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792B1 -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 - Google Patents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3792B1 KR101863792B1 KR1020170145359A KR20170145359A KR101863792B1 KR 101863792 B1 KR101863792 B1 KR 101863792B1 KR 1020170145359 A KR1020170145359 A KR 1020170145359A KR 20170145359 A KR20170145359 A KR 20170145359A KR 101863792 B1 KR101863792 B1 KR 1018637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 pile
- file
- installation hole
- reinforcing pi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6316 preload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72 burs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5/00—Straightening, lifting, or lowering of foundation structures or of constructions erected on foundations
- E02D35/005—Lowering or lifting of foundation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8—Foundations inserted underneath existing buildings or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2—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corrug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은 (a) 이웃하는 기초 사이의 최하층 슬래브를 제거하는 단계; (b) 중앙에 보강 파일 시공을 위한 파일 설치공이 관통 형성되도록 상기 이웃하는 기초 사이에 연결기초를 시공하는 단계; (c) 상단이 연결기초 상부로 돌출되도록 보강 파일을 상기 파일 설치공을 통해 지중에 근입하는 단계; (d) 상기 보강 파일의 상단이 수용되는 포켓부가 하부에 형성되도록 연결기초 상부의 이웃하는 수직부재 사이에 반력 보강벽을 시공하는 단계; (e) 상기 포켓부 내의 보강 파일 상부에 가압장비를 설치하고, 가압장비를 신장하여 보강 파일에 선행 하중을 재하하는 단계; (f) 상기 파일 설치공에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양생시키는 단계; (g) 상기 가압장비의 신장을 해제하여 가압장비를 제거하는 단계; 및 (h) 상기 보강 파일의 상부 여장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포켓부 내를 모르타르로 메우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기존 구조물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의 (a) 단계 내지 (d)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기존 수직부재와 반력 보강벽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의 (e) 단계 및 (f)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요철부가 형성된 파일 설치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THP 주름관에 의해 형성되는 파일 설치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나선철근에 의한 정착부의 응력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지압판 구비시 본 발명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보강 파일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의 (h)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3: 최하층 슬래브 4: 버림 콘크리트
41: 와이어메쉬 5: 연결기초
51: 파일 설치공 511: 요철부
52: 모르타르 53, 54: 상하부철근
55: 앵커 56: 나선철근
57: THP 주름관 6: 보강 파일
61: 지압판 62: 스크류 날개
63: 전단연결재 7: 반력 보강벽
71: 포켓부 72: 강재 반력판
73: 측벽플레이트 74: 스터드 볼트
75: 모르타르 76: 수평철근
77: 수직철근 8: 가압장비
81: 램
Claims (8)
- (a) 이웃하는 기초(1) 사이의 최하층 슬래브(3)를 제거하는 단계;
(b) 중앙에 보강 파일(6) 시공을 위한 파일 설치공(51)이 관통 형성되도록 상기 이웃하는 기초(1) 사이에 연결기초(5)를 시공하는 단계;
(c) 상단이 연결기초(5) 상부로 돌출되도록 보강 파일(6)을 상기 파일 설치공(51)을 통해 지중에 근입하는 단계;
(d) 상기 보강 파일(6)의 상단이 수용되는 포켓부(71)가 하부에 형성되도록 연결기초(5) 상부의 이웃하는 수직부재(2) 사이에 반력 보강벽(7)을 시공하는 단계;
(e) 상기 포켓부(71) 내의 보강 파일(6) 상부에 가압장비(8)를 설치하고, 가압장비(8)를 신장하여 보강 파일(6)에 선행 하중을 재하하는 단계;
(f) 상기 파일 설치공(51)에 모르타르(52)를 주입하여 양생시키는 단계;
(g) 상기 가압장비(8)의 신장을 해제하여 가압장비(8)를 제거하는 단계; 및
(h) 상기 보강 파일(6)의 상부 여장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포켓부(71) 내를 모르타르(75)로 메우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파일 설치공(51)의 내주면에는 요철부(5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
- 제2항에서,
상기 파일 설치공(51)의 주변에는 나선철근(56)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c) 단계에서, 보강 파일(6) 근입 후 보강 파일(6)의 상단에 지압판(61)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포켓부(71)의 상면에는 강재 반력판(7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보강 파일(6)은 하부 외주면에 스크류 날개(6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
- 제1항에서,
상기 파일 설치공(51) 내의 보강 파일(6) 외주면에는 복수의 전단연결재(6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5359A KR101863792B1 (ko) | 2017-11-02 | 2017-11-02 |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5359A KR101863792B1 (ko) | 2017-11-02 | 2017-11-02 |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3792B1 true KR101863792B1 (ko) | 2018-06-01 |
Family
ID=6263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5359A KR101863792B1 (ko) | 2017-11-02 | 2017-11-02 |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379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0754A (ko) | 2018-07-23 | 2020-01-3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기존 리모델링 건물 기초의 수직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한 하중전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방법 |
