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533A -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533A
KR20090020533A KR1020080082799A KR20080082799A KR20090020533A KR 20090020533 A KR20090020533 A KR 20090020533A KR 1020080082799 A KR1020080082799 A KR 1020080082799A KR 20080082799 A KR20080082799 A KR 20080082799A KR 20090020533 A KR20090020533 A KR 20090020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formation
vehicle
user termin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3333B1 (ko
Inventor
김영모
김현우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90020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장의 주차상태를 파악하여 주차장으로 인입하는 차량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유도하며, 주차된 차량의 상태를 이미지를 포함하는 주차상태정보를 통해 안내하며, 주차상태정보를 주차장 진입시에 발행받은 주차증에 기록된 주차증 번호 또는 고객 단말기 식별정보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게 하여 악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없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장의 이용이 종료되어 주차료의 결제가 이행되면 상기 주차증 또는 영수증에 주차구역을 프린트하여 자신의 차량을 손쉽게 찾을 수 있게 하며, 차량의 주차가 완료되면 이를 미리 등록된 고객 단말기로 통지하여 고객의 편이성을 극대화한다.
주차, 관리,

Description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PARKING}
본 발명은 주차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장의 주차상태를 파악하여 주차장으로 인입하는 차량을 주차가능 영역으로 유도하며, 주차된 차량의 상태를 이미지를 포함하는 주차상태정보를 통해 안내하며, 상기 주차상태정보를 주차장 진입시에 발행받은 주차증에 기록된 주차증 번호 또는 고객 단말기 식별정보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게 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주차장의 이용이 종료되어 주차료의 결제가 이행되면 상기 주차증 또는 영수증에 주차구역을 프린트하여 자신의 차량을 손쉽게 찾을 수 있게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백화점 또는 대형 빌딩에는 많은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지만, 상기 대형 주차장은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않아 주차 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구비하기 시작했다.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은 초음파를 이용하거나 루프 코일을 이용한 차량 감지기로 차량을 감지한 후 차량이 감지기를 통과할 때 차량 번호 인식기가 차량의 번호판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번호를 판독해내, 주차장으로 입차한 차량의 수 및 잔여 주차 공간 등을 산출하여 주차장 이용 고객에게 안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주차 관리 시스템은 단순히 대형 주차장에 입차한 차량의 수, 잔여 주차 공간 등을 안내할 뿐이므로, 주차장 이용 고객은 복층이며 넓은 주차장에서 어느 위치에 주차 가능한 영역이 있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없었다.
이에 종래에는 대형 주차장의 이용 고객을 주차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하는 유도하여 고객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주차장의 주차상태를 파악하여 주차장으로 인입하는 차량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유도하며, 주차된 차량의 상태를 이미지를 포함하는 주차상태정보를 통해 안내할 수 있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차상태정보를 주차장 진입시에 발행받은 주차증에 기록된 주차증 번호 또는 고객 단말기 식별정보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게 하여 악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없게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장의 이용이 종료되어 주차료의 결제가 이행되면 상기 주차증 또는 영수증에 주차구역을 프린트하여 자신의 차량을 손쉽게 찾을 수 있게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주차가 완료되면 이를 미리 등록된 고객 단말기로 통지하여 고객의 편이성을 극대화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차관리방법은, 입차되는 차량의 전면, 이동로를 따라 이동하는 차량의 전면, 주차 구역에 주차되는 차량의 전면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촬상장치가 주기 또는 소정 이벤트에 의해 촬상한 촬상 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결합하여 주차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주차관리서버가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주차장의 주차영역에 대한 주차여부를 표식하는 주차장상태정보로부터 유효 주차영역을 검출하여 주차유도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번호와 상기 주차유도정보와 현재일시인 