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779B1 - 공간정보와 gis 데이터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간정보와 gis 데이터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779B1
KR102099779B1 KR1020190176578A KR20190176578A KR102099779B1 KR 102099779 B1 KR102099779 B1 KR 102099779B1 KR 1020190176578 A KR1020190176578 A KR 1020190176578A KR 20190176578 A KR20190176578 A KR 20190176578A KR 102099779 B1 KR102099779 B1 KR 102099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ox
unit
fixed
spa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환
Original Assignee
(주)지오투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투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지오투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90176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by the use of more than one image, e.g. averaging, subtra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정보와 GIS 데이터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를 통해 수집된 항공촬영 이미지 중에서 특정한 위치만을 부각시켜 표시할 필요가 있을 경우 수치지도상에서 수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부분만을 부각시켜 정밀하게 표시함으로써 영상도화 합성작업의 기능성을 극대화시키고, 나아가 처리모듈들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처리모듈들이 실장되는 함체의 환기특성을 향상시키로 내부 상황 체크를 보다 쉽게 하여 관리상 안전성을 높이고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공간정보와 GIS 데이터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간정보와 GIS 데이터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Spatial image drawing update system according to the positional change of spatial information and GIS data}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 기술 분야 중 공간정보와 지아이에스(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데이터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를 통해 수집된 항공촬영 이미지 중에서 특정한 위치만을 부각시켜 표시할 필요가 있을 경우 수치지도상에서 수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부분만을 부각시켜 정밀하게 표시함으로써 영상도화 합성작업의 기능성을 극대화시키고, 나아가 처리모듈들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처리모듈들이 실장되는 함체의 환기특성을 향상시키로 내부 상황 체크를 보다 쉽게 하여 관리상 안전성을 높이고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공간정보와 GIS 데이터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도제작에 있어 도화란 지리정보를 근거로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의 지도를 도시하는 작업을 지칭하는 것으로, 디지털 출력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근래에는 디지털 이미지 또는 3차원 그래픽 이미지로 도시할 수 있게 되면서 실사와 같다는 의미로 공간영상도화라고도 불린다.
한편, 이러한 공간영상도화 기술이 발달하면서 보다 사실적이면서 정밀한 지도제작이 가능해졌고, 또한 지형 및 지리정보의 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정보의 갱신이 용이해졌다.
결국, 일급정보로 관리되면서 제한적으로 이용되던 지리정보시스템(GIS) 또는 지리정보(GIS)는 오늘날 대중적인 정보로 널리 활용되고 있고, 정확성과 갱신효율이 크게 향상되면서 그 활용에 대한 신뢰도까지 높은 유용한 정보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공간영상도화 작업을 진행하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간영상도화 제작 방식은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자료의 정밀도가 충분치 못하고, 그 내용이 획일적이며 제한되었었다.
뿐만 아니라,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제작방식은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도화작업이 진행되는데, 한 번의 촬영으로 지도제작 지점 전체를 촬영할 수는 없으므로 항공촬영시 여러 컷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렇게 촬영된 다수의 촬영이미지를 연결해서 도화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그런데, 여러 번에 걸쳐 다수의 촬영이미지를 확보한 후 이들을 서로 합성하는 과정에서 촬영각도와 항공기의 고도변화에 따른 해상도에 차이가 발생한다.
