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220B1 -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220B1
KR102097220B1 KR1020180161815A KR20180161815A KR102097220B1 KR 102097220 B1 KR102097220 B1 KR 102097220B1 KR 1020180161815 A KR1020180161815 A KR 1020180161815A KR 20180161815 A KR20180161815 A KR 20180161815A KR 102097220 B1 KR102097220 B1 KR 102097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orting system
separation device
minerals
tabl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두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안두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안두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Priority to KR1020180161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04Raw material of mineral origin to be used; Pretrea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286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with excentric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288Tumbling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4Specific separation steps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C10L2290/546Sieving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물의 물리적 특성(밀도, 경도, 결정 크기)을 고려한 진동테이블의 경사각 조절은 물론 그 진동테이블 동작시의 구동충격 흡수를 통해 장치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낙하하는 분쇄형 광물의 수집 및 그렇게 수집된 광물이 유용광물과 불순광물로 서로 분리되는 수집물의 거동을 위해, 전후방향 일측과 좌우방향 일측으로 기울어지되 광물의 물리적 특성인 밀도와 경도 및 결정 크기를 고려한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구조체; 상기 테이블구조체의 거치고정을 위한 베이스구조체; 상기 베이스구조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테이블구조체에 연계결합된 상태로의 기계적 구동에 의거, 상기 테이블구조체를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시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한 진동발생수단; 상기 테이블구조체에 설치된 상태로의 기계적 구동에 의거, 상기 테이블구조체의 전후방향 경사각을 조절하는 제1각도조절수단; 및, 상기 테이블구조체와 상기 베이스구조체에 연계설치된 상태로의 기계적 구동에 의거, 상기 테이블구조체의 좌우방향 경사각을 조절하는 제2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VIBRATIONAL SEPARATION EQUIPMENT FOR DRY PROCESS MINERAL SORTING SYSTEM}
본 발명은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물의 물리적 특성(밀도, 경도, 결정 크기)을 고려한 진동테이블의 경사각 조절은 물론 그 진동테이블 동작시의 구동충격 흡수를 통해 장치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제적으로, 자원분야 특히 광업분야(鑛業分野, mining field)의 환경변화가 급속히 일어나고 있으며, 이에 광물자원의 수급이 장기적으로 예측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한반도의 경우 몰리브덴·마그네사이트·운모·중석·납석·장석·흑연 및 석탄 등 좁은 국토면적에 비해 다종다양한 유용광물(有用鑛物, useful mineral)이 매장되어 있으며, 최근까지 약 350여개의 광산이 가행되어 산업원료광물(industrial materials mineral)의 자급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지만 수입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아울러, 국제유가의 폭발적 상승으로 이를 대체할 만한 에너지원을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이 증대되고 있는 바, 태양에너지·바이오에너지 등 기존 화석연료를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산업적 이용에는 아직 한계가 뒤따른다.
이에, 최근 석탄에 대한 수요가 다시 증대되고 있으나, 원탄에 혼재된 무용광물(이하 "불순광물"이라 함)의 분리를 위한 다단계처리와 단체분리 등은 경제성 확보상 여러 문제점이 있다.
즉, 탄층에서 캐낸 그대로의 원탄(原炭, run of mine coal)은 석탄분을 다량 함유하며 회분(灰分, ash)이 적은 정탄과 암석의 파괴석인 맥석(gangue)이 혼재되기 마련이다. 이렇게 맥석이 함유되어 있으면 연소과정에서 열량이 저하되고 유해가스(SOx)가 발생된다.
특히, 맥석 중 운모 및 녹니석, 점토 등에 함유된 알카리성분(K2O, Na2O)은 연소과정에서 회분의 융점을 저하시켜 화력발전소 보일러 내부의 슬래깅(Slagging)이나 파울링(fouling)을 유발한다. 따라서, 연소효율의 향상과 보일러의 수명연장 등을 위하여, 채광된 원탄을 물리적으로 처리해서 분리한 불순광물(맥석 등)을 가급적 배제하고 목적하는 유용광물을 얻어내기 위한 선별장치가 다수 개시되어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0940호를 통해, 유용광물과 불순광물 간의 표면특성을 이용하는 저등급 석탄의 고품위화 장치가 개시되었는 바, 종래의 저등급 석탄의 고품위화 장치는, 원탄을 부유선별하여 정탄입자와 맥석입자로 분류한다.
그런데, 상술한 부유선별(浮遊選別, flotation)의 습식 선별기술은 정탄입자를 탈수/건조하는 후처리의 과정 및 시설이 복잡하고, 경비가 과다 소요되기 때문에 경제적 측면에서 큰 장애요인이 된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3424호를 통해, 서로 비중이 다른 돌과 석탄이 혼합되어 있는 분쇄물을 진동을 이용하여 이동시킴과 동시에 선별하는 건식 분리장치가 개시되었는 바, 종래의 건식 분리장치는, 몸체와 공급부의 배치 구조 및 가이드 유닛의 형상을 이용하여 분쇄물 내의 비중이 다른 서로 다른 물질을 선별한다.
이로써, 기존 습식 선별기술에 비해 후처리시설이 간단하고 경비가 절감되므로 여러 모로 경제적이긴 하나, 광물의 물리적 특성인 밀도, 경도, 결정 크기 등을 고려해서 몸체의 경사각을 조정해 주어야만 선별의 최적화가 가능한데, 이러한 기능수행을 위한 특징부가 그 어디에도 마련되어 있지 않아 선별능력에 한계가 뒤따랐다.
