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024B1 -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024B1
KR102099024B1 KR1020180156609A KR20180156609A KR102099024B1 KR 102099024 B1 KR102099024 B1 KR 102099024B1 KR 1020180156609 A KR1020180156609 A KR 1020180156609A KR 20180156609 A KR20180156609 A KR 20180156609A KR 102099024 B1 KR102099024 B1 KR 102099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polyester yarn
fabric
yarn
coat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만
Original Assignee
이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만 filed Critical 이종만
Priority to KR1020180156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3D15/0005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ntistatic; electrically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6Washing or dry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r graphite; with carbides; with graphit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24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 D06M13/24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D06M13/256Sulfonated compounds esters thereof, e.g. sulto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24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 D06M13/28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with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D06M13/292Mono-, di- or triesters of phosphoric or phosphorous acids; Sal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69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D06M16/006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with wool-protecting agents; with anti-moth ag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정전기 발생이 적은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폴리에스터 원사에 제올라이트와 조릿대 숯 분말과 편백나무 정유를 포함하는 코팅제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작된 폴리에스터 원사를 폴리에스터 원사에 혼방하여 원단을 제조함으로써, 정전기의 발생이 적으면서도 항균성이 뛰어난 폴리에스터 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 발명의 구성은, 폴리에스터 원사가 권취된 보빈 및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가 권취된 보빈이 다수 개 배치하되는 배치부, 상기의 배치부에서 공급된 원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직하는 제직부, 상기의 제직된 원단을 세척 및 건조하고 질을 향상시키는 건조부, 상기의 건조된 원단이 권취되는 권취롤러를 포함하며, 상기한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는, 건조된 폴리에스터 칩을 용해하여 방사하는 방사부와, 상기한 방사부에서 방사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온도를 낮추고 질을 향상시키며 두 개의 압연롤로 이루어진 제 1건조부와, 상기한 폴리에스터 원사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텐션롤러와, 상기한 폴리에스터 원사에 수분성을 띄게 하는 코팅제를 도포하는 코팅부와, 상기한 코팅이 이루어진 폴리에스터 원사를 건조하며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질을 향상시키는 제 2건조부와, 상기한 공정을 마친 폴리에스터 원사를 세척 및 건조하는 세척부와, 상기한 폴리에스터 원사가 권취되는 보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olyester Fabric}
이 발명은 정전기 발생이 적은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폴리에스터 원사에 제올라이트와 조릿대 숯 분말과 편백나무 정유를 포함하는 코팅제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작된 폴리에스터 원사를 폴리에스터 원사에 혼방하여 원단을 제조함으로써, 정전기의 발생이 적으면서도 항균성이 뛰어난 폴리에스터 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폴리에스터(Polyester)원단은 강도와 탄성이 뛰어나 구김이 잘 가지 않고, 형태의 틀어짐이 없는 합성 섬유 중 하나로, 부드럽고, 보온성이 뛰어나며 가볍다는 장점을 가져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합성 원단 중 하나이다. 그러나 땀을 흡수하고 습기를 방출하는 흡습성과 투습성이 떨어지며, 원단 자체의 공정수분률이 0.4%에 달할 정도로 건조하여 정전기 발생률이 높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부드러운 촉감으로 인해 겨울용 외투의 안감으로 자주 사용되나 상기한 단점으로 인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5-0125278의 경우 친수성의 큐프라 레이온 섬유를 폴리에스터계 합성섬유 내에 일정 가닥수 비율로 경사 또는 위사에 배열함으로써 직물의 수분률을 향상시켜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정전기 방지용 직물에 관하여 소개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큐프라 레이온의 꼬임수를 조절하지 않을 경우 제직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5-0125278
