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624B1 - 연결대상물의 위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핑거조인트 - Google Patents
연결대상물의 위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핑거조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6624B1 KR102096624B1 KR1020190086621A KR20190086621A KR102096624B1 KR 102096624 B1 KR102096624 B1 KR 102096624B1 KR 1020190086621 A KR1020190086621 A KR 1020190086621A KR 20190086621 A KR20190086621 A KR 20190086621A KR 102096624 B1 KR102096624 B1 KR 1020966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ger
- gap
- slot
- double
- edg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핑거조인트 시공이 쉽고 재료비가 적게 소요되며, 유지, 보수도 수월하고 수리에 시간이 적게 소요되므로 차량 통행을 오랜 시간동안 방해하지 않아도 되고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는 연결대상물의 위치조절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연결대상물 위치 조절장치는 일단은 상기 제1구조물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2구조물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고 중앙부에 제1슬롯가이드가 구비된 제1링크기구, 제1링크기구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제1슬롯가이드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슬롯가이드가 중앙부에 구비된 제2링크기구 및 연결대상물의 연결부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부와 결합부의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어 제1슬롯가이드 및 제2슬롯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롯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결대상물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핑거조인트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가도로나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상부구조물 사이 등 틈새를 가지며 틈새의 간격이 변하는 두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핑거조인트(finger joint)에 구비되는 핑거부재의 위치조절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연결대상물의 위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핑거조인트의 개선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은 온도변화, 건조수축, 크리프(creep) 등에 따라 팽창되거나 수축되고, 차량 통행에 따른 동하중, 급정지 또는 급출발, 지진 등에 의해 이동된다. 이에 따라 교량의 시공 시 이웃하는 두 상부구조물 사이에는 교량 상판의 길이, 재료, 지지구조 등에 따라 적정한 틈새를 둔다. 이러한 상부 구조물과 상부구조물 사이에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데, 이러한 신축이음장치 중 틈새 위로 배치되는 플레이트를 두 상부구조물에 미끄럼접촉 하도록 설치하고, 밸런스 바(Balance bar)를 통해 이 플레이트를 지지하여 플레이트가 틈새의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공개번호 10-2015-0134536호(발명의 명칭: 밸런스 바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발명자: 정희경)에 개시되어 있다.
이 정희경의 신축이음장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아래쪽에 두 구조물의 가장자리를 따라 밸런스 바의 지지를 위한 여러 개의 슬라이딩 포켓을 설치해야 하는데, 슬라이딩 포켓의 구성이 복잡해서 만들기 어렵고 이러한 슬라이딩 포켓 여러 개가 슬라이딩 플레이트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구조물 가장자리에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까다로워 시공불량의 우려가 크다.
또한, 정희경의 신축이음장치는 길이가 길고 복잡한 형상의 슬라이딩 포켓을 두 구조물에 각각 설치해야 하므로 재료비 증가의 문제도 있다.
또한, 정희경의 신축이음장치는 밸런스 바의 유지, 보수를 위해서는 제1 내지 제3상부 플레이트와 제1 및 제2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모두 분해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작업도 까다롭다. 이에 따라 정희경의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교량에서는 신축이음장치 보수를 위해 차량의 통행을 제한해야하는 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정희경의 신축이음장치는 밸런스 바의 단부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슬라이딩 포켓과 슬라이딩 포켓에 결합되는 밸런스 바 사이에 어느 정도 유격이 필요한데, 유격이 양쪽에 필요하고 조금의 유격에도 밸런스 바가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정밀하게 만들지 않으면 제3 상부플레이트가 차량의 급출발이나 급제동 시 움직일 가능성이 크고, 이 경우 수명단축,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증가한다.
