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184B1 - 균열보수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균열보수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184B1
KR102102184B1 KR1020190083869A KR20190083869A KR102102184B1 KR 102102184 B1 KR102102184 B1 KR 102102184B1 KR 1020190083869 A KR1020190083869 A KR 1020190083869A KR 20190083869 A KR20190083869 A KR 20190083869A KR 102102184 B1 KR102102184 B1 KR 102102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repair
repair material
fixing pin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영
Original Assignee
김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영 filed Critical 김민영
Priority to KR1020190083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이나 관체 등에 발생한 크랙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수하기 위한 균열보수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콘크리트의 균열부위의 양 측면에 박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핀; 상기 균열부위를 덮도록 상기 각 고정핀에 관통되거나 감겨 설치되는 코드부; 상기 코드부와 손상부위를 덮도록 도포된 후, 경화되면서 상기 코드부와 일체화되어 균열부위를 보호하는 보수재;를 포함하는 균열보수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수재가 박리되는 현상이 줄어들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균열보수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Apparatus for Repairing Crack and Repair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균열보수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이나 관체 등에 발생한 크랙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수하기 위한 균열보수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구조물들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건물이나 계단, 벽을 비롯한 교량 등도 콘크리트로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하수관이나 관거 및 맨홀 등도 콘크리트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는 생활 전반에 걸쳐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오랜 시간이 지나게 되면 외력에 의한 비틀림이나 또는 수분의 증발로 인한 크랙 등의 균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크랙을 방치하게 되면 점점 성장하게 되고, 크랙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여 동결되면서 크랙이 급성장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크랙은 발생되었을 때 적절하게 보수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랙(10)이 발생된 부위에 수지 등의 보수재(20)를 발라서 크랙(10)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크랙(10)이 더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단순히 보수재(20)를 크랙(10)에 바르는 방식의 시공방법은 시간이 지나게 되면 보수재(20)가 박리되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크랙(10) 등의 손상부위가 깊거나 넓으면 대응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62894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수재의 박리현상이 방지되는 균열보수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깊거나 넓은 손상부위에도 적용이 가능한 균열보수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콘크리트의 균열부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핀; 상기 균열부위를 덮도록 상기 각 고정핀에 관통되거나 감겨 설치되는 코드부; 상기 코드부와 손상부위를 덮도록 도포된 후, 경화되면서 상기 코드부와 일체화되어 균열부위를 보호하는 보수재;를 포함하는 균열보수체가 제공된다.
상기 균열부위 내측의 공극에 삽입되는 삽입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체는, 상기 보수재를 함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수재는 상기 코드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드부는 섬유로 이루어진 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드부는, 끈이 그물 형태로 교차되도록 직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균열부위의 양측에 고정핀을 설치하는 고정핀 설치단계, 설치된 고정핀에 코드부를 엮으면서, 상기 코드부가 상기 균열부위를 덮도록 설치하는 코드부 설치단계, 상기 코드부 및 균열부위에 보수재를 도포하는 보수재 도포단계, 도포된 보수재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균열보수체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균열부위를 덮도록 코드부를 설치하는 코드부 설치단계, 상기 코드부를 관통하면서 균열부위의 양측에 고정핀을 설치하는 고정핀 설치단계, 상기 코드부 및 균열부위에 보수재를 도포하는 보수재 도포단계, 도포된 보수재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균열보수체 시공방법 또한 제공된다.
상기 균열부위에 보수재를 함침한 삽입체를 삽입하는 메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열부위에서 탈락한 조각이 있는 경우, 상기 고정핀 설치단계는, 상기 균열부위에서 탈락한 조각을 상기 균열부위에 고정하도록, 상기 조각을 관통하면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균열보수체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 코드부와 보수재가 일체화 되므로 코드부가 하중을 지탱할 수 있어 보수재가 하중을 박리되거나 탈락할 우려가 적어진다.
또한, 균열부위의 손상 정도, 면적, 깊이, 및 부식 정도에 따라 적합한 길이와 굵기의 고정핀을 선택할 수 있어 보수효과를 증대 시킬 수 있다.