입차일시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촬상정보를 제공한 촬상장치에 근접되게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주차유도영역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이동경로정보를 안내하는 주차유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주차유도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촬상정보를 제공한 촬상장치가 주차영역에 설치된 것인지를 체크하고, 상기 촬상정보를 제공한 촬상장치가 주차영역에 설치된 것이 아니면, 상기 촬상장치에 근접되게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주차유도영역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이동경로정보를 안내하는 주차유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주차유도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촬상정보를 제공한 촬상장치가 주차영역에 설치된 것이면, 상기 차량번호와 상기 촬상정보를 제공한 촬상장치가 설치된 주차영역과 상기 입차일시를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저장함과 아울러 저장된 차량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차장의 주차상태를 파악하여 주차장으로 인입하는 차량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유도하며, 주차된 차량의 상태를 이미지를 포함하는 주차상태정보를 통해 안내하여 다양한 고객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상태정보를 주차장 진입시에 발행받은 주차증에 기록된 주차증 번호 또는 고객 단말기 식별정보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게 하여 악의적인용도로 사용될 수 없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장의 이용이 종료되어 주차료의 결제가 이행되면 상기 주차증 또는 영수증에 주차구역을 프린트하여 자신의 차량을 손쉽게 찾을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차가 완료되면 이를 미리 등록된 고객 단말기로 통지하여 고객의 편이성을 극대화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관리서버(100)와 데이터베이스(102), 대형 주차장의 각부에 설치된 다수의 촬상장치(1041~104N), 다수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1061~106N), 다수의 키오스크(1081~108N), 다수의 입차 게이트에 각각 설치되어 주차권을 발행하는 다수의 입차 제어기(1121~112N), 주차장의 각부에 설치되어 주차료 정산 및 결제를 이행하는 다수의 결제 단말기(1141~114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는 이동통신 망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 단말기들(1101,1102)과 접속되기도 한다.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를 이행하기 위해 상기 각부를 원격 제어한다.
또한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 단말기들(1101,1102)로 주차정보를 통지하거나, 상기 고객 단말기(1101~1102)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주차상태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0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상태정보, 고객정보, 차량정보, 주차정보, 장치설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주차장 상태정보는 주차장에 구비된 각 주차영역에 대한 주차여부를 나타내며, 상기 고객정보는 주차장의 이용 고객 중 일부에 대해 고객별로 차량번호, 고객단말기정보 등을 저장한 것이며, 상기 차량정보는 주차장에 진입할 때에 차량에게 부여된 주차유도구역에 대한 정보, 주차권 번호, 진입시각정보, 차량번호를 저장한 것이고, 상기 주차정보는 상기 차량번호, 실제 주차영역에 대한 정보, 주차권 번호, 진입시각정보 등을 저장한 것이고, 상기 장치설치 위치정보는 다수의 촬상장치(1041~104N), 다수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1061~106N), 다수의 입차 제어기(1121~112N)에 대해 식별정보와 설치위치를 대응시켜 저장한 것이다.
상기 다수의 촬상장치(1041~104N)는 대형 주차장의 각부에 설치되어, 대향 각도에 대응되는 주차장의 영역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정보에 자신의 식별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다수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1061~106N)는 상기 주차관리서버(10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다수의 키오스크(1081~108N)는 고객이 입력하는 각종 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로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주차관리서버(10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다수의 입차 제어기(1121~112N)는 입차 게이트들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관리서버(100)의 제어에 따라 입차되는 차량에 대한 주차권 발행 명령에 따라 주차권을 발행한다.
상기 다수의 결제 단말기(1141~114N)는 주차권 번호 입력 또는 주차권의 바코드 인식 등의 결제시도에 따라 해당 주차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로부터 제공받아 결제를 이행하고, 상기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주차증 또는 영수증에 상기 주차정보에 포함된 주차영역에 대한 정보를 프린트하여 고객에게 제공한다.