그 외에 신축이음장치 중 상부구조물의 신축 양이 매우 큰 곳에 사용되는 핑거조인트(Finger joint)의 경우, 두 지지점 간의 간격을 매우 크게 할 수밖에 없어서 필요한 핑거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일반적으로 생산되는 철판의 두께를 초과하므로 시중에서 구하기가 어렵다. 그뿐만 아니라 철판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철판이 무거워서 취급하기에 힘이 들고, 철판을 핑거 형태로 절단하고 표면을 매끈하게 가공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핑거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므로 이를 구조물에 고정하는 앵커의 직경과 깊이도 증가하고, 구조물 상부를 블록 아웃시키는 깊이를 깊게 해야 하므로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구조물의 강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핑거타입 신축이음장치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한 것으로, 핑거를 길게 형성하여 한쪽 구조물에 설치된 핑거가 타측 구조물의 지지를 받도록 하면서 교량의 교축방향의 신축과 교축 직각방향 변위를 흡수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 등록번호 10-1951734호(발명의 명칭: 교량의 핑거 조인트, 발명자: 김봉환)의 등록특허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김봉환의 핑거조인트는 강재로 된 핑거판, 베이스판, 많은 수의 볼트 등이 필요하고, 조립과정이 매우 복잡하다.
그 외에 신축이음장치 중에는 모듈러 조인트(Modular Joint)가 있으나, 이는 상부구조물의 신축 양이 매우 큰 곳에 사용되는 것인 경우, 부품 수가 매우 많고 그 구조도 복잡해져서 구조적 안정성이나 경제성 확보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쉽고 재료비가 적게 소요되는 핑거조인트 및 이를 위한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치조절장치의 유지, 보수가 쉽고, 유지, 보수에 시간이 적게 걸리는 핑거조인트 및 이를 위한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날 핑거부재의 자유 유동을 최소화하여 양날 핑거조인트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핑거조인트 및 이를 위한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핑거조인트 제작에 필요한 두꺼운 철판의 소요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시공과정이 복잡하지 않은 핑거조인트 및 이를 위한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핑거의 미끄럼 지지를 위해 별도의 베이스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핑거조인트 및 이를 위한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되는 볼트의 개수와 볼트 체결공정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핑거조인트 및 이를 위한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핑거 조인트는 틈새를 두고 배치되고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 수축되거나 지진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틈새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차량이 상기 틈새 위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주기 위한 핑거조인트로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핑거삽입홈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의 가장자리에 마주보고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핑거삽입판, 한 쌍의 상기 핑거삽입판의 복수의 상기 핑거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핑거삽입홈의 바닥에 걸쳐지게 양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핑거와 양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상기 핑거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양날 핑거부재 및 상기 양날 핑거부재 아래쪽에서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양날 핑거부재가 상방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틈새의 간격에 따라 신축되면서 상기 양날 핑거부재가 상기 틈새의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양날 핑거부재의 수평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대상물의 위치조절장치를 가지는 핑거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상물의 위치조절장치는, 일단은 상기 제1구조물에 수평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2구조물에 수평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틈새의 간격이 변함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고, 접히거나 펼쳐짐에 따라 상기 틈새의 폭방향 중심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슬롯가이드가 중앙부에 구비된 제1링크기구; 일단은 상기 제1구조물에 수평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2구조물에 수평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제1링크기구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틈새의 간격이 변함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고, 접히거나 펼쳐짐에 따라 상기 틈새의 폭방향 중심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1슬롯가이드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슬롯가이드가 중앙부에 구비된 제2링크기구; 상기 양날 핑거부재의 상기 연결부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의 좌우 양측에 상기 틈새의 길이방향으로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슬롯가이드 및 상기 제2슬롯가이드에 대해 상기 틈새의 폭방향 중심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1슬롯가이드 및 상기 제2슬롯가이드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틈새의 간격이 변함에 따라 상기 제1슬롯가이드 및 상기 제2슬롯가이드의 상기 틈새의 폭방향 중심부를 따른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롯을 가지는 슬롯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결합부의 결합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를 상기 연결부에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슬롯지지부재를 상기 틈새의 폭방향 중심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결합부의 위치를 상기 결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정확한 위치에서 상기 연결구를 통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연결구와 상기 양날 핑거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양날 핑거부재의 상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한 탄성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롯지지부재는 상기 틈새의 길이방향으로의 상기 결합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삭제
복수의 상기 핑거의 저면에는 상기 핑거삽입홈의 바닥에 미끄럼 접촉되며 회전수용을 위한 탄성을 갖는 탄성패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상기 핑거의 저면에 구면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면홈에는 상측에 상기 구면홈에 면접촉되는 볼록구면이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핑거삽입홈의 바닥에 면접촉되는 표면을 가지는 구면블록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핑거삽입홈은 상하로 관통되어 있고, 상기 핑거삽입판의 저면에 상기 핑거를 지지하는 베이스판이 설치될 수 있다.