또한, 상기 몸체를 진동시키는 진동부의 구동충격 흡수를 위한 특징부가 그 어디에도 마련되어 있지 않아 데미지의 지속적인 축적으로 인한 장치고장이 빈번하였다.
결국, 앞서 설명한 분리장치를 개시함에 있어, 광물의 물리적 특성(밀도, 경도, 결정 크기 등)을 고려한 진동테이블의 경사각 조절은 물론 그 진동테이블의 구동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장치의 데이지 축적을 방지하는 기술의 연구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0940호(등록일자 : 2011.01.19.)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3424호(등록일자 : 2018.02.22.)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진동발생으로 광물의 선별되는 진동테이블의 구조적 개선과 아울러 그 진동테이블의 전후 및 좌우 경사각을 조절하는 복수의 각도조절수단을 구비, 선별하고자 하는 광물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진동테이블의 다양한 기울기 설정으로 선별능력의 극대화가 달성될 수 있도록 하는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진동테이블을 좌우로 유동시켜 진동을 유발하는 진동발생수단에 완충수단을 구비, 상기 진동발생수단 구동충격으로 인한 장치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낙하하는 분쇄형 광물의 수집 및 그렇게 수집된 광물이 유용광물과 불순광물로 서로 분리되는 수집물의 거동을 위해, 전후방향 일측과 좌우방향 일측으로 기울어지되 광물의 물리적 특성인 밀도와 경도 및 결정 크기를 고려한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구조체; 상기 테이블구조체의 거치고정을 위한 베이스구조체; 상기 베이스구조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테이블구조체에 연계결합된 상태로의 기계적 구동에 의거, 상기 테이블구조체를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시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한 진동발생수단; 상기 테이블구조체에 설치된 상태로의 기계적 구동에 의거, 상기 테이블구조체의 전후방향 경사각을 조절하는 제1각도조절수단; 및, 상기 테이블구조체와 상기 베이스구조체에 연계설치된 상태로의 기계적 구동에 의거, 상기 테이블구조체의 좌우방향 경사각을 조절하는 제2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구조체는, 상기 제1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제2각도조절수단에 의해 전후방향 일측 및 좌우방향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며, 상기 진동발생수단 작동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상단의 지정위치에 낙하수집된 분쇄형 광물의 거동을 유발하여 유용광물과 불순광물이 서로 분리되도록 하는 진동테이블과, 상기 진동테이블을 떠받쳐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구조체의 상부에 거치되는 링크구조체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베이스구조체는, 상기 테이블구조체의 지상이격 배치를 위해 다수의 철제빔 연계결합에 의해 일정높이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테이블구조체의 연계설치 및 궤도회전을 안내하는 제2가이더베이스가 정해진 위치에 일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전력의 공급으로 동작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구동하는 샤프트어셈블리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에 연계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 동작시 상기 샤프트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벨트와 풀리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에 연계된 상태로, 상기 벨트와 풀리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을 하는 동력전달샤프트와, 상기 동력전달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링크구조체의 정해진 위치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의 직선운동을 상기 진동테이블에 전달하는 링크패널과,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의 힌지결합을 위해, 상기 링크패널에 일체로 조립되는 제1힌지브래킷과, 상기 제1힌지브래킷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로부터 전해지는 구동충격을 흡수하는 제2완충유니트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제1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링크구조체의 일측 상단에 거치고정되고, 상기 진동테이블의 일측 하단을 떠받친 상태로 로드가 수직으로 진퇴작용케 됨에 따라, 상기 진동테이블의 일측을 승강시켜 상기 테이블구조체의 전후방향 경사각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유압기이다.
또한, 상기 제2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진동테이블을 떠받쳐 지지하는 상기 링크구조체의 하부프레임 일측 상단에 거치고정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을 떠받쳐 지지하는 상기 링크구조체의 상부프레임 일측 하단을 떠받친 상태로 로드가 수직으로 진퇴작용케 됨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을 승강시켜 상기 테이블구조체의 좌우방향 경사각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유압기이다.
더하여, 상기 진동테이블에는, 상기 진동발생수단에 의한 왕복운동시 상대적 중량이 서로 다른 유용광물과 불순광물이 횡으로 연속된 다수 굴곡의 경계를 타고 넘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선별스크린이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선별스크린에 의해 양측과 전방으로 각각 이동분리된 유용광물과 불순광물의 낙하안내를 위한 낙하유도부가 좌우 양측단부 및 전방 일측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각도조절수단에 의한 경사각 조절시의 회전안내를 위한 복수의 제1회전가이더와, 상기 진동테이블의 전후방향 경사각 조절시의 힌지포인트를 형성하는 제1힌지부가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벨트와 풀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 회전시 동시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구동풀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더불어 회전하는 연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연동풀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동력을 상기 연동풀리에 전달하여 상기 샤프트어셈블리가 회전구동토록 하는 구동벨트로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어셈블리는, 상기 연동풀리가 축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캠샤프트와, 상기 캠샤프트들의 축이음을 위한 유니버셜조인트와, 상기 캠샤프트에 힌지결합된 상태로의 편심운동으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가 직선운동을 이루도록 한 편심캠과, 상기 캠샤프트와 상기 편심캠 사이에서 상호마찰을 방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캠샤프트 각각의 힌지고정을 위한 복수의 샤프트하우징로 구성되며, 상기 캠샤프트의 일부위에는, 상기 편심캠의 편심운동을 위해 축의 중심이 편심된 편심부가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제2완충유니트는,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의 일측 선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사방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의 구동충격을 흡수하는 복수의 충격흡수부재와, 상기 연결대 및 상기 충격흡수부재가 내재수용되는 유니트하우징으로 조합된다.