결국, 종래기술에 의한 공간영상도화 작업 방식은 촬영각이 다른 촬영이미지와 해상도가 다른 촬영이미지들을 서로 합성하면서 이미지 전체가 통일되지도 않고 균일하지도 못한 정보를 근거로 공간영상도화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이러한 환경에서 완성된 지리정보시스템 또는 지리정도(GIS) 관련 지도는 정밀성이 제한될 수밖에 없고, 이렇게 완성된 지도는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지리정보기구 등에 활용되더라도 잘못된 지리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므로 이용자는 지도이용에 불편을 느낄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18220호(2012.12.27.) '항공촬영 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항공기를 통해 수집된 항공촬영 이미지 중에서 특정한 위치만을 부각시켜 표시할 필요가 있을 경우 수치지도상에서 수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부분만을 부각시켜 정밀하게 표시함으로써 영상도화 합성작업의 기능성을 극대화시키고, 나아가 처리모듈들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처리모듈들이 실장되는 함체의 환기특성을 향상시키로 내부 상황 체크를 보다 쉽게 하여 관리상 안전성을 높이고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공간정보와 GIS 데이터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항공기에 탑재되고 회전 및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된 촬영이미지수집부(2100)를 갖는 다수의 이미지촬영부(200)로부터 각각 촬영된 이미지를 수집하는 영상이미지수집부(1700); 상기 이미지촬영부(200)의 GPS 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1100); 상기 이미지촬영부(200)의 기울어진 각도 및 회전한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부(1300); 상기 이미지촬영부(200)의 해발고도 정보를 측정하는 고도측정부(1500); 상기 이미지촬영부(200)의 기울임 각도 또는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동작제어부(1600); 상기 촬영이미지수집부(2100)를 통해 수집된 영상도화 이미지를 위치, 해상도 및 척도 레코드를 부가하여 저장하는 도화이미지저장부(1450); 상기 도화이미지저장부(1450)에 저장된 제1영상도화 이미지를 호출하고, 상기 제1영상도화 이미지의 소정의 위치에 대하여 더 높은 척도로 촬영한 제2영상도화 이미지를 맵핑하여 상세도화를 생성하며, 상기 제1영상도화에 상기 제2영상도화 이미지가 합성된 부분을 하이라이트 처리하는 이미지합성부(1400); 상기 제1영상도화 및 제2영상도화의 해상도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수집된 영상도화 이미지를 편집 보정하여 상세도화를 생성하는 해상도처리부(1200); 기판 형태의 모듈인 상기 해상도처리부(1200), 이미지합성부(1400), 도화이미지저장부(1450), 동작제어부(1600) 및 영상이미지수집부(1700)가 서브랙 형태로 탑재되는 함체(BOX);를 포함하는 공간정보와 GIS 데이터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함체(BOX)의 양측면에는 간접냉각기(500)를 더 설치하되, 상기 간접냉각기(500)는 함체(BOX)의 양측 내벽면에 고정되는 알루미늄 열전도판(5100)과, 상기 알루미늄 열전도판(5100) 및 상기 함체(BOX)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다수 설치된 'ㄷ' 형상의 공냉파이프(5200)와, 상기 공냉파이프(5200)의 양단에 고정된 쿨링원통(5300)과, 상기 공냉파이프(5200)의 양단에 각각 단차 가공되어 쿨링원통(5300)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끼움고정부(5210)와, 상기 끼움고정부(5210)의 단부에 끼워져 쿨링원통(5300)이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고무링(5310)과, 상기 공냉파이프(5200)들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쿨링원통(5300)중 일부를 연통 고정하는 다수의 링크관(5400)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관(5400)들 중 가장 하측의 링크관(5400)은 하단이 공기중에 개방된 상태로 방치되고, 가장 상측의 링크관(5400)에는 공기공급펌프(5500)가 설치되며;
상기 함체(BOX)의 상부에는 완충행거체(6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함체(BOX)의 하부에는 진동감쇄기(70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완충행거체(600)는 함체(BOX)의 상단면에 일체로 고정된 함체고정볼트(6100)와, 상기 함체고정볼트(6100)에 체결된 'ㄷ'형강(6200)과, 상기 함체고정볼트(6100)에 끼워져 'ㄷ'형강(6200)을 탄성완충시키는 형강완충스프링(6110)과, 상기 'ㄷ'형강(6200)의 상단면에 일체로 고정된 거치체결볼트(6300)와, 상기 거치체결볼트(6300)에 볼트플랜지(6310)를 기준으로 개재된 체결완충스프링(6320)과, 상기 체결완충스프링(6320)에 의해 완충되게 거치체결볼트(6300)가 고정되는 고정프레임(F)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감쇄기(700)는 상기 함체(BOX)가 설치될 설치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버팀블럭(7100)과, 상기 하부버팀블럭(7100)의 상단 정점에 요입 형성된 브이홈(7110)과, 상기 브이홈(7110)에 매립 고정된 흡수완충폼(7200)과, 삼각형상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하단이 상기 흡수완충폼(7200)에 접지되며 상기 함체(BOX)의 하단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상부버팀블럭(7300)과, 일단은 상기 하부버팀블럭(71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버팀블럭(7300)에 고정된 상태로 개재된 팽창스프링(7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정보와 GIS 데이터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기를 통해 수집된 항공촬영 이미지 중에서 특정한 위치만을 부각시켜 표시할 필요가 있을 경우 수치지도상에서 수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부분만을 부각시켜 정밀하게 표시함으로써 영상도화 합성작업의 기능성을 극대화시키고, 나아가 처리모듈들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처리모듈들이 실장되는 함체의 환기특성을 향상시키로 내부 상황 체크를 보다 쉽게 하여 관리상 안전성을 높이고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시스템이 항공촬영을 위해 설치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촬영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영상도화 이미지에 제2 영상도화 이미지를 합성한 상세도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의 도어에 설치된 투명창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투명창 개폐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함체의 양측면에 설치된 간접냉각기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에 완충행거체와 진동감쇄기가 더 설치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진동감쇄기의 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상술한 등록특허 제10-1218220호의 구성을 대부분 그대로 이용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기본 구성은 상기 등록특허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화시스템은 항공기에 설치되는 메인설치대(100), 연결부재(105), 서브설치대(110), 메인회전설치대(130), 케이블인입구(135), 서브회전설치대(140), 촬영부설치대(145), 이미지촬영부(200), 케이블(210) 및 영상장치(1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설치대(100)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각 구성들이 설치되는 중심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항공기의 저면에 설치되며, 정사각형의 판상 구조를 가진다.