상기한 주차 안내 시스템 중 다수의 촬상장치(1041~104N) 및 다수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1061~106N)의 설치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도 2는 제1층 내지 제3층의 주차영역이 구비된 대형 주차장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다수의 촬상장치(1041~104N) 중 일부(1041,10431)는 상기 대형 주차장의 입차용 차단기(200) 및 출차용 차단기(202)의 전면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입차 또는 출차되는 차량의 전면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또한 다수의 촬상장치(1041~104N) 중 일부(1049, 10410, 10419, 10420, 10429, 10430)는 각 층간 이동로에 이동차량의 전면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로로 이동하는 차량의 전면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결 합하여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또한 다수의 촬상장치(1041~104N) 중 일부(1043~1048, 10411~10418, 10421~10428)는 주차영역 각각에 대해서 주차차량의 전면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주차영역 각각에 대해 주차차량의 전면을 촬상하고, 상기 촬상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1061~106N) 중 일부(1061~1063)는 상기 대형 주차장의 차량 이동로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동로를 통해 이동하는 차량을 유효한 주차영역인 주차유도영역으로 유도하는 주차구역 유도정보를 표시하여, 차량이 해당 주차유도영역으로 이동되게 유도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 유도 과정>
상기 다수의 촬상장치(1041~104N)는 소정 주기 또는 움직임이 검출되면, 대향 위치를 촬상하고, 상기 촬상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주차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300~304단계).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는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고(306단계), 상기 인식된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가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조회하고, 상기 차량정보에 주차유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308,310단계). 상기 차량정보에 주차유도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주차장으로 입차한 차량으로 판단하여, 데이터베이스(102)에서 주차장의 주차영역별 주차여부를 표식한 주차장 상태정보를 조회하여, 유효한 주차영역을 검출한 다(312단계).
이후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는 유효한 주차영역에 대해 해당 차량에 대한 주차유도영역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유효한 주차영역이 다수인 경우에는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는 상기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유효한 주차영역들 중 주차하기에 좋은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는 상기 주차유도영역이 결정되면, 일련번호 등인 주차권 번호를 할당하고, 상기 주차유도영역정보, 차량번호, 주차권 번호, 현재일시인 주차일시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하고(316단계), 상기 촬상장치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촬상장치의 설치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설치위치에 인접되게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출한다. 이러한 위치검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된 장치설치 위치정보를 토대로 획득된다.
이후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는 상기 검출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해당 주차유도영역으로의 진행을 안내하는 이동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유도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314단계). 상기 주차유도정보를 수신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주차유도정보를 대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한다(318단계). 여기서, 상기 주차유도정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식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이 상기 결정된 주차유도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로서, 차량번호, 이동방향, 주차유도구역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경로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경로정보는 오른쪽으로 회전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는 상기 주차권 번호, 차량 번호판 촬상정보, 입차일시정보, 주차유도구역, 주차권 번호에 대응되는 바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주차권 발행명령을 생성하여 해당 촬상장치의 설치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된 입차 제어기(1121)로 전송한다(320단계). 상기 입차 제어기는 상기 주차권 발행명령에 따라 상기 주차권 번호, 차량 번호판 촬상정보, 입차일시정보, 주차유도구역, 주차권 번호에 대응되는 바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주차권을 발행하며(322단계), 상기 발행된 주차권은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다르게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는 해당 촬상장치가 주차영역에 설치된 것인지를 체크한다(324단계). 상기 해당 촬상장치가 주차영역에 설치된 것이 아니면,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는 해당 차량에 대한 주차유도영역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2)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촬상장치의 설치위치에 근접되게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해당 주차유도영역으로의 진행을 안내하는 이동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유도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326단계). 상기 주차유도정보를 수신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주차유도정보를 대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한다(318단계).
또한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촬상장치가 주차영역에 설치된 것이면,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는 해당 차량에 대한 주차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함과 아울러, 해당 차량에 대한 차량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2)에서 삭제하고, 상기 차량의 주차에 따라 주차장 상태정보를 갱신한다(330단계).
또한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는 주차완료된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고객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고객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는 상기 주차정보를 SMS 서비스를 통해 고객 단말기로 통지한다(334단계). 상기 주차정보를 수신한 고객 단말기는 상기 주차정보를 출력하여, 고객이 자신이 주차한 주차영역에 대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주차상태 안내>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주차상태를 안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키오스크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주차권 번호를 포함하는 주차상태정보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키오스크 또는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주차권 번호 또는 사용자 단말기 번호를 포함하는 주차상태정보를 주차관리서버(100)로 요청한다(400,402단계).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는 상기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주차권 번호 또는 사용자 단말기 번호에 대응되는 주차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2)에서 독출하여 주차정보내의 주차영역정보를 추출한다(404단계). 여기서, 상기 주차정보에는 사용자 단말기 번호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번호가 제공될 때에는 고객정보를 토대로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주차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거친다. 특히 상기 사용자 단말기 번호는 SMS 또는 ARS 서비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차영역정보 추출되면, 상기 주차관리서버(100)는 해당 주차영역에 설 치된 촬상장치로 촬상명령을 전송한다(406단계).
