 장비까지 걸어가는 것이 귀찮아, 장비에 다가가는 중 멈추어 멀리에서 육안으로만 확인하고 마는 사람도 있다.
또한, 신입 관리 인력의 경우, 사전 교육을 받았다 하더라도 장비 점검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그 이유 중 하나는 기계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여러 장비로 접근하는 효율적 동선이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6373호 (기계실 열사용량과 원격 검침 데이터를 이용한 열량계의 고장 진단 시스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5417호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모든 장비를 빠짐없이 또한 신속히 점검할 수 있게 하고, 장비 자체에 설치된 상태표시부를 통해 장비의 이상 유무를 즉각 파악할 수 있어 관리가 편리하고, 장비에 대한 원거리 점검도 가능하며, 무자격자의 점검 활동을 방지할 수 있는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장비가 배치되어 있는 기계실의 바닥 일측에 설치되는 무선충전스테이션과; 상기 장비의 점검을 위한 동선을 따라 기계실 바닥에 마킹되어 있는 주행유도라인과; 상기 각 장비에 장착되며 자신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신호발신부와; 상기 무선충전스테이션상에서 무선 충전되고, 상기 주행유도라인을 감지하는 유도라인감지부와, 상기 위치신호발신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추종센서부가 구비된 다수의 자율주행점검카를 포함하고, 상기 자율주행점검카에는; 자율주행점검카를 주행유도라인을 따라 주행시키되, 상기 추종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신호발신부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자율점검카를 위치신호발신부의 전방에서 정차시킬 수 있는 컨트롤러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자율주행점검카는; 주행가능한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부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를 포함하며, 상기 대차에는; 상기 무선충전스테이션 상부에서 무선 충전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받아 휠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대차의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조향부가 구비되고, 상기 대차의 상부에는, 상기 작업대를 지지하되 작업대의 방위를 조절할 수 있게 지지하는 스위블모터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기계실에는, 작업자가 출입하는 출입문이 설치되고, 출입문의 외부에는, 작업자가 기계실로 진입하기 위해 자신의 보안카드를 터치할 때 무선신호를 발생하는 도어신호발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자율주행점검카에는, 상기 도어신호발신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고, 컨트롤러로 하여금 자율주행점검카의 사용을 준비하게 하는 통신부가 설치되고, 상기 대차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점등되어 사용 준비중임을 나타내는 대기램프가 구비되며, 상기 작업대에는,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의 지문을 입력하는 작업자인증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도어신호발신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와, 작업자인증부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비교해, 작업자가 동일인일 경우 자율주행점검카의 제어권을 작업자에게 인계한다.
또한, 상기 각 장비에는; 장비의 정상상태에서 점등되는 정상램프와, 비정상상태에서 점등되는 비정상램프를 갖는 상태표시장치가 장착되고, 상기 작업대에는; 상기 상태표시장치의 정상램프 및 비정상램프를 촬영하는 광학카메라와, 각 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을 촬영하는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고, 촬영내용을 컨트롤러에 전송하여, 컨트롤러로 하여금 촬영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관제센터, 관리자단말기,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게 하는 촬영부와, 상기 자율주행점검카의 운전모드를 자율운전모드와 수동운전모드로 전환하는 전환버튼과, 수동운전 모드시 작업자가 조작하는 것으로서, 자율주행점검카의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조향스틱, 자율주행점검카를 출발시키는 스타트버튼, 자율주행점검카를 정지시키는 정지버튼을 포함하는 수동조작부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은, 기계실 내 장비 위치를 고려한 주행유도라인을 따라 자율 주행하는 자율주행점검카에 탑승하여 장비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므로, 모든 장비를 빠짐없이 또한 신속히 점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장비 자체에, 해당 장비에 대한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상태표시부가 설치되어, 상태표시부만 보더라도 해당 장비의 이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어 관리가 한결 편리하고, 더 나아가 자율주행점검카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상태표시부를 확인할 수 있어, 자율주행점검카를 원격 조정하여 장비에 대한 원거리 점검도 가능하다.