때에 따라, 상기 핑거삽입판은 상측면과 하측면에 복수의 골부가 평행하게 각각 형성된 요철판, 상기 요철판의 저면에 간격을 두고 부착된 복수의 스터드 및 복수의 상기 스터드의 하측 일부를 남겨두고 상기 하측면의 상기 골부에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측면의 상기 골부의 깊이를 초과하는 부분에 타설되고 양생되어 상기 하측면의 복수의 상기 골부에 각각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체와, 상기 골부의 일측 바깥으로 벗어난 부분에 타설되고 양생되어 상기 하측면의 복수의 상기 골부에 각각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신축이음장치에 비해 핑거조인트 시공이 쉽고 재료비가 적게 소요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 보수도 수월하고 위치조절장치의 수리에 시간이 적게 소요되므로 차량 통행을 오랜 시간동안 방해하지 않아도 되고 위치조절장치를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날 핑거부재의 자유 유동을 최소화하여 양날 핑거조인트 등 연결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고 수명도 길다.
본 발명에 따르면, 때에 따라, 핑거판에 핑거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기 위해 두꺼운 철판을 핑거 형상으로 절단하는 작업이 필요치 않고, 절단되어 버려지는 재료도 없으므로 핑거조인트 제조에 따른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꺼운 철판 대신 얇은 철판을 굴곡하여 만들 수 있는 요철판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핑거삽입판을 만들 수 있고, 별도의 베이스판이 필요치 않아서 핑거조인트 제조에 따른 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핑거삽입판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 핑거조인트 설치 시 필요했던 복잡한 조립과정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공극 없이 고품질로 핑거삽입판을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대상물의 위치조절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 연결대상물의 위치조절장치를 이용한 핑거조인트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양날 핑거부재가 핑거삽입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4는 핑거 저면을 지지하는 구면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슬롯지지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양날 핑거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1 연결대상물 위치조절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양날 핑거부재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2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조인트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양날 핑거부재가 핑거삽입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12는 핑거삽입판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 핑거삽입판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14 내지 도 16은 제1, 제2링크기구와 슬롯지지부재의 결합상태의 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결합부가 슬롯지지부재에 이동 가능케 설치되는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 연결대상물의 위치조절장치를 이용한 핑거조인트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양날 핑거부재가 핑거삽입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4는 핑거 저면을 지지하는 구면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슬롯지지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양날 핑거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1 연결대상물 위치조절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양날 핑거부재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2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조인트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양날 핑거부재가 핑거삽입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12는 핑거삽입판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 핑거삽입판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14 내지 도 16은 제1, 제2링크기구와 슬롯지지부재의 결합상태의 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결합부가 슬롯지지부재에 이동 가능케 설치되는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대상물의 위치조절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 연결대상물의 위치조절장치를 이용한 핑거조인트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양날 핑거부재가 핑거삽입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제1구조물(10)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핑거삽입판 설치부(12)와 제2구조물(20)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핑거삽입판 설치부(22)에 핑거삽입홈(111g)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핑거삽입판(110)과 그 아래의 베이스판(120)을 각각 설치하고, 양측의 핑거삽입판(110)의 핑거삽입홈(111g)들에 양날 핑거부재(130)의 양측으로 돌출된 핑거(132)들을 각각 결합하여 베이스판(120) 상에 걸쳐지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핑거조인트(100)를 구성할 수 있다.
양날 핑거부재(130)는 양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핑거(132)와 양측의 핑거(132)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13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연결부(134)에는 볼트 등의 연결구(169)가 하방으로 통과될 수 있는 체결공(134a)과 연결구(169)를 구성하는 볼트의 머리 등이 수용되는 홈(134b)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이 실시예의 핑거조인트(100)는 양날 핑거부재(130) 아래쪽에서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연결대상물 위치조절장치(160)를 가진다. 이 위치조절장치(160)는 제1링크기구(161)와 제2링크기구(162), 슬롯지지부재(166) 및 연결구(169)를 가진다.
