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824B1 - 여성청결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여성청결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824B1
KR102098824B1 KR1020180072853A KR20180072853A KR102098824B1 KR 102098824 B1 KR102098824 B1 KR 102098824B1 KR 1020180072853 A KR1020180072853 A KR 1020180072853A KR 20180072853 A KR20180072853 A KR 20180072853A KR 102098824 B1 KR102098824 B1 KR 102098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oot
ski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706A (ko
Inventor
윤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와이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와이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와이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8007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8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9Polygonatum (Solomon's 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4Urogenital system, e.g. vagina, uterus, cervix, penis, scrotum, urethra, bladder; Personal lubric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한방 추출물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여성청결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성청결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Cleanser composition for women's vagina and Cleanser for women's vagina contain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한방 혼합 추출물 고농도로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에 관한 것이다.
여성 비뇨생식기관은 난소, 난관, 자궁, 자궁경부, 질, 외음부로 구성되며, 여성 비뇨생식기계 질환에는 골반염, 자궁내막증, 난소낭종, 다낭성 난소 증후군, 난소암, 자궁근종, 자궁폴립, 후굴자궁, 자궁 및 질 탈출증, 자궁암, 융모상피암, 자궁경부 미란, 자궁경부 이형성증, 자궁경부암, 외음부 질염, 질 진균증, 세균성 질염, 바톨린염, 외음부와 질의 암, 성병 (임질, 클라미디아 골반염, 매독, 트리코모나스증, 음부 포진, 외음부사마귀, 음부 이)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질환은 비교적 흔하고 여성 대부분이 일생 동안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질환을 경험한다고 보고된다.
여성 비뇨생식기계에는 비뇨생식기계 pH를 4.5~6.5의 약산성으로 유지하여 주는 유산간균이 상재하여 유해한 세균의 번식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하지만 물리적 손상, 호르몬 불균형 외에도 청결하지 않은 비뇨생식기계 환경, 성관계에 따른 세균성 질환 혹은 성병 등에 의해 여성 비뇨생식기계 관련 질환이 발생되기 쉽다. 즉 질과 외음부는 여성 비뇨생식기계 구조의 기능적 특성상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으며, 양도, 온도, 습도 등 여러 가지의 세균집단이 배양되는 조건적 환경을 제공하여 세균성 감염 및 세균성 질증을 야기시킨다.
여성 비뇨생식기계의 일차적인 기능은 생식이므로 이들 장기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은 불임을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문제로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여성 비뇨생식기계 관련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예로부터 선조들은 무 잎이나 약쑥을 넣고 끓인 물을 식혀서 좌욕을 하는 방법으로 질염을 치료하였으며, 서양 여성들은 장미, 라벤더, 베르가모 등을 첨가한 물로‘뒷물’을 했으나, 이 방법은 매번 사용하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비누나 바디클렌져는 합성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pH가 높은 알칼리성 제품으로 세정 효과는 우수하나, 피부 자극 발생 및 질 내 약산성 pH 환경을 알칼리성 환경으로 바꿔 놓아, 유산간균의 생장을 저해하여 유해 세균이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성 비뇨생식기계 관련 질병 예방에 효과적이고 저자극성이며 사용이 용이한 여성청결제 혹은 질세정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누 및 바디클렌져에 비하여 저자극성이며, 천연성분이 기능성으로 포함되어 사용시 보다 건강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여성청결제에 대한 개발이 필요로 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4043호(공개일 2017. 06. 29)
기존 약초 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는 약초 추출물을 낮은 농도로만 포함하고 있어서 여성청결제 사용에 따른 현저한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질 내외에 다량 투여해야 현저한 효과를 볼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오랜, 수 많은 연구 끝에, 소량 사용함에도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어서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면서도, 한방 추출물 농도를 고농도로 함유시킬 수 있는 여성청결제의 최적의 조성 및 조성비를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여성청결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여성청결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한방 혼합 추출물35 ~ 50중량%, 점증제 2 ~ 5 중량%, 유기용매 0.2 ~ 1.5 중량%, 피부침투 증진제 0.1 ~ 1 중량%, pH 조절제 0.001 ~ 0.1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되, 상기 한방 혼합 추출물은 작약뿌리, 각시둥글레뿌리, 백합, 지황뿌리, 더덕뿌리, 귤껍질, 연꽃씨, 감국꽃, 모란뿌리, 의이인 및 감초뿌리로 구성된 혼합물의 추출물이며, 상기 혼합물 성분 각각은 건조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성청결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성청결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한방 혼합 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한방 혼합 추출물, 유기 용매 및 물을 혼합 및 교반하여 한방 혼합 추출물이 용해된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용액에 점증제, 피부침투 증진제 및 pH 조절제를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여성청결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는 소량 사용만으로도 질(vagina) 탄력을 증진시키고, 질 내부 및 외부의 보습, 윤기를 개선시키며, 건조증 및 가려움 예방 및 방지, 질 분비물 냄새 예방 및 방지, 질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성행위 전 5분 ~ 10분 전에 질 내에 투여 및 사용시 즉각적인 질 탄력증진 효과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후 별도로 질 내외를 세척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 편의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실험예 1에서 실시한 피부 수분함유량 측정 데이타이다.
도 2는 실험예 1에서 실시한 피부 윤기 측정 데이타이다.
도 3은 실험예 1에서 실시한 피부 탄력 측정 데이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 조성물(이하, 조성물로 칭함)은 한방 혼합 추출물, 점증제, 유기용매, 피부침투 증진제, pH 조절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상기 한방 혼합 추출물은 여성청결제 조성물 전체 중량 중 35 ~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5 ~ 4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한방 혼합 추출물이 35 중량% 미만이면 여성청결제 효과가 다소 미흡하여 제품의 질이 떨어질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것은 장기보전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고, 장기 방치시 변질에 의해 침전물이 발생할 수 있어서 오히려 제품 품질 저하가 일어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한방 혼합 추출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한방 혼합 추출물은 각시둥글레뿌리, 백합, 지황뿌리, 더덕뿌리, 귤껍질, 연꽃씨, 감국꽃, 모란뿌리, 의이인 및 감초뿌리의 혼합물의 추출물로서,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각시둥글레뿌리, 백합, 지황뿌리, 더덕뿌리, 귤껍질, 연꽃씨, 감국꽃, 모란뿌리, 의이인 및 감초뿌리 각각의 건조물을 준비한 후, 이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1단계; 상기 혼합물을 추출 반응기에 투입한 후, 상기 추출 반응기에 용매를 투입하는 2단계; 1차 추출 공정을 수행하는 3단계; 상기 1차 추출 공정을 수행한 추출 반응기에 1,2-헥산디올을 투입하여 2차 추출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4단계; 상기 추출물을 감압 농축시켜서 농축된 추출물을 제조하는 5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여과한 여과물을 저온 숙성시키는 6단계; 및 저온 숙성시킨 추출물을 진공 포장하는 7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1단계의 혼합물의 건조물인 한방 성분의 조성비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을 하겠다.
