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437B1 - 컨트롤 박스 - Google Patents

컨트롤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437B1
KR102097437B1 KR1020180097458A KR20180097458A KR102097437B1 KR 102097437 B1 KR102097437 B1 KR 102097437B1 KR 1020180097458 A KR1020180097458 A KR 1020180097458A KR 20180097458 A KR20180097458 A KR 20180097458A KR 102097437 B1 KR102097437 B1 KR 102097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coupled
outlet
spa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730A (ko
Inventor
박상한
Original Assignee
(주)유원전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원전장 filed Critical (주)유원전장
Priority to KR1020180097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4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0Means for supporting coupling part when not engag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내진 및 방수 기능을 통해 안정적으로 전원을 분배하는 컨트롤 박스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 박스는 가장자리 일부분이 일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 일부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바디의 가장자리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및 상기 공간에서 테두리는 상기 바디와 이격되고, 배면 일부는 상기 바디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콘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컨트롤 박스{CONTROL BOX}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전원분배를 위해 선박에서 사용되는 컨트롤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상에서 이동하는 선박에는 발전기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기 위해 방수 기능을 가진 컨트롤 박스를 사용하여 분배된 전력을 선박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장비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그러나 선박에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는 기본적으로 방수기능 외에도 파도를 포함하는 수상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형태의 진동 및 흔들림으로 내부 접속불량이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어 방수기능과 함께 내진 기능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5569호는 방한 컨트롤박스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4151호는 컨트롤 박스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기술들은 선박에서 내진 및 방수 기능을 통해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컨트롤 박스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
내진 및 방수 기능을 통해 안정적으로 전원을 분배하는 컨트롤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트롤 박스는 가장자리 일부분이 일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 일부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바디의 가장자리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및 상기 공간에서 테두리는 상기 바디와 이격되고, 배면 일부는 상기 바디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콘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콘센트부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바디에서 돌출되는 원통형의 돌출부들과 오링을 사이에 두고 나사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내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센트부는 일단은 상기 내진판의 전방에서 상기 내진판으로 삽입되고, 타단 가장자리는 상기 내진판의 전방에서 패킹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내진판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콘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센트부는 일단은 상기 콘센트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콘센트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콘센트의 타단을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센트부는 상기 콘센트의 일단을 둘러싸며 상기 내진판과 결합되고, 상기 콘센트의 삽입 방향을 축으로 상기 콘센트와 탄성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콘센트의 타단과 결합되는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는 상기 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바디의 내측 배면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누전차단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센트부는 상기 콘센트를 관통하는 볼트들과 결합되는 링 형태의 스프링, 상기 콘센트의 일단이 삽입되는 중공을 둘러싸고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는 회동공간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고정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중공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홀들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홀들을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를 고정시키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 박스는 커버 및 복수의 오링들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 및 액체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을 흡수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는 외부를 커버하는 바디와 이격되도록 내부에 배치되는 콘센트부와 바디 사이를 연결하는 원통형의 돌출부들의 변형을 통해 외부의 진동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는 회전이 가능하고, 오링들을 통해 방수기능이 개선된 콘센트부를 통해 복수의 플러그들의 배치가 용이하고,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진동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및 2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사시도들.
도 3은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내부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사시도 및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2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100)는 바디(200), 커버(400), 체결부(500) 및 콘센트부(600)를 포함한다.
컨트롤 박스(100)는 진동 및 내진 기능이 필요한 선박에 사용되는 장치로, 선박에 설치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전원을 분배할 수 있고, 연결된 플러그들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개선된다.
구체적으로, 바디(200)는 손잡이(220) 및 고리(230, 240)들을 포함한다.
바디(200)는 가장자리 일부분이 일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일측을 향해 소정의 공간이 개방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에는 플러그들 및 전원케이블이 상기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홀(220)들이 형성된다.