또한, 균열부위의 면적이 큰 곳이거나 정도가 큰 곳은 상기 코드부를 촘촘하게 배치할 수 있어 보수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균열이 큰 곳에는 보수재를 함침한 삽입체를 삽입함으로써 균열부위의 내부까지 효과적으로 보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크랙을 보수한 보수재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보수체에 의해 크랙을 보수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보수체에 의해 파손부위가 넓은 크랙을 보수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보수체에 의해 파손부위가 깊은 크랙을 보수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보수체에 의해 조각이 탈락된 크랙을 보수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열보수체에 의해 얇은 크랙을 보수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그물형태로 직조된 코드부를 이용해 크랙을 보수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균열보수체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균열보수체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균열보수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110), 코드부(120) 및 보수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10)은 콘크리트 구조물(5)의 균열 부위(10)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못과 유사하게 콘크리트 구조물(5)에 박히는 끝단은 뾰족하게 첨단을 이루며, 그 반대측 단은 망치 등으로 타격하기 용이하게 면적이 넓은 헤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110)의 설치란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핀(110)이 콘크리트에 타격 등의 수단을 통해 박혀 정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핀(110)은 강도와 내부식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금속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금속 외에 합성수지나 여러 가지 처리가 이루어진 목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가능한 모든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핀(110)은 콘크리트 구조물(5)의 균열부위(10)의 주변에 복수개 박힐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5)은 건물의 벽이나 천정, 바닥, 계단,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하수관, 맨홀 등 콘크리트로 형성된 모든 구조물을 통칭할 수 있다.
상기 코드부(120)는, 섬유 등 상기 보수재(130)를 함침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가요성을 가지는 끈(string)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반드시 보수재(130)를 함침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낚싯줄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형태의 경우에도 상기 보수재(130)가 굳었을 때 상기 보수재(130)와 일체화 될 수 있는 재질 및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코드부(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110)의 콘크리트 외측에 노출된 부분에 엮이거나 감겨 마치 운동화 끈이 엮이는 것과 유사하게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면서 상기 균열부위(10)의 상측을 복수회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수재(130)는 상기 균열부위에 도포되어 굳으면서 상기 균열부위(10)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수지나 모르타르 등 방수성을 가지면서 콘크리트에 부착성을 가지는 재질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수재(130)는 상기 균열부위(10)에 도포되면서 상기 고정핀(110)과 코드부(120)를 덮어 매립하도록 도포되며, 도포된 보수재(130)가 상기 코드부(120)의 섬유 사이로 함침되면서 경화되어, 경화된 후에는 상기 코드부(120)와 일체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드부(120)가 상기 고정핀(110)에 의해 콘크리트(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수재(130)가 상기 콘크리트에서 박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10) 및 코드부(120)는 상기 콘크리트의 균열부위(10)의 형태 및 정도에 따라 촘촘하거나 성기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손부위가 넓은 균열부위(12)에는 해당구간에 촘촘하게 고정핀(110)을 설치하며, 상기 코드부(120) 또한 촘촘하게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손부위가 깊고 넓은 균열부위(10)에는 삽입체(140)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삽입체(140)는 파손정도가 깊고 넓은 경우에 그 공극을 메꾸기 위해 균열부위(10)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코드부(120)와 마찬가지로 보수재(130)를 다량 함침할 수 있는 끈 등의 섬유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섬유 외에도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건조된 상태에서는 작은 입자이나, 보수재(130)를 흡수하면서 그 크기가 팽창되며, 균열부위(10)의 형태에 따라 그 형태가 변하는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균열부위(10)의 양상 및 정도, 깊이나 부식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굵기나 길이의 고정핀(110)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부위에 탈락한 조각(14)이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고정핀(110)을 적용하여, 상기 고정핀(110)을 설치할 때 