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567B1 - 피부관리기 - Google Patents

피부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567B1
KR102100567B1 KR1020180139829A KR20180139829A KR102100567B1 KR 102100567 B1 KR102100567 B1 KR 102100567B1 KR 1020180139829 A KR1020180139829 A KR 1020180139829A KR 20180139829 A KR20180139829 A KR 20180139829A KR 102100567 B1 KR102100567 B1 KR 102100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an
skin care
forming unit
me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철
Original Assignee
최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철 filed Critical 최순철
Priority to KR102018013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2005/002Cooling systems
    • A61N2005/005Cooling systems for cooling the radi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2Irradiating part of the body at a certain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피부관리기에 있어서 발생하는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원통 형상의 내측 레이어를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와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메탈 프레임,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특정 파장을 형성하는 파장 형성부, 상기 메탈 프레임에 형성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량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로 유량을 형성하는 유량 형성부를 포함하는 피부관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관리기{SKIN CARE DEVICE}
본 발명은 피부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파장의 빛을 출사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관리하는 피부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피부관리기는 피부에 미세한 자극을 주어 피부 세포의 활동 등에 변화를 주게 되어 주름 개선, 미백 등의 피부 개선 효과를 가져오도록 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피부관리기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구현된다. 피부관리기의 구동 방식은 피부에 상처를 내지 않는 전기 또는 파장 자극 등을 이용한 비침습 방식과 피부에 상처를 입혀 이를 회복시킴으로써 피부 관리를 수행하는 침습 방식이 있다.
특히 비침습 방식에는 고주파 대역의 전기적인 자극을 주는 방식, 가시광선 영역의 자극을 주는 광학식, 열 에너지를 전달하여 자극을 주는 열 방식, 이러한 방식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복합 방식 등이 있다.
이러한 비침습 방식의 피부관리기는 피부에 손상을 가하지 않아 별도의 회복 기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부작용 또한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비침습 방식의 경우 구동 방식으로 인한 발열량이 많아 피부에 화상을 입을 수도 있으며, 장치에 손상을 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참고 문헌으로는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5-528338호(2015. 09. 28 공개), 중국실용신안등록공보 201551745(2010. 08. 18. 공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피부관리기에 발생하는 발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원통 형상의 내측 레이어를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와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메탈 프레임,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특정 파장을 형성하는 파장 형성부, 상기 메탈 프레임에 형성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량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로 유량을 형성하는 유량 형성부를 포함하는 피부관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장 형성부는 상기 반원통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램프가 상기 반원통의 너비 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메탈 프레임의 길이 방향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탈 프레임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원통 형상의 외측 레이어를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 중 상기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입구 슬릿 및 출구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량 형성부는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입구 슬릿 사이,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출구 슬릿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는 원형이고, 상기 유량 형성부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 팬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 팬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 슬릿 및 상기 출구 슬릿은 상기 원형의 둘레 영역을 따라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메탈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전장부 및 상기 전장부에 구비되어 상기 파장 형성부 및 상기 유량 형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피부관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량 형성부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 팬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 팬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 팬 및 유출 팬은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메탈 프레임과 제1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량 형성부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 팬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 팬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 팬 및 유출 팬은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메탈 프레임과 상기 유입 팬 및 유출 팬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전장부를 차단하는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량 형성부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 팬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 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는 동일 면적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 팬 및 유출 팬은 동일 유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열 프레임은 알루미늄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아크릴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장 형성부가 형성하는 파장은 633 나노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관리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피부관리기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열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피부관리기의 방열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면서도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전달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방열을 위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외부의 이물질 유입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관리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관리기의 메인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방향 일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관리기의 일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비침습 방식의 피부관리기를 예로서 설명하나,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침습 방식 등의 피부관리기 등 장치의 구동 등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모든 피부관리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관리기(10)를 도시한 것이다.
피부관리기(10)는 바디(100) 및 지지 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에는 피부관리기(10)의 주요 목적을 수행하는 구성들이 구비된다. 지지 프레임(200)은 바디(100)가 적절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바디(100)를 지지한다.