아울러, 사전 인증된 작업자만 자율주행점검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무자격자의 점검 활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계실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개별 장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자율주행검검카 및 무선충전스테이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 및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은, 여러 가지 장비가 배치된 기계실 내부를, 자율 주행하며 장비의 상태를 점검하는 자율주행카를 포함한다. 자율주행카는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로 주행할 수 있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 작업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로 주행유도라인을 따라 이동하며 장비의 상태를 촬영하여 원격 전송할 수 있다. 즉, 소음이 매우 큰 장비나 작업자의 접근이 위험한 장비의 경우, 작업자가 해당 장비에 접근하지 않고 자율주행카를 원격 제어하여, 장비에 대한 상시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장비가 배치되어 있는 기계실의 바닥 일측에 설치되는 무선충전스테이션과; 상기 장비의 점검을 위한 동선을 따라 기계실 바닥에 마킹되어 있는 주행유도라인과; 상기 각 장비에 장착되며 자신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신호발신부와; 상기 무선충전스테이션상에서 무선 충전되고, 상기 주행유도라인을 감지하는 유도라인감지부와, 상기 위치신호발신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추종센서부가 구비된 다수의 자율주행점검카를 포함하고, 상기 자율주행점검카는; 자율주행점검카를 주행유도라인을 따라 주행시키되, 상기 위치신호발신부의 신호가 추종센서부에 가장 크게 수신된 지점에서 자율주행점검카를 정지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기본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기계실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개별 장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10)의 내부에 다수의 장비(16)가 배치되어 있다. 장비(16)는, 가령 보일러, 냉난방장치, 발전기, 펌프, 소방설비, 오폐수처리장치 등을 포함하며, 종류별 또는 기능별로 적절이 이격 배치된다.
또한 기계실(10)의 바닥면에는 주행유도라인(15)이 마킹되어 있다. 주행유도라인(15)은 장비(16)의 점검을 위한 최적 동선을 따라 표시되어 있는 라인으로서, 후술할 자율주행점검카(30)의 주행을 안내한다. 주행유도라인(15)을 적용함으로써, 모든 장비(16)를 가장 빠른 시간에 빠짐없이 점검할 수 있다.
장비의 종류와 대수가 많은 기계실의 경우, 어떤 장비가 점검전이고 어떤 장비가 점검 후 인지를, 매번 신경 써서 체크하는 것은 불편한 일이다. 또한, 기계실내 장비의 배치에 익숙하지 않은 신입직원의 경우, 실수로 몇 개의 장비의 점검을 빠뜨릴 수도 있다. 아울러 불성실한 직원은 기계실의 구석에 위치한 장비까지 걸어 가는 것이 귀찮아 해당 장비에 대한 점검을 하지 않을 수 도 있다. 간혹 발생하는 기계실 화재사고는 이러한 사소한 점검 미실시로부터 비롯됨은 알려진 바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주행유도라인(15)과 자율주행점검카(30)는 이러한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다. 주행유도라인(15)은, 기계실의 가장 구석자리에 위치한 장비의 뒤쪽 부분에 까지도 마킹되어 있고, 자율주행점검카(30)는 주행유도라인(15)을 따라 주행하므로, 모든 장비를 매우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그리고 빠짐없이 점검할 수 있게 한다.
주행유도라인(15)은 무선충전스테이션(20)에서 출발하여, 기계실 내 장비를 돌고 돌아 다시 무선충전스테이션(20)으로 돌아온다. 무선충전스테이션(20)에서 출발한 자율주행점검카(30)는, 주행유도라인(15)을 따라 이동하여 한 바퀴 돈 후, 다시 처음의 자리로 돌아오는 순환운동을 반복 하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장비(16)에는 위치신호발신부(17)와 통신모듈(18)과 상태표시장치(19)가 설치된다. 위치신호발신부(17), 통신모듈(18), 상태표시장치(19)는 장비(16)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장비(16)에 적용된다.