연결부재(105)는 메인설치대(100)에 일측 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기울이거나 상하를 기준축으로 회전하도록 볼조인트 형태로 매설된다.
연결부재(105)의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3을 참고하면, 연결부재(105)의 일측 단부는 서브설치대(110)와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연결부재(105)의 움직임에 따라 서브설치대(110)의 위치를 조작한다.
연결부재(105)는 메인설치대(100)에 매설되는 봉 형상으로 연장되는 형상, 즉 볼조인트 가능한 볼조인트부로 구성된다.
볼조인트부는 메인설치대(100)에 매설되어 있으며, 임의 유동이 가능한 특징으로 갖는다.
이에 따라, 봉 형상의 볼조인트부 반대단에 고정되어 있는 서브설치대(110)도 함께 움직이게 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서브설치대(110)의 상단 중심부에는 메인회전설치대(130)가 부착된다.
메인회전설치대(130)는 서브설치대(110)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메인회전설치대(130)의 모서리에는 경첩식의 절첩이 가능한 4개의 서브회전설치대(140)가 사방으로 연결된다.
이때, 메인회전설치대(130)는 소정 크기의 공간을 구비하여, 영상장치(1000)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케이블인입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회전설치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펼쳐진 형태이거나, 90도로 완전하게 접힌 상태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촬영부설치대(145)는 서브회전설치대(140) 각각의 중심부에 상하를 기준축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촬영부설치대(145)는 연결부재(105)가 메인설치대(100)와 서브설치대(110)를 연결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서브회전설치대(14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촬영부설치대(145)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좌우로 기울기를 조절하거나 상하 기준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 조작이 가능하다.
영상장치(1000)는 이미지촬영부(200)로부터 영상을 수집하여 위치정보에 따라 낮은 척도의 지도에 높은 척도의 지도를 합성하여 상세도화를 생성한다.
영상장치(1000)의 상세한 구성과 그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통해서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촬영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미지촬영부(200)는 촬영이미지수집부(2100), 줌기능부(2200), 위치추적부(2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촬영이미지수집부(2100)는 항공촬영 실시할 때, 영상도화 이미지를 수집한다.
이때, 촬영이미지수집부(2100) 광학렌즈와 조리개장치를 가지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또한, 촬영이미지수집부(2100)는 영상도화 이미지의 크기와 해상도를 조절하여 촬영하기 위하여 다수의 광학렌즈의 전후 간격을 조절하는 광학렌즈 이동장치를 구비한다.
줌기능부(2200)는 촬영이미지수집부(2100)의 줌기능을 조절하여 촬영되는 영상도화 이미지의 해상도와 척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지형의 촬영을 위해서 줌기능을 활성화하여 좁은 지역에 대하여 높은 척도의 촬영 이미지 영상을 수집할 수 있으며, 반대로 줌기능을 비활성화하여 넓은 지역에 대하여 낮은 척도의 촬영 이미지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위치추적부(2300)는 촬영이미지수집부(2100)가 수집하고 있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이미지가 촬영되는 위치정보를 파악한다.
줌기능부(2200)를 통해서 높은 척도와 낮은 척도의 영상이 촬영될 때, 해당 이미지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위치정보를 활용하게 된다.
이때, 위치추적부(2300)는 통신부(1100)와 연동되어 GPS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촬영이미지수집부(2100), 줌기능부(2200) 및 위치추적부(2300)를 통해서 수집된 영상 및 위치 정보는 케이블(230)을 통하여 영상장치(1000)로 전달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장치(1000)는 통신부(1100), 해상도처리부(1200), 각도측정부(1300), 이미지합성부(1400), 도화이미지저장부(1450), 고도측정부(1500), 동작제어부(1600), 영상이미지수집부(17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해상도처리부(1200), 이미지합성부(1400), 도화이미지저장부(1450), 동작제어부(1600) 및 영상이미지수집부(1700)는 기판 형태의 모듈이며, 전산센터와 같이 대형 함체(BOX, 도 7 참조) 내부에 서브랙 형태로 탑재되는데, 이러한 함체(BOX)와 관련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1100)는 이미지촬영부(200)가 설치되는 장소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1100)는 GPS 좌표정보의 수집을 위하여 무선통신안테나 및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각도측정부(1300)는 연결부재(105)의 기울어진 각도 및 기준점으로부터 회전한 각도와 촬영부설치대(145)의 기준점으로부터 회전한 각도를 측정한다.