2단계의 용매는 물 및 부틸렌 글리콜을 1 : 0.2 ~ 0.5 중량비로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 : 0.3 ~ 0.4 중량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혼합물과 용매의 투입량은 혼합물 100g 당 용매 0.8 ~ 1.2L, 바람직하게는 0.85 ~ 1L 정도가 적당하다.
3단계의 1차 추출공정은 75 ~ 90℃ 하에서 5 ~ 6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80 ~ 90℃ 하에서 5 ~ 6 시간 동안 당업계의 일반적인 추출공정을 통해 수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4단계는 1차 추출공정을 수행한 추출 반응기 내에 1,2-헥산디올을 추가 투입한 후, 2차 추출공정을 수행하는 공정으로서, 1,2-헥산디올 투입량은 1단계의 혼합물 100 g 당 1,2-헥산디올 0.1 ~ 0.5L를, 바람직하게는 0.2 ~ 0.4L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0.35L를 투입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2차 추출공정은 35 ~ 50℃ 하에서 1 ~ 3시간 정도, 바람직하게는 40 ~ 50℃ 하에서 1.5 ~ 2.5 시간 정도 수행할 수 있다.
5단계는 4단계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시켜서 농축된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감압 농축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6단계의 저온 숙성은 4단계의 농축된 추출물을 발효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2 ~ 10℃ 하에서 12 ~ 48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5 ~ 10℃ 하에서 24 ~ 36시간 동안 저온 숙성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7단계는 저온 숙성된 추출물이 외부 오염 및 변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진공 포장시키는 단계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진공 포장 전 저온 살균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1단계 혼합물의 한방 조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을 한다.
작약(Paeonia Albiflora)은 미나리아재비과 다년생 풀로서, 겨울이 되면 리만 남고 줄기가 없어지는 특징이 있으며, 꽃 색깔에 따라 백작약, 적작약으로 나뉜다. 꽃이 아름다워서 옛날부터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해 왔으며, 반 그늘진 곳에서 잘잔란다. 작약뿌리는 한방에서 귀중한 약재로 취급되며, 백작약 뿌리는 빈혈 치료와 진통제로 사용되며, 적작약 뿌리는 혈압과 해열제로 이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한방 혼합 추출물 성분 중 상기 작약뿌리는 본 발명에서 질 내부 및/또는 외부 모공 수축 및 피부를 진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백작약 뿌리 및 적작약뿌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백작약 뿌리를 사용할 수 있다.
각시둥글레(Polygonatum Officinale Rhizome)는 한국,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하며, 둥굴레 종류들 가운데 초장이 가장 짧은 특징이 있다. 깊은 산속의 경사면 또는 낙엽수림 하부, 밭둑 등에서 자라며, 땅속 줄기의 증식속도가 대단히 빠른 식물로서, 가을철에 땅속 줄기를 적당한 길이로 잘라 심으면 번식이 잘되는 특징이 있다. 회춘의 영약이라고도 불리우며, 정력 보강, 기력 증진, 성기능 강화, 불감증, 노화 방지 등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방 혼합 추출물은 상기 각시둥굴례의 뿌리를 도입한 발명으로서, 각시둥굴례뿌리는 본 발명에서 질 내부 및/또는 외부의 피부윤기 증진 및 노화방지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각시둥굴례뿌리의 사용량은 상기 작약뿌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 ~ 110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80 ~ 110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106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각시둥굴례뿌리 추출물 사용량이 60 중량부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적어서 피부윤기 증대 효과가 미약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그 사용량이 1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타 조성물과의 상용성이 저하되어 제품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백합(Lilium Tigrinum)은 기원지가 지중해 동부인 식물로서,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 백합속 식물이다. 주로 햇볕이 직집 쬐지 않는 숲이나 수목의 그늘, 또는 북향의 서늘한 곳에 서식한다. 백합의 점액 성분은 화장품에 이용되어 왔으며, 오일에 절인 꽃잎은 습진 치료에 사용되어 왓으며, 상엽용 향수 제조에도 사용해 온 식물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방 혼합 추출물 성분 중 상기 백합은 본 발명에서 질 내부 및/또는 외부의 피부 진정 및 피지분비 억제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백합의 사용량은 상기 작약뿌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75 ~ 120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90 ~ 120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 11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백합 사용량이 75 중량부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피지분비 억제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그 사용량이 120 중량부를 초과하면 향이 너무 강하여 다른 한방 성분들과의 향의 조화가 깨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지황(Rehmannia Glutinosa)은 중국 기원의 약용식물로서, 뿌리는 굵고 육질이며, 옆으로 뻗고 붉은 빛이 도는 갈색이다. 한방에서 뿌리의 생 것을 생지황, 건조시킨 것을 건지황, 쪄서 말린 것을 숙지황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방 혼합 추출물 성분 중 상기 지황의 뿌리를 도입하며, 지황뿌리는 본 발명에서 질 내부의 피부 장벽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지황뿌리의 사용량은 상기 작약뿌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85 ~ 130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90 ~ 125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11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지황뿌리 사용량이 85 중량부 미만이면 질 내부의 피부 장벽 효과를 보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그 사용량이 1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것은 비경제적이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한국 기원의 도라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서, 해발 2,000 m 이상의 높은 산에서부터 들판, 구릉, 강가, 산기슭 등 도처에 자생한다. 리놀산 성분이 풍부하여 신장을 튼튼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뿌리 나물로서 식용 섬유질이 풍부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방 혼합 추출물 성분으로서, 상기 더덕의 뿌리를 도입한 발명으로서, 더덕뿌리는 본 발명에서 질 내외부의 피부탄력 증대 및 여성청결제 사용 후 번들거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더덕뿌리의 사용량은 상기 작약뿌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 ~ 135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90 ~ 120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11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더덕뿌리 사용량이 90 중량부 미만이면 번들거림 방지 효과가 미약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그 사용량이 135 중량부를 초과하면 더덕향이 강하게 날 수 있고, 여성청결제의 육안적으로 보이는 색이 너무 진하게 되어 심미적으로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귤껍질(Citrus Unshiu Peel)은 한방에서 진피라고도 하며, 오래될수록 좋으며, 색이 붉을수록 좋다. 