위치신호발신부(17)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 이를테면 기계실(10) 내부에서의 자신의 위치 좌표를 출력하는 것이다. 위치신호발신부(17)에서 출력되는 출력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위치신호발신부(17)에서 출력된 정보는, 자율주행점검카(30)에 설치되어 있는 추종센서부(55)로 전달된다. 추종센서부(55)로 전송된 위치정보는 컨트롤러(46)로 전송된다. 컨트롤러(46)는 전달받은 위치정보를 기초로 자율주행점검카(30)를 이동시켜 추종센서부(55)가 위치신호발신부(17)의 전방에 정차하게 할 수 있다. 각 장비의 위치신호발신부(17)에서 출력되는 신호특성이 제각기 다름은 물론이다.
또한 통신모듈(18)은, 관제센서(도 4의 73), 관리자단말기(71), 클라우드서버(75)와 접속되며, 장비(16)의 상태를 외부로 무선 전송함과 아울러, 도어신호발신부(11a)로부터 신호가 감지될 때 상태표시장치(19)를 가동시킨다.
상태표시장치(19)는 장비에 대한 기본적인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부분이다. 이를테면, 장비가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아니면 비정상 상태인지를 표시하는 것이다. 상태표시장치(19)에는 정상램프(19a)와 비정상램프(19b)가 포함된다. 정상램프(19a)는 장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점등되는 초록색 램프이고, 비정상램프(19b)는 비정상 상태일 때 점등되는 적색 램프이다. 상태표시장치(19)는 주행유도라인(15)을 따라 주행하는 자율주행점검카(30)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기계실(10)의 출입문(11) 외측에는 도어신호발신부(11a)가 구비된다. 출입문(11)은 기계실(10)내 장비를 관리하는 작업자가 드나드는 문이다. 도어신호발신부(11a)는, 작업자가 기계실(10)로 진입하기 위해 자신의 보안카드를 터치할 때 무선신호를 발생한다.
도어신호발신부(11a)에서 출력된 무선신호는 자율주행점검카(30)에 구비되어 있는 통신부(도 3의 56)로 전달된다. 통신부(56)는 도어신호발신부(11a)에서 출력된 신호를 일단 수신한 후, 외부의 관제센터(73)와 관리자단말기(71)와 컨트롤러(46)로 동시에 전송한다.
관제센터(73)에서는 수신된 정보를 통해, 작업자 중 누가 몇 시에 기계실(10)에 들어갔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단말기(71)는 작업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스마트폰이다. 또한 컨트롤러(46)로 전달된 신호는 컨트롤러로 하여금 자율주행점검카(30)의 사용을 준비하게 한다.
자율주행점검카(30)의 사용 준비는, 후술할 송신공진부(25)의 송신을 차단하고, 대기램프(41e)를 점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자율주행점검카(30)는,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무선충전스테이션(20) 상에 주차된 상태로 무선충전된다. 무선충전스테이션(20)의 구조는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은 도 1의 자율주행검검카(30) 및 무선충전스테이션(2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 및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충전스테이션(20)은, 송신공진부(25), 송신모듈(23), 전원(21)을 포함한다. 송신공진부(25)는 송신용코일(미도시)을 내장하며 송신모듈(23)과 함께 동작하여 상부로 공진주파수의 자기력을 출력한다. 전원(21)은 송신모듈(23)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송신공진부(25)와 후술할 수신공진부(43) 간의 전력 전송방식은 일반적인 자기공명방식을 따른다. 무선충전스테이션(20)은 기계실(10)의 바닥면 일측에 배치되며, 운용하는 자율주행점검카(30)의 댓수보다 많은 송신공진부(25)를 갖는다.