바디(200)의 배면에는 선박의 벽체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고, 배면의 가장자리에 벽걸이용 고정브라켓들을 설치하여 선박과 결합시킬 수 있다.
손잡이(220)는 일단이 바디(200)의 상부면에 브라켓을 통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고리 형태로 연장되어 바디(200)의 상부면에 밀착되며, 일단의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에 의해 타단은 바디(200)와 탄성 밀착된다.
고리(230, 240)들 각각의 일단은 손잡이(2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바디(200)의 상부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고리형태로 형성된다.
컨트롤 박스(100)는 고리(230, 240)들에 연결된 와이어를 통해 선박과 연결되고 선박에 고정되거나 선박에 결합된 별도의 브라켓과 밀착 및 체결되어 선박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400)는 경첩(420)들을 포함한다.
커버(400)의 일단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바디(200)의 상단 가장자리 일부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의 회동에 의해 바디(200)의 가장자리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공간을 개방하거나 밀폐한다.
경첩(420, 430)들은 커버(400)의 상부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일단은 바디(20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커버(400)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커버(400)의 타단은 경첩(420, 430)들 각각을 축으로 상부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공간을 개방하거나, 다시 하부를 향해 이동하고 바디(200)와 밀착하여 상기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체결부(500)는 잠금장치(510, 520)들을 포함한다.
체결부(500)는 컨트롤 박스(100)의 하부에서 바디(200)의 가장자리 및 커버(400)의 가장자리를 고정시켜 외부의 이물질 또는 액체가 컨트롤 박스(10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잠금장치(510, 520)들 각각의 일단은 바디(20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고리 형태로 커버(400)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어 커버(4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고리에 결합한다.
해당 사용자는 잠금장치(510, 520)들 각각의 타단을 커버(400)를 향해 당기고, 상기 체결고리에 결합시킨 후 각각의 일단을 다시 바디(200)의 양측면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을 통해 바디(200) 및 커버(400)가 서로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압박하여 상기 공간의 밀폐력을 향상시킨다.
도 3 및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는 돌출부(250)들을 더 포함하고, 콘센트부(600)는 콘센트(610)들, 커버(615), 패킹(617) 및 내진판(620, 630)들을 포함한다.
콘센트부(600)의 가장자리는 바디(200) 및 커버(40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에서 바디(200)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저면 일부분은 바디(200)와 돌출부(250)들을 통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내진판(630)은 내진판(620)의 전방에서 상대적으로 커버(200)와 인접하도록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내진판(620)과 평행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배면은 돌출부(250)들을 통해 내진판(620)과 연결된다.
콘센트(610)의 일단은 내진판(630)을 관통하여 내진판(630)의 후방에 배치되고, 타단은 내진판(630)의 전방에서 내진판(630)의 전면과 밀착되는 형태로 내진판(630)과 결합된다.
패킹(617)은 환 형태로 형성되어 콘센트(610)의 일단 및 내진판(630)의 전면 사이에 배치되고, 컨트롤 박스(100)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며, 소음을 절감시킨다.
돌출부(250)들 각각은 오링(20)을 사이에 두고 바디(200)의 배면과 연결되고, 내진판(630)의 전방을 관통하는 나사(10)가 오링(20)의 중앙을 지나 돌출부(250)와 결합되면서 내진판(630) 및 바디(200)가 서로 연결된다.
돌출부(250)들 각각은 원통형으로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컨트롤 박스(100)에 진동이 전달되면 상하부 또는 양측으로 변형이 발생하면서 상기 진동을 저감시킨다.
따라서, 패킹(617), 오링(20) 및 돌출부(250)들 각각은 콘센트부(600)에 설치되어 콘센트부(600)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컨트롤 박스(100)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내진판(630)에는 복수의 중공들이 형성되어 콘센트(610)들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일측에는 직사각 형태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을 통해 노출되는 내진판(620)의 일측에 결합된 누전차단기(640)의 제어가 가능하다.