또한, 상기 링크구조체는, 상기 진동테이블을 떠받쳐 지지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떠받쳐 지지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진동발생수단 작동에 의한 상기 상부프레임의 왕복운동을 돕는 복수의 연결링크와,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상부프레임 왕복운동시의 구동충격 흡수를 위한 텐션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제1회전가이더들의 연계조립 및 그 상태로의 상기 제1회전가이더의 궤도회전을 안내하는 제1가이더베이스가 상기 제1회전가이더의 대응위치에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제2각도조절수단에 의해 일측의 높이가 달라지는 경사각 조절시의 궤도회전을 안내하는 제2회전가이더와, 상기 진동테이블의 좌우방향 경사각 조절시의 힌지포인트를 형성하는 제2힌지부가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서로 연결한 상태로 상기 상부프레임의 왕복운동을 돕는 링크아암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연계되는 상기 링크아암 일측 선단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2힌지브래킷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연계되는 상기 링크아암 타측 선단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3힌지브래킷과, 상기 제2힌지브래킷 및 상기 제3힌지브래킷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상부프레임 왕복운동에 따른 구동충격을 흡수하는 제1완충유니트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완충유니트는, 상기 링크아암의 각 선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사방에 밀착배치된 상태로, 상기 링크아암의 구동충격을 흡수하는 복수의 충격흡수부재와, 상기 연결대 및 상기 충격흡수부재가 내재수용되는 유니트하우징으로 조합된다.
더하여,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완충작용 및 형상복원의 능력이 발휘되는 신축성 소재로 제작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중력 및 풍력을 이용한 광물 선별장치는, 선별하고자 하는 광물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진동테이블 경사각 조절을 다양하게 이룰 수 있게 됨으로써, 유용광물과 불순광물을 서로 분리해 해는 선별공정이 보다 효율적이게 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또한, 상기 진동테이블을 전후 양방향으로 유동시켜 정해진 진폭을 형성하는 상태로 진동을 유발하는 진동발생수단 등에 추가 구비된 완충유니트에 의해 상기 진동발생수단 동작시 발생하는 구동충격이 극소화됨으로써, 구동충격에 따른 장치고장(및 장치손상)과 그로 인한 장치수명 단축의 문제가 간단히 해결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와 같은 각종 효과의 달성으로, 청정활용기술 상용화를 마련할 수 있는 기반기술, 광물 활용의 경제성 및 환경성 극복이 가능한 친환경/고효율 선탄기술, 지하자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선탄기술, 공정환경 부하극복을 위한 공정부산물의 활용기술개발 등 관련산업의 발전 및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
도 2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 및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시스템구성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의 내부구조 및 선별시스템의 덕트구조체 배치관계를 나타낸 예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에 있어서, 테이블구조체의 연결링크에 구비되는 제1완충유니트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예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에 있어서, 진동발생수단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에 있어서, 진동발생수단에 구비되는 제2완충유니트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예시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 및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시스템구성도이며,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의 내부구조 및 선별시스템의 덕트구조체 배치관계를 나타낸 예시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에 있어서 테이블구조체의 연결링크에 구비되는 제1완충유니트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예시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에 있어서 진동발생수단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에 있어서 진동발생수단에 구비되는 제2완충유니트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예시구성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A)는, 낙하하는 분쇄형(알갱이) 광물의 수집 및 그렇게 수집된 광물이 유용광물과 불순광물로 서로 분리되는 수집물의 거동(擧動)을 위해 전후방향 일측과 좌우방향 일측으로 기울어지되 선별하고자 하는 광물의 물리적 특성(밀도, 경도, 결정 크기)을 고려한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구조체(1)와, 상기 테이블구조체(1)의 거치고정을 위한 베이스구조체(2)와, 상기 베이스구조체(2)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테이블구조체(1)에 연계결합된 상태로의 기계적 구동에 의거 테이블구조체(1)를 전후방향으로 미세하게 왕복운동시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한 진동발생수단(3)과, 상기 테이블구조체(1)에 설치된 상태로의 기계적 구동에 의거 테이블구조체(1)의 전후방향 경사각을 조절하는 제1각도조절수단(4)과, 상기 테이블구조체(1)와 베이스구조체(2)에 연계설치된 상태로의 기계적 구동에 의거 테이블구조체(1)의 좌우방향 경사각을 조절하는 제2각도조절수단(5)을 포함한다.