이에 이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습제인 제올라이트를 기반으로 하여 조릿대 숯 분말과 편백나무 정유를 포함하는 코팅제로 폴리에스터 원사를 코팅하여 폴리에스터 원사에 혼방하여 원단을 제조함으로써, 정전기의 발생률을 낮추면서도 항균성이 뛰어나며 친환경적이고, 제직성이 떨어지지 않는 폴리에스터 원단을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 발명의 구성은, 폴리에스터 원사가 권취된 보빈 및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가 권취된 보빈이 다수 개 배치하되는 배치부, 상기의 배치부에서 공급된 원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직하는 제직부, 상기의 제직된 원단을 세척 및 건조하고 질을 향상시키는 건조부, 상기의 건조된 원단이 권취되는 권취롤러를 포함하며, 상기한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는, 건조된 폴리에스터 칩을 용해하여 방사하는 방사부와, 상기한 방사부에서 방사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온도를 낮추고 질을 향상시키며 두 개의 압연롤로 이루어진 제 1건조부와, 상기한 폴리에스터 원사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텐션롤러와, 상기한 폴리에스터 원사에 수분성을 띄게 하는 코팅제를 도포하는 코팅부와, 상기한 코팅이 이루어진 폴리에스터 원사를 건조하며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질을 향상시키는 제 2건조부와, 상기한 공정을 마친 폴리에스터 원사를 세척 및 건조하는 세척부와, 상기한 폴리에스터 원사가 권취되는 보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폴리에스터 원사와 흡습제를 포함하는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가 권취된 보빈에서 취한 원사를 이용하여 폴리에스터 원단을 제직하는 단계, 상기의 제직된 폴리에스터 원단을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 상기의 세척 및 건조된 폴리에스터 원단을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한 흡습제를 포함하는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는, 건조된 폴리에스터 칩을 용해하는 단계, 상기의 용해된 폴리에스터 칩을 방사하는 단계, 방사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온도를 100~120℃로 낮추는 단계, 상기의 온도가 낮춰진 폴리에스터 원사에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의 코팅제가 도포된 폴리에스터 원사를 20~25℃의 온풍으로 건조하는 단계, 상기의 건조된 폴리에스터 원사를 세척하고 완전히 건조하는 단계, 상기의 건조된 폴리에스터 원사를 보빈에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으로 상기한 폴리에스터 원단을 제직하는 단계에서 흡습제를 포함하는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는 4~7:1 비율의 가닥수로 경사 또는 위사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의 방법으로 구성으로 상기한 흡습제를 포함하는 코팅제는 아라비아고무 15~35 중량%에 아교액 15~35 중량%를 일정량씩 첨가하며 교반하여 균일하게 액상화하는 단계, 상기의 액상화된 교반액에 폴리메타크릴레이트 3~5 중량%, 인산염 0.5~3 중량%, 설포네이트 12~15 중량%, 흡습제로서 사용되는 조릿대 숯 분말 5~7 중량%와 제올라이트 5~10 중량%를 첨가하여 약 1시간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의 교반된 용해액에 편백나무정유 5~10 중량%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으로 상기한 아라비아고무와 아교액은, 질량비 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며의 방법의 구성으로 상기한 편백나무정유는, 편백나무의 목제 부분과 잎을 분리하여 알코올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의 세척된 목제와 잎을 채반에 받쳐 온풍건조하는 단계, 상기의 온풍건조 된 목제와 잎을 1:2의 질량비율로 섞어 증류수에 첨가하여 10~15시간 가열하는 단계, 상기의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증류탱크 내의 편백나무 성분을 콘덴서에 공급하여 응축하는 단계, 상기의 콘덴서에 의해 응축된 편백나무 성분을 5~10℃가 유지되는 저온저장고에 저장하여 편백나무정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의 편백나무정유를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완성된 폴리에스터 원단은 기존의 폴리에스터 원단과 비교하였을 때 정전기의 발생률이 낮으면서도 기존의 폴리에스터 원단과 동일한 촉감을 유지하며, 편백나무 정유를 포함하여 비교적 취약해진 내충성 및 항균성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라 폴리에스터 원사와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원사의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원사와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로 제작된 원단의 직물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발생이 적은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원사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 이다.
도 7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편백나무 정유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제조방법 흐름도이다.