지지 프레임(200)은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부(210)와 지지부(210)와 바디(100)를 연결하여 바디(100)를 공중에 위치시키는 스탠드(220)를 포함한다.
스탠드(220)는 바디(100)의 일 측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스탠드(220)는 경우에 따라 바디(100)의 회전을 위한 힌지를 가질 수도 있고, 높낮이를 조절하는 실린더를 구비할 수도 있다.
안정적인 지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지부(210)는 4지점이 바닥을 지지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동의 편의를 위해 바퀴(21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지지부(210)는 4 지점이 모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212)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세 변에 대해서만 연결 프레임(212)을 구비하여 일 측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210)의 개방된 일 측으로 이용자의 침대 등이 걸림없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바디(100)는 말발굽, 또는 반원통 형상을 띨 수 있다. 상부 케이스(102)와 하부 케이스(101)는 바디(100)의 외관을 형성하여 바디(100) 내측에 다른 구성들이 실장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하부 케이스(101)는 상기 형상의 내측 레이어를 형성하고 상부 케이스(102)는 상기 형상의 외측 레이어를 형성한다. 측부 케이스(103)는 상부 케이스(102)와 하부 케이스(101) 사이의 측면 영역을 형성한다.
피부관리기(10)는 내측면, 즉 하부 케이스(101)가 이용자의 얼굴 또는 신체를 향하도록 위치한다. 반원통 형상의 피부관리기(10)는 내측으로 굽어진 형상을 가지고 있어 피부관리기(10)의 하측에 위치한 이용자의 안면을 여러 방향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형태를 통해 피부관리기(10)는 높은 효율로 이용자의 안면에 에너지를 전달한다.
피부관리기(10) 바디(100)는 파장 형성부(120)를 실장하여 이용자의 안면 등의 피부에 특정 파장의 빛을 조사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관리기(10)의 바디(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방향 일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한다.
하부 케이스(101), 메탈 프레임(110) 및 상부 케이스(102)는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하부 케이스(101)와 메탈 프레임(110) 사이에는 내부 공간(104)이 형성되며, 메탈 프레임(110)과 상부 케이스(101) 사이에는 전장부(105)가 형성된다.
측부 케이스(103)는 별도로 구비되어 상부 케이스(102) 및 하부 케이스(101)에 결합하여 메인 바디(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상부 케이스(102)와 측부 케이스(103)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하부 케이스(101)와 결합할 수도 있다. 이는 파장 형성부(120)와 유량 형성부(130) 등의 내부 구성들의 조립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메탈 프레임(110)은 파장 형성부(120)를 고정함과 동시에, 높은 열전도도를 가져 내부 공간(104)에 구비된 파장 형성부(120)에서 발생한 열이 효과적으로 방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메탈 프레임(110)은 특히 알루미늄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 소재의 메탈 프레임(110)은 상대적으로 가볍고 열전도도가 높아 방열 기능을 수행하는데 효과적이다.
메탈 프레임(110)은 효과적인 방열을 위해 최대한 넓은 면적에 대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디(100) 전체의 크기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하부 케이스(101)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넓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메탈 프레임(110)도 상부 케이스(102) 또는 하부 케이스(101)의 형상과 대응되는 말발굽 형상을 띨 수 있다.
파장 형성부(120)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파장을 방사할 수 있다. 일 형태로, 파장 형성부(120)는 633 나노미터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633 나노미터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피부관리기(10)는 화이트태닝, 즉 미백효과에 뛰어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파장 형성부(120)는 한 가지 파장 또는 파장 영역대의 빛을 조사할 수도 있으며, 여러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여러 파장 또는 여러 파장 영역대의 빛을 동시에 조사할 수도 있다.
파장 형성부(120)는 복수의 램프(121)로 구비될 수 있다. 램프(121)는 직선형으로서 그 길이 방향이 반원통 형상의 바디(1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직선형의 램프(121)는 빛이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형상의 간단함으로 인해 파손의 위험이 덜하며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복수의 램프(121)는 바디(100)의 너비 방향으로 아치를 그리며 배치되어 이용자의 피부에 효율적으로 조사되도록 한다.