한편,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800)은,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구성의 기초골조(base frame)가 되는 프레임구조체(810), 상기 프레임구조체(810)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선별하고자 하는 광물을 상기 테이블구조체(1)의 상측으로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820), 상기 공급컨베이어(820)를 통해 낙하하는 광물을 테이블구조체(1)의 정해진 위치로 투하시키는 투하장치(830), 기체발생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되는 압력기체를 상기 베이스구조체(2) 내측에서 상방(上方)으로 분출시켜 광물에 혼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불어내는 덕트구조체(840), 상기 테이블구조체(1)에 의해 분리된 후 정해진 위치로부터 낙하하는 유용광물을 정해진 위치로 투하시키는 제1회수호퍼(850-1), 상기 테이블구조체(1)에 의해 분리된 후 정해진 다른 위치로부터 낙하하는 불순광물을 정해진 위치로 투하시키는 제2회수호퍼(850-2), 상기 테이블구조체(1)에 의해 분리된 후 정해진 또 다른 위치로부터 낙하하는 물리적 특성이 동일한 유용광물과 불순광물을 정해진 위치로 투하시키는 제3회수호퍼(850-3), 상기 제1회수호퍼(850-1)로부터 투하되는 유용광물을 정해진 장소로 운반하는 제1이송컨베이어(860-1), 상기 제2회수호퍼(850-2)로부터 투하되는 불순광물을 정해진 장소로 운반하는 제2이송컨베이어(860-2), 상기 제3회수호퍼(850-3)로부터 투하되는 유용광물과 불순광물을 정해진 장소로 운반하는 제3이송컨베이어(860-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덕트구조체(840)로부터 분출되는 압력기체 및 이물질을 흡입(회수)하되 이물질은 제거(filtering)하는 반면 기체는 덕트구조체(840)로 공급하여 순환되게 한 기체회수장치(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구조체(840)는, 기체발생수단(송풍기)에 의해 생성된 압력기체의 유입 및 복수 경로로의 분배공급을 위한 분기부(841), 상기 분기부(841)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구조체(2) 내측에 배열배치된 상태로 압력기체를 상방으로 분출시킴으로써 상기 테이블구조체(1) 상에 수닙된 분쇄형 광물에 섞여있는 먼지 등의 미립자 이물질을 불어내어 광물로부터 분리되게 하기 위한 다수의 배기부(842)로 이루어진다.
테이블구조체(1)는, 유용광물과 불순광물이 서로 분리되도록 하는 분쇄형 광물의 거동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제1,2각도조절수단(4)(5)에 의해 전후방향 일측 및 좌우방향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며 상기 진동발생수단(3) 작동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진동발생)을 함에 따라 상단의 정해진 위치에 낙하수집된 분쇄형 광물의 거동을 유발 유용광물과 불순광물이 서로 분리되도록 하는 진동테이블(11)과, 상기 진동테이블(11)을 떠받쳐 지지하는 한편 상기 베이스구조체(2)의 상부에 거치되는 링크구조체(1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테이블(11)이 전후방향 일측 및 좌우방향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임에 따라 진동발생수단(3)에 의한 전후방향으로의 왕복운동시 고도가 낮은 위치로 광물이 거동(이동)케 되는 바, 이로써 물리적 특성이 다른 유용광물과 불순광물이 서로 분리되는바, 상대적으로 중량이 작은 유용광물은 고도가 낮은 측방으로 이동분리되고,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불순광물은 고도가 높은 측방으로 이동분리되며, 중량이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및 유사한 범위에 속하는 유용광물과 불순광물은 전방으로 이동분리되는 작용에 따라 선별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의 달성을 위해, 상기 진동테이블(11) 상에는, 상기 진동테이블(11)의 왕복운동시 상대적 중량이 서로 다른 유용광물과 불순광물이 경계를 타고 넘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선별스크린(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는 바, 상기 선별스크린은 횡단면의 구조가 굴곡이 반복형성된 웨이브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진동테이블(11)의 좌우 양측단부와 전방 일측단부에는, 상기 선별스크린에 의해 양측과 전방으로 각각 이동분리된 유용광물과 불순광물의 낙하안내를 위한 낙하유도부(11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테이블(11)에는, 상기 제1각도조절수단(4)에 의한 경사각 조절시의 회전안내를 위한 복수의 제1회전가이더(112)와, 상기 진동테이블(11)의 전후방향 경사각 조절시의 힌지포인트(hinge point)를 형성하는 제1힌지부(113)가 더 구성된다.
상기 링크구조체(12)는, 상기 진동테이블(11)을 떠받쳐 지지하는 상부프레임(121)과, 상기 상부프레임(121)을 떠받쳐 지지하는 하부프레임(122)과, 상기 상부프레임(121) 및 하부프레임(121)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진동발생수단(3) 작동에 의한 상기 상부프레임(121)의 왕복운동을 돕는 복수의 연결링크(123)와, 상기 상부프레임(121) 및 하부프레임(122)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상부프레임(121) 왕복운동시의 구동충격 흡수를 위한 텐션스프링(1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21)에는, 상기 제1회전가이더(112)들의 연계조립 및 그 상태로의 제1회전가이더(112)의 궤도회전을 안내하는 제1가이더베이스(121-1)가 상기 제1회전가이더(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22)에는, 상기 제2각도조절수단(5)에 의해 일측의 높이가 달라지는 경사각 조절시의 궤도회전을 안내하는 제2회전가이더(122-1)와, 상기 진동테이블(11)의 좌우방향 경사각 조절시의 힌지포인트를 형성하는 제2힌지부(122-2)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링크(123)는, 상기 상부프레임(121)과 하부프레임(122)을 서로 연결한 상태로 상부프레임(121)의 왕복운동을 돕는 링크아암(123-1)과, 상기 상부프레임(121)에 연계되는 상기 링크아암(123-1) 일측 선단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2힌지브래킷(123-2)과, 상기 하부프레임(122)에 연계되는 링크아암(123-1) 타측 선단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3힌지브래킷(123-3)과, 상기 제2힌지브래킷(123-2) 및 제3힌지브래킷(123-3)에 구비된 상태로 상부프레임(121) 왕복운동에 따른 구동충격을 흡수하는 제1완충유니트(123-4)로 구성된다.