이때, 연결부재(105)의 기울어진 각도는 상하 방향의 기준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진 각도를 계산하는 것이며, 연결부재(105)의 회전 각도는 북쪽을 기준점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각도를 계산하는 것이며, 촬영부설치대(145)의 회전 각도는 연결부재(105)의 회전 각도를 계산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고도측정부(1500)는 이미지촬영부(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해발고도 정보를 측정한다.
고도측정부(1500)에서 측정된 해발고도 정보는 촬영 이미지의 척도와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한 이미지촬영부(200)의 줌기능부(2200) 제어에 활용할 수 있다.
동작제어부(1600)는 연결부재(105) 및 촬영부설치대(145)의 기울임 각도 또는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이때, 연결부재(105) 및 촬영부설치대(145)에는 회전 및 기울임을 위한 모터구성이 부가될 수 있으며, 동작제어부(1600)는 모터구성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회전 및 기울임의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05) 및 촬영부설치대(145)는 동작제어부(1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회전하여 4개의 이미지촬영부(200) 각각이 촬영하는 방향을 조절하여 동시에 4가지 방향의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동작제어부(1600)는 4개의 이미지촬영부(200) 각각의 줌기능을 제어하여 촬영하는 척도를 결정하여 동시에 4가지 척도의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도화이미지저장부(1450)는 촬영이미지수집부(2100)를 통해 수집된 영상도화 이미지에 위치, 해상도 및 척도 레코드를 부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이미지수집부(2100)에서 수집된 이미지의 날짜정보를 바탕으로 동일 지역 이미지일 경우 갱신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위치 레코드는 통신부(2100)의 GPS 정보를 활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해상도 레코드 및 척도 레코드는 줌기능부(2200)의 줌기능 제어정도를 활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영상이미지수집부(1700)는 메인회전설치대(130)에 연결되는 서브회전설치대(140)에 각각 설치된 상기 4개의 이미지촬영부(20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케이블(210)을 통하여 수집한다.
이미지합성부(1400)는 도화이미지저장부(1450)에 저장된 제1 영상도화 이미지를 호출하고, 제1 영상도화 이미지의 소정의 위치에 대하여, 더 높은 척도로 촬영한 제2 영상도화 이미지를 맵핑하여 상세도화를 생성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오른쪽의 이미지는 위에서 언급한 제1 영상도화 이미지에 해당하고, 왼쪽의 이미지는 제2 영상도화 이미지에 해당한다.
오른쪽의 제1 영상도화 이미지와 왼쪽의 제2 영상도화 이미지는 이미지촬영부(200)를 통해서 별도로 촬영이 이루어진다.
제1 영상도화 이미지는 상세도화의 베이스 이미지로 활용하기 위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지역을 전체적으로 촬영한 이미지로 촬영되어 구비된다.
제2 영상도화 이미지는 제1 영상도화 이미지의 원형으로 표시한 공간에 해당하는 부분의 상세지형을 나타내는 영상도화 이미지에 해당한다.
4개의 이미지촬영부(200) 중에서 하나의 이미지촬영부(200)는 베이스 영상이 될 영상도화 이미지를 수집하고, 나머지 3개의 이미지촬영부(200)는 제1 영상도화 이미지 상의 소정의 위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표시할 제2 영상도화 이미지를 수집한다.
이때, 수집되는 제1 영상도화 이미지 및 제2 영상도화 이미지는 이미지상의 특정 위치에 대한 좌표정보를 별도의 레코드로 포함하게 되므로, 제1 영상도화 이미지에서 상세한 지역을 나타내기 위하여 수집된 제2 영상도화 이미지를 맵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영상도화에 상기 제2 영상도화 이미지가 합성된 부분을 하이라이트 처리할 수 있다.
제1 영상도화 이미지상에 상세한 지역을 나타낼 수 있다는 하이라이트 표시를 부가하여, 제2 영상도화 이미지를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의 상세한 영상을 확인함에 있어서,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해상도처리부(1200)는 제1 영상도화 이미지 및 제2 영상도화 이미지의 해상도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수집된 영상도화 이미지를 편집하여 상기 상세도화를 생성한다.