파장 형성부(120)에서 출사된 빛은 하부 케이스(101)를 투과한다. 하부 케이스(101)는 파장 형성부(120)에서 출사된 적외선/가시광선 파장(633nm 파장)이 잘 투과되고,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파장은 덜 투과되는 재질(예컨대, 아크릴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부 케이스(101)는 동시에 상부 케이스(102)와 안정적으로 결합하여야 한다. 투과 플레이트(1011)는 전자의 역할을, 지지 플레이트(1012)는 후자의 역할을 각각 수행한다. 투과 플레이트(1011)는 아크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 재질의 투과 플레이트(1011)는 열전도도가 낮아 파장 형성부(120)에서 발생하는 열이 많은 양 전달되어 이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지지 플레이트(1012)는 충분한 강성을 가져 상부 케이스(102)와 결합하고, 투과 플레이트(101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메탈 프레임(110)은 파장 형성부(120)가 발생하는 다량의 열을 분산시켜 방열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메탈 프레임(110)은 구성의 물성에 의지하는 수동적인 열전달이라는 점에서 냉각 역할의 한계가 있다. 특히, 복수의 램프(121)가 구비된 파장 형성부(120)는 많은 열을 방출하며, 메탈 프레임(110)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100도까지 온도가 증가하게 되어 장치에 손상을 주거나 이용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이 매우 높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능동적인 열전달을 통한 냉각 방식의 특징을 소개한다.
메탈 프레임(110)은 내부 공간(104)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다시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제1 개구부(111) 및 제2 개구부(112)를 구비한다. 유량 형성부(130)는 제1 개구부(111)로부터 내부 공간(104)으로 유량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104)으로부터 다시 제2 개구부(112)로 유량을 형성하여 파장 형성부(120)가 구비된 내부 공간(104)의 열이 외부로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1 개구부(111) 및 제2 개구부(112)는 메탈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 일측 및 타측에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1 개구부(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 개구부(112)를 통해 나갈 때 내부 공간(104) 중 최대한 많은 영역을 지나도록 하여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제1 개구부(111) 및 제2 개구부(112)는 곡면의 메탈 프레임(110) 중 윗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최소의 개수로 최대한 넓은 영역에 대해 공기 순환의 범위가 미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개구부(111, 112)가 바디(100)의 윗면에 구비되면 이용자가 공기의 유출 영역 부근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여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유량 형성부(130)는 제1 개구부(111) 및 제2 개구부(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팬(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개구부(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팬을 유입 팬(131), 제2 개구부(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팬을 유출 팬(132)으로 정의한다.
유입 팬(131)과 유출 팬(132)의 차이는 배치 방향에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팬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각 팬(131, 132)의 날개(1301) 형상이 서로 달라 유입 팬(131)은 유입에 최적화된 날개(1301)를 가지고, 유출 팬(132)은 유출에 최적화된 날개(1301)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유입 팬(131)의 형성 유량과 유출 팬(132)의 형성 유량은 동일하고, 제1 개구부(111) 및 제2 개구부(112)는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111, 112)의 크기가 동일하고 양 팬(131, 132)이 동일한 유량 형성함으로써 내부 공간(104)은 공기의 정체나 부족 없이 원활한 공기 흐름을 가질 수 있다.
팬의 날개(1301)가 회전하여 발생하는 유동의 단면은 원형이므로, 제1 개구부(111) 및 제2 개구부(112)는 그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메탈 프레임(110)의 개구부(111, 112)는 유량 형성부(130)의 유동의 단면과 대응되는 최소의 크기로 구비되고 나머지 영역을 최대로 하여 열전도를 영역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상부 케이스(102)와 메탈 프레임(110) 사이에 형성되는 전장부(105)에는 파장 형성부(120)를 구동하고 제어하는 회로 보드(161),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이를 연결하는 배선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을 내부 공간(104)이 아닌 전장부(105)에 구비시킴으로써 내부 공간(104)이 파장 형성부(120) 이외의 구성으로 인해 과열되지 않도록 한다.