상기 제1완충유니트(12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아암(123-1)의 각 선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대(123-41)와, 상기 연결대(123-41)의 사방에 밀착배치된 상태로 구동충격을 흡수하는 복수의 충격흡수부재(123-42)와, 상기 연결대(123-41) 및 충격흡수부재(123-42)가 내재수용되는 유니트하우징(123-43)으로 조합된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부재(123-42)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 완충작용 및 형상복원 능력이 발휘되는 신축성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작용관계 및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요소라 한다면 얼마든지 달리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텐션스프링(124)은, 상기 상부프레임(121)에 탄발력에 의한 완충작용을 나타냄에 적합한 코일스프링(coil spring)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작용관계 및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기계요소라 한다면 얼마든지 달리 채용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베이스구조체(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구조체(1)의 거치고정을 위한 것으로, 테이블구조체(1)의 지상이격 배치를 위해 다수의 철제빔 연계결합에 의해 일정높이를 갖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구조체(1) 하부프레임(122)의 상기 제2회전가이더(122-1)들의 연계조립 및 그 상태로의 제2회전가이더(122-1)의 궤도회전을 안내하는 제2가이더베이스(21)가 상기 제2회전가이더(122-1)에 대응하는 위치에 일체로 구성된다.
진동발생수단(3)은, 상기 테이블구조체(1)를 전후방향으로 미세하게 왕복운동시켜 광물 거동에 필요한 진동발생을 위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의 공급으로 동작하는 구동모터(31)와, 상기 구동모터(31)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구동하는 샤프트어셈블리(32)와, 상기 구동모터(31)와 샤프트어셈블리(32)에 연계된 상태로 구동모터(31) 동작시 상기 샤프트어셈블리(32)를 회전구동시키는 벨트와 풀리(33)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32)에 연계된 상태로 상기 벨트와 풀리(3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을 하는 동력전달샤프트(34)와, 상기 동력전달샤프트(34)가 연결되고 상기 상부프레임(121)의 정해진 위치에 일체로 결합되어 동력전달샤프트(34)의 직선운동을 상부프레임(121)에 전달하는 링크패널(35)과, 상기 동력전달샤프트(34)의 힌지결합을 위해 상기 링크패널(35)에 일체로 조립되는 제1힌지브래킷(36)과, 상기 제1힌지브래킷(36)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34)로부터 전해지는 구동충격을 흡수하는 제2완충유니트(37)로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어셈블리(32)는, 상기 연동풀리(332)가 축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3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구동케 된 복수의 캠샤프트(321)와, 복수의 상기 캠샤프트(321)의 축이음을 위한 유니버셜조인트(322)와, 상기 캠샤프트(321)에 힌지결합된 상태로의 편심운동으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34)가 직선운동을 이루도록 한 편심캠(323)과, 상기 캠샤프트(321)와 편심캠(323) 사이에서 상호 간의 마찰을 방지하는 베어링(324)과, 상기 캠샤프트(321) 각각의 힌지고정을 위한 복수의 샤프트하우징(325)로 구성된다.
상기 캠샤프트(321)의 일부위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편심캠(323)의 편심운동을 위해 축의 중심이 편심(eccentricity, e)된 편심부(32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벨트와 풀리(33)는, 상기 구동모터(31)의 회전축(311)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311) 회전시 동시회전하는 구동풀리(331)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32)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구동풀리(33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더불어 회전하는 연동풀리(332)와, 상기 구동풀리(331)와 연동풀리(332)에 연결된 상태로 구동풀리(331)의 회전동력을 상기 연동풀리(332)에 전달하여 상기 샤프트어셈블리(32)가 회전구동토록 하는 구동벨트(333)로 구성된다.
상기 제2완충유니트(3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완충유니트(123-4)와 마찬가지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34)의 일측 선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대(371)와, 상기 연결대(371)의 사방에 밀착배치된 상태로 구동충격을 흡수하는 복수의 충격흡수부재(372)와, 상기 연결대(371) 및 충격흡수부재(372)가 내재수용되는 유니트하우징(373)으로 조합된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부재(372)는, 상기 제1완충유니트(123-4)의 충격흡수부재(123-42)와 마찬가지로, 고무 또는 우레탄 등 완충작용 및 형상복원 능력이 발휘되는 신축성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작용관계 및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요소(수단 등)라 한다면 얼마든지 달리 채용할 수 있다.
제1각도조절수단(4)은, 상기 테이블구조체(1)의 전후방향 경사각 조절을 위한 것으로, 도 1b 및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구조체(12)의 상부프레임(121) 일측 상단에 거치고정되고 상기 진동테이블(11)의 일측 하단을 떠받친 상태로 로드가 수직으로 진퇴작용케 됨에 따라 진동테이블(11)의 일측을 승강(昇降,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테이블구조체(1) 전후방향 경사각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적합한 유압기(油壓機, hydraulic linkage)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작용관계 및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기계요소라 한다면 얼마든지 달리 채용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제2각도조절수단(5)은, 상기 테이블구조체(1)의 좌우방향 경사각 조절을 위한 것으로, 도 1c 및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구조체(12)의 하부프레임(122) 일측 상단에 거치고정되고 상기 상부프레임(121)의 일측 하단을 떠받친 상태로 로드가 수직으로 진퇴작용케 됨에 따라 상부프레임(121)의 일측을 승강시켜 테이블구조체(1) 좌우방향 경사각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적합한 유압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작용관계 및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기계요소라 한다면 얼마든지 달리 채용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A)는, 중력 및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800)의 프레임구조체(810) 내측에 배치구성된 상태로 상기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800)을 통해 공급되는 분쇄형 광물을 유용광물과 불순광물로 분리(선별)하게 된다.