제1 영상도화 이미지 및 제2 영상도화 이미지는 줌 기능에 따라 각각 다른 해상도로 수집될 수 있으므로, 해상도처리부(1200)는 4개의 이미지촬영부(200)에서 수집된 영상의 해상도를 비교하여, 4개의 이미지촬영부(200)에서 수집된 영상들 중에서 필요한 영상 이미지만 편집하거나 추출하여 제1 영상도화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2 영상도화 이미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해상도처리부(1200)는 이미지촬영부(20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의 척도 및 해상도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된 이미지의 척도 및 해상도 정보와 비교하여 척도 및 해상도가 가장 적합한 촬영된 이미지를 활용하여 이미합성된 영상에 대하여 해상도의 보정처리를 할 수 있다. 즉,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의 예시와 같이, 상기 해상도처리부(1200), 이미지합성부(1400), 도화이미지저장부(1450), 동작제어부(1600) 및 영상이미지수집부(1700)는 기판 형태의 모듈로서 함체(BOX) 내부에 서브랙 형태로 탑재된다.
그리고, 상기 함체(BOX)의 전면에는 도어(DR)가 설치되지만, 내부 모듈들의 동작상태나 쇼트 등 열화상태를 주기적으로 매번 확인하기 위해 도어(DR)를 열 필요없이 내부를 즉시 확인 가능하도록 도어(DR)에 투명창(40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투명창(400)은 항상 열려 있게 되면 신경이 쓰이기 때문에 필요할 때만 열어볼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투명창(400)의 상단 및 하단과 대응되는 위치의 도어(DR) 상에 상부박스(4100)와 하부박스(4200)를 고정한다.
그리고, 하부박스(4200)의 내부 일단측에는 구동모터(4210)를 설치하여 내장하고, 상기 구동모터(4210)의 회전축(4220)은 상기 하부박스(4200)의 상면을 뚫고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4220)에는 스크류샤프트(4300)의 일단이 커플러(4230)에 의해 커플링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샤프트(4300)의 타단은 상기 상부박스(4100)의 하단면을 관통하여 내부에서 제자리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 고정된다.
특히, 상기 스크류샤프트(4300)는 길이 중간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이 서로 반대의 나사산을 갖도록 형성되어 후술되는 하단마감편(4410)과 상단마감편(4510)을 동시에 서로 원근접시키도록 동작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단마감편(4410)의 일단에는 상기 스크류샤프트(4300)에 치결합되는 상부치결합링(4420)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하단마감편(4410)의 타단에는 상부결합링(4430)이 일체로 고정되는데 상기 상부결합링(4430)은 봉형가이드(4310)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며, 봉형가이드(4310)는 상기 스크류샤프트(4300)와 평행하게 그와 대칭되게 설치된다.
즉, 일단은 상기 상부박스(41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박스(4200)에 고정된다.
특히, 상기 하단마감편(4410)과 상단마감편(4510)에는 고무자석이 내장되어 있어 상호 근접시 흡인력이 발생하여 서로 흡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더욱 좋다.
그리고, 상기 상단마감편(4510)의 일단에는 상기 스크류샤프트(4300)에 치결합되는 하부치결합링(4520)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상단마감편(4510)의 타단에는 하부결합링(4530)이 일체로 고정되는데 상기 하부결합링(4530)은 봉형가이드(4310)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부박스(4100)의 하단면에는 상부절첩포(4400)의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하단마감편(4410)에 고정되며, 반대로 상단마감편(4510)의 하면에는 하부절첩포(4500)의 살단이 고정되고, 하단은 하부박스(4200)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부박스(4200)의 전면 일측에는 개방버튼(SW1)과 폐쇄버튼(SW2)이 설치되어 누르면 구동모터(4210)의 회전방향이 서로 다르게 동작되도록 하여 상부절첩포(4400)와 하부절첩포(4500)를 열거나 폐쇄하도록 동작하게 된다.
예컨대, 구동모터(4210)가 정회전하게 되면 상부치결합링(4420)은 스크류샤프트(4300)를 따라 상승하고, 반대로 하부치결합링(4520)은 스크류샤프트(4300)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부절첩포(4400)와 하부절첩포(4500)는 각각 절첩되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됨으로써 투명창(400)이 보이게 된다.
반대로, 폐쇄시에는 상술한 정반대로 동작되면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간접냉각 특성을 더욱 더 증진시키기 위해 도 9에서와 같은 간접냉각기(500)가 함체(BOX)의 양측면에 더 설치된다.