상부 케이스(102)는 이러한 전장부(105)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부 케이스(102)는 하부 케이스(101)와 마찬가지로 파장 형성부(120)의 열로 인해 화상을 입는 등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열전도도가 낮은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02)는 제1 개구부(111) 및 제2 개구부(112)에 대응하는 영역에 공기의 유입 또는 유출을 위한 슬릿(14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개구부(111)에 대응하는 슬릿(141)을 입구 슬릿(1411), 제2 개구부(112)에 대응하는 슬릿(141)을 출구 슬릿(1412)이라고 한다.
슬릿(141)은 상부 케이스(102)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고, 유량 형성부(130)가 구비되기 위한 상대면을 제공하는 팬 브라켓(142)에 형성될 수도 있다. 팬 브라켓(142)이 상부 케이스(102)와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되면 유량 형성부(130) 등의 조립성이 용이해진다.
제1 개구부(111) 및 제2 개구부(112)와 달리 슬릿(141) 형태로 공기의 출입 영역을 형성하는 이유는 외부로부터 피부관리기(10) 전장부(105) 내부가 시인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외부 이물질이 전장부(105) 또는 내부 공간(104)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유량 형성부(130)의 손상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슬릿(141)은 개구부 또는 팬의 날개(1301)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해 구비될 수 있다. 슬릿(141)의 영역 대비 유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슬릿(141)은 개구부(111, 112)에 대응되는 외측 둘레를 따라 도넛 형상의 영역에 대해 구비될 수 있다. 동일한 목적으로, 슬릿(141)은 도넛 형상의 영역에서 복수의 단절된 호의 집합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유량 형성부(130)의 팬(131, 132)은 상부 케이스(102) 또는 팬 브라켓(142)의 내측면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팬(131, 132)의 상면이 상부 케이스(102) 또는 팬 브라켓(142)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반면 팬(131, 132)의 하면은 메탈 프레임(110)의 개구부(111, 112)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량 형성부(130)가 형성하는 유량은 메탈 프레임(110)과 하부 케이스(101) 사이의 내부 공간(104)뿐만 아니라, 메탈 프레임(110)과 상부 케이스(102) 사이의 전장부(105)의 공기도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는 파장 형성부(120)뿐만 아니라 전장부(105)에서도 많은 열이 발생하는 경우에 적절하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관리기(10)의 일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실시 예와 달리, 팬(131, 132)은 오직 메탈 프레임(110)과 하부 케이스(101) 사이의 내부 공간(104)의 공기만을 배출하기 위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팬(131, 132)이 형성한 유량이 메탈 프레임(110)과 상부 케이스(102) 사이의 전장부(105)로는 유입 또는 유출되지 않고, 내부 공간(104)으로만 유입되거나 내부 공간(104)에서만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로의 형성을 위해, 팬(131, 132)과 개구부(111, 112) 사이에는 가이드 브라켓(151)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151)은 격벽을 통해 내부 공간(104)과 전장부(105)를 구획한다. 이로써 유량 형성부(130)는 오직 내부 공간(104)의 공기의 배출에만 사용된다. 이는 전장부(105)보다 내부 공간(104)의 파장 형성부(120)로 인해 발생하는 열이 훨씬 많은 경우에 유용하다.