이하, 이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에 대한 이점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균등물 내지 대체물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변화,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라 폴리에스터 원사와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시예에 따라 폴리에스터 원사와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장치는 폴리에스터 원사가 권취된 보빈(7) 및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7')가 권취된 보빈이 다수 개 배치되는 배치부(70), 상기의 배치부에서 공급된 원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직하는 제직부(8), 상기의 제직된 원단을 세척 및 건조하고 질을 향상시키는 건조부(9), 상기의 건조된 원단이 권취되는 권취롤러(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원사의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원사의 제조장치는 건조된 폴리에스터 칩을 용해하여 방사하는 방사부(1)와, 상기한 방사부(1)에서 방사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온도를 낮추고 질을 향상시키며 두 개의 압연롤로 이루어진 제1 건조부(2)와, 상기한 폴리에스터 원사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텐션롤러(3)와, 장력이 유지된 상기한 폴리에스터 원사를 세척 및 건조하는 세척부(6)와, 상기한 폴리에스터 원사가 권취되는 보빈(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시예에 따른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제조장치는 건조된 폴리에스터 칩을 용해하여 방사하는 방사부(1)와, 상기한 방사부(1)에서 방사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온도를 낮추고 질을 향상시키며 두 개의 압연롤로 이루어진 제1 건조부(2)와, 상기한 폴리에스터 원사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텐션롤러(3)와, 상기한 폴리에스터 원사에 수분성을 띄게 하는 코팅제를 도포하는 코팅부(4)와, 상기한 코팅이 이루어진 폴리에스터 원사를 건조하며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질을 향상시키는 제 2건조부(5)와, 상기한 공정을 마친 폴리에스터 원사를 세척 및 건조하는 세척부(6)와, 상기한 폴리에스터 원사가 권취되는 보빈(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원사와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로 제직된 원단의 직물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따르면 폴리에스터 원사와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로 제작된 원단은 직물의 수분도 및 제직성의 조절을 위하여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 1가닥 당 폴리에스터 원사 4~7가닥이 위사 또는 경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에스터 원사의 가닥 수가 7가닥을 초과할 경우 제직된 원단의 정전기 발생률이 상승하며, 4가닥 미만일 경우 제직된 원단의 수분률이 높아 항균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도 5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발생이 적은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정전기 발생이 적은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는, 폴리에스터 원사를 제작하는 단계(S100),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를 제작하는 단계(S200), 코팅 폴리에스터 원사를 제작하는 단계(S300), 상기의 폴리에스터 원사와 코팅 폴리에스터 원사를 편직하는 단계(S400), 상기의 편직된 원단을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S500), 상기의 세척 및 건조 된 원단을 권취하는 단계(S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원사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 이다.
도 6에 따르면 폴리에스터 원사의 제조는, 폴리에스터 칩을 용해하는 단계(S110), 상기의 용해된 폴리에스터 칩을 방사하는 단계(S120), 상기의 방사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온도를 하강하는 단계(S130), 상기의 온도가 하강된 폴리에스터 원사를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S140), 상기의 세척된 폴리에스터 원사를 권취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7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따르면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의 제조는, 편백나무 정유를 제조하는 단계(S210), 아라비아고무 15~35 중량%에 아교액 15~35 중량%를 일정량씩 첨가하며 교반하여 균일하게 액상화하는 단계(S220), 상기의 액상화된 교반액에 폴리메타크릴레이트 3~5 중량%, 인산염 0.5~3 중량%, 설포네이트 12~15 중량%, 흡습제로서 사용되는 조릿대 숯 분말 5~7 중량%와 제올라이트 5~10 중량%를 첨가하여 약 1시간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키는 단계(S230), 상기의 교반된 용해액에 편백나무정유 5~10 중량%를 첨가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사용되는 아라비아 고무와 아교액의 비율은 1:1이 바람직하며, 두 성분의 총 량은 30~70 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두 성분의 총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담금액의 점도가 묽어 폴리에스터 원사에 코팅되어 적절히 건조되지 않으며 이 경우 다음 세척 단계에서 코팅액이 벗겨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두 성분의 총량이 7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짙기 때문에 폴리에스터 원사에 균일하게 코팅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 때 사용되는 편백나무정유는 5~10 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원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원단의 항균성이 충분하지 않아 원단의 수명이 줄어들 수 있으며, 10 중량 %를 초과할 경우 코팅액의 점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도 