상기 간접냉각기(500)를 함체(BOX)의 양측면에 설치하는 이유는 다수의 처리모듈들이 서버랙 형태로 함체(BOX) 내부에 실장될 때 실장되는 위치는 내부 후면판이기 때문에 양측에는 충분한 여유공간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간접냉각기(500)를 통해 장시간 사용시 함체(BOX) 내부의 처리모듈들로부터 발생된 고열들이 빨리 빨리 냉각되어 처리모듈들의 열화를 방지하고, 특히 외기가 급속히 도입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더스트에 의한 쇼트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간접냉각기(500)는 함체(BOX)의 양측 내벽면에 고정된 알루미늄 열전도판(5100)을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 열전도판(5100) 및 상기 함체(BOX)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다수개 설치되는 'ㄷ' 형상의 공냉파이프(5200)도 포함한다.
즉, 상기 공냉파이프(5200)는 함체(BOX) 내부에서 바깥쪽으로 양단이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때, 상기 공냉파이프(5200)의 양단은 각각 단차 가공되어 직경이 작은 끼움고정부(521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끼움고정부(5210)는 쿨링원통(5300)을 관통하여 끼워지고, 쿨링원통(5300)을 관통한 끼움고정부(5210)의 단부에는 고무링(5310)이 끼워져 쿨링원통(5300)이 이탈되지 않게 고정지지 하게 된다.
이 경우, 고무링(5310)은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쿨링원통(5300)이 그냥 걸림 기능 정도만 해도 쉽게 빠지지 않기 때문에 고무링(5310)으로 걸림 기능만 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아울러, 상기 쿨링원통(5300)은 상기 공냉파이프(5200)의 양단에 고정되고, 공냉파이프(5200)들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해 쿨링원통(5300)중 일부는 링크관(5400)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된다.
그리고, 가장 하측의 링크관(5400)은 하단이 공기중에 개방된 상태로 방치되어 쿨링원통(5300)과 공냉파이프(5200)를 경유하여 이동한 공기가 대기중으로 그대로 방출되게 구성된다.
또한, 가장 상측의 링크관(5400)에는 공기공급펌프(5500)가 설치되어 펌핑된 공기가 쿨링원통(5300)과 공냉파이프(5200)를 타고 신속하게 이동하도록 하여 함체(BOX) 내부에 노출된 공냉파이프(5200) 주변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냉각된 공기는 알루미늄 열전도판(5100)에 의해 더 쉽게 열전달되어 냉각 효과를 더욱 높이게 된다.
같은 이유로, 상기 공냉파이프(5200)와 상기 쿨링원통(5300)도 열전도도가 우수한 소재, 바람직하게는 동, 알루미늄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도 10 및 도 11의 예시와 같이, 함체(BOX)가 외부충격이나 외부진동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최소한의 충격을 받도록 흡수완충할 수 있게 함체(BOX)의 상부에는 완충행거체(600)가 설치되고, 함체(BOX)의 하부에는 진동감쇄기(700)가 더 설치된다.
이때, 상기 완충행거체(600)는 함체(BOX)의 상단면에 함체고정볼트(6100)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함체고정볼트(6100)에는 'ㄷ'형강(6200)이 체결된다.
그리고, 'ㄷ'형강(6200)은 함체고정볼트(6100)에 끼워진 형강완충스프링(6110)에 의해 탄성 완충되도록 조립된다.
즉, 함체고정볼트(6100)의 상단에 형강완충스프링(6110)이 끼워진 상태에서 'ㄷ'형강(6200)이 끼워지고, 그 상태에서 고정너트(612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함체고정볼트(6100)의 플랜지(FL)와 'ㄷ'형강(6200)의 하단면 사이에서 형강완충스프링(6110)이 긴밀하게 탄성완충시키게 된다.
특히, 이러한 형강완충스프링(6110) 및 이하 후술되는 다수의 스프링들은 큰 유격내에서 탄성완충하는 것이 아니라, 아주 미세한 간극 변화를 탄성완충시키는 것으로 이는 함체(BOX)를 유동시킬만한 큰 진동 등을 완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ㄷ'형강(6200)의 상단면에는 거치체결볼트(6300)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거치체결볼트(6300)에는 볼트플랜지(6310)를 기준으로 체결완충스프링(6320)이 개재된 상태에서 건물 천정 등의 고정프레임(F) 상에 너트(미도시)로 견고히 체결 고정된다.
이때, 여기에서도 체결완충스프링(6320)을 사용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의 진동을 흡수 완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또한 앞서 설명하였듯이 매우 미세한 간극 변화를 탄성완충시키는 것이다. 즉, 스프링이 완전히 눌려 거의 탄성이 없을 정도까지 조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아주 큰 진동에 대해 저항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진동감쇄기(700)는 도 11의 예시와 같이, 설치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버팀블럭(7100)과, 상기 하부버팀블럭(7100)의 상단 정점에 요입 형성된 브이홈(7110)과, 상기 브이홈(7110)에 매립 고정된 흡수완충폼(7200)과, 삼각형상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하단이 상기 흡수완충폼(7200)에 접지되며 상기 함체(BOX)의 하단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상부버팀블럭(7300)과, 일단은 상기 하부버팀블럭(71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버팀블럭(7300)에 고정된 상태로 개재된 팽창스프링(7400)을 포함한다.