또는 팬(131, 132)의 두께와 전장부(105)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별도의 가이드 브라켓(151)이 없더라도 유입 팬(131)이 입구 슬릿(141)으로 빨아들인 공기가 내부 공간(104)으로만 들어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인 피부관리기는 다양한 피부관리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반원통 형상의 내측 레이어를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와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메탈 프레임;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특정 파장을 형성하는 파장 형성부;
    상기 메탈 프레임에 형성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량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로 유량을 형성하는 유량 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탈 프레임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원통 형상의 외측 레이어를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 중 상기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입구 슬릿 및 출구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량 형성부는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입구 슬릿 사이,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출구 슬릿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메탈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전장부; 및
    상기 전장부에 구비되어 상기 파장 형성부 및 상기 유량 형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피부관리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형성부는 상기 반원통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램프가 상기 반원통의 너비 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메탈 프레임의 길이 방향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는 원형이고,
    상기 유량 형성부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 팬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 팬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 슬릿 및 상기 출구 슬릿은 상기 원형의 둘레 영역을 따라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형성부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 팬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 팬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 팬 및 유출 팬은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메탈 프레임과 제1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형성부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 팬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 팬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 팬 및 유출 팬은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메탈 프레임과 상기 유입 팬 및 유출 팬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전장부를 차단하는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형성부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 팬 및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 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는 동일 면적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 팬 및 유출 팬은 동일 유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형성부가 형성하는 파장은 633 나노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
KR1020180139829A 2018-11-14 2018-11-14 피부관리기 KR102100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829A KR102100567B1 (ko) 2018-11-14 2018-11-14 피부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829A KR102100567B1 (ko) 2018-11-14 2018-11-14 피부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567B1 true KR102100567B1 (ko) 2020-04-13

Family

ID=7022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829A KR102100567B1 (ko) 2018-11-14 2018-11-14 피부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56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4920B2 (ja) * 1996-10-16 1999-07-05 株式会社サンメディカル 遠赤外線照射装置
JP2005000582A (ja) * 2003-06-16 2005-01-06 Shin Nippon Kagaku Seisakusho:Kk 美容装置
CN201551745U (zh) * 2009-11-20 2010-08-18 王国汉 红光保健辐照照射机
KR200457135Y1 (ko) * 2009-04-08 2011-12-06 주식회사 이피코 의료용 적외선 조사장치
JP2015528338A (ja) * 2012-08-30 2015-09-28 フォトキュア エイエスエイ 二重パネル式光線力学療法用ランプ
KR20180069379A (ko) * 2016-12-15 2018-06-25 이종호 미용기기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4920B2 (ja) * 1996-10-16 1999-07-05 株式会社サンメディカル 遠赤外線照射装置
JP2005000582A (ja) * 2003-06-16 2005-01-06 Shin Nippon Kagaku Seisakusho:Kk 美容装置
KR200457135Y1 (ko) * 2009-04-08 2011-12-06 주식회사 이피코 의료용 적외선 조사장치
CN201551745U (zh) * 2009-11-20 2010-08-18 王国汉 红光保健辐照照射机
JP2015528338A (ja) * 2012-08-30 2015-09-28 フォトキュア エイエスエイ 二重パネル式光線力学療法用ランプ
KR20180069379A (ko) * 2016-12-15 2018-06-25 이종호 미용기기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377B1 (ko) 광선 요법용 가요성 조사 장치
KR200495286Y1 (ko) 휴대식 탈모 장치
US20120314428A1 (en) Headlight with directed flow heat sink
BR112020022840A2 (pt) aparelho de distribuição de luz
CN220530111U (zh) 脱毛仪及皮肤处理设备
TWI451041B (zh) 光源的散熱裝置與其散熱方法
CZ9445U1 (en) Instrument for light therapy
KR102100567B1 (ko) 피부관리기
CN114917483B (zh) 应用于经颅光调控领域的头帽、经颅光调控设备及系统
JP3239018U (ja) 携帯式脱毛装置
CN216535497U (zh) 一种脱毛仪
CN213588473U (zh) 散热组件及脱毛仪
CN219307760U (zh) 头戴式治疗仪
CN219307758U (zh) 头戴式治疗仪
CN220385640U (zh) 一种作用于前额的近红外光头戴结构
CN219614018U (zh) 皮肤护理装置
CN213606857U (zh) 一种便携式脱毛仪
CN219307759U (zh) 头戴式治疗仪
CN219332963U (zh) 一种红蓝光治疗仪
CN220938807U (zh) 一种管式光治疗装置
CN213606855U (zh) 一种便携式脱毛仪
CN215018858U (zh) 一种新型光子脱毛仪
CN213606856U (zh) 一种便携式脱毛仪
CN220141800U (zh) 皮肤处理装置
CN216532299U (zh) 脱毛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