누전차단기(640)는 누전에 의한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내진판(620)의 일측에 결합되고, 사고 발생에 의해 전류의 이상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전류를 차단하며, 수동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도 5는 도 1의 컨트롤 박스의 내부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100)는 패킹(700) 및 거치대(900)를 더 포함하고, 내진판(630)은 도어(632)를 포함한다.
도어(632)는 일단이 내진판(63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내진판(630)의 일측에 형성된 직사각 형태의 홀을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홀을 개방하거나 커버한다.
도어(632)의 조작을 통해 내진판(620)에 결합된 누진차단기(640)의 제어 또는 정비가 가능하고, 누진차단기(640)의 제어 또는 정비가 필요없는 상황에는 도어(632)가 상기 홀을 커버하여 외부의 이물질 또는 액체의 진입을 차단한다.
커버(615)의 일단은 콘센트(610)의 상단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커버(615)의 타단이 콘센트(610)를 향해 탄성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커버(615)의 타단은 콘센트(610)의 가장자리에 원형으로 돌출된 링 형태의 돌기를 둘러싸는 원형의 캡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와 결합하여 외부의 이물질 또는 액체가 콘센트(6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거치대(900)는 클램프(920)들을 포함한다.
거치대(900)는 상기 공간에서 일단이 서로 양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바디(200)와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된 후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거치대(900)는 복수의 홀(220)들을 통해 컨트롤 박스(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플러그들 각각과 체결되어 플러그들이 외부의 진동이나 압박에 의해 흔들리거나 컨트롤 박스(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거치대(900)는 플러그의 케이블을 거치대(900)에 고정시켜 외부의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을 정위치에 고정시키고, 플러그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클램프(920)들 각각의 일단은 홀(220)들 각각의 상부에서 거치대(90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관통하는 형태로 거치대(900)와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된 후 서로 연결되어 'U'자 형태로 형성된다.
거치대(900)의 후방에 돌출되는 클램프(920)들 각각의 일단에는 볼트들이 나사 결합되어 클램프(920)가 거치대(900)의 전방으로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클램프(920)의 타단 및 거치대(900)의 전방 사이에는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홈이 형성된 조임부가 클램프(920)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은 클램프(920)의 타단 및 상기 조임부 사이에 삽입되어 거치대(900)에 고정된다.
거치대(900)의 후방에 돌출된 클램프(920)들 각각의 일단에는 볼트들이 나사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클램프(920)의 타단을 후방을 향해 이동시키거나 전방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케이블을 조이거나 느슨하게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의 가장자리의 일부분은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는 직사각 형태의 돌출부(260)가 형성되고, 커버(400)의 배면 가장자리 일부분은 전방을 향해 함몰되어 상기 돌출부(260)를 둘러싸는 직사각 형태의 홈이 형성된다.
커버(400)가 경첩(420, 430)들을 통해 회전하여 바디(200)와 밀착되면, 상기 돌출부(260)가 상기 홈에 삽입되고, 바디(200) 및 커버(400)는 잠금장치(510, 520)들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패킹(700)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돌출부(260) 및 커버(400) 사이에 배치되고, 커버(400) 및 바디(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의 이물질 또는 액체가 커버(400) 및 바디(20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120)는 콘센트부(8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7들의 컨트롤 박스(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부(800)는 고정프레임(820), 고정유닛(825), 스프링(830), 콘센트(840) 체결유닛(850) 및 오링(860)을 포함한다.
고정프레임(820)의 일단은 내진판(630)에 형성된 중공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에서 내진판(630)의 내측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단계적으로 부피가 축소되도록 연장된다.
고정프레임(820)의 중앙에는 콘센트(84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원통형의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외측에는 고정프레임(820)의 내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중공과 이격되며, 링 형태로 후방을 향해 함몰되어 스프링(830)이 삽입되는 회동공간(30)이 형성된다.