유실에 의한 작은 오목한 자국이 많으며, 안쪽은 흰색 또는 엷은 회갈색이며 가볍고 부스러지기 쉽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방 혼합 추출물 성분 중 상기 귤껍질은 질 내외부의 피부 톤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귤껍질의 사용량은 상기 작약뿌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 ~ 120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95 ~ 120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98 ~ 11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귤껍질 사용량이 90 중량부 미만이면 귤껍질 자체의 향이 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그 사용량이 1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것은 이의 초과사용으로 인한 효과 상승이 없으므로 비경제적으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연꽃씨(Nelumbo Nucifera Seed)는 연자 또는 연씨라고도 불리며, 연꽃이 지고 난 후에 보이는 벌집 모양의 씨방(연밥)에 담겨 있는 연의 씨앗이다. 9~10월 사이에 검고 단단하게 익으며, 독성과 나쁜 피를 제거하고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며 심신을 안정시키는 효과 및 치매 예방,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방 혼합 추출물은 상기 연꽃씨를 사용하며, 연꽃씨는 본 발명에서 질 주변, 즉, 여성의 Y존의 가려움증 완화 및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연꽃씨의 사용량은 상기 작약뿌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 95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65 ~ 90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 9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연꽃씨 사용량이 50 중량부 미만이면 너무 미량 사용하는 것으로서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볼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그 사용량이 95 중량부를 초과하면 피부가 약한 사람이 사용시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감국꽃(Chrysanthemum Indicum Flower)은 황국이라고도 하며, 산에서 자란다. 주로 한국, 타이완,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고, 국화의 한약재 이름으로 단맛이 나서 감국이라고 불린다. 동의보감에서는 몸을 가볍게 하고 늙지 않게 하며 장수하게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방 혼합 추출물 성분으로서, 상기 감국꽃은 질 주변, 즉, 여성의 Y존의 피부결 정돈 및 피부를 청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감국꽃의 사용량은 상기 작약뿌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65 ~ 100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70 ~ 95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9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감국꽃 사용량이 65 중량부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이의 사용으로 인한 효과를 볼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그 사용량이 10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량 사용으로서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모란뿌리(Paeonia Suffruticosa Root)는 목단이라고도 하며, 종류는 발달 과정에 따라 중국종, 일본종, 프랑스종 3계통으로 구분된다. 개화기에 따라 보통종과 겨울모란으로 나누기도 한다. 모란은 화려하고 위엄과 품위를 갖추고 있는 꽃으로 부귀화 또는 화중왕이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방 혼합 추출물 성분 중 상기 모란뿌리는 항염증 작용, 피부 진정 및 보호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모란뿌리의 사용량은 상기 작약뿌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45 ~ 90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50 ~ 90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 9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의이인(Coix Lacryma-Jobi Ma-yuen Seed)은 우리나라, 일본, 중국 모두 벼과의 율무(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의 종피를 제거한 씨를 말한다.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식물 분류상으로는 옥수수에 가깝고 속이 딱딱하며 곧게 자란다. 율무는 껍질을 벗기 전을 "의이"라고 하며 껍질을 벗긴 율무쌀, 즉 종자를 "의이인"이라고 한다. 성질은 조금 차고 독이 없으며 맛은 달고 차 등으로 먹거나 이뇨, 진통, 진경, 강장 작용이 있으므로 부종, 신경통, 류머티즘, 방광, 결석 등에 약재로 쓰인다. 생 잎은 차 대용으로 사용되고, 뿌리는 황달과 신경통으로, 줄기에 달린 잎은 사료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방 혼합 추출물 성분 중 상기 의이인은 한방 성분들간 상용성, 혼화성 향상 및 피부 트러블 방지 역할, 여성 생기 주변의 피부 톤을 밝고 생기 있게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의이인의 사용량은 상기 작약뿌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 95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75 ~ 92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78 ~ 88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의이인 사용량이 50 중량부 미만이면 너무 적게 사용하여 조성물간 상용성, 혼화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그 사용량이 95 중량부를 초과하면 여성청결제 제품 색이 너무 어두워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감초(Glycyrrhiza Glabra (Licorice))는 약용식물로서 뿌리는 적갈색으로 땅속 깊이 들어가고 줄기는 모가 지며 1m 정도 곧게 자란다. 또한 흰털이 밀생하여 회백색으로 보이며 선점(腺點)이 흩어져 있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7∼17개씩이고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작은잎의 길이는 2∼5cm, 나비 l∼3cm로 양면에 흰털과 선점이 있으며 톱니는 없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길이 1.4∼2.5cm로 보라색이며, 총상꽃차례로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꼬투리는 선처럼 가늘고 긴 모양으로 활처럼 굽으며 신장형의 종자가 6∼8개씩 들어 있다. 뿌리는 단맛이나서 감미료, 한약재로 사용한다. 시베리아산(G. glabra var. glandulifera), 에스파냐산(G. glabra) 등이 있다. 비슷한 종으로 개감초(G. pallidiflora)가 있다. 이는 단맛이 적고 감초와 달리 약용으로 쓰이지 않으며, 털이 적고 열매가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중국 동북부와 시베리아,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그리고, 감초는 니코틴, 알코올 해독 작용 및 독성을 중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항염작용이 뛰어나며 궤양 억제, 소하불량, 복부 팽만감 완화 효과가 있고, 또한 글리시리진 성분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플라보노이드와 칼돈 성분이 암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방 혼합 추출물은 상기 감초의 뿌리를 도입하며, 감초뿌리 추출물은 본 발명에서 여성 Y존 주변 피부의 색소 침착 예방 및/또는 방지하는 역할, 피부 탄력 증진, 피부 장벽 강화와 가려움증 완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감초뿌리 추출물의 사용량은 상기 작약뿌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 100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80 ~ 95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9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감초뿌리 추출물 사용량이 50 중량부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이를 사용하는 효과가 미비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그 사용량이 95 중량부를 초과하면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상기 점증제는 상기 여러 추출물 성분들이 질 내외의 피부에 잘 흡수되고, 피부에 코팅되어 유용한 성분이 피부 표면에 장기간 유지되도록 여성청결제의 점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점증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 디하이드로잔탄검, 셀룰로오스검, 잔탐검크로스폴리머,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 타우레이트코폴리머(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코폴리머(Sodium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13(Polyacrylate-13),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및 소듐카보머(Sodium Carbomer)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및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코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점증제의 함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 전체 중량 중2 ~ 5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 4.