한편, 상기 자율주행점검카(30)는 주행 가능한 주행대차(40)와, 주행대차(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작업대(50)를 갖는다. 주행대차(40)는 상기한 주행유도라인(15)을 따라 주행과 정차를 반복하는 것으로서, 휠(41b)을 갖는 차대(41a)와, 수신공진부(43), 수신모듈(44), 배터리(45), 컨트롤러(46), 조향부(47), 구동부(48), 대기램프(41e), 유도라인감지부(42), 스위블모터(49), 받침부(41c)를 갖는다.
수신공진부(43)는 차대(41a)의 바닥부에 설치되며, 송신공진부(25)로부터 공진신호를 전달받아 자기력을 출력한다. 수신공진부(43)에서 발생한 자기력은 수신모듈(44)을 통해 전기신호로 전환된 후 배터리(45)에 충전된다.
구동부(48)는 휠(41b)을 구동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모터는 컨트롤러(46)의 신호를 받아 회전토크를 출력하며 자율주행점검카(30)가 주행하도록 한다. 조향부(47)는 자율주행점검카(3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조향부(47) 역시 컨트롤러(46)의 제어에 의해 작동한다. 이러한 구동부(48)와 조향부(47) 자체의 작동 메카니즘은, 대형 물류센터의 창고에서 운용되는 운반용 로봇과 같다.
대기램프(41e)는 컨트롤러(46)에 의해 온오프되는 엘이디램프로서, 자율주행점검카(30)의 사용이 준비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작업자는 여러 대의 자율주행점검카(30) 중, 대기램프(41e)에 불이 들어온 자율주행점검카(30)를 선택하여 탑승한다.
위에 언급한 바와같이, 컨트롤러(46)는 도어신호발생부(11a)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통신부(56)를 통해 전달받으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근거로 대기램프(41e)를 점등시키는 것이다. 도어신호발생부(11a)로부터의 신호가 없다면 대기램프(41e)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한다.
유도라인감지부(42)는 주행유도라인(15)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즉 자율주행점검카(30)의 주행 시 주행유도라인(15)의 위치를 감지하여 추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유도라인감지부(42)를 통한 주행방식도 물류센터에서의 운반용 로봇과 같은 작동 원리를 가지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위블모터(49)는 차대(41a)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며 작업대(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스위블모터(49)의 모터축(49a)은 수직 상부로 연장되고 작업대본체(51)를 필요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스위블모터(49)의 작동도 컨트롤러(46)에 의해 제어된다.
도면부호 41c는 받침부이다. 받침부(41c)는 작업대본체(51)가 어느 한쪽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한다. 말하자면, 작업대본체(51)가 편심력에 의해 기울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받침부(41 c)의 구성은 달라질 수 이다.
한편, 상기 작업대(50)는, 작업자가 위치하는 탑승공간(51a)을 제공하는 작업대본체(51), 촬영부(52), 수동조작부(54), 작업자인증부(53), 추종센서부(55) 통신부(56) 등을 구비한다.
작업대본체(51)의 탑승공간(51a)은 상부로 개방된 공간으로서, 마치 고소작업대와 같이 난간(도면부호 없음)을 갖는다. 아울러 작업대본체(51)의 저면 중앙부는 모터축(49a)에 고정되어 있다. 스위블모터(49)를 통해 작업대본체(51)를 회전시킬 수 있음은 위에 언급한 바와 같다.
촬영부(52)는, 광학카메라(52a)와 열화상카메라(52b)를 포함한다. 광학카메라(52a)는 상태표시장치(19)의 정상램프(19a) 및 비정상램프(19b)를 촬영하는 것이다. 또한 열화상카메라(52b)는 각 장비(16)에서 발생하는 열을 촬영한다. 촬영부(52)에서 촬영한 영상은 컨트롤러(46)에 전송된다.