상기 촬상명령을 수신한 촬상장치는 촬상을 이행하고, 그 촬상정보를 주차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408단계). 상기 찰상정보를 수신한 주차관리서버(102)는 차량번호, 주차영역정보, 촬상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상태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키오스크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410단계). 상기 주차상태정보를 수신한 키오스크 또는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주차상태정보를 출력하여, 고객의 차량에 대한 주차상태를 안내한다(412단계). 특히 사용자가 ARS를 통해 접속한 경우에는 상기 주차상태정보 중 차량번호, 주차영역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다.
상기 주차상태정보의 안내예를 도시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주차상태정보는 차량번호 및 주차구역정보, 해당 차량의 촬상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주차상태정보는 사용자의 편리한 주차위치 파악을 위해, 주자창내 차량 위치를 지도형태로 안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차권 번호 또는 사용자 단말기 번호를 통해서만 주차상태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악의적인 이용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한다.
<결제처리>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료 결제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결제 단말기에 주차권의 바코드를 독취시키거나 주차권 번호를 인식시켜 주차료의 결제를 요청하면, 상기 결제 단말기는 주차권 번호에 대응되는 주차정보를 주차관리서버(100)로 요청한다(416,420단계).
상기 주차권 번호를 수신한 주차관리서버(100)는 상기 주차권 번호에 대응되는 주차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2)에서 독출하여 해당 결제 단말기로 전송한다(422단계). 상기 결제 단말기는 상기 주차정보와 현재시각정보를 토대로 주차료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주차료에 대한 결제를 이행한다(424단계).
이후 상기 결제 단말기는 상기 주차영역정보를 주차권에 인쇄하거나 상기 주차영역정보를 포함하는 영수증을 발행한다(426단계).
도 7은 상기 주차영역정보가 기록된 주차권을 예시한 것으로, 주차권(700)은 주차권 번호(702), 번호판 촬상정보(704), 입차일시정보(706), 주차유도구역정보(708), 실제 주차영역정보(710), 바코드(712)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주차권(700)에 실제 주차영역정보를 인쇄함으로써 고객이 쉽게 자신의 차량의 주차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 및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리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상태정보 출력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권을 예시한 도면.

Claims (12)

  1. 주차관리방법에 있어서,
    입차되는 차량의 전면, 이동로를 따라 이동하는 차량의 전면, 주차 구역에 주차되는 차량의 전면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촬상장치가 주기 또는 소정 이벤트에 의해 촬상한 촬상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결합하여 주차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주차관리서버가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주차장의 주차영역에 대한 주차여부를 표식하는 주차장상태정보로부터 유효 주차영역을 검출하여 주차유도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번호와 상기 주차유도정보와 현재일시인 입차일시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촬상정보를 제공한 촬상장치에 근접되게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주차유도영역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이동경로정보를 안내하는 주차유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주차유도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촬상정보를 제공한 촬상장치가 주차영역에 설치된 것인지를 체크하고, 상기 촬상정보를 제공한 촬상장치가 주차영역에 설치된 것이 아니면, 상기 촬상장치에 근접되게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주차유도영역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이동경로정보를 안내하는 주차유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주차유 도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촬상정보를 제공한 촬상장치가 주차영역에 설치된 것이면, 상기 차량번호와 상기 촬상정보를 제공한 촬상장치가 설치된 주차영역과 상기 입차일시를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저장함과 아울러 저장된 차량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서버가 상기 차량정보의 생성시에 일련번호인 주차권 번호를 할당하고, 상기 주차권 번호를 포함시킨 주차권 발행명령을 입차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입차 제어기가 상기 주차권 번호를 포함시킨 주차권을 발행하는 단계;
    상기 주차관리서버가 상기 주차정보의 생성시에 상기 주차권 번호를 부가하는 단계;
    상기 주차관리서버가 키오스크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주차권 번호를 포함하는 주차상황정보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주차권 번호에 대응되는 주차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주차정보에 포함된 주차영역에 설치된 촬상장치를 통해 주차된 차량을 촬상하고, 그 촬상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키오스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서버가 차량번호 및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저장하고,
    키오스크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상황정보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고객정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주차정보를 독출한 후에, 상기 주차정보에 포함된 주차영역에 설치된 촬상장치를 통해 주차된 차량을 촬상하고, 그 촬상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키오스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결제 단말기가 주차권 번호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주차권 번호에 대응되는 주차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주차관리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주차권 번호에 대응되는 주차정보를 상기 결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단말기가 상기 주차정보에 포함된 입차일시와 현재일시를 토대로 주차료를 산출하여 결제하는 단계;
