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809B1 -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809B1
KR102098809B1 KR1020190073633A KR20190073633A KR102098809B1 KR 102098809 B1 KR102098809 B1 KR 102098809B1 KR 1020190073633 A KR1020190073633 A KR 1020190073633A KR 20190073633 A KR20190073633 A KR 20190073633A KR 102098809 B1 KR102098809 B1 KR 102098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
vehicle
group
middleware
grou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원
강범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엘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엘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엘넷
Priority to KR1020190073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9/6267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2Access control comprising means for the enrolment of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리더기, 미들웨어 및 출입인증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차량출입증과 그 차량에 탑승한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여 보안구역 내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이력조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꼬리물기로 진입하는 차량이 있어도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의 정확한 그룹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출입증은 인식되지 않고, 인원출입증만 인식되는 경우의 출입이력도 저장함으로써 출입이력의 보강이 가능하며, 차량 내의 모든 동승자의 출입이력을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How Middleware of The Entry and Exit Certification System Group Vehicle and Personnel Passes}
본 발명은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및 인원의 출입 이력을 모두 저장함으로써 출입 이력의 완성도 제고를 위한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만은 국가보안시설로 출입하는 모든 인원, 차량, 화물에 대해 확인되어야하며, 이를 위해 항만출입체계가 마련되었다. 항만출입체계란 항만의 출입시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인원에 대한 신분확인과 차량의 인증, 화물인수도증 등을 통해 출입하는 인원과 차량 및 화물이 항만을 출입할 때 보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업무를 뜻한다.
항만출입체계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은 수작업을 비롯하여 바코드, RFID, 생체인식기술 등이 있다. 인식속도, 인식률, 복제가능성,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RFID가 보안과 처리속도 및 비용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기술로 '통합형 알에프 카드를 이용한 항만 보안 시스템(공개번호 : 10-2010-0090464)'에서는 항만과 같은 특정 장소에 출입하는 사람이나 차량을 통제하기 위해 출입정보를 관리하는 기술로 도보로 출입하는 사람이나 차량에 탑승한 사람으로 하여금 통합형 RF 카드를 소지하도록 하고 각각의 리더기로 카드 정보를 읽어내어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통합형 RF 카드를 이용한 항만 보안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지만, 차량의 출입정보를 관리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현재 항만을 출입하는 차량의 출입정보와 그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 및 동승자의 출입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의 경우, 동승자의 출입이력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차량출입증을 기준으로 출입이력이 저장되기 때문에 차량출입증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의 출입이력 및 그 차량에 탑승한 모든 탑승자의 출입이력이 저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차량과 그 차량에 탑승한 모든 탑승자의 출입이력을 그룹핑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새로운 기술개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0464호, 2010.08.16.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및 인원의 출입 이력을 모두 저장함으로써 출입 이력의 완성도 제고를 위한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RFID 리더기, 미들웨어 및 출입인증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취득한 출입증이 상기 미들웨어에서 인식되는 제1단계(S100); 상기 미들웨어에서 한 그룹의 출입증을 그룹핑시키기 위한 임시저장 장소인 그룹버퍼를 확인하는 제2단계(S200); 상기 제2단계의 그룹버퍼에 그룹 데이터가 비어있으면 새로운 그룹으로 그룹버퍼를 형성시키는 제3단계(S300); 상기 제1단계의 출입증의 종류가 인원출입증인지 차량출입증인지 판별하는 제4단계(S400); 상기 제1단계의 출입증이 인원출입증이면 가상차량출입증을 생성하는 제4-1단계(S410); 상기 제2단계의 차량출입증 또는 상기 제2단계의 인원출입증 및 제4-1의 가상차량출입증을 상기 새로운 그룹에 저장하는 제4-2단계(S420); 상기 제2단계의 그룹버퍼에 그룹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제1단계의 출입증의 종류가 인원출입증인지 차량출입증인지 판별하는 제3-1단계(S310); 상기 제1단계의 출입증이 차량출입증인 경우, 상기 제2단계의 그룹버퍼에 그룹핑된 차량출입증의 유형을 확인하는 제3-2단계(S320); 상기 제2단계의 그룹버퍼에 그룹핑된 차량출입증이 가상차량출입증이면 제1단계의 차량출입증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제3-3단계(S330); 상기 제3-3단계에서 