8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편백나무 정유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에 따르면 코팅제에 포함되는 편백나무 정유의 제조는, 편백나무의 목제 부분과 잎을 분리하여 알코올로 세척하는 단계(S211), 상기의 세척된 목제와 잎을 채반에 받쳐 온풍건조하는 단계(S212), 상기의 온풍건조 된 목제와 잎을 1:2의 질량비율로 섞어 증류수에 첨가하여 10~15시간 가열하는 단계(S213), 상기의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증류탱크 내의 편백나무 성분을 콘덴서에 공급하여 응축하는 단계(S214), 상기의 콘덴서에 의해 응축된 편백나무 성분을 5~10℃가 유지되는 저온저장고에 저장하여 편백나무정유를 생성하는 단계(S215), 상기의 편백나무정유를 숙성하는 단계(S2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9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에 따르면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제조는, 폴리에스터 칩을 용해하는 단계(S310), 상기의 용해된 폴리에스터 칩을 방사하는 단계(S320), 상기의 방사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온도를 하강하는 단계(S330), 상기의 온도가 하강된 폴리에스터 원사에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를 코팅하는 단계(S340), 상기의 코팅제가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를 온풍 건조하는 단계(S350), 상기의 건조된 폴리에스터 원사를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S360), 상기의 건조된 폴리에스터 원사를 권취하는 단계(S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정전기 발생이 적은 폴리에스터 원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폴리에스터 원사 :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 = 7:1 의 비율로 제작된 폴리에스터 원단
편백나무의 목제와 잎을 알코올로 세척한 후, 채반에 받쳐 온풍건조하였다. 상기의 온풍건조 된 목제와 잎을 1:2의 질량비율로 섞어 증류수에 첨가하여 10시간 가열하여 발생된 증류탱크 내의 편백나무 성분을 콘덴서에 공급하여 응축한 후, 5℃가 유지되는 저온저장고에 저장하여 편백나무정유를 생성하였다. 편백나무정유를 약 3일가량 5℃의 저온저장고에서 숙성하여 편백나무정유를 생성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아라비아고무 25.0
아교액 25.0
폴리메타크릴레이트 5.0
인산염 3.0
설포네이트 15.0
조릿대 숯 분말 7.0
제올라이트 10.0
편백나무정유 10.0
표 1과 같이 아라비아고무 25.0 중량%에 아교액 25.0 중량%를 일정량씩 첨가하며 교반하여 균일하게 액상화한 후, 폴리메타크릴레이트 5.0 중량%, 인산염 3.0 중량%, 설포네이트 15.0 중량%, 조릿대 숯 분말 7.0 중량%, 제올라이트 10.0 중량%를 첨가하여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하였다. 이 용해액에 편백나무정유 10.0 중량%를 첨가하여 흡습제로 조릿대 숯 분말과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완성하였다.
건조된 폴리에스터 칩을 용해하여 방사한 후, 120℃로 폴리에스터 원사의 온도를 하강시킨 후, 세척 및 건조하여 권취하여 폴리에스터 원사를 완성하였다. 또한 건조된 폴리에스터 칩을 용해하여 방사한 후, 120℃로 폴리에스터 원사의 온도를 하강한 후, 흡습제로 조릿대 숯 분말과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도포한 후, 20~25℃의 온풍에 충분히 건조시킨 후, 세척 및 건조 단계를 거쳐 권취하여 코팅 폴리에스터 원사를 완성하였다.
또한 상기의 폴리에스터 원사와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비율을 7:1로 하는 폴리에스터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스터 원사 :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 = 4:1 의 비율로 제작된 폴리에스터 원단
실시예 2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폴리에스터 원사와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비율을 4:1로 하는 폴리에스터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에스터 원사로 제작된 폴리에스터 원단
비교예 1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폴리에스터 원사만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터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에스터 원사 :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 = 1:1 의 비율로 제작된 폴리에스터 원단
비교예 2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폴리에스터 원사와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비율을 1:1로 하는 폴리에스터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폴리에스터 원사 :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 = 10:1 의 비율로 제작된 폴리에스터 원단
비교예 3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폴리에스터 원사와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비율을 10:1로 하는 폴리에스터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폴리에스터 원단의 수분율 측정
상기 실시예 1,2와 비교예 1,2,3에 의해 제조된 직물의 수분율을 측정하였다. 수분율 실험은 오븐 밸런스법으로 측정되었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수분율 4.55 4.00 0.47 8.00 1.44
(실험예 2) 폴리에스터 원단의 마찰 전기 전하량
상기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2, 3에 의해 제조된 직물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 전하량을 측정하였다. 마찰 전기 전하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의 전하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Kv)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정전기전하량 0.33 0.38 1.40 0.26 0.76
(실험예 3) 폴리에스터 원단의 항균성
직물의 항균성 실험을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2, 3을 직경 10㎜의 원형으로 절단하여 이용하였다. 균 검출실험은 무균 작업대에서 수행하였으며, 황색포도상구균용 건조필름 배지를 사용하였다.