이때에도 팽창스프링(7400)의 탄성유동은 매우 미세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즉, 그 만큼 팽창스프링(7400)이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상부버팀블럭(7300)과 하부버팀블럭(7100)에 안착된 흡수완충폼(7200) 간의 간극이 거의 없는 상태로 미세하여 아주 큰 외력에 대해서만 흡수완충 동작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흡수완충폼(7200)은 폴리에틸렌폼이 바람직하다.
100 : 메인설치대
110 : 서브설치대
130 : 메인회전설치대
140 : 서브회전설치대
200 : 이미지촬영부

Claims (1)

  1. 항공기에 탑재되고 회전 및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된 촬영이미지수집부(2100)를 갖는 다수의 이미지촬영부(200)로부터 각각 촬영된 이미지를 수집하는 영상이미지수집부(1700); 상기 이미지촬영부(200)의 GPS 좌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1100); 상기 이미지촬영부(200)의 기울어진 각도 및 회전한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부(1300); 상기 이미지촬영부(200)의 해발고도 정보를 측정하는 고도측정부(1500); 상기 이미지촬영부(200)의 기울임 각도 또는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동작제어부(1600); 상기 촬영이미지수집부(2100)를 통해 수집된 영상도화 이미지를 위치, 해상도 및 척도 레코드를 부가하여 저장하는 도화이미지저장부(1450); 상기 도화이미지저장부(1450)에 저장된 제1영상도화 이미지를 호출하고, 상기 제1영상도화 이미지의 소정의 위치에 대하여 더 높은 척도로 촬영한 제2영상도화 이미지를 맵핑하여 상세도화를 생성하며, 상기 제1영상도화에 상기 제2영상도화 이미지가 합성된 부분을 하이라이트 처리하는 이미지합성부(1400); 상기 제1영상도화 및 제2영상도화의 해상도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수집된 영상도화 이미지를 편집 보정하여 상세도화를 생성하는 해상도처리부(1200); 기판 형태의 모듈인 상기 해상도처리부(1200), 이미지합성부(1400), 도화이미지저장부(1450), 동작제어부(1600) 및 영상이미지수집부(1700)가 서브랙 형태로 탑재되는 함체(BOX);를 포함하는 공간정보와 GIS 데이터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함체(BOX)의 양측면에는 간접냉각기(500)를 더 설치하되, 상기 간접냉각기(500)는 함체(BOX)의 양측 내벽면에 고정되는 알루미늄 열전도판(5100)과, 상기 알루미늄 열전도판(5100) 및 상기 함체(BOX)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다수 설치된 'ㄷ' 형상의 공냉파이프(5200)와, 상기 공냉파이프(5200)의 양단에 고정된 쿨링원통(5300)과, 상기 공냉파이프(5200)의 양단에 각각 단차 가공되어 쿨링원통(5300)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끼움고정부(5210)와, 상기 끼움고정부(5210)의 단부에 끼워져 쿨링원통(5300)이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고무링(5310)과, 상기 공냉파이프(5200)들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쿨링원통(5300)중 일부를 연통 고정하는 다수의 링크관(5400)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관(5400)들 중 가장 하측의 링크관(5400)은 하단이 공기중에 개방된 상태로 방치되고, 가장 상측의 링크관(5400)에는 공기공급펌프(5500)가 설치되며;
    상기 함체(BOX)의 상부에는 완충행거체(6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함체(BOX)의 하부에는 진동감쇄기(70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완충행거체(600)는 함체(BOX)의 상단면에 일체로 고정된 함체고정볼트(6100)와, 상기 함체고정볼트(6100)에 체결된 'ㄷ'형강(6200)과, 상기 함체고정볼트(6100)에 끼워져 'ㄷ'형강(6200)을 탄성완충시키는 형강완충스프링(6110)과, 상기 'ㄷ'형강(6200)의 상단면에 일체로 고정된 거치체결볼트(6300)와, 상기 거치체결볼트(6300)에 볼트플랜지(6310)를 기준으로 개재된 체결완충스프링(6320)과, 상기 체결완충스프링(6320)에 의해 완충되게 거치체결볼트(6300)가 고정되는 고정프레임(F)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감쇄기(700)는 상기 함체(BOX)가 설치될 설치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버팀블럭(7100)과, 상기 하부버팀블럭(7100)의 상단 정점에 요입 형성된 브이홈(7110)과, 상기 브이홈(7110)에 매립 고정된 흡수완충폼(7200)과, 삼각형상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하단이 상기 흡수완충폼(7200)에 접지되며 상기 함체(BOX)의 하단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상부버팀블럭(7300)과, 일단은 상기 하부버팀블럭(71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버팀블럭(7300)에 고정된 상태로 개재된 팽창스프링(7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정보와 GIS 데이터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
KR1020190176578A 2019-12-27 2019-12-27 공간정보와 gis 데이터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 KR102099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578A KR102099779B1 (ko) 2019-12-27 2019-12-27 공간정보와 gis 데이터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578A KR102099779B1 (ko) 2019-12-27 2019-12-27 공간정보와 gis 데이터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779B1 true KR102099779B1 (ko) 2020-04-10