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4.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점증제 함량이 조성물 내 2.0 중량%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적어서 여성청결제의 점도가 너무 낮아서 사용감이 떨어지고, 피부 흡수력을 위한 적정 코팅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끈적한 느낌이 증대되어 사용감이 오히려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상기 유기용매는 한방 혼합 추출물, 점증제, 피부침투 증진제 등이 물에 잘 용해되는데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4의 모노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1,2-헥산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및 1,2-헥산디올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유기용매의 함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 전체 중량 중0.2 ~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0.8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유기용매 함량이 조성물 내 0.2 중량% 미만이면 조성물간 물에 대한 용해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5 중량%를 초과하면 여성청결제 제품의 점도가 다소 낮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상기 피부침투 증진제는 한방 추출물 각 성분들이 질 내외 피부에 잘 흡습, 침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추가적으로 천연 방부제 역할도 하는 것으로서, 피부침투 증진제로서, 카프릴릴글라이콜, 1,2-펜틸글라이콜, 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 및 라우릴 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프릴릴글라이콜 및 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피부침투 증진제의 함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 전체 중량 중0.1 ~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 0.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0.7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피부침투 증진제 함량이 조성물 내 0.1중량%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이를 사용하는 효과를 볼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 중량%를 초과하면 과량 사용이며 여성청결제 점도 상승 및 제품 끈적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상기 pH 조절제는 여성청결제의 적정 pH를 조절 및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pH 조절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피부트러블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시트르산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H 조절제의 함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 전체 중량 중 0.001 ~ 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 ~ 0.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 0.0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pH 조절제 함량이 조성물 내 0.001중량% 미만이거나, 0.1 중량%를 초과하면 여성청결제의 적정 pH조절 및 조절된 pH의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는 앞서 설명한 조성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에센스(essence) 타입의 여성청결제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의 pH는 5.0 ~ 6.0이고, 바람직하게는 pH 5.2 ~ 5.8,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5.6 ~ 5.8이다. 이때, pH가 5.0 미만이면 산도가 너무 낮아서 민감 피부 사용자가 사용시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pH가 6을 초과하면 세정력은 우수하나, 여성청결제 효과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는 질(vagina) 내부 및/또는 외부에 1일 1회 내지 2회 투여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1회 투여량은 0.25 ~ 0.50 ml인 것이, 바람직하게는 0.28 ~ 0.40 ml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는 한방 추출물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바, 이와 같이 소량 사용만으로도 질(vagina) 탄력을 증진시키고, 질 내부 및 외부의 보습, 윤기를 개선시키며, 건조증 및 가려움 예방 및 방지, 질 분비물 냄새 예방 및 방지, 질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는 성 관계 전 5분 ~ 10분 전에 질 내에 투여해주면 즉각적으로 질 탄력증진 효과를 통해 성 관계 만족도 향상 효과를 볼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는 사용 후 별도로 질 내부 및/또는 외부를 세척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 편의성이 우수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실시예 ]
실시예 1 : 여성청결제의 제조
(1) 한방 혼합 추출물의 제조
백작약뿌리, 각시둥글레뿌리, 백합, 지황뿌리, 더덕뿌리, 귤껍질, 연꽃씨, 감국꽃, 모란뿌리, 의이인 및 감초뿌리 각각의 건조물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추출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이때, 사용된 한방 성분들의 조성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 반응기에 물 및 부틸렌 글리콜을 1 : 0.37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를 투입하였다. 이때, 용매와 혼합물을 혼합량은 용매 1L 당 혼합물 37g 정도였다.
80℃ ~ 82℃ 정도에서 5.5시간 동안 1차 추출공정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1차 추출공정을 수행한 추출 반응기를 방치하여 온도를 낮춘 후, 1차 추출공정을 수행한 추출 반응기 내에 1,2-헥산디올을 투입하고, 40~42℃ 하에서 2시간 동안 2차 추출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1,2-헥산디올 투입량은 혼합물 100g 당 0.27 L 였다.
다음으로, 1차 및 2차 추출공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다른 감압 농축기(SB-1000, EYELA, Tokyo, Japan)에 투입 및 감압 농축을 수행하여 농축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5 ~ 6℃ 하에서 30시간 동안 저온 숙성시킨 후, 이를 진공 포장하였다.
(2) 여성청결제의 제조
앞서 제조한 진공 포장된 한방 혼합 추출물, 1.2-헥산디올(유기용매) 및 물을 상온에서 혼합 및 천천히 교반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용액에 점증제인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 피부침투 증진제인 카프릴릴글라이콜, pH 조절제인 시트르산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상온에서 혼합 및 천천히 교반하여 에센스 타입의 무색 투명한 여성청결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여성청결제의 pH는 5.6 ~ 5.7이었다.