컨트롤러(46)는 촬영부(52)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정보를 통신부(56)를 통해 외부의 관제센터(73), 관리자단말기(71), 클라우드서버(75)로 전송한다. 자율주행점검카(30)가 주행유도라인(15)을 따라 주행하면서 촬영한 내용은 모두 외부로 전송되는 것이다. 촬영부(52)는, 탑승공간(51a)에 작업자가 탑승해있던 탑승하고 있지 않던, 일단 자율주행점검카(30)가 출발하면 촬영을 시작한다.
수동조작부(54)는, 수동운전 모드 시 작업자가 조작하는 것으로서, 조향스틱(54a), 정지버튼(54b), 스타트버튼(54c)을 포함한다. 조향스틱(54a)은 자율주행점검카(30)의 주행방향을 조절하는 것이다. 마치 차량의 스티어링휠과 같은 역할을 한다. 정지버튼(54b)은 자율주행점검카(30)를 정지시키는 스위치이다. 이동 중 정지버튼(54b)을 누르면 자율주행점검카(30)가 정차한다. 아울러 스타트버튼(54c)은 정차된 자율주행점검카(30)를 재출발 시키는 스위치이다.
아울러, 수동조작부(54)의 일측에는 전환버튼(54e)이 설치된다. 전환버튼(54e)은 자율주행점검카(30)의 운전모드를 자율운전모드에서 수동운전모드로, 또는 수동운전모드에서 자율운전모드로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작업자인증부(53), 작업대(50)에 탑승한 작업자의 지문을 입력하는 부분이다. 작업대(50)에 올라간 작업자는 자신의 지문을 작업자인증부(53)에 대고 본인 확인을 하는 것이다. 작업자인증부(53)를 통해 입력된 정보는 컨트롤러(46)로 보내진다.
컨트롤러(46)는, 도어신호발신부(11a)를 통해 수신된 정보와, 작업자인증부(53)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비교해, 작업자의 동일인 여부를 파악한다. 컨트롤러(46)는, 작업자가 일치할 경우 자율주행점검카의 제어권을 작업자에게 인계한다. 하지만 작업자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권을 인계하지 않는다. 제어권이라 함은 자율주행점검카(30)의 자동 및 수동운전을 결정하거나, 어떤 지점에서 정차 또는 재출발 하거나, 또는 주행유도라인(15)을 벗어나 주행하게 하는 등의 모든 결정권을 포함한다. 작업자가 일치하지 않으면 자율주행점검카(30)는 움직이지 않는다.
추종센서부(55)는 위치신호발신부(1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감응하여, 자율주행점검카(30)가 위치신호발신부(17) 앞에 정지하게 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장비(16)의 위치신호발신부(17)에서 출력되는 위치신호의 특성은 제각기 고유하기 때문에, 추종센서부(55)의 감도(感度)를 통해 자율주행점검카(30)를 정위치 시킬 수 있다.
물론, 등속 주행하는 자율주행점검카(30)를 각 장비(16) 앞에 일시 정차시키기 않고 논스톱으로 통과시키는 경우, 위치신호발신부(17)와 추종센서부(55)의 상호 감응 정보는 참고자료로서만 사용된다. 가령, 자율주행점검카(30)가 노선을 벗어나지 않고 주행하고 있다는 사실 확인 정도에 활용되는 것이다. 자율주행점검카(30)의 모든 주행정보가 통신부(56)를 통해 관제센서(73)와 관리자단말기(71)와 클라우드서버(75)로 실시간 전송됨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기계실내 장비 유지관리시스템(10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기계실(10) 내 장비를 점검하기 위한 작업자가, 출입문(11)으로 접근하여 본인의 보안카드를 도어신호발신부(11a)에 접촉하면 출입문(11)이 개방됨과 동시에 도어신호발신부(11a)로부터 무선신호가 출력된다.
출력된 무선신호는 자율주행점검카(30)의 통신부(56)를 통해 외부의 관제센터(73)와 관리자단말기(71)와 컨트롤러(46)로 동시에 전송한다. 자율주행점검카(30)는 대기 상태에서는 항상 무선충전스테이션(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충전된다.
