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332B1 -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332B1
KR102310332B1 KR1020190155650A KR20190155650A KR102310332B1 KR 102310332 B1 KR102310332 B1 KR 102310332B1 KR 1020190155650 A KR1020190155650 A KR 1020190155650A KR 20190155650 A KR20190155650 A KR 20190155650A KR 102310332 B1 KR102310332 B1 KR 102310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repair
concrete crack
concrete
fixing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421A (ko
Inventor
김민영
Original Assignee
김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영 filed Critical 김민영
Priority to KR1020190155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33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도포되는 보수재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로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상기 균열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보수재와 일체화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정착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및 방법{CONCRETE CRACK REPAIR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발생한 균열 부위에 설치되어 균열 부위를 보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벽, 교량, 관거 등 많은 구조물들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외력, 침식 등을 겪게 되고, 이로 인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는 균열이 발생하기도 한다.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을 방치할 경우 균열 부위에 수분의 침투, 동결 등이 진행되어 균열 부위가 확장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이 저하된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을 보수하기 위하여 균열이 발생된 부위에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보수재를 도포하여 균여 부위 내에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균열 부위의 확장을 방지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콘크리트 균열 부위에 이와 같이 단순히 보수재를 바르는 방식의 시공방법은 시공 후 보수재가 쉽게 박리되어 떨어져 나가는 경우가 많아 보수 효과가 크지 못하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가 깊거나 넓으면 실질적으로 보수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섬유보강재와 스터드를 사용하여 보수재의 정착력을 높이는 기술이 선보이고는 있으나 스터드를 이용하여 섬유보강재를 콘크리트 균열 부위에 인장력을 도입하여 정착시키는 과정에서 섬유보강재와 스터드 사이의 고정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시공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이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10-0628948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식균열 보수방법", 2006.09.27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균열 부위를 견고하고 효과적으로 보수하여 주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균열 부위가 비교적 깊거나 넓은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해주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도포되는 보수재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로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상기 균열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보수재와 일체화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정착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는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로브(lob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관통 배치를 위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2 이상의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나란히 이격 배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정착되는 핀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을 연결하며 배치되는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는, 한 가닥 이상의 길이부재로 이루어지고,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균열 부위에 정착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보강부재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 1 부분 및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 1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부분은 십자형으로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는,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 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되 상기 고정부재 고정 후 제거되는 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일측에 상기 머리부 보다 작은 횡단면적을 가지고 소정의 길이로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정착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는 통과할 수 있으나 상기 머리부는 통과할 수 없는 횡단면적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는,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일측에 상기 머리부 보다 작은 횡단면적을 가지고 소정의 길이로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정착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재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는 통과할 수 있으나 상기 머리부는 통과할 수 없는 횡단면적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보강부재가 감기거나 안착될 수 있는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격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격부재의 측면에 결합된 후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의 관통부와 연통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격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적층되어 배치되는 보조이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보수재를 도포하여 상기 균열 부위를 보수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방법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를 상기 균열 부위에 배치하여 고정하는 고정단계; 상기 균열 부위에 상기 보수재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및 도포된 보수재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인장력 도입이 가능한 한 가닥 이상의 길이부재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배치되는 보강부재가 그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며 균열 부위에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통해 고정부재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시공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콘크리트의 균열 부위가 비교적 깊거나 넓은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시공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지지부재 및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보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시공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지지부재의 변형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시공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시공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시공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시공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조절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이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이격부재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이격부재가 추가적으로 포함된 실시예를 통해 이루어진 시공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보조이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시공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지지부재 및 고정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보강부재의 사시도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시공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균열 부위(110)에 도포되는 보수재(40)에 지지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는 지지부재(10), 고정부재(20) 및 보강부재(3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균열 부위(110)에 배치되어 보수재(40)와 일체화된다. 보수재(40)는 균열 부위(110)에 도포되어 균열 부위(110)를 매립하도록 도포되는데, 지지부재(1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형성되어 보수재(40)가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표면에서 박리되는 것을 막아준다. 지지부재(10)는 보수재(40)에 의해 함침되고, 보수재(40)의 경화에 따라 보수재(40)와 일체가 될 수 있다.