실시예 2 ~ 실시예 4 및 비교예 1 ~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여성청결제를 제조하되, 하기 표 1~ 표 2와 같은 조성비를 가지도록 각 조성물을 혼합하여 여성청결제를 각각 제조하여 실시예 2 ~ 4 및 비교예 1 ~ 4를 실시하였다. 참고로, 비교예 1 ~ 6의 pH는 5.2 ~ 5.8 범위였으며, 비교예 7의 pH는 4.88 ~ 4.90이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한방 혼합 추출물 작약뿌리 100 중량부 41.5 중량% 47.8 39.5 중량% 43.5 중량%
각시둥글레뿌리 100 중량부
백합 100 중량부
지황뿌리 100 중량부
더덕뿌리 100 중량부
귤껍질 100 중량부
연꽃씨 87.5 중량부
감국꽃 87.5 중량부
모란뿌리 87.5 중량부
의이인 87.5 중량부
감초뿌리 87.5 중량부
점증제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 3.5 중량% 4.0 중량% 3.4 중량% 2.5 중량%
유기용매 1,2-헥산디올 0.4 중량% 0.6 중량% 0.45 중량% 0.35 중량%
피부침투 증진제 카프릴릴글라이콜 0.4 중량% 0.5 중량% 0.7 중량% 0.6 중량%
pH 조절제 시트르산 0.012 중량% 0.021 중량% 0.013 중량% 0.018 중량%
나머지 잔량
합계 100 중량%
pH 5.62~5.65 5.45~
5.50
5.72~5.75 5.55~5.58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한방 혼합 추출물 작약뿌리 100 중량부 32.5
중량%
52.5
중량%
41.5 중량% 41.5 중량%
각시둥글레뿌리 100 중량부
백합 100 중량부
지황뿌리 100 중량부
더덕뿌리 100 중량부
귤껍질 100 중량부
연꽃씨 87.5 중량부
감국꽃 87.5 중량부
모란뿌리 87.5 중량부
의이인 87.5 중량부
감초뿌리 87.5 중량부
점증제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 3.5 중량% 3.3 중량% 1.5중량% 5.5 중량%
유기용매 1,2-헥산디올 0.4 중량% 0.4 중량% 0.4 중량% 0.4 중량%
피부침투 증진제 카프릴릴글라이콜 0.4 중량% 0.4 중량% 0.4 중량% 0.4 중량%
pH 조절제 시트르산 0.012 중량% 0.032 중량% 0.012 중량% 0.012 중량%
나머지 잔량
합계 100 중량%
구분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7 -
한방 혼합 추출물 작약뿌리 100 중량부 41.5 중량% 41.5 중량% 41.5 중량% -
각시둥글레뿌리 100 중량부
백합 100 중량부
지황뿌리 100 중량부
더덕뿌리 100 중량부
귤껍질 100 중량부
연꽃씨 87.5 중량부
감국꽃 87.5 중량부
모란뿌리 87.5 중량부
의이인 87.5 중량부
감초뿌리 87.5 중량부
점증제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 3.5 중량% 3.3 중량% 3.5 중량% -
유기용매 1,2-헥산디올 0.4 중량% 0.4 중량% 0.4 중량% -
피부침투 증진제 카프릴릴글라이콜 0.05중량% 1.5중량%% 0.4 중량% -
pH 조절제 시트르산 0.012 중량% 0.032 중량% 0.205 중량% -
나머지 잔량
합계 100 중량%
실험예 1 : 피부 보습, 피부 윤기, 피부 탄력 개선 효과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여성청결제의 피부 보습, 피부 윤기,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KC피부임상연구센터에 의뢰하여, ㈜KC피부임상연구센터의 표준 운용 절차(SOP)에 따라 피부 보습, 피부 윤기,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실험하였다(시험기간 2018.2.5 ~ 2018.3.6). 실험은 하기 표 3 및 표 4와 같이 진행하였다. 시험 인원은 선정 기준에 적합하고, 제외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총 21명이었으며, 평균나이는 41.286(±7.695)세이다.
점검단계 날짜
시험계획서 2018.01.18
시험 진행 2018.02.05
데이터 점검 2018.03.12
결과보고서 확인 2018.03.15
시험대상자 1) 시험대상자 선정 기준 - 만 19~59세의 건강한 자
- 시험의 목적, 내용 등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동의 서명한 자
- 시험기간 동안 추적관찰이 가능한 자
- 시험대상자 제외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자
2) 시험대상자 제외 기준
- 본인이 원하지 않거나 동의서를 작성하지 않은 경우
- 정신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
- 감염성 피부 질환이 있는 경우
- 시험참가 시점 3개월 이내에 면역억제제 치료를 받은 경우
- 시험참가 시점 1개월 이내에 전신 스테로이드 또는 광선 치료를 받은 경우
- 시험 부위에 병변이 있어 측정이 곤란한 경우
- 임신 또는 수유중인 여성과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 화장품, 의약품 또는 일상적인 광 노출에 대한 반응이 심하거나 알러지가 있는 경우
- 기타 위의 사항들 외에 책임연구자 또는 시험담당자의 판단으로 인체시험 수행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3) 시험 진행 중 중도 탈락 기준
- 시험대상자의 사정으로 더 이상 인체적용시험을 진행할 수 없는 경우
- 인체적용시험 중 피부 질환의 발생으로 시험을 진행할 수 없는 경우
- 본 제품의 사용 후 심각한 이상반응이 나타난 경우
- 특별한 이유 없이 시험대상자가 사용방법이나 일정을 어긴 경우
시험방법 시험제품의 피부 보습, 피부 윤기, 피부 탄력 개선 효과에 대한 효능을 확인하고자 본 인체적용시험 참여에 동의한 자 중 선정 기준에 적합하고 제외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총 21명의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정해진 시험부위에 제품을 4주간 사용한 후 제품 사용 전과 제품 사용 2주 후, 제품 사용 4주 후에 피부 측정을 하였다.
사용 부위 /
사용방법
-겨드랑이 부위
-내용물을 적당량 뿌린 후, 가볍게 두드려 흡수시킴
사용기간 4주(1회/1일)
피부 측벙 방법/절차 기기적 피부 측정을 위해 시험대상자는 준비된 세정제로 겨드랑이 부위 세정을 한 후 항온항습조건(온도 20~24℃, 습도 40~60%)의 공간에서 약 30분간 피부 안정을 취해 측정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시험제품 적용 부위를 측정하였고 매번 같은 조건에서 동일한 연구자에 의해 진행함.
피부 보습 측정 피부 보습 측정은 Corneometer를 사용하여 시험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2주 후 및 제품 사용 4주 후에 겨드랑이 부위의 피부 수분함유량을 측정하였고, 3회씩 측정한 평균 값을 피부 보습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측정된 피부 수분함유량의 단위는 A.U(Arbitrary Unit)이며, 측정 값과 피부 수분함유량 정도는 비례한다.
피부 윤기 측정 피부 윤기 측정은 Glossmeter를 사용하여 시험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2주 후 및 제품 사용 4주 후에 겨드랑이 부위의 피부 윤기를 측정하였고, 3회씩 측정한 평균 값을 피부 윤기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측정된 피부 윤기의 단위는 SGU(Skin Gloss Unit)이며, 측정 값과 피부 윤기 정도는 비례한다.