변환된 차량출입증 또는 상기 제3-1단계에서 확인한 인원출입증을 그룹버퍼에 그룹핑시키는 제3-4단계(S340); 상기 제3-2단계에서 기존에 그룹핑된 차량출입증이 실제차량출입증이면 그룹핑을 종료시키고 그룹버퍼를 비우는 제5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출입 인증 시스템은, 인원수 확인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은, 상기 차량출입증 1개에 대하여 상기 인원수 확인 모듈을 통하여 확인된 인원수와, 상기 미들웨어에서 그룹핑 된 상기 인원출입증의 수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출입 인증 시스템은, LPR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LPR 장치를 통해 인식되는 차량사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출입증의 이력을 보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차량출입증과 그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 전원의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여 보안구역 내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이력조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꼬리물기로 진입하는 차량의 경우나 무정차 게이트통과의 경우에도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의 정확한 그룹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출입증은 인식되지 않고, 인원출입증만 인식되는 경우의 출입이력도 저장함으로써 출입이력의 보강 및 완성도 제고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출입 인증 시스템은 크게 RFID 리더기(10), 미들웨어(20), 출입인증단(30)으로 구성되고, 추가적으로 인원수 확인모듈(11) 및 LPR 장치(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출입이력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들웨어(20)는 RFID 리더기(10)로부터 인식된 차량출입증 및 인원출입증을 전달받아 차량출입증과 그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여 출입인증단(3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내용인즉 보안구역인 항만을 출입하기 위해서는 모든 차량은 차량출입증을, 모든 인원은 인원출입증을 구비하여 소지하여야 하고, 항만의 출입게이트를 통과해 출입할 때 소지한 차량출입증 및 인원출입증의 RFID 태그를 이용해 RFID 리더기(10)가 인식하는데, 이 때 차량출입증은 대부분 차량의 앞유리에 부착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차량출입증을 차량의 앞유리에 부착하는 경우 RFID 태그의 인식거리는 3m 내외인 반면, 인원이 소지하는 인원출입증의 RFID 태그 인식거리는 4m ~ 6m 이고, 출입게이트를 통과하는 순서대로 인식되는 것은 아니기때문에 어느 차량에 어느 인원이 탑승했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RFID 리더기(10)가 인식한 차량출입증 및 인원출입증을 전달받은 미들웨어(20)는 차량 한 대의 차량출입증과 그 차량에 탑승한 모든 탑승자의 인원출입증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출입인증단(30)으로 전달하여 출입인증을 수행하거나 출입이력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관리함으로써 출입이력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1단계(S100)로는, RFID 리더기(10)에서 출입증 정보를 취득하면 먼저 미들웨어(20)에서 인식된다.
제2단계(S200)로는 출입증을 인식한 미들웨어(20)에서 그룹버퍼를 확인한다. 이는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여 인식된 출입증을 그룹핑할지, 기존에 그룹핑하던 그룹에 인식된 출입증을 추가로 그룹핑할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그룹버퍼는, 한 그룹의 그룹핑이 진행되는 동안 출입증을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저장장치로서, 한 그룹의 그룹핑이 완료되면 그룹버퍼의 데이터는 모두 삭제된다. 따라서 그룹버퍼에 데이터가 존재하면 아직 기존 그룹의 그룹핑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고, 그룹버퍼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고 비어있으면 기존 그룹의 그룹핑이 완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출입증이 인식되면 그룹버퍼를 확인하여 그룹버퍼가 비어있는 상태이면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고, 그룹버퍼에 데이터가 존재하는 상태라면 기존의 그룹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음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먼저, 출입증이 인식되었을 때, 그룹버퍼가 비어있는 상태로 새로운 그룹이 생성되는 경우를 먼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3단계(S300)로는, 그룹버퍼가 비어있으므로 새로운 그룹으로 그룹버퍼를 형성한다.
제4단계(S400)로는, 제1단계(S100)에서 인식된 출입증의 종류가 인원출입증인지 차량출입증인지 판별한다.
제4단계(S400)의 판별 결과 제1단계(S100)에서 인식된 출입증이 인원출입증이면 가상차량출입증을 생성하는 제4-1단계(S410)가 수행된다.
여기서 가상차량출입증을 생성하는 이유는 차량출입증을 기준으로 그룹핑되었던 종래의 기술에서 차량출입증이 없는 경우에는 인원출입증이 인식되어도 출입이력이 저장되지 않았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출입이력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이다.
또한, 제4단계(S400)에서 판별된 출입증을 제3단계(S300)에서 형성된 새로운 그룹에 저장하는 제4-2단계(S420)가 수행된다.
이때, 제4단계(S400)의 판별 결과 제1단계(S100)에서 인식된 출입증이 인원출입증이었다면 이 인원출입증과 제4-1단계(S410)에서 생성된 가상차량출입증을 제3단계(S300)에서 형성된 새로운 그룹에 함께 그룹핑하고, 제4단계(S400)의 판별 결과 제1단계(S100)에서 인식된 출입증이 차량출입증이었다면 이 차량출입증을 제3단계(S300)에서 형성된 새로운 그룹에 그룹핑한다.
다음으로, 출입증이 인식되어 제2단계(S200)에서 그룹버퍼를 확인했을 때, 그룹버퍼에 그룹 데이터가 존재하여 기존 그룹에 그룹핑을 진행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3-1단계(S310)로는, 제1단계(S100)에서 인식된 출입증의 종류가 차량출입증인지 인원출입증인지 판별한다.