    상기 주차료의 결제후에 상기 주차권 또는 영수증에 상기 주차정보에 포함된 주차영역정보를 표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서버가 차량번호 및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저장하고,
    ARS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또는 주차권 번호를 포함하는 주차상황정보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또는 상기 주차권 번호에 대응되는 주차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주차정보에 포함된 주차영역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서버가 차량번호 및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주차정보의 저장후에 상기 주차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고객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고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주차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방법.
  7. 주차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입차되는 차량의 전면, 이동로를 따라 이동하는 차량의 전면, 주차 구역에 주차되는 차량의 전면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주기 또는 소정 이벤트에 의해 촬상한 촬상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를 결합하여 전송하는 다수의 촬상장치;
    상기 다수의 촬상장치에 근접되게 설치된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주차되기 전의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정보와 주차유도영역정보와 입차일시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상기 다수의 촬상장치 및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정보와 설치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장치설치 위치정보, 주차장의 주차영역에 대한 주차여부를 표식하는 주차장 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다수의 촬상장치 중 하나로부터 촬상정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촬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차량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주차장 상태정보로부터 유효 주차영역을 검출하여 주차유도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번호와 상기 주차유도정보와 현재일시인 입차일시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촬상정보를 제공한 촬상장치에 근접되게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주차유도영역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이동경로정보를 안내하는 주차유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주차유도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촬상정보를 제공한 촬상장치가 주차영역에 설치된 것인지를 체크하고, 상기 촬상정보를 제공한 촬상장치가 주차영역에 설치된 것이 아니면, 상기 촬상장치에 근접되게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주차유도영역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이동경로정보를 안내하는 주차유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주차유도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차량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촬상정보를 제공한 촬상장치가 주차영역에 설치된 것이면, 상기 차량번호와 상기 촬상정보를 제공한 촬상장치가 설치된 주차영역과 상기 입차일시를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저장함과 아울러 저장된 차량정보를 삭제하는 주차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주차권을 발행하는 입차 제어기를 더 구비하며,
    고객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키오스크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주차관리서버가 상기 차량정보의 생성시에 일련번호인 주차권 번호를 할당하고, 상기 주차권 번호를 포함시킨 주차권 발행명령을 입차 제어기로 전송하여 주차권을 발행하고,
    상기 주차정보의 생성시에 상기 주차권 번호를 부가하며,
    상기 키오스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주차권 번호를 포함하는 주차상황정보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주차권 번호에 대응되는 주차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주차정보에 포함된 주차영역에 설치된 촬상장치를 통해 주차된 차량을 촬상하고, 그 촬상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키오스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통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고객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키오스크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주차관리서버가 차량번호 및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키오스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상황정보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고객정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주차정보를 독출한 후에,
    상기 주차정보에 포함된 주차영역에 설치된 촬상장치를 통해 주차된 차량을 촬상하고, 그 촬상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키오스크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통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주차권 번호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주차권 번호에 대응되는 주차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주차관리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주차권 번호에 대응되는 주차정보를 상기 결제 단말기로 전송하면, 상기 주차정보에 포함된 입차일시와 현재일시를 토대로 주차료를 산출하여 주차료를 결제하고,
    상기 주차료의 결제후에 상기 주차권 또는 영수증에 상기 주차정보에 포함된 주차영역정보를 표식하는 결제 단말기
    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서버가 차량번호 및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저장하고,
    ARS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상황정보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주차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주차정보에 포함된 주차영역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시스템.