관제센터(73)에서는 수신된 정보를 통해, 작업자 중 누가 몇 시에 기계실(10)에 들어갔는지 등의 이력을 저장한다. 또한 컨트롤러(46)는 송신공진부(25)의 송신을 차단하고, 대기램프(41e)를 점등하여, 다수의 자율주행점검카(30) 중 어떤 점검카를 이용할지 알려준다.
작업자는 대기램프(41e)에 불이 들어온 자율주행점검카(30)에 탑승하여 점검을 시작한다. 즉, 자율주행점검카(30)를 탑승한 상태로 주행유도라인(15)을 따라 이동하며 장비(16)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자율주행점검카(30)가 장비의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촬영부(52)가 장비(16)와 상태표시장치(19)를 촬영하여 컨트롤러(46)로 실시간 전송함은 물론이다.
작업자는 장비의 점검 중 이상을 발견한 경우, 전환버튼(54e)과 정지버튼(54b)을 눌러 자율주행점검카(30)를 정차시킨 후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조치가 완료되었다면 스타트버튼(54c)과 전환버튼(54e)을 눌러 점검을 계속한다. 상기 주행유도라인(15)을 한 바퀴 돌아 정비를 마친 후에는, 자율주행점검카(30)를 무선충전스테이션(20)에 파킹시킨 후 점검과정을 마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기계실 11:출입문 11a:도어신호발신부
15:주행유도라인 16:장비 17:위치신호발신부
18:통신모듈 19:상태표시장치 19a:정상램프
19b:비정상램프 20:무선충전스테이션 21:전원
23:송신모듈 25:송신공진부 30:자율주행점검카
40:주행대차 41a:차대 41b:휠
41c:받침부 41e:대기램프 42:유도라인감지부
43:수신공진부 44:수신모듈 45:배터리
46:컨트롤러 47:조향부 48:구동부
49:스위블모터 49a:모터축 50:작업대
51:작업대본체 51a:탑승공간 52:촬영부
52a:광학카메라 52b:열화상카메라 53:작업자인증부
54:수동조작부 54a:조향스틱 54b:정지버튼
54c:스타트버튼 54e:전환버튼 55:추종센서부
56:통신부 71:관리자단말기 73:관제센터
75:클라우드서버 100:유지관리시스템

Claims (4)

  1. 다수의 장비가 배치되어 있는 기계실의 바닥 일측에 설치되는 무선충전스테이션과; 상기 장비의 점검을 위한 동선을 따라 기계실 바닥에 마킹되어 있는 주행유도라인과; 상기 각 장비에 장착되며 자신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신호발신부와; 상기 무선충전스테이션상에서 무선 충전되고, 상기 주행유도라인을 감지하는 유도라인감지부와, 상기 위치신호발신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추종센서부가 구비된 다수의 자율주행점검카를 포함하고,
    상기 자율주행점검카는; 자율주행점검카를 주행유도라인을 따라 주행시키되, 상기 추종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신호발신부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자율주행점검카를 위치신호발신부의 전방에서 정차시킬 수 있는 컨트롤러와, 주행 가능한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부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를 포함하며,
    상기 대차의 상부에는, 상기 작업대를 지지하되 작업대의 방위를 조절할 수 있게 지지하는 스위블모터가 설치되는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에는; 상기 무선충전스테이션 상부에서 무선 충전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받아 휠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대차의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조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12354A 2020-02-03 2020-02-03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 KR102102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54A KR102102573B1 (ko) 2020-02-03 2020-02-03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54A KR102102573B1 (ko) 2020-02-03 2020-02-03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331A Division KR102164946B1 (ko) 2020-03-24 2020-03-24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573B1 true KR102102573B1 (ko) 2020-04-20

Family

ID=70467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354A KR102102573B1 (ko) 2020-02-03 2020-02-03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5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28B1 (ko) * 2020-05-06 2020-11-17 주식회사 비제이글로벌 비대면 주차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35360B1 (ko) * 2020-07-31 2021-04-02 시춘근 유지보수장치를 갖는 지중전력설비
CN115484172A (zh) * 2022-09-16 2022-12-16 宝吉良 一种基于物联网的计算机控制终端的管理系统及方法