탈락한 조각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핀(110)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될 때 탈락한 조각(14)을 함께 균열부위(10)에 고정한 뒤에 코드부(120)를 설치하고, 보수재(130)를 도포할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부식이 심하게 일어나거나 깊지 않은 크랙이 다수가 넓게 형성된 경우,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굵기가 얇은 고정핀(110)이 다수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시공부위가 넓어서 코드부(120)를 일일이 고정핀(110)에 감싸 엮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이 그물형태로 서로 교차되도록 직조된 형태로 제조된 코드부(120)를 사용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은 그물 형태의 기 제조된 코드부(120)는, 균열부위(10)의 면적이 넓거나 깊이가 깊은 경우 또는 작업공간이 좁아서 고정핀(110)에 코드부(120)를 감싸 엮는 공간이 불충분한 경우, 또는 작업시간을 단축해야 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균열(10)의 형태 및 필요에 따라 끈 사이의 간격이 덜 촘촘한 그물 형태의 코드부(120)를 사용할 수도 있고, 더 촘촘한 그물 형태의 코드부(120)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그물형태의 코드부(120)를 균열부위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에, 상기 코드부(120)의 끈이 교차되는 지점마다 고정핀(110)을 박아서 콘크리트에 고정한 후에 보수재(130)를 도포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균열보수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균열보수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 설치단계(S110), 코드부 설치단계(S120) 및 보수재 도포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 설치단계(S110)는, 콘크리트의 균열부위의 양 측에 고정핀(110)을 복수개 설치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코드부 설치단계(S120)는, 끈 형태의 코드부(120)를 기 설치된 고정핀(110)에 엮거나 감으면서, 상기 균열부위의 상측을 복수회 가로지르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 설치단계(S110)와 코드부 설치단계(S120)에서, 고정핀(110)의 간격 및 코드부(120)의 설치간격은 균열부위의 크기 및 정도에 따라 촘촘하게 배치되거나 성기게 배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열부위의 크기 및 정도, 부식정도에 따라 고정핀(110)의 적절한 길이 및 굵기를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균열부위가 넓고 깊은 경우에는 메꿈단계(S105)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메꿈단계(S105)에서는 균열부의의 내측에 보수재(130)를 함침한 삽입체(140)를 삽입하여 균열부위의 공극을 메꿀 수 있다.
상기 메꿈단계(S105)는 상기 고정핀 설치단계(S110)의 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상기 고정핀 설치단계(S110)의 전에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핀 설치단계(S110)에서, 상기 균열부위에서 탈락한 조각이 있는 경우, 상기 균열부위에서 탈락한 조각을 상기 균열부위에 고정하도록, 상기 조각을 관통하면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경화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경화단계(S140)를 통해 균열부위에 도포된 보수재(130)가 건조되거나 굳어 경화됨으로써 콘크리트의 균열부위의 보수를 마무리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균열보수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부(120)로서 그물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균열부위 내부의 공극을 채우는 메꿈단계(S205)가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메꿈단계(S205)가 수행되어 균열부위 내부의 공극을 채운 뒤에, 코드부 설치단계(S210)가 수행되어 그물 형태의 코드부(120)를 균열부위 위치되고, 상기 고정핀 설치단계(S2200)가 수행되어 상기 고정핀(110)이 코드부(120)의 끈들의 교차지점을 관통하면서 콘크리트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수재 도포단계(S230)가 수행되어 보수재(130)가 상기 코드부(120) 및 균열부위를 덮도록 도포되며, 상기 보수재(130)가 도포된 뒤에는 경화단계(S240)가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균열부위 110: 고정핀
120: 코드부 130: 보수재
140: 삽입체 S105: 메꿈단계
S110: 고정핀 설치단계 S120: 코드부 설치단계
S130: 보수재 도포단계 S140: 경화단계

Claims (10)

  1.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핀;
    상기 균열부위를 덮도록 상기 각 고정핀에 관통되거나 감겨 설치되는 코드부;
    상기 코드부와 손상부위를 덮도록 도포된 후, 경화되면서 상기 코드부와 일체화되어 균열부위를 보호하는 보수재;
    상기 균열부위 내측의 공극에 삽입되며, 보수재를 함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삽입체;
    를 포함하는 균열보수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재는 상기 코드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균열보수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부는 섬유로 이루어진 끈으로 형성되는 균열보수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부는,
    끈이 그물 형태로 교차되도록 직조되는 균열보수체.
  7. 균열부위의 양측에 고정핀을 설치하는 고정핀 설치단계;
    균열부위에 보수재를 함침한 삽입체를 삽입하는 메꿈단계;
    설치된 고정핀에 코드부를 엮으면서, 상기 코드부가 상기 균열부위를 덮도록 설치하는 코드부 설치단계;
    상기 코드부 및 균열부위에 보수재를 도포하는 보수재 도포단계;
    도포된 보수재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를 포함하는 균열보수체 시공방법.