회동공간(30)을 둘러싸는 고정프레임(820)의 내측면에는 회동공간(30)을 향해 렉기어 형태의 복수의 돌기들이 돌출되고, 후술 될 스프링(830)이 회동공간(30)에 삽입되면 스프링(830)의 일부분이 상기 돌기들 사이에 맞물린다.
고정유닛(825)의 일단은 고정프레임(820)의 중공에 삽입된 콘센트(840)의 일부분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원판 형태로 외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고정프레임(820)의 배면과 밀착된다.
고정유닛(825)에는 타단을 관통하는 홀들이 형성되고, 콘센트(840)는 상기 홀들을 통해 케이블들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외부의 전력을 인접한 콘센트들로 분배한다.
스프링(830)은 링 형태로 형성되고 일부분이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동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830)의 돌출된 일부분이 고정프레임(820)에 형성된 돌기들 사이에 맞물린다.
구체적으로, 스프링(830)은 체결링(835) 및 돌기(837)들을 포함한다.
체결링(835)은 스프링(830)의 링 형태의 프레임 상에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돌기(837)는 스프링(830)이 상기 회동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링(835)들 사이에서 고정프레임(820)의 돌기들 사이로 돌출된다.
따라서, 스프링(830)이 회전하면 돌기(837)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탄성 이동하면서 스프링(830)이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스프링(830)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스프링(83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콘센트(840)의 일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고정프레임(820)의 중공에 삽입되고, 타단은 직사각 또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확장되도록 형성되며 일단 중앙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콘센트(840)의 타단은 고정프레임(820)과 밀착되어 상기 회동공간을 밀폐시키고, 체결유닛(850)을 통해 스프링(830)의 체결링(835)들과 결합되어 해당 사용자는 콘센트(840)를 잡고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체결유닛(850)은 볼트(852) 및 오링(854)을 포함한다.
볼트(852)들은 체결링(835)들 각각과 서로 대응하도록 콘센트(840)의 전방에 배치되고, 콘센트(840)를 관통하여 체결링(835)들 각각과 결합되며, 오링(854)들 각각은 콘센트(840) 및 체결링(835)들 사이에서 볼트(852)들 각각을 둘러싼다.
오링(860)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콘센트(840)의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프레임(820)의 중공 내부에 배치되고, 콘센트(840) 및 고정프레임(820) 사이에서 콘센트(840)의 일단을 둘러싼다.
오링(860)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 또는 액체가 내진판(620, 630)들 사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하고, 컨트롤 박스(120)에 전달되는 외부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한다.
따라서, 컨트롤 박스(120)는 콘센트(840)의 회전이 가능하여 컨트롤 박스(120)에 결합되는 복수의 플러그들의 배치가 용이하고, 복수의 오링(854, 860)들을 통해 방수 및 내진 기능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회동공간(30)에서 고정프레임(820)의 내측면에는 스위치가 형성되어 콘센트(84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스프링(830)의 돌기(837)가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해당 콘센트(840)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를 뽑지않고 플러그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어 주변의 액체를 통한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컨트롤 박스 200: 바디
400: 커버 500: 체결부
600, 800: 콘센트부 700: 패킹

Claims (6)

  1. 가장자리 일부분이 일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 일부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및
    상기 공간에서 테두리는 상기 바디와 이격되고, 배면 일부는 상기 바디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콘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부는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고 전후방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전방테두리 일부가 링형태로 후방을 향해 함몰되어 회동공간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회동공간에 삽입되고 외측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고정프레임에서 돌출되는 돌기들과 맞물리는 링형태의 스프링 및 상기 회동공간을 커버하고 상기 스프링과 결합되며 일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콘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부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바디에서 돌출되는 원통형의 돌출부들과 오링을 사이에 두고 나사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과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내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부는,
    일단은 상기 콘센트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콘센트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콘센트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홀들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홀들을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를 고정시키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박스.