먼저, 상기의 원형으로 절단한 직물을 잘게 절단하여 만들어진 시료 1g을 멸균수 9㎖에 넣고 균질기를 이용하여 고르게 혼합한 10배 희석용액을 만든 후, 시료 희석용액을 옮긴 다음 황색포도상구균을 3.0*102CFU/㎖의 농도가 되도록 접종하고 혼합하여 완성된 시료의 1㎖를 건조 필름 배지에 접종한 후, 인큐베이터로 옮겨 35℃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8시간 뒤 배지에 형성되는 집락수를 판독하여 균수의 변화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균수 변화율 -99 -99 -54 10 -77
상기한 실험예 1, 2, 3에 따른 실험 결과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폴리에스터:
코팅폴리에스터
7:1 4:1 1:0 1:1 10:1
수분율(%) 4.55 4.00 0.47 8.00 1.44
정전기전하량(Kv) 0.33 0.38 1.40 0.26 0.76
균수 변화율(%) -99% -99% -54% 10% -77%
상기한 결과와 같이 원단의 수분률은 폴리에스터 원사와 코팅폴리에스터 원사의 비율이 1:1인 경우인 비교예 2가 가장 높았으며, 정전기전하량 또한 0.26Kv로 비교예 2가 가장 낮았으나 항균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비교예 3과 같이 폴리에스터 원사와 코팅 폴리에스터 원사의 비율이 10:1인 경우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결과에 미치지 못하므로, 폴리에스터 원사와 코팅폴리에스터 원사의 비율은 4~7:1이 가장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1 : 방사부
2 : 제 1 건조부
3 : 텐션롤러
4 : 코팅부
5 : 제 2 건조부
6 : 세척부
7 : 보빈(폴리에스터 원단)
7' : 보빈(코팅된 폴리에스터 원단)
8 : 제직부
9 : 제 3건조부
10 : 권취롤러

Claims (6)

  1. 삭제
  2. 폴리에스터 원사와 흡습제를 포함하는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가 권취된 보빈에서 취한 원사를 이용하여 폴리에스터 원단을 제직하는 단계;
    상기의 제직된 폴리에스터 원단을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
    상기의 세척 및 건조된 폴리에스터 원단을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한 흡습제를 포함하는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는,
    건조된 폴리에스터 칩을 용해하는 단계;
    상기의 용해된 폴리에스터 칩을 방사하는 단계;
    방사된 폴리에스터 원사의 온도를 100~120℃로 낮추는 단계;
    상기의 온도가 낮춰진 폴리에스터 원사에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의 코팅제가 도포된 폴리에스터 원사를 20~25℃의 온풍으로 건조하는 단계;
    상기의 건조된 폴리에스터 원사를 세척하고 완전히 건조하는 단계;
    상기의 건조된 폴리에스터 원사를 보빈에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폴리에스터 원단을 제직하는 단계에서,
    흡습제를 포함하는 코팅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터 원사는 4~7:1 비율의 가닥수로 경사 또는 위사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흡습제를 포함한 코팅제는,
    아라비아고무 15~35 중량%에 아교액 15~35 중량%를 일정량씩 첨가하며 교반하여 균일하게 액상화하는 단계;
    상기의 액상화된 교반액에 폴리메타크릴레이트 3~5 중량%, 인산염 0.5~3 중량%, 설포네이트 12~15 중량%, 흡습제로서 사용되는 조릿대 숯 분말 5~7 중량%와 제올라이트 5~10 중량%를 첨가하여 약 1시간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의 교반된 용해액에 편백나무정유 5~10 중량%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아라비아고무와 아교액은,
    질량비 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편백나무정유는,
    편백나무의 목제 부분과 잎을 분리하여 알코올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의 세척된 목제와 잎을 채반에 받쳐 온풍건조하는 단계;
    상기의 온풍건조 된 목제와 잎을 1:2의 질량비율로 섞어 증류수에 첨가하여 10~15시간 가열하는 단계;
    상기의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증류탱크 내의 편백나무 성분을 콘덴서에 공급하여 응축하는 단계;
    상기의 콘덴서에 의해 응축된 편백나무 성분을 5~10℃가 유지되는 저온저장고에 저장하여 편백나무정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의 편백나무정유를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
KR1020180156609A 2018-12-07 2018-12-07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 KR102099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609A KR102099024B1 (ko) 2018-12-07 2018-12-07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609A KR102099024B1 (ko) 2018-12-07 2018-12-07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024B1 true KR102099024B1 (ko) 2020-05-27