지지부재(10)는 보수재(40)와의 효과적인 일체화를 위해 보수재(40)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지지부재(10)는 보수재(4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보수재(40)는 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10) 역시 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1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보수재(40)와 일체화되는 몸체(11)와, 고정부재(20)의 삽입을 위해 몸체(11)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12)을 포함한다. 몸체(11)는 보수재(40)와 접촉하는 면적을 제공한다. 관통홀(12)은 고정부재(20)가 결합되는 통로가 된다. 구체적으로 관통홀(12)은 고정부재(20)의 관통 배치를 위해 몸체(11)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2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지지부재(10)의 변형예들이 나타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재(10)는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지지부재(10)는 원형(도 5의 (a) 및 (b)) 또는 다각형(도 5의 (c) 및 (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0)는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로브(lobe)를 포함할 수 있다(도 5의 (c) 및 (d)). 여기서 로브는 지지부재(10)의 테두리 부분 중 상대적으로 돌출된 부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10)가 변형됨으로써 보수재(40)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면 보수재(40)의 정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20)는 지지부재(10)를 관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정착되어 지지부재(10)를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고정한다. 고정부재(20)는 지지부재(10)와 함께 보강부재(30)를 도입된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고정부재(20)는 나란히 이격 배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정착되는 핀형의 몸체부(21)와, 몸체부(21)의 상단을 연결하며 배치되는 머리부(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20)는 일자 핀형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에 비하여 지지부재(10)에 더욱 강한 압박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부재(20)는 강도와 내부식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재(20)는 금속, 합성수지, 목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부재(30)는 한 가닥 이상의 길이부재로 이루어지고,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에서 지지부재(10) 및 고정부재(20)에 의해 균열 부위(110)에 정착된다. 보강부재(30)는 가요성을 가지는 끈(string)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부재(30)는 섬유 등 보수재(40)를 함침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부재(30)는 수지, 탄소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30)는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에서 지지부재(10) 및 고정부재(20)에 의해 압박되거나 감겨 고정될 수 있다. 인장력은 균열 부위(110)의 양측에서 균열 부위(110)의 확장을 방지하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보강부재(30)는 균열 부위(110)의 양측을 가로지며 배치되어 균열 부위(110)의 확장을 방지하는 힘을 제공한다. 또한, 보강부재(30)는 경화된 보수재(40) 내에서 뼈대로서 기능하여 보수재(40)의 정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경우 보강부재(30)는 지지부재(10)와 고정부재(20)에 의해 압박되거나 지지부재(10) 또는 고정부재(20)에 감김으로써 고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보강부재(30)가 다수개의 길이부재가 겹쳐져 구성되는 경우(예를 들면, 가는 굵기를 가지는 다수개의 탄소 섬유가 겹쳐져 구성되는 경우)에도 이들을 사전에 꼬거나 상호 부착할 필요없이 한번에 고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공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시공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보강부재(30)를 사용하지 않고, 지지부재(10)와 고정부재(20)를 통해 보수재(40)에 지지력을 제공한다. 제 2 실시예에서, 지지부재(10)는 다양한 폭과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20)는 일자 핀형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균열 부위(110)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경우 적합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상세히 살펴보면, 지지부재(10)가 균열 부위(110)의 양측에 균열 부위(110)를 가로지르며 배치되고, 균열 부위(110)의 양측에서 고정부재(20)가 지지부재(10)를 관통하며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정착됨으로써 지지부재(10)를 통해 균열 부위(110)의 확장을 방지하는 힘이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시공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시공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지지부재(10)의 형태 면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고정부재(20)가 일자형 핀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는 지지부재(10)의 몸체(11)는 보강부재(3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 1 부분(111) 및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제 1 부분(111)과 연결되며 고정부재(20)가 관통되는 제 2 부분(112)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부분(111)은 보강부재(3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탄소 섬유 등의 재질을 가지고 한 가닥 이상의 길이부재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에 따라 보강부재(30)에 도입된 인장력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 2 부분(112)은 관통홀(12)을 구비하며, 고정부재(20)가 효과적으로 지지부재(10)를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고정부재(20)는 머리부(21)와, 머리부(21)의 일측에 머리부(21) 보다 작은 횡단면적을 가지고 소정의 길이로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콘크리트 구조물(100) 내에 정착하는 몸체부(22)를 포함한다. 고정부재(20)는 이와 같은 형태를 통해 지지부재(1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시공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는 제 3 실시예와 비교하여 지지부재(10)의 형태 면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10)의 몸체(11)의 제 1 부분(111)이 십자형으로 교차하며 형성되고, 제 2 부분(112)은 제 1 부분(111)의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10)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균열 부위가 상대적으로 광범위하여 보강부재(30)를 그물망 형태로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표면에 배치하고자할 때 적합하다. 제 4 실시예에서, 고정부재(20)는 필요에 따라 하나의 지지부재(10)에 형성된 4개의 관통홀(12) 중 일부에만 결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조절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를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표면에 고정할 때, 고정부재(20)의 삽입 깊이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균열 부위(110) 중 깊이가 상이한 여러 곳에 고정부재(20)를 고정할 때, 보강부재(30)의 고정이나 보수재(40)의 효과적인 도포를 위해 고정부재(20)들의 높이를 서로 맞추고자 할 경우, 고정부재(20)의 몸체(22)의 일정 부분을 노출시켜 노출된 부분에 보강부재(30)를 감아 고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은 필요가 있을 때, 조절부재(50)는 고정부재(20)의 고정 시 지지부재(10)와 고정부재(20)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부재(2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되 고정부재(20) 고정 후 제거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조절부재(50)는 소정의 두께(h)로 형성되되 고정부재(20)의 몸체부(22)는 통과할 수 있으나 머리부(21)는 통과할 수 없는 횡단면적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부(51)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조절부재(50)의 