특히,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구조체(1)의 진동테이블(11)이 전후방향 일측 및 좌우방향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한 상태임에 따라 상기 진동발생수단(3) 동작에 의거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할 때에 물리적 특성(밀도, 경도, 결정 크기 등의 비중차)의 차등으로 중량이 서로 다른 광물 알갱이들이 분리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대적 중량이 작은 유용광물과 상대적 중량이 큰 불순광물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테이블(11)은 경사각과 진동수 및 그 진동에 의한 진폭, 그리고 상기 진동테이블(11) 밑에서 상기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800)의 덕트구조체(840)를 통해 상방으로 분출되는 압력기체의 세기조절을 통하여 광물 입자를 선별하게 되는바, 상기 진동테이블(11)은 분당 200 내지 600회 가량 진동하며 초기 움직임보다 되돌아가는 속도가 더 빠르게 설계되어 있어, 더 무거운 입자들이 상기한 선별스크린의 경사를 거슬러 오를 수 있다.
결국, 상기 진동테이블(11)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기울기 각도(경사각)라 할 수 있는바, 광물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진통테이블(11)의 경사각 조절을 통해 중량이 큰 불순광물만이 위로 오르게 할 수 있으며, 중량이 작은 유용광물은 도중에 떨어뜨리거나 선명한 경계를 만들 수 있다.
부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진동테이블(11) 운전(왕복운동)에 있어, 작은 입자일수록 높은 진동수를 필요로 한다거나 큰 입자일수록 짧은 진폭이 유리하다는 가이드라인이 존재하는바, 실제 선별효율은 세밀한 조작에도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적정 가이드라인은 반복적 실험에 의해 결정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별시스템(800) 구동에 따른 유용광물과 불순광물 분리의 선별공정을 설명하면, 선별하고자 하는 광물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선별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테이블구조체(1)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바, 이는 제1각도조절수단(4)에 의해 상기 진동테이블(11) 전후방향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2각도조절수단(5)에 의하여는 하부프레임(122) 좌우방향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것을 통해, 도 1a 내지 도 1c에서와 같이, 상기 테이블구조체(1)의 기울기(경사각) 변경(조절)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진동발생수단(3)을 작동시켜 그 진동발생수단(3)에 의해 상기 테이블구조체(1)가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토록 한다. 그로써, 정해진 진폭에서 상기 진동테이블(11)이 진동케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진동테이블(11) 상에 적치된 선별스크린(도시하지 않음) 위로 낙하수집된 알갱이 형태의 분쇄형 광물이 진동에 의거 진동테이블(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동(이동)하며, 그 과정에서 상기 진동테이블(11) 진동에 의해 중량이 큰 입자인 불순광물은 상기한 선별스크린의 굴곡을 타고 넘어 고도가 높은 일측으로 상승 이동케 되는 것에 의해 분리되고, 중량이 작은 입자인 유용광물은 선별스크린의 굴곡을 타고 넘어 고도가 낮은 타측으로 하향 거동에 의해 분리되며, 비중이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및 유사한 범위에 속하는 유용광물과 불순광물은 상기한 선별스크린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동 후 고도가 낮은 전방으로 이동케 되는 것에 의해 분리된다.
이때, 별도의 기체발생수단(송풍기)에서 생성된 압력기체가 상기 선별시스템(800)의 덕트구조체(840)를 통해 본 발명의 진동분리장치(A) 내부에서 상방으로 분출되는 것에 따라, 광물에 혼합된 미세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양되어 분리될 수 있으며, 이렇게 부양분리된 이물질은 선별시스템(800)의 기체회수장치(870)에 의거 포집(및 필터링)된 후 다시 상기 기체발생수단을 통해 덕트구조체(840)로 유입되는 순환흐름을 이어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이 진동테이블(11) 상에서 각각 분리된 광물 알갱이들은 상기 진동테이블(11)의 좌우 양측 끝단부 및 전방 끝단부에 각각 구성된 낙하유도부(111)에 의해 정해진 위치로 일률적으로 낙하되는 것이며, 그렇게 낙하되는 유용광물과 불순광물 그리고 유용광물 및 불순광물의 혼합물이 상기 선별시스템(800)의 제1,2,3회수호퍼(850-1)(850-2)(850-3)를 거쳐 각각의 제1,2,3이송컨베이어(860-1)(860-2)(860-3)에 수집된 후 정해진 장소로 이송되는 것에 의해 유용광물과 불순광물로 완전히 분리회수될 수 있다.