Family

ID=7091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609A KR102099024B1 (ko) 2018-12-07 2018-12-07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0905A (zh) * 2020-11-26 2021-02-26 福建精联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涤纶纤维丝的生产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5622A (en) * 1986-11-21 1992-09-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mprovements in process for preparing water-dispersible polyester fiber
JP2008509289A (ja) * 2004-08-04 2008-03-27 ライテックス・リミテッド 通気性を有する布
KR20110064807A (ko) * 2009-12-09 2011-06-15 한국기계연구원 수분 포집 장치
KR101157470B1 (ko) * 2011-12-05 2012-06-22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편백 나노 유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72861B1 (ko) * 2013-02-18 2014-12-16 (주) 씨에프씨테라메이트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
KR20150125278A (ko)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엠앤브이코리아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5622A (en) * 1986-11-21 1992-09-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mprovements in process for preparing water-dispersible polyester fiber
JP2008509289A (ja) * 2004-08-04 2008-03-27 ライテックス・リミテッド 通気性を有する布
KR20110064807A (ko) * 2009-12-09 2011-06-15 한국기계연구원 수분 포집 장치
KR101157470B1 (ko) * 2011-12-05 2012-06-22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편백 나노 유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72861B1 (ko) * 2013-02-18 2014-12-16 (주) 씨에프씨테라메이트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름
KR20150125278A (ko)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엠앤브이코리아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0905A (zh) * 2020-11-26 2021-02-26 福建精联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涤纶纤维丝的生产系统
CN112410905B (zh) * 2020-11-26 2022-08-02 福建精联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涤纶纤维丝的生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8675B2 (en) Antimicrobial and wicking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6849602B2 (ja) 吸水速乾性編物及びその用途
KR101906325B1 (ko) 코어-시스 복합섬유
KR102099024B1 (ko) 폴리에스터 원단의 제조 방법
CN106626634A (zh) 复合面料及其制造方法
JP5443068B2 (ja) 涼感性布帛
KR20170095806A (ko) 흡습성 심초 복합사
JP6582980B2 (ja) 相分離構造を有する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88747B2 (ja) 涼感性布帛
CN109505044A (zh) 一种阻燃耐高温防护面料及其制备方法
CN104975364A (zh) 一种纤维织物及其制备方法
CN107475880B (zh) 一种保温吸水速干面料
EP3150751B1 (en) Polyamide fibers, fiber structure using same, and clothing
CN105768248B (zh) 不着凉内衣及其制备方法
CN113152108A (zh) 一种护肤凉感芳纶面料及其制备方法
JP5339926B2 (ja) 衣料用織編物
CN105986356A (zh) 一种轶纶混合纤维针织面料及其制作方法
JP4085316B2 (ja) 着用快適性に優れた布帛
JP2009203557A (ja) 吸汗速乾性編地
KR101808459B1 (ko) 흡한속건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 및 그 제조방법
CN104695225B (zh) 一种抗紫外纺织品
JP2014001467A (ja) 難燃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JP2017066537A (ja) 3層構造丸編地
CN111733470A (zh) 一种自卷曲复合吸湿纤维、制备方法及织物
JP2017043860A (ja) 芯部が相分離構造を有する芯鞘型複合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