두께는 요구되는 고정부재(20)의 삽입 깊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조절부재(50)는 다양한 두께를 가지고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조절부재(50)는 고정부재(20)의 고정 후 제거되어야 하므로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관통부(51) 일측으로 외부와 연통되는 슬릿(5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이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이격부재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이격부재가 추가적으로 포함된 실시예를 통해 이루어진 시공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조절부재(50)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를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표면에 고정할 때, 고정부재(20)의 삽입 깊이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때, 이격부재(60)는 지지부재(10)와 고정부재(20)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부재(2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한다. 이격부재(60)는 조절부재(50)와 달리 고정부재(20)의 삽입 후에도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다는 점에서 조절부재(50)와 구별될 수 있다.
이격부재(60)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되 고정부재(20)의 몸체부(22)는 통과할 수 있으나 머리부(21)는 통과할 수 없는 횡단면적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부(6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격부재(60)는 보강부재(30)가 감기거나 안착될 수 있는 고정부(6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3에서 고정부(62)는 이격부재(60)의 측면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져 있고, 도 14에서 고정부(62)는 이격부재(60)의 측면에 결합된 후크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고정부(62)의 형태는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보강부재(30)의 안착 또는 고정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보조이격부재의 사시도이다.
이격부재(60)의 두께는 조절부재(50)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격부재(60)가 고정부(62)를 구비할 경우, 이격부재(60)의 두께는 일정하게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고정부재(2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격부재(60)에 적층배치될 수 있는 보조이격부재(70)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보조이격부재(70)는 이격부재(60)의 관통부(61)와 연통되는 관통부(71)를 구비하고 이격부재(70)의 위 또는 아래에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보조이격부재(70)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되 필요에 따라 그 적층 개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고, 보조이격부재(70)가 다양한 높이를 가지고 다수개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균열 부위(110)에 보수재를 도포하여 균열 부위(110)를 보수하는 방법으로서,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방법은 고정단계(S10), 도포단계(S20) 및 경화단계(S30)를 포함한다.
고정단계(S10)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를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균열 부위(110)에 배치하여 고정하는 단계이다. 고정단계(S10)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가 균열 부위(11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고정된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는 도포되어 경화되는 보수재(40)에 지지력을 제공하고, 균열 부위(110)의 확장을 저지하는 방향의 힘을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제공한다.
도포단계(S20)는 균열 부위(110)에 보수재(4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보수재(40)는 균열 부위(110)를 외부와 차단하여 침식 등의 진행을 막아주고, 균열 부위(110)를 채워 준다. 이때, 보수재(40)는 수지재, 모르타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화단계(S30)는 도포된 보수재(40)를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경화단계(S30)를 통해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와 보수재(40)가 일체화되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균열 부위(110)의 보수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지지부재 20: 고정부재
30: 보강부재 40: 보수재

Claims (18)

  1.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도포되는 보수재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로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상기 균열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보수재와 일체화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정착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한 가닥 이상의 길이부재로 이루어지고,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균열 부위에 정착되는 보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 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되 상기 고정부재 고정 후 제거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로브(lobe)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관통 배치를 위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2 이상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나란히 이격 배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정착되는 핀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을 연결하며 배치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보강부재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 1 부분 및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 1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십자형으로 교차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일측에 상기 머리부 보다 작은 횡단면적을 가지고 소정의 길이로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정착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는 통과할 수 있으나 상기 머리부는 통과할 수 없는 횡단면적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일측에 상기 머리부 보다 작은 횡단면적을 가지고 소정의 길이로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정착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재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는 통과할 수 있으나 상기 머리부는 통과할 수 없는 횡단면적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보강부재가 감기거나 안착될 수 있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격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격부재의 측면에 결합된 후크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의 관통부와 연통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격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적층되어 배치되는 보조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18.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보수재를 도포하여 상기 균열 부위를 보수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방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6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를 상기 균열 부위에 배치하여 고정하는 고정단계;
    상기 균열 부위에 상기 보수재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및
    도포된 보수재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균열 보수 방법.