정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력과 풍력을 이용한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A)에 의하면, 선별하고자 하는 광물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상기 테이블구조체(1)의 진동테이블(11)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유용광물과 불순광물을 서로 분리해 해는 선별공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진동테이블(11)을 전후 양방향으로 유동시켜 정해진 진폭을 형성하는 상태로 진동을 유발하는 진동발생수단(3) 및 상기 상,하부프레임(121)(122)을 이어주는 복수의 연결링크(123) 각각에 구비된 제1,2완충유니트(123-4)(37)들에 의해 상기 진동발생수단(3) 동작시 발생하는 구동충격이 극소화됨으로써, 구동충격에 따른 장치고장 및 그로 인한 장치수명 단축의 문제가 간단히 해결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진동선별장치, 1 : 테이블구조체
2 : 베이스구조체, 3 : 진동발생수단
4 : 제1각도조절수단, 5 : 제2각도조절수단
11 : 진동테이블, 12 : 링크구조체
21 : 제2가이더베이스, 31 : 구동모터
32 : 샤프트어셈블리, 33 : 벨트와 풀리
34 : 동력전달샤프트, 35 : 링크패널
36 : 제1힌지브래킷, 37 : 제2완충유니트
111 : 낙하유도부, 112 : 제1회전가이더
113 : 제1힌지부, 121 : 상부프레임
121-1 : 제1가이더베이스, 122 : 하부프레임
122-1 : 제2회전가이더, 122-2 : 제2힌지부
123 : 연결링크, 123-1 : 링크아암
123-2 : 제2힌지브래킷, 123-3 : 제3힌지브래킷
123-4 : 제1완충유니트, 123-41, 371 : 연결대
123-42, 372 : 충격흡수부재, 123-43, 373 : 유니트하우징
124 : 텐션스프링, 311 : 회전축
321 : 캠샤프트, 321-1 : 편심부
322 : 유니버셜조인트, 323 : 편심캠
324 : 베어링, 325 : 샤프트하우징
331 : 구동풀리, 332 : 연동풀리
333 : 구동벨트

Claims (13)

  1. 낙하하는 분쇄형 광물의 수집 및 그렇게 수집된 광물이 유용광물과 불순광물로 서로 분리되는 수집물의 거동을 위해, 전후방향 일측과 좌우방향 일측으로 기울어지되 광물의 물리적 특성인 밀도와 경도 및 결정 크기를 고려한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구조체;
    상기 테이블구조체의 거치고정을 위한 베이스구조체;
    상기 베이스구조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테이블구조체에 연계결합된 상태로의 기계적 구동에 의거, 상기 테이블구조체를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시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한 진동발생수단;
    상기 테이블구조체에 설치된 상태로의 기계적 구동에 의거, 상기 테이블구조체의 전후방향 경사각을 조절하는 제1각도조절수단; 및,
    상기 테이블구조체와 상기 베이스구조체에 연계설치된 상태로의 기계적 구동에 의거, 상기 테이블구조체의 좌우방향 경사각을 조절하는 제2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구조체는, 상기 테이블구조체의 지상이격 배치를 위해 다수의 철제빔 연계결합에 의해 일정높이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테이블구조체의 연계설치 및 궤도회전을 안내하는 제2가이더베이스가 정해진 위치에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구조체는, 상기 제1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제2각도조절수단에 의해 전후방향 일측 및 좌우방향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며, 상기 진동발생수단 작동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상단의 지정위치에 낙하수집된 분쇄형 광물의 거동을 유발하여 유용광물과 불순광물이 서로 분리되도록 하는 진동테이블과,
    상기 진동테이블을 떠받쳐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구조체의 상부에 거치되는 링크구조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전력의 공급으로 동작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구동하는 샤프트어셈블리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에 연계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 동작시 상기 샤프트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벨트와 풀리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에 연계된 상태로, 상기 벨트와 풀리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을 하는 동력전달샤프트와,
    상기 동력전달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링크구조체의 정해진 위치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의 직선운동을 상기 진동테이블에 전달하는 링크패널과,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의 힌지결합을 위해, 상기 링크패널에 일체로 조립되는 제1힌지브래킷과,
    상기 제1힌지브래킷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로부터 전해지는 구동충격을 흡수하는 제2완충유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링크구조체의 일측 상단에 거치고정되고, 상기 진동테이블의 일측 하단을 떠받친 상태로 로드가 수직으로 진퇴작용케 됨에 따라, 상기 진동테이블의 일측을 승강시켜 상기 테이블구조체의 전후방향 경사각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유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진동테이블을 떠받쳐 지지하는 상기 링크구조체의 하부프레임 일측 상단에 거치고정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을 떠받쳐 지지하는 상기 링크구조체의 상부프레임 일측 하단을 떠받친 상태로 로드가 수직으로 진퇴작용케 됨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을 승강시켜 상기 테이블구조체의 좌우방향 경사각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유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테이블에는, 상기 진동발생수단에 의한 왕복운동시 상대적 중량이 서로 다른 유용광물과 불순광물이 횡으로 연속된 다수 굴곡의 경계를 타고 넘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선별스크린이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선별스크린에 의해 양측과 전방으로 각각 이동분리된 유용광물과 불순광물의 낙하안내를 위한 낙하유도부가 좌우 양측단부 및 전방 일측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각도조절수단에 의한 경사각 조절시의 회전안내를 위한 복수의 제1회전가이더와, 상기 진동테이블의 전후방향 경사각 조절시의 힌지포인트를 형성하는 제1힌지부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와 풀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 회전시 동시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샤프트어셈블리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구동풀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더불어 회전하는 연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연동풀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동력을 상기 연동풀리에 전달하여 상기 샤프트어셈블리가 회전구동토록 하는 구동벨트로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어셈블리는, 상기 연동풀리가 축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캠샤프트와, 상기 캠샤프트들의 축이음을 위한 유니버셜조인트와, 상기 캠샤프트에 힌지결합된 상태로의 편심운동으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가 직선운동을 이루도록 한 편심캠과, 상기 캠샤프트와 상기 편심캠 사이에서 상호마찰을 방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캠샤프트 각각의 힌지고정을 위한 복수의 샤프트하우징로 구성되며,