이 출입증이 차량출입증으로 판별되면 그룹버퍼에 이미 그룹핑 되어있는 차량출입증의 유형을 확인하는 제3-2단계(S320)가 수행된다. 이는 그룹버퍼에 이미 그룹데이터가 있는 상태에서 차량출입증이 인식된 경우인 것으로, 그룹버퍼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인원출입증 또는 차량출입증이 그룹핑되어 그룹버퍼에 그룹 데이터가 있는 상태이기때문에 차량출입증 또는 가상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이 그룹핑 되어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제3-2단계(S320)에서 그룹버퍼에 이미 그룹핑 되어있는 차량출입증이 가상차량출입증으로 판별되는 경우, 제1단계(S100)에서 인식된 차량출입증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제3-3단계(S330)가 수행된다.
제3-2단계(S320)에서 그룹버퍼에 이미 그룹핑 되어있는 차량출입증이 실제차량출입증으로 판별되는 경우, 하나의 그룹에 하나의 차량출입증만 그룹핑 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여 그룹핑을 수행하기 위하여 그룹핑을 종료시키고 그룹버퍼를 비우는 제5단계(S500)가 수행된다.
또한, 일정 시간동안 RFID 리더기에 읽혀지는 출입증이 없거나, 새로운 차량 출입증이 인식되는 경우에도 그룹핑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여 그룹핑을 수행하기 위하여 그룹핑을 종료시키고 그룹버퍼를 비우는 제5단계(S500)가 수행된다.
여기서 그룹핑 종료를 위한 시간값 설정은 출입 인증 시스템이 설치되는 환경에 맞춰 수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LPR 장치에 의해 취득하는 차량사진을 차량출입증과 맵핑하여 함께 그룹핑 할 수도 있다.
여기서 LPR(License Plate Recognition)은 차량번호판을 자동으로 인식·판독하는 장치로, 차량 번호판을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 데이터를 추출해내는 방식으로 차량번호를 판독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출입증이 없거나 인식 오류로 인하여 차량출입증이 그룹핑되지 못한 경우는 LPR 장치를 통해 취득한 차량사진을 함께 그룹핑하여 차량의 출입이력을 보강할 수 있고, 다른차량의 차량출입증을 부착하고 진입하는 경우의 오류를 출입인증단(30)에서 감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A차량이 B차량의 차량출입증을 부착하고 출입게이트를 통과하는 경우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의 그룹핑에는 오류가 없지만, 출입인증단(30)에서 A차량의 차량사진과 그룹핑 된 차량출입증을 비교하여 차량정보가 다름을 확인하여 오류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차량출입증 또는 인원출입증을 사용하지 않고 출입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로 출입증을 발급받아 출입증 인증(인원:본인인증, 차량:차량등록증 첨부) 및 각 기관 심의담당자 심의 후 출입게이트를 통과할 수도 있다.
내용인즉 차량출입증 또는 인원출입증을 이용하여 출입게이트를 통과하던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출입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에서 출입증을 발급받아 출입게이트를 통과 시 정상적인 출입증과 같은 방법으로 출입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출입증 발급으로 인해 종래의 출입증 훼손 및 분실, 발급 및 반납 시 발생하는 발급 담당자 업무 부하, 출입증 도용, 발급 및 반납 시 민원이 직접 찾아오는 불편함 등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출입 인증 시스템은 인원수 확인 모듈(1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인원수 확인 모듈(11)은 적외선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항만 내 차량 진입 시 인원수 확인 모듈(11)을 통해 차량에 탑승한 전체 인원 수를 확인하고 RFID 리더기(10)를 통해 인식된 인원출입증의 수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으로, 인원수 확인 모듈(11)을 통해 확인한 차량 탑승 인원수와 RFID 리더기(10)를 통해 인식된 인원출입증의 수가 같으면 기존 그룹의 그룹핑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여 그룹버퍼의 데이터가 모두 삭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의 그룹핑 방법으로 인해 차량출입증과 그 차량에 탑승한 모든 인원의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은 차량출입증과 그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 전원의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여 보안구역 내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이력조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꼬리물기로 진입하는 차량의 경우나 무정차 게이트통과의 경우에도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의 정확한 그룹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출입증은 인식되지 않고, 인원출입증만 인식되는 경우의 출입이력도 저장함으로써 출입이력의 보강 및 완성도 제고가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RFID 리더기
11: 인원수 확인모듈
12: LPR 장치
20: 미들웨어
30: 출입인증단

Claims (7)

  1. RFID 리더기, 미들웨어 및 출입인증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취득한 출입증이 상기 미들웨어에서 인식되는 제1단계(S100);
    상기 미들웨어에서 한 그룹의 출입증을 그룹핑시키기 위한 임시저장 장소인 그룹버퍼를 확인하는 제2단계(S200);

    상기 제2단계의 그룹버퍼에 그룹 데이터가 비어있으면 새로운 그룹으로 그룹버퍼를 형성시키는 제3단계(S300);
    상기 제1단계의 출입증의 종류가 인원출입증인지 차량출입증인지 판별하는 제4단계(S400);
    상기 제1단계의 출입증이 인원출입증이면 가상차량출입증을 생성하는 제4-1단계(S410);
    상기 제2단계의 차량출입증 또는 상기 제2단계의 인원출입증 및 제4-1의 가상차량출입증을 상기 새로운 그룹에 저장하는 제4-2단계(S420);

    상기 제2단계의 그룹버퍼에 그룹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제1단계의 출입증의 종류가 인원출입증인지 차량출입증인지 판별하는 제3-1단계(S310);