피부 탄력 측정 피부 탄력 측정은 Ballistometer를 사용하여 시험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2주 후 및 제품 사용 4주 후에 겨드랑이 부위의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고, 3회씩 측정한 평균 값을 피부 탄력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측정된 피부 탄력 변수는 Alpha 값이며, 측정 값과 피부 탄력 정도는 반비례하므로 측정값이 작을수록 피부 탄력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사용 순응도평가 시험대상자는 정해진 사용법 및 사용 횟수에 따라 시험제품을 사용할 시 제품 사용 여부를 시험제품과 함께 배포된 순응일지에 작성하도록 안내되었다. 시험제품을 총 사용해야 할 100%의 순응도 중 80% 미만으로 사용한 시험대상자는 측정 데이터 분석 값에서 제외하도록 하였다.
설문평가 시험대상자는 시험제품 사용 후 제품의 피부 개선 유효성 및 기호도에 대하여 5점 척도(5: 매우 만족, 4: 만족, 3: 보통, 2: 불만족, 1: 매우 불만족)로 직접 설문평가를 작성하였고, 3점 이상으로 답변한 시험대상자 수를 백분율(긍정 답변율)로 나타내었다.
통계적 결과분석 방법 시험제품 사용 전/후 피부 측정 변화 값의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통계 분석 프로그램인 SPSS 23.0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유의확률은 95% 신뢰구간에서 p<0.05 일 때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1) 시험제품 사용 전, 후(단일 측정) 비교
- 정규성 검정 만족: Paired samples T-test (모수적 방법)
- 정규성 검정 불만족: Wilcoxon signed ranks test (비모수적 방법)
상기 표 3 및 표 4와 같이 진행된 실험 결과를 하기 표 5 ~ 표 6에 나타내었으며, 피부 수분함유량 측정 그래프를 도 1에, 피부 윤기 변화 측정 그래프를 도 2에, 피부 탄력 변화 그래프를 도 3에 각각 나타내었다.
제품 평균순응도 96.796%
피부 수분함유량 변화
시간 평균±표준편차
(A.U)
개선율(a) 유의확률(b)(p값)
사용 전 48.446 ±9.351 - -
사용 2주 후 51.506 ±9.803 6.598 0
사용 4주 후 52.643 ±9.575 9.130 0
피부 윤기 변화
시간 평균±표준편차
(Skin Gloss Unit)
개선율(a) 유의확률(b)(p값)
사용 전 63.952 ±5.239 - -
사용 2주 후 65.746 ±4.803 2.988 0.011
사용 4주 후 65.778 ±4.653 3.053 0.007
피부 탄력 변화
시간 평균±표준편차
(Alpha)
개선율(a) 유의확률(b)(p값)
사용 전 0.0250 ±0.0044 - -
사용 2주 후 0.0243 ±0.0040 -2.4476 0.012
사용 4주 후 0.0241 ±0.0037 -3.4040 0.002
(a): 개선율(%)=[(사용 후 측정 값- 사용 전 측정 값)/(사용 전 측정 값)]ⅹ100
(b): 유의확률 = p<0.05 by Paired samples T-test
제품 사용 2주 후 시험대상자 설명평가
항목 평균±표준편차 긍정 답변율(%)
피부 보습 개선 3.810 ±0.602 100
피부 윤기 개선 3.667 ±0.577 95.238
피부 탄력 개선 3.667 ±0.577 100
제품 사용감 3.810 ±0.814 90.476
제품 향의 정도 3.714 ±0.845 90.476
제품 추천 의사 3.857 ±0.727 100
제품 구매 의사 3.857 ±0.727 100
전반적 만족도 3.857 ±0.655 100
* 5 : 매우 만족, 4 : 만족, 3 : 보통, 2 : 불만족, 1 : 매우 불만족
* 긍정 답변율(%) = 3점 이상(보통, 만족, 매우 만족)으로 답변한 시험대상자 수 백분율
제품 사용 4주 후 시험대상자 설명평가
항목 평균±표준편차 긍정 답변율(%)
피부 보습 개선 3.905 ±0.625 100
피부 윤기 개선 3.762 ±0.625 100
피부 탄력 개선 3.905 ±0.625 100
제품 사용감 4.048 ±0.740 95.238
제품 향의 정도 3.905 ±0.831 95.238
제품 추천 의사 3.857 ±0.727 100
제품 구매 의사 3.952 ±0.740 100
전반적 만족도 4.000 ±0.632 100
* 5 : 매우 만족, 4 : 만족, 3 : 보통, 2 : 불만족, 1 : 매우 불만족
* 긍정 답변율(%) = 3점 이상(보통, 만족, 매우 만족)으로 답변한 시험대상자 수 백분율
총 21명의 시험대상자가 실시예 1의 여성청결제를 겨드랑이 부위에 4주간 사용한 결과, 1) 시험제품 사용 후 피부 보습 측정 결과, 피부 수분함유량 측정 값이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제품 사용 2주 및 제품 사용 4주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또한, 2) 시험제품 사용 후 피부 윤기 측정 결과, 피부 윤기 측정 값이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제품 사용 2주 및 제품 사용 4주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또한, 3) 시험제품 사용 후 피부 탄력 측정 결과, 피부 alpha 측정 값이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제품 사용 2주 및 제품 사용 4주 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가 피부 보습, 피부 윤기 및 피부 탄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피부 첩포에 의한 1차 자극 인체적용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여성청결제의 피부 첩포에 의한 1차 자극 인체 적용 시험을 ㈜KC피부임상연구센터에 의뢰하였으며, ㈜KC피부임상연구센터의 표준 운용 절차(SOP)에 따라 실험하였다(시험기간 2018.2.26 ~ 2018.2.28). 실험은 하기 표 8 및 표 9와 같이 진행하였다. 시험 인원 32명이었고, 선정 기준에 적합하고, 제외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총 여성 30명이었으며, 중도 탈락자는 2명이었고, 평균나이는 45688(±6.898)세이다.