KR20230033765A (ko) * 2021-09-01 2023-03-09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의 무선 충전을 위한 시스템이 마련된 액세스 플로어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417Y1 (ko) 2008-10-28 2011-09-02 현대제철 주식회사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WO2017030188A1 (ja) * 2015-08-19 2017-02-23 Cyberdyne株式会社 自律移動体および施設内管理運営システム
KR20180106373A (ko) 2017-03-20 2018-10-01 (주) 현암바씨스 기계실 열사용량과 원격 검침 데이터를 이용한 열량계의 고장 진단 시스템
KR20190008716A (ko) * 2017-07-17 2019-01-25 (주)선운이앤지 변전시설물 유지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417Y1 (ko) 2008-10-28 2011-09-02 현대제철 주식회사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WO2017030188A1 (ja) * 2015-08-19 2017-02-23 Cyberdyne株式会社 自律移動体および施設内管理運営システム
KR20180106373A (ko) 2017-03-20 2018-10-01 (주) 현암바씨스 기계실 열사용량과 원격 검침 데이터를 이용한 열량계의 고장 진단 시스템
KR20190008716A (ko) * 2017-07-17 2019-01-25 (주)선운이앤지 변전시설물 유지 관리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28B1 (ko) * 2020-05-06 2020-11-17 주식회사 비제이글로벌 비대면 주차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35360B1 (ko) * 2020-07-31 2021-04-02 시춘근 유지보수장치를 갖는 지중전력설비
KR20230033765A (ko) * 2021-09-01 2023-03-09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의 무선 충전을 위한 시스템이 마련된 액세스 플로어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KR102590503B1 (ko) * 2021-09-01 2023-10-18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의 무선 충전을 위한 시스템이 마련된 액세스 플로어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CN115484172A (zh) * 2022-09-16 2022-12-16 宝吉良 一种基于物联网的计算机控制终端的管理系统及方法
CN115484172B (zh) * 2022-09-16 2023-09-26 深圳市兴海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计算机控制终端的管理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573B1 (ko)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
CN107851348B (zh) 具有电梯系统的建筑物的疏散方案
CA2987507C (en) Sequence of levels in buildings to be evacuated by elevator systems
US11827468B2 (en) Remote loading dock authoriz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679445B2 (en) Authentication device for delivery service
CN111216918B (zh) 一种廊桥与飞机舱门的自动对接系统
KR20190015263A (ko) 원격 엘리베이터 모니터링 및 검사
US10593139B2 (en) Method of granting access on a route based upon route taken
CN114730175A (zh) 设备控制系统、控制方法以及程序
KR102337930B1 (ko) 통로형 구조물 모니터링 로봇
KR101775393B1 (ko)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
KR102164946B1 (ko)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
KR20170061968A (ko) 로봇을 이용한 감시 및 보안 시스템
CN104859688B (zh) 基于北斗定位的地铁自动管理系统
JP2007148973A (ja) 監視システム、同システムを構成する移動ロボットの制御装置
KR101775392B1 (ko)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시스템
CN108081269A (zh) 机器人及其控制方法
KR102394191B1 (ko) 통로형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JP200419642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7157032A (ja) 監視システム
JP2024514132A (ja) ロボット遠隔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エレベータの最適待機位置に搭乗するロボットが走行する建物
CN114942627A (zh) 移动机器人、运输系统、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JP4934315B2 (ja) 監視システム、同システムを構成する移動ロボットおよび制御装置
JP7451330B2 (ja) 駅務システム、監視盤サーバ及び可搬型操作端末
JP7067859B2 (ja) 自動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