  1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서버가 차량번호 및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 를 저장하고,
    상기 주차정보의 저장후에 상기 주차된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고객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고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주차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시스템.
KR1020080082799A 2007-08-23 2008-08-25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03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84752 2007-08-23
KR1020070084752 2007-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533A true KR20090020533A (ko) 2009-02-26
KR101003333B1 KR101003333B1 (ko) 2010-12-24

Family

ID=40687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799A KR101003333B1 (ko) 2007-08-23 2008-08-25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33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249B1 (ko) * 2009-07-21 2012-05-08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장기주차 기록, 관리 시스템
CN104778855A (zh) * 2014-01-15 2015-07-15 北京同步科技有限公司 智能化停车场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KR20160014295A (ko) * 2014-07-29 2016-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출입 관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5551292A (zh) * 2015-12-08 2016-05-04 苏州天擎电子通讯有限公司 一种停车场车位管理系统
KR20160049702A (ko) * 2014-10-28 2016-05-10 심상교 주차관리시스템
KR101654127B1 (ko) 2016-03-14 2016-09-06 주식회사 에이스기술단 정보통신기기를 활용한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CN107705615A (zh) * 2017-01-05 2018-02-16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车位预约方法及装置
CN109476343A (zh) * 2016-07-15 2019-03-15 奥迪股份公司 用于在停车环境中控制机动车的交送运行的方法和用于停车环境的运行系统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249B1 (ko) * 2009-07-21 2012-05-08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장기주차 기록, 관리 시스템
CN104778855A (zh) * 2014-01-15 2015-07-15 北京同步科技有限公司 智能化停车场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KR20160014295A (ko) * 2014-07-29 2016-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출입 관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49702A (ko) * 2014-10-28 2016-05-10 심상교 주차관리시스템
CN105551292A (zh) * 2015-12-08 2016-05-04 苏州天擎电子通讯有限公司 一种停车场车位管理系统
KR101654127B1 (ko) 2016-03-14 2016-09-06 주식회사 에이스기술단 정보통신기기를 활용한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CN109476343A (zh) * 2016-07-15 2019-03-15 奥迪股份公司 用于在停车环境中控制机动车的交送运行的方法和用于停车环境的运行系统
CN107705615A (zh) * 2017-01-05 2018-02-16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车位预约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333B1 (ko)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333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58689B1 (ko) 차량방문 편의제공 시스템
KR101857421B1 (ko)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KR20060008977A (ko) 공공 서비스 시스템
US20160300489A1 (en) Parking assignment system
KR101556934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스마트 주차시스템
KR101539847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84134B1 (ko) Qr 코드 인식을 통한 주차장 입출차 관리 시스템
JP2006215729A (ja) 駐車場用管理装置
JP2018010340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2007065705A (ja) 通行管理システム及び通行管理方法及び移動体及び移動体機器及び通行管理装置及び通行管理プログラム
KR100582031B1 (ko) 주차관리 시스템
KR20140127423A (ko) 주차관리 시스템 및 주차료 결제방법
TWM495593U (zh) 停車場管理系統
US20170301149A1 (en) Parking assignment system with laser rangefinder and parking meter
KR100961844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위치확인 및 보안 시스템
KR20130011365A (ko)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JP2019023832A (ja) 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06802B1 (ko) 공동주택의 차량 출입 관제시스템
KR101555993B1 (ko) 차량탑재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KR101249450B1 (ko) 주차요금 징수 시스템
KR20190013458A (ko) 종이 주차할인권 적용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주차권 기반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종이 주차할인권 적용 방법
KR20090102186A (ko) 주차구역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00211A (ko) 주차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409649Y1 (ko) 주차된 차량의 위치 검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