    상기 캠샤프트의 일부위에는, 상기 편심캠의 편심운동을 위해 축의 중심이 편심된 편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완충유니트는,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의 일측 선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사방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의 구동충격을 흡수하는 복수의 충격흡수부재와,
    상기 연결대 및 상기 충격흡수부재가 내재수용되는 유니트하우징으로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구조체는, 상기 진동테이블을 떠받쳐 지지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떠받쳐 지지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진동발생수단 작동에 의한 상기 상부프레임의 왕복운동을 돕는 복수의 연결링크와,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상부프레임 왕복운동시의 구동충격 흡수를 위한 텐션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제1회전가이더들의 연계조립 및 그 상태로의 상기 제1회전가이더의 궤도회전을 안내하는 제1가이더베이스가 상기 제1회전가이더의 대응위치에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제2각도조절수단에 의해 일측의 높이가 달라지는 경사각 조절시의 궤도회전을 안내하는 제2회전가이더와, 상기 진동테이블의 좌우방향 경사각 조절시의 힌지포인트를 형성하는 제2힌지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서로 연결한 상태로 상기 상부프레임의 왕복운동을 돕는 링크아암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연계되는 상기 링크아암 일측 선단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2힌지브래킷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연계되는 상기 링크아암 타측 선단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3힌지브래킷과,
    상기 제2힌지브래킷 및 상기 제3힌지브래킷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상부프레임 왕복운동에 따른 구동충격을 흡수하는 제1완충유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유니트는, 상기 링크아암의 각 선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사방에 밀착배치된 상태로, 상기 링크아암의 구동충격을 흡수하는 복수의 충격흡수부재와,
    상기 연결대 및 상기 충격흡수부재가 내재수용되는 유니트하우징으로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13. 제9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완충작용 및 형상복원의 능력이 발휘되는 신축성 소재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KR1020180161815A 2018-12-14 2018-12-14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KR102097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815A KR102097220B1 (ko) 2018-12-14 2018-12-14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815A KR102097220B1 (ko) 2018-12-14 2018-12-14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220B1 true KR102097220B1 (ko) 2020-04-09

Family

ID=7027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815A KR102097220B1 (ko) 2018-12-14 2018-12-14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2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5117A (zh) * 2020-07-21 2020-10-30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一种三维向量振动夹具
CN117427885A (zh) * 2023-12-20 2024-01-23 四川省冶金设计研究院 一种矿石筛分车
CN117960307A (zh) * 2024-04-01 2024-05-03 陕西天成航空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钛合金车削料碎料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1772A (ja) * 2008-06-02 2009-12-17 Taiyo Machinery Co Ltd 振動篩装置
KR101010940B1 (ko) 2008-07-31 2011-01-2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저등급 석탄의 고품위화 장치
KR101295133B1 (ko) * 2013-04-05 2013-08-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탄선별방법
JP5481687B2 (ja) * 2011-06-16 2014-04-23 太洋マシナリー株式会社 振動篩装置
KR101814788B1 (ko) * 2016-08-02 2018-01-30 에스제이 주식회사 유가 금속의 비중 선별을 위한 진동 테이블
KR101833424B1 (ko) 2016-08-18 2018-02-2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건식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1772A (ja) * 2008-06-02 2009-12-17 Taiyo Machinery Co Ltd 振動篩装置
KR101010940B1 (ko) 2008-07-31 2011-01-2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저등급 석탄의 고품위화 장치
JP5481687B2 (ja) * 2011-06-16 2014-04-23 太洋マシナリー株式会社 振動篩装置
KR101295133B1 (ko) * 2013-04-05 2013-08-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탄선별방법
KR101814788B1 (ko) * 2016-08-02 2018-01-30 에스제이 주식회사 유가 금속의 비중 선별을 위한 진동 테이블
KR101833424B1 (ko) 2016-08-18 2018-02-2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건식 분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5117A (zh) * 2020-07-21 2020-10-30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一种三维向量振动夹具
CN117427885A (zh) * 2023-12-20 2024-01-23 四川省冶金设计研究院 一种矿石筛分车
CN117427885B (zh) * 2023-12-20 2024-03-08 四川省冶金设计研究院 一种矿石筛分车
CN117960307A (zh) * 2024-04-01 2024-05-03 陕西天成航空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钛合金车削料碎料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220B1 (ko) 건식 광물 선별시스템용 진동분리장치
CN101693237B (zh) 基于运动合成的双质体自同步椭圆振动筛
US3971716A (en) Rock separator
KR100742861B1 (ko) 스크린의 낙하수송물 분산유도장치
KR101295154B1 (ko) 석탄선별장치
CN1750880A (zh) 破碎设备
CA2699206A1 (en) Screening apparatus
KR101295140B1 (ko) 석탄선별장치
KR101833424B1 (ko) 건식 분리 장치
JP2009291772A (ja) 振動篩装置
JPH03505840A (ja) 振動スクリーン式粉砕機
KR101434571B1 (ko) 쓰레기 재활용 자원선별시스템
CN212681284U (zh) 一种建筑废料杂质分离处理系统
KR101295133B1 (ko) 석탄선별방법
AU2002342378A1 (en) Sifting device
KR102363466B1 (ko) 크랭크 진동발생형 석탄 선별장치
US3235078A (en) Oscillating limestone shaker
KR20070008447A (ko)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
KR101856571B1 (ko) 편심 회전 운동을 이용한 건식 비중 선별 장치 및 방법
KR101416091B1 (ko) 생활계 재활용 대상 폐쓰레기에서 이물질 분리를 위한 다이나믹 선별 장치
KR101060754B1 (ko) 요동식 생활폐기물 선별분리기
KR100730877B1 (ko)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CA2983978C (en) Jaw crusher, mineral material processing plant and method for processing mineral material
CN117326272B (zh) 一种振动放矿机
CN212468800U (zh) 建筑垃圾初选重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