KR1020180097458A 2018-08-21 2018-08-21 컨트롤 박스 KR102097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58A KR102097437B1 (ko) 2018-08-21 2018-08-21 컨트롤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58A KR102097437B1 (ko) 2018-08-21 2018-08-21 컨트롤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730A KR20200021730A (ko) 2020-03-02
KR102097437B1 true KR102097437B1 (ko) 2020-04-07

Family

ID=6980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458A KR102097437B1 (ko) 2018-08-21 2018-08-21 컨트롤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4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1144A (zh) * 2020-05-26 2020-08-07 华育昌(肇庆)智能科技研究有限公司 一种电机通用控制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511B1 (ko) * 2020-03-24 2020-11-03 안준학 밀폐성과 배수성이 개선된 선박용 컨트롤 박스
KR200496066Y1 (ko) * 2020-11-30 2022-10-26 문복룡 방수기능이 향상된 통합식 개폐기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750Y1 (ko) * 2000-06-27 2000-12-01 삼성중공업주식회사 멀티플렉스 콘센트 박스
KR200343986Y1 (ko) * 2003-12-03 2004-03-06 손병태 콘센트 커버장치
JP2014241322A (ja) * 2013-06-11 2014-1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電力制御ユニットの金属製ケースへの制御基板の締結構造
KR101693542B1 (ko) * 2015-09-10 2017-01-06 조경제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갖춘 콘센트 보관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4134B2 (ja) * 1995-07-07 2001-12-04 ホシデン株式会社 回転式コンセントプラグの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750Y1 (ko) * 2000-06-27 2000-12-01 삼성중공업주식회사 멀티플렉스 콘센트 박스
KR200343986Y1 (ko) * 2003-12-03 2004-03-06 손병태 콘센트 커버장치
JP2014241322A (ja) * 2013-06-11 2014-1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電力制御ユニットの金属製ケースへの制御基板の締結構造
KR101693542B1 (ko) * 2015-09-10 2017-01-06 조경제 방수 및 방진 기능을 갖춘 콘센트 보관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1144A (zh) * 2020-05-26 2020-08-07 华育昌(肇庆)智能科技研究有限公司 一种电机通用控制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730A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437B1 (ko) 컨트롤 박스
CN110174927B (zh) 具有部件保护结构的电子设备
WO2011024885A1 (ja) 車両用ルーフマウントアンテナ装置
JPH04346497A (ja) 電子機器筐体の蓋装置
US5503271A (en) Electric meter case
KR101540324B1 (ko) 선박용 맨홀 커버
JP6000064B2 (ja) 燃料供給部のインレットボックス取付構造
KR101362098B1 (ko) 폐쇄장치
CN110770126A (zh) 箱盖、储液箱和无人飞行器
HU217703B (hu) Cseppfolyós propángázt befogadó üzemanyagtartály, főként hengeres üzemanyagtartály gépjárművekhez
KR20130001649U (ko) 씨 체스트 그리드의 보안 잠금장치
GB2432979A (en) Electrical connection unit with sealed housing inside lid
KR20110080942A (ko) 가스밸브 봉인장치
KR101720298B1 (ko) 다중 잠금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0457545B1 (ko) 유류저장탱크의 탐침자용 원터치 캡
KR20150125119A (ko) 전기자동차의 인렛
CN209523539U (zh) 门窗执手
DK2489792T3 (en) Sanitary fitting with a cover member for protecting a control cartridge
KR20160086030A (ko) 밸브핸들 보관함을 구비한 맨홀
BE1001210A3 (fr) Perfectionnements aux compteurs totalisateurs d'eau.
KR101876219B1 (ko) 개폐가 용이한 물통의 캡 구조
RU2446846C1 (ru)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A2201451C (fr) Systeme d'ancrage
KR0161580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오일 보존탱크의 캡
RU2067934C1 (ru) Крышка заливной горловины топливного ба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