Family

ID=7029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578A KR102099779B1 (ko) 2019-12-27 2019-12-27 공간정보와 gis 데이터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77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220B1 (ko) 2012-06-22 2013-01-04 대한항업(주) 항공촬영 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 시스템
KR101223242B1 (ko) * 2012-06-29 2013-01-17 삼부기술 주식회사 지형정보 변화에 따른 영상 이미지의 공간영상 도화 시스템
KR101308745B1 (ko) * 2012-07-04 2013-09-16 주식회사 동운 지리공간정보가 적용된 멀티 기능 기반의 수치지도 시스템
KR101308744B1 (ko) * 2012-06-04 2013-09-16 주식회사 동운 항공촬영 영상의 지형대비 기준점 합성형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1349393B1 (ko) * 2013-06-26 2014-01-13 명화지리정보(주) 영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 시스템
KR101887625B1 (ko) * 2018-04-16 2018-09-10 대한항업(주) 영상이미지와 수치데이터를 처리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14192B1 (ko)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하여 지형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744B1 (ko) * 2012-06-04 2013-09-16 주식회사 동운 항공촬영 영상의 지형대비 기준점 합성형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1218220B1 (ko) 2012-06-22 2013-01-04 대한항업(주) 항공촬영 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 시스템
KR101223242B1 (ko) * 2012-06-29 2013-01-17 삼부기술 주식회사 지형정보 변화에 따른 영상 이미지의 공간영상 도화 시스템
KR101308745B1 (ko) * 2012-07-04 2013-09-16 주식회사 동운 지리공간정보가 적용된 멀티 기능 기반의 수치지도 시스템
KR101349393B1 (ko) * 2013-06-26 2014-01-13 명화지리정보(주) 영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 시스템
KR101887625B1 (ko) * 2018-04-16 2018-09-10 대한항업(주) 영상이미지와 수치데이터를 처리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14192B1 (ko)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하여 지형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220B1 (ko) 항공촬영 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 시스템
KR101223242B1 (ko) 지형정보 변화에 따른 영상 이미지의 공간영상 도화 시스템
KR102106878B1 (ko) 3차원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
EP3228986B1 (en) Surveying system
US7187401B2 (en) System and a method of three-dimensional modeling and restitution of an object
KR101349393B1 (ko) 영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 시스템
KR101308744B1 (ko) 항공촬영 영상의 지형대비 기준점 합성형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99778B1 (ko) Gis를 기반으로 공간정보를 처리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EP2772725A2 (en) Aerial Photographing System
JP2017520002A (ja) 高高度航空カメラシステム
KR20170047230A (ko) 원격 이미지의 안정화 및 디스플레이
WO2008152740A1 (ja) デジタル空撮3次元計測システム
WO2019227865A1 (zh) 一种基于光流法的采煤机捷联惯导初始对准系统及方法
KR101569714B1 (ko) 불확실한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CN112129263B (zh) 一种分离移动式立体测距相机的测距方法
KR101896061B1 (ko) 은폐된 지형지물을 정밀하게 촬영하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2099248B1 (ko) 지형정보의 영상이미지를 보정하는 공간영상도화 보정시스템
KR102099779B1 (ko) 공간정보와 gis 데이터의 위치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
US10929575B2 (en) Modelling system and method
KR102108450B1 (ko) 항공촬영 영상의 지형대비 기준점 합성형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1820130B1 (ko)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 시스템
KR102093329B1 (ko)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09104606A (zh) 快速测量摄像机倾角与视场角的系统及方法
CN111103899A (zh) 一种云台定位的方法和装置
KR101830296B1 (ko) 기준점과 항공촬영 이미지를 합성한 공간영상도화 제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