점검단계 날짜
시험계획서 2018.02.19
시험 진행 2018.02.26
데이터 점검 2018.03.01
결과보고서 확인 2018.03.07
시험대상자 1) 시험대상자 선정 기준 - 만 19~59세의 건강한 자
- 시험의 목적, 내용 등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동의 서명한 자
- 시험기간 동안 추적관찰이 가능한 자
- 시험대상자 제외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자
2) 시험대상자 제외 기준
- 본인이 원하지 않거나 동의서를 작성하지 않은 경우
- 정신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
- 감염성 피부 질환이 있는 경우
- 시험참가 시점 3개월 이내에 면역억제제 치료를 받은 경우
- 시험참가 시점 1개월 이내에 전신 스테로이드 또는 광선 치료를 받은 경우
- 시험 부위에 병변이 있어 측정이 곤란한 경우
- 임신 또는 수유중인 여성과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 화장품, 의약품 또는 일상적인 광 노출에 대한 반응이 심하거나 알러지가 있는 경우
- 기타 위의 사항들 외에 책임연구자 또는 시험담당자의 판단으로 인체시험 수행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3) 시험 진행 중 중도 탈락 기준
- 시험대상자의 사정으로 더 이상 인체적용시험을 진행할 수 없는 경우
- 인체적용시험 중 피부 질환의 발생으로 시험을 진행할 수 없는 경우
- 본 제품의 사용 후 심각한 이상반응이 나타난 경우
- 특별한 이유 없이 시험대상자가 사용방법이나 일정을 어긴 경우
시험방법 본 인체적용시험 참여에 동의한 자 중 선정기준에 적합하고 제외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총 32명의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IQ UltimateTM를 이용하여 피부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UltimateTM에 도포형(액상, 크림 등) 시험물질은 각 25㎕씩 적하하며, 부착형(팩, 패치 등) 시험물질은 가로 x 세로 1cm로 잘라 피부에 부착시켜 주도록 한다. 첩포는 24시간 동안 부착하였고, 패치 제거 1시간, 패치 제거 24시간 후 2명의 전문가에 의하여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 정도를 관찰하였다.
사용 부위 /
사용방법
- 등
- 시험제품은 25㎕씩 IQ UltimateTM에 도포형(액상, 크림 등) 시험물질은 각 25㎕씩 적하하며, 부착형(팩, 패치 등) 시험물질은 가로 x 세로 1cm로 잘라 피부에 부착시켜 주도록 함.
판정은 판정 기준에 따라 전문가에 의해 패치 제거 1시간, 24시간 후에 이루어졌음.
피부 측정 방법/절차 피부 상태 확인을 위해 시험대상자는 준비된 가운으로 상의를 갈아입은 후 항온항습 조건 (온도20~24℃, 습도40~60%)의 공간에서 약 30분간 피부 안정을 취해 측정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시험제품 적용 부위를 촬영하였고, 매번 같은 조건에서 전문가 2명에 의해 피부 반응 확인을 진행함.
시험대상자 방문 및 진행일정 1) 방문 1: 시험대상자 동의 및 시험대상자 선정 및 제외 기준 확인 -패치 부착 전 피부 상태 확인 및 사진 촬영
-패치 부착
2) 방문 2: 패치 제거 (패치 부착 24시간 후)
-패치 제거 1시간 후 사진 촬영
-피부 자극 확인
3) 방문 3: 패치 제거 24시간 후 (패치 부착 48시간 후) 사진 촬영 / 피부 자극 확인
평가 기준 하기 표 10 참조
피부 효능 평가 항목 1) 패치 부착 시험대상자의 등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킨 다음, 첩포 시 IQ UltimateTM에 도포형(액상, 크림 등) 시험물질은 각 25㎕씩 적하하며, 부착형(팩, 패치 등) 시험물질은 가로 x 세로 1cm로 잘라 피부에 부착시켜 주도록 한다.
2) 피부 자극 확인
2명의 전문가에 의하여 패치 제거 1시간, 24시간 후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 정도를 관찰하였다.
피부 자극 지수 계산 방법
Figure 112018062177916-pat00001
피부 자극 지수 계산 방법 및 평가기준
Figure 112018062177916-pat00002

*피부자극지수 = 0.00 ~ 0.25 : 비자극성
*피부자극지수 = 0.26 ~ 1.00 : 약한 자극성
*피부자극지수 = 1.01 ~ 2.50 : 중등도 자극성
*피부자극지수 = 2.51 ~ 4.00 : 강한 자극성
기호 Grade 판정기준
- 0 Negative
+ 1 Slight erythem, either spotty or diffuse
++ 2 Moderate uniform erythema
+++ 3 Intense erythema with edema
++++ 4 Intense erythema with edema & veicles
상기 표 8 ~ 표 10와 같이 진행된 실험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평가 Grade 및 자극판정수(명) 피부
반응도
피부
자극지수
1시간 후 24시간 후
1 2 3 4 1 2 3 4
- - - - - - - - 0.00 0.00
피부 첩포에 의한 1차 자극 인체적용 시험 결과,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는 패치 제거 1시간 후 및 24시간 후 모두 자극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즉, 피부 자극 지수는 0.00으로 비자극 제품으로 판정되었다.
실험예 3 : 피부 첩포에 의한 1차 자극 인체적용 추가 시험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 4및 비교예 7에 대한 피부 첩포에 의한 1차 자극 인체적용 추가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 자극 판정 결과
피부
자극지수
실시예 2 0
실시예 3 0
실시예 4 0
비교예 7 0.62
실시예 2 ~ 4의 경우, 실시예 1과 같이 피부 자극이 없었으나, pH가 5.0 미만이었던 비교예 7의 경우, 민감 피부를 가진 시험 대상자에게 자극적인 문제가 있었다.
실험예 4: 피부청결제 관능 특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6에서 제조한 여성청결제의 세정력, 사용감, 향, 전체적인 기호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이때, 시험 인원 20명이었으며, 1~5점을 주어 평가하였으며, 기호도 평균은 소수점 2자리에서 반올림하였다.