    상기 제1단계의 출입증이 차량출입증인 경우, 상기 제2단계의 그룹버퍼에 그룹핑된 차량출입증의 유형을 확인하는 제3-2단계(S320);
    상기 제2단계의 그룹버퍼에 그룹핑된 차량출입증이 가상차량출입증이면 제1단계의 차량출입증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제3-3단계(S330);
    상기 제3-3단계에서 변환된 차량출입증 또는 상기 제3-1단계에서 확인한 인원출입증을 그룹버퍼에 그룹핑시키는 제3-4단계(S340);
    상기 제3-2단계에서 기존에 그룹핑된 차량출입증이 실제차량출입증이면 그룹핑을 종료시키고 그룹버퍼를 비우는 제5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인증 시스템은,
    인원수 확인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은,
    상기 차량출입증 1개에 대하여 상기 인원수 확인 모듈을 통하여 확인된 인원수와, 상기 미들웨어에서 그룹핑 된 상기 인원출입증의 수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인증 시스템은,
    LPR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LPR 장치를 통해 인식되는 차량사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출입증의 이력을 보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73633A 2019-06-20 2019-06-20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 KR102098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633A KR102098809B1 (ko) 2019-06-20 2019-06-20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633A KR102098809B1 (ko) 2019-06-20 2019-06-20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809B1 true KR102098809B1 (ko) 2020-04-08

Family

ID=7027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633A KR102098809B1 (ko) 2019-06-20 2019-06-20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8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139A (ko) * 2008-12-01 2010-06-10 (학)창성학원 Rfid를 구비한 기숙사 관리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기숙사 관리방법
KR20100090464A (ko) 2009-02-06 2010-08-16 주식회사 지팬스 통합형 알에프 카드를 이용한 항만 보안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139A (ko) * 2008-12-01 2010-06-10 (학)창성학원 Rfid를 구비한 기숙사 관리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기숙사 관리방법
KR20100090464A (ko) 2009-02-06 2010-08-16 주식회사 지팬스 통합형 알에프 카드를 이용한 항만 보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0293B2 (en) Gate apparatus, on-board unit, setup method of the on-board unit, toll collecting method and judging method of the entrance and exit
US100376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control
JP4813987B2 (ja) 車種判別装置を要しない料金自動収受システム
KR102511364B1 (ko) 주차 영역 접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58689B1 (ko) 차량방문 편의제공 시스템
KR20050102598A (ko) 출국 접수 시스템, 출국 심사 시스템, 출국 심사 방법,여권 발급 대상자 정보의 관리 방법, 출국 개찰 시스템의배치 구조, 입국 접수 시스템, 입국 개찰 시스템, 입국심사 시스템, 입국 심사 방법, 입국 개찰 시스템의 배치구조, 및 여권
US20210271897A1 (en) Vehicle number identification device, vehicle number iden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09448139A (zh) 一种闸机通行方法及系统
JP2006215729A (ja) 駐車場用管理装置
KR101777389B1 (ko) 인지 정보 기반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090020533A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8010143A (zh) 一种车辆进出场管理控制系统、方法及装置
KR102098809B1 (ko)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
JP7198679B2 (ja) 料金所監視システム、料金所監視方法、監視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219771B2 (ja) 違反者特定装置、違反者特定システム、違反者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09879B1 (ko) 종이 주차할인권 적용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주차권 기반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종이 주차할인권 적용 방법
JP2012068781A (ja) 車両の乗務員管理システム、乗務員の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H08315196A (ja) 車両特定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9132077A (ja) 鍵管理装置、鍵管理システム、鍵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57848B1 (ko)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에서 머신 러닝을 통한 차량 분리 감지기
CN113496325A (zh) 通关方法及检测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200086806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승하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98963B1 (ko) 견인차량 무인반환장치
KR102642348B1 (ko) 차량 탑승인원 인증 장치 및 방법
JPH08287308A (ja) 有料道路料金収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