  8. 균열부위에 보수재를 함침한 삽입체를 삽입하는 메꿈단계;
    균열부위를 덮도록 코드부를 설치하는 코드부 설치단계;
    상기 코드부를 관통하면서 균열부위의 양측에 고정핀을 설치하는 고정핀 설치단계;
    상기 코드부 및 균열부위에 보수재를 도포하는 보수재 도포단계;
    도포된 보수재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를 포함하는 균열보수체 시공방법.
  9. 삭제
  10.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부위에서 탈락한 조각이 있는 경우,
    상기 고정핀 설치단계는, 상기 균열부위에서 탈락한 조각을 상기 균열부위에 고정하도록, 상기 조각을 관통하면서 설치되는 균열보수체 시공방법.
KR1020190083869A 2019-07-11 2019-07-11 균열보수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02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869A KR102102184B1 (ko) 2019-07-11 2019-07-11 균열보수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869A KR102102184B1 (ko) 2019-07-11 2019-07-11 균열보수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184B1 true KR102102184B1 (ko) 2020-04-27

Family

ID=7046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869A KR102102184B1 (ko) 2019-07-11 2019-07-11 균열보수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1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681B1 (ko) * 2020-10-28 2021-02-09 서창덕 패널 건축물의 방수방법
CN113187262A (zh) * 2021-04-28 2021-07-30 广东中申建筑工程有限公司 建筑施工裂缝加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948B1 (ko) 2005-06-08 2006-09-27 재신건설(주)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식균열 보수공법
KR20080100591A (ko) * 2007-05-14 2008-11-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KR101103881B1 (ko) * 2011-04-18 2012-01-12 주식회사 삼주에스엠씨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구조 및 방법
KR101980795B1 (ko) * 2018-11-08 2019-05-22 주식회사 케이엠콘 친환경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948B1 (ko) 2005-06-08 2006-09-27 재신건설(주)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식균열 보수공법
KR20080100591A (ko) * 2007-05-14 2008-11-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KR101103881B1 (ko) * 2011-04-18 2012-01-12 주식회사 삼주에스엠씨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구조 및 방법
KR101980795B1 (ko) * 2018-11-08 2019-05-22 주식회사 케이엠콘 친환경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681B1 (ko) * 2020-10-28 2021-02-09 서창덕 패널 건축물의 방수방법
CN113187262A (zh) * 2021-04-28 2021-07-30 广东中申建筑工程有限公司 建筑施工裂缝加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184B1 (ko) 균열보수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96032B1 (ko) 숏크리트 타설과 텍스타일 그리드 고정을 위한 앵커핀, 및 이를 이용한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 숏크리트 시공방법
CA2914506C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inforcing supporting structures
US20160053503A1 (en) Fiber reinforced anchors and connectors, methods of making anchors and connectors, and processes for reinforcing a structure
KR101014230B1 (ko) 외벽단열 건축물 외벽 보수보강 시공공법
EA011186B1 (ru)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 покрытие, полученное этим способом
JP4608376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JP2014152447A (ja) 小径耐蝕鉄筋コンクリート杭
JP5266584B2 (ja) 防食pc鋼より線組付体、およびアンカー構造の構築方法
KR101903699B1 (ko) 앵커 어셈블리
JP2010174555A (ja) 防食pcストランドを用いたアンカー構造とその構築方法、並びに防食pcストランド組付体、および複合アンカー部材
KR102310332B1 (ko)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및 방법
EP3492672A1 (en) Ceiling repair method and wall repair method
KR20040034650A (ko) 수중파일 보강용 섬유복합체 거푸집 및 그의 시공방법
CA2502065A1 (en) Method for in situ repair of timber piles using synthetic reinforcing fabric
CZ20011208A3 (cs) Obalová trubka pro zařízení k vrtání děr a vytváření ukotvení
US3859780A (en) Method of forming an anchor cable
JP2020060057A (ja) 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工法
CN115306175B (zh) 一种新旧墙防开裂结构及其施工方法
JP2020060060A (ja) 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工法
KR200354792Y1 (ko) 수중파일 보강용 섬유복합체 거푸집
KR100382300B1 (ko) 강연선 매입에 의한 내화 보강공법
KR100396852B1 (ko) 지하밸브실 내부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보수방법
JP7134057B2 (ja) 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用の補強部材
JPH1136610A (ja) 外壁補修方法及びアンカーピ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