KR20200010756A (ko) | 2018-07-23 | 2020-01-3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기존 리모델링 건물 기초의 수직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한 하중전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방법 |
KR102294532B1 (ko) | 2021-02-24 | 2021-08-30 | (주)에스와이텍 | 기초콘크리트 내진 보강을 위한 다축 파일 시공 방법 |
KR102382028B1 (ko) * | 2021-12-02 | 2022-04-01 | (주)진영컨설턴트 | 토탈리프팅에 의한 보강파일 선행하중 재하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4260B1 (ko) * | 2013-12-11 | 2015-02-17 | (주)골든엔지니어링 | 말뚝의 선행하중 재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행하중 재하방법 |
KR101631219B1 (ko) * | 2015-10-14 | 2016-06-17 | (주)도건이엔씨 | 건축물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기초파일 시공의 선행하중 재하공법 |
KR20170015783A (ko) * | 2015-07-31 | 2017-02-09 | (주)골든엔지니어링 | 말뚝의 선행하중 재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행하중 재하방법 |
-
2017
- 2017-11-02 KR KR1020170145359A patent/KR1018637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4260B1 (ko) * | 2013-12-11 | 2015-02-17 | (주)골든엔지니어링 | 말뚝의 선행하중 재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행하중 재하방법 |
KR20170015783A (ko) * | 2015-07-31 | 2017-02-09 | (주)골든엔지니어링 | 말뚝의 선행하중 재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행하중 재하방법 |
KR101631219B1 (ko) * | 2015-10-14 | 2016-06-17 | (주)도건이엔씨 | 건축물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기초파일 시공의 선행하중 재하공법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0754A (ko) | 2018-07-23 | 2020-01-3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기존 리모델링 건물 기초의 수직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한 하중전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방법 |
KR20200010756A (ko) | 2018-07-23 | 2020-01-3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기존 리모델링 건물 기초의 수직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한 하중전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방법 |
KR102084132B1 (ko) | 2018-07-23 | 2020-03-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기존 리모델링 건물 기초의 수직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한 하중전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방법 |
KR102084142B1 (ko) | 2018-07-23 | 2020-03-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기존 리모델링 건물 기초의 수직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한 하중전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방법 |
KR102294532B1 (ko) | 2021-02-24 | 2021-08-30 | (주)에스와이텍 | 기초콘크리트 내진 보강을 위한 다축 파일 시공 방법 |
KR102382028B1 (ko) * | 2021-12-02 | 2022-04-01 | (주)진영컨설턴트 | 토탈리프팅에 의한 보강파일 선행하중 재하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63792B1 (ko) | 보강 파일 선행 하중 재하 방법 | |
KR100899372B1 (ko) | 기존 콘크리트 기초구조물로의 새로운 마이크로파일 두부의정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및 기둥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그 보강 구조 | |
KR100869815B1 (ko) | 매입말뚝용 강관의 선단부 지지력 확대장치 및 매입말뚝시공방법 | |
KR101394235B1 (ko) | 대심도 연약지반용 복합 파일 시공 방법 | |
KR101103530B1 (ko) | 구조물의 부등 침하 복원 또는 말뚝 선행하중 도입을 위한 장치 | |
KR20150014221A (ko) | 압력식 그라우팅 마이크로 파일과 그의 시공방법 | |
KR102050988B1 (ko) | 슬립폼을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 |
KR100774777B1 (ko) | 2중 팩-앵커를 이용한 재하시험방법 및 장치 | |
TWI771453B (zh) | 離岸結構 | |
JP6151337B2 (ja) | 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及び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の施工方法 | |
KR101236765B1 (ko) | 말뚝이나 인장부재의 지지력 확대를 위해 천공확장부에 접합채움재를 타설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
KR101732132B1 (ko) | 추가파일 시공방법 | |
KR101683080B1 (ko) | 추가파일 시공방법 | |
KR20180109112A (ko) | 파일 압입 시 콘크리트 바닥두께 보강방법 | |
KR101489387B1 (ko) | 지반 보강과 부력 방지용 마이크로 파일 및 이 시공 방법 | |
KR101943185B1 (ko) | 파형 마이크로파일 및 분산 플레이트를 활용한 기초 풋 구조의 하부증타 시공방법 | |
KR100666678B1 (ko) | 선단지지 라운드 플레이트를 가지는 마이크로파일 | |
KR101843379B1 (ko) | 연약지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 | |
KR102146577B1 (ko) | 현장 설치가 용이한 터널 지보재의 고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731535B1 (ko) | 말뚝의 선행하중 재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행하중 재하방법 | |
KR20190123854A (ko) | 마이크로파일 | |
KR20180131042A (ko) | 말뚝 및 그 시공방법 | |
KR101357773B1 (ko) | 소구경 기초파일 | |
KR101334393B1 (ko) | 소구경 기초파일의 프리보링 시공방법 | |
JP5830068B2 (ja) | 法面補強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1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