구분 세정력 사용감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4.5 4.7 4.3 4.5
실시예 2 4.8 4.5 4.5 4.6
실시예 3 4.7 4.4 4.2 4.4
실시예 4 4.4 4.5 4.3 4.4
비교예 1 4.0 3.5 3.5 3.7
비교예 2 4.2 3.2 4.5 4.0
비교예 3 3.8 3.6 4.0 3.8
비교예 4 4.1 3.8 4.2 4.0
비교예 5 4.3 3.4 4.3 4.0
비교예 6 4.4 3.5 4.3 4.1
상기 표 13의 관능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 4의 경우 전반적인 기호도가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비교예 3는 4.0 미만의 기호도를 보였다. 그리고, 비교예 2, 비교예 4 ~ 6의 경우, 전체적인 기호도는 약 4.0~4.1을 보였으나, 사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는데, 시험 인원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여성청결제가 적정 점도를 유지하지 못한 관계로 사용이 불편하거나 끈적이는 느낌이 나서 사용감에 좋지 않는 점수를 주었다는 답변을 받았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 조성물로 제조한 여성청결제가 피부에 비자극이면서, 피부 보습, 피부 윤기 및 피부 탄력 증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한방 혼합 추출물 35 ~ 50중량%, 점증제 2 ~ 5 중량%, 유기용매 0.2 ~ 1.5 중량%, 피부침투 증진제 0.1 ~ 1 중량%, pH 조절제 0.001 ~ 0.1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되,
    상기 한방 혼합 추출물은 작약뿌리, 각시둥글레뿌리, 백합, 지황뿌리, 더덕뿌리, 귤껍질, 연꽃씨, 감국꽃, 모란뿌리, 의이인 및 감초뿌리로 구성된 혼합물의 추출물이며, 상기 혼합물 성분 각각은 건조물인 것 특징으로 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작약뿌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각시둥글레뿌리 60 ~ 110 중량부, 백합 75 ~ 120 중량부, 지황뿌리 85 ~ 130 중량부, 더덕뿌리 90 ~ 135중량부, 귤껍질 90 ~ 120 중량부, 연꽃씨 50 ~ 95 중량부, 감국꽃 65 ~ 100 중량부, 모란뿌리 45 ~ 90 중량부, 의이인 50 ~ 95 중량부 및 감초뿌리 80 ~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소듐폴리스타이렌설포네이트, 디하이드로잔탄검, 셀룰로오스검, 잔탐검크로스폴리머,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 (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 타우레이트코폴리머(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Sodium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13(Polyacrylate-13),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및 소듐카보머(Sodium Carbomer)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 4의 모노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1,2-헥산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침투 증진제는 카프릴릴글라이콜, 1,2-펜틸글라이콜, 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 및 라우릴 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며,
    에센스(essence)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청결제.
  7. 제6항에 있어서, pH 5.0 ~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청결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청결제는 질(vagina) 내부에 1일 1회 내지 2회 투여하여 사용하며,
    1회 투여량은 0.25 ~ 0.50 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청결제.
  9. 한방 혼합 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한방 혼합 추출물, 유기 용매 및 물을 혼합 및 교반하여 한방 혼합 추출물이 용해된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에 점증제, 피부침투 증진제 및 pH 조절제를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며,
    상기 한방 혼합 추출물은 각시둥글레뿌리, 백합, 지황뿌리, 더덕뿌리, 귤껍질, 연꽃씨, 감국꽃, 모란뿌리, 의이인 및 감초뿌리 각각의 건조물을 준비한 후, 이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1단계; 상기 혼합물을 추출 반응기에 투입한 후, 상기 추출 반응기에 용매를 투입하는 2단계; 1차 추출 공정을 수행하는 3단계; 상기 1차 추출 공정을 수행한 추출 반응기에 1,2-헥산디올을 투입하여 2차 추출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4단계; 상기 추출물을 감압 농축시켜서 농축된 추출물을 제조하는 5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여과한 여과물을 저온 숙성시키는 6단계; 및 저온 숙성시킨 추출물을 진공 포장하는 7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청결제의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180072853A 2018-06-25 2018-06-25 여성청결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8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853A KR102098824B1 (ko) 2018-06-25 2018-06-25 여성청결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853A KR102098824B1 (ko) 2018-06-25 2018-06-25 여성청결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706A KR20200000706A (ko) 2020-01-03
KR102098824B1 true KR102098824B1 (ko) 2020-04-22

Family

ID=69155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853A KR102098824B1 (ko) 2018-06-25 2018-06-25 여성청결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8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286B1 (ko) * 2020-07-31 2021-02-05 정소영 질염의 치료 및 자궁경부이형성증의 예방용 한약 조성물
KR102348874B1 (ko) * 2021-03-15 2022-01-11 주식회사 자생바이오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활성을 갖는 황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425B1 (ko) 2020-01-13 2022-07-15 (주) 코니맥스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
KR20210119188A (ko) 2020-03-24 2021-10-05 주식회사 밴드골드 여성 외음부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530B1 (ko) * 2015-10-26 2016-08-26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4043A (ko) 2015-12-21 2017-06-29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530B1 (ko) * 2015-10-26 2016-08-26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286B1 (ko) * 2020-07-31 2021-02-05 정소영 질염의 치료 및 자궁경부이형성증의 예방용 한약 조성물
KR102348874B1 (ko) * 2021-03-15 2022-01-11 주식회사 자생바이오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활성을 갖는 황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706A (ko)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824B1 (ko) 여성청결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169631A (zh) 一种含有中药组合物的柔顺亮泽洗发水及制备方法
CN110420155B (zh) 一种用于户外越野后的晒后修复抗过敏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1529477A (zh) 一种用于护理头发的组合物及其制剂和应用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CN104856909A (zh) 一种可减少黑色素沉积的睡眠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073678B1 (ko) 한약재를 이용한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CN111346155A (zh) 一种抑菌止痒、减少黑色素的女性私密护理膜及其制备方法
KR101046438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71761B1 (ko) 피부노화 방지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05213279A (zh) 一种消除萎缩纹的身体乳及其制备方法
KR101252560B1 (ko)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54748B1 (ko) 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N111870541A (zh) 一种本草美白复方组合物、面膜及其制备方法
US20100166683A1 (en) Composition of external preparation for uv-protection comprising rehmannia glutinosa extracts
KR20110128384A (ko) 미담 경옥고를 이용한 피부 주름, 보습, 미백을 위한 조성물질 및 제조법
CN105640836B (zh) 一种含有荷花活性成分的护肤水及其制备方法
KR102642998B1 (ko) 아르기닌 함유 가슴확대 화장료,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974935A (zh) 一种含富勒烯c60成分的抑菌护理凝胶及其制备方法
KR102208482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0708B1 (ko) 탈모 예방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090077619A (ko)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