KR1020190155650A 2019-11-28 2019-11-28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및 방법 KR102310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650A KR102310332B1 (ko) 2019-11-28 2019-11-28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650A KR102310332B1 (ko) 2019-11-28 2019-11-28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421A KR20210066421A (ko) 2021-06-07
KR102310332B1 true KR102310332B1 (ko) 2021-10-06

Family

ID=7637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650A KR102310332B1 (ko) 2019-11-28 2019-11-28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3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5961B (zh) * 2022-02-07 2023-05-26 山东智垒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道路施工用路基修复设备及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553B1 (ko) * 2004-06-23 2005-01-03 (유)한국기계 구조물의 보강구조
KR100794554B1 (ko) * 2007-07-23 2008-01-17 (유)한국기계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시 이용되는 부착력 강화부재및 이를 이용한 단면 복구 방법
KR101404574B1 (ko) * 2013-01-17 2014-06-09 주식회사 재경 아라미드 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의 보수 보강 방법
JP2016079747A (ja) * 2014-10-21 2016-05-16 株式会社丸高工業 モルタル塗布面に対する下地金網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592B1 (ko) * 2005-01-18 2006-08-21 유성권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 메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균열부 보수/보강 방법
KR100628948B1 (ko) 2005-06-08 2006-09-27 재신건설(주)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식균열 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553B1 (ko) * 2004-06-23 2005-01-03 (유)한국기계 구조물의 보강구조
KR100794554B1 (ko) * 2007-07-23 2008-01-17 (유)한국기계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시 이용되는 부착력 강화부재및 이를 이용한 단면 복구 방법
KR101404574B1 (ko) * 2013-01-17 2014-06-09 주식회사 재경 아라미드 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의 보수 보강 방법
JP2016079747A (ja) * 2014-10-21 2016-05-16 株式会社丸高工業 モルタル塗布面に対する下地金網固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421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0977B2 (en) Concrete structure using reinforcing panel including embedded reinforcing grid and method of repairing and reinforcing the same
KR100653632B1 (ko)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긴장 및 매립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의 보강방법
US20210025186A1 (en) Device for stabilizing and rep airing cracks in concrete structures and a method for its use
US67187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ngthening the concrete elements using prestressing confinement
KR102310332B1 (ko)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및 방법
JP4608376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KR20210033815A (ko) 향상된 시공정밀도 및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구조물의 기초보강방법
KR101863792B1 (ko)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
CA2442207A1 (en) High strength composite wall connectors having tapered or pointed ends
JP2021017738A (ja) 組積造構造物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JP6253058B2 (ja) 鉄筋部材、及び、その鉄筋部材を使用した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
KR102102184B1 (ko) 균열보수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7136597B2 (ja) 補強アンカー
JP6533074B2 (ja) 面内せん断耐力構造、及びその面内せん断耐力構造を備えた屋根構造、壁構造、床構造
JP6965663B2 (ja) 建物基礎の補修工法および建物の基礎構造
JP618773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断面修復方法
US9315998B1 (en) Cable lock-off block for repairing a plurality of post-tensioned tendons
JP6322490B2 (ja) 分断材および現場造成杭の杭頭処理方法
KR100516769B1 (ko) 강연선 케미칼앵카링 및 텐셔닝에 의한 슬래브 또는 보보강 공법
CA2502065A1 (en) Method for in situ repair of timber piles using synthetic reinforcing fabric
CZ20011208A3 (cs) Obalová trubka pro zařízení k vrtání děr a vytváření ukotvení
KR101326168B1 (ko) 인장 또는 압축 전단키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방법
JP2017179719A (ja) 受圧構造体及び受圧構造体の施工方法
KR102640973B1 (ko) 복합고정식 선설치 앵커 블록 구조물
KR102240316B1 (ko) 표면매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착면 평탄화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