제1링크기구(161)는 한 쌍의 링크부재(LM)가 연결축(161a)을 통해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구성되고, 일단은 제1구조물(10)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타단은 제2구조물(20)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링크기구(161)는 틈새(G) 간격의 변화에 따라 틈새(G)의 폭방향으로 신축된다. 이러한 제1링크기구(161)는 바람직하게, 연결축(161a)과 동일선상으로 배치되어 뒤에서 설명되는 슬롯지지부재(166)의 슬롯(167)에 결합되는 제1슬롯가이드(161b)를 가진다. 제1슬롯가이드(161b)는 제1링크기구(161)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이 제1슬롯가이드(161b)는 슬롯(167)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링크기구(161)의 신축에 따라 틈새(G)의 폭방향 중심부를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제1슬롯가이드(161b)는 바람직하게, 연결축(161a)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연결축(161a)에 결합되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링크기구(162)는 접히는 방향만 다를 뿐 제1링크기구(161)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즉, 제2링크기구(162) 역시 한 쌍의 링크부재(LM)가 연결축(162a)을 통해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구성되며, 일단은 제1구조물(10)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타단은 제2구조물(20)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다. 제2링크기구(162)는 틈새(G) 간격의 변화에 따라 제1링크기구(161)와 같은 정도로 틈새(G)의 폭방향으로 신축되며, 틈새(G)의 간격의 변화에 따라 틈새(G)의 폭방향 중심부를 따라 이동되는 제2슬롯가이드(162b)를 구비한다. 제2슬롯가이드(162b)는 제2링크기구(162)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2링크기구(162)는 틈새(G)의 폭방향으로 결합부(168)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 또는 틈새(G)의 길이방향(교축직각 방향)에 수직인 결합부(168)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링크기구(161)와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의 마주보는 벽면에는 제1링크기구(161)와 제2링크기구(162)를 회동 가능케 지지하기 위한 회동지지부재(H)가 별도로 설치된다. 제1링크기구(161)와 제2링크기구(162)의 연결위치를 같은 지점으로 하는 경우, 제1링크기구(161)와 제2링크기구(162)는 단부가 상하로 중첩된 상태에서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1링크기구(161)와 제2링크기구(162)를 같은 높이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링크기구(161)의 단부와 제2링크기구(162)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절곡하여 중첩한 상태로 같은 축에 결합하는 등 다양한 결합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제1링크기구(161)와 제2링크기구(162)는 회동지지부재(H)의 같은 지점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교축직각방향으로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슬롯지지부재(166)는 양날 핑거부재(130)와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양날 핑거부재(130)의 연결부(134)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부(168)를 가진다. 결합부(168)로는 연결구(169)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연결구(169)가 볼트라면 결합부(168)는 암나선이 형성된 홈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결합부(168)의 양측으로 슬롯(167)이 구비된다. 슬롯(167)은 틈새(G)의 길이방향으로 또는 교축직각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제1슬롯가이드(161b) 및 제2슬롯가이드(162b)와 각각 결합되어 틈새(G)의 간격이 변함에 따라 제1슬롯가이드(161b) 및 제2슬롯가이드(162b)의 이동을 안내한다. 슬롯지지부재(166)의 슬롯(167) 내부를 따라서는 제1슬롯가이드(161b) 및 제2슬롯가이드(162b)가 결합되어 상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홈(167a)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2슬롯가이드(161b, 162b)와의 쉬운 조립을 위해 걸림홈(167a)은 적어도 일 측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양날 핑거부재(130)는 볼트 등으로 구성되는 연결구(169)를 통해 결합부(168)에 연결된다.
도2를 참고하면, 위치조절장치(160) 아래쪽에 물받이(170)가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의 벽면에 지지되어 있다.
도 1 내지 3의 상태에서 틈새(G)의 간격이 좁아지면 제1링크기구(161)와 제2링크기구(162)는 접히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슬롯가이드(161b)와 제2슬롯가이드(162b)는 슬롯(167)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로 멀어진다. 틈새(G)의 간격이 벌어지면 제1링크기구(161)와 제2링크기구(162)는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슬롯가이드(161)와 제2슬롯가이드(162)는 슬롯(167)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로 가까워진다. 양날 핑거부재(130)는 틈새(G)의 간격변화에 상관없이 항상 틈새(G)의 중앙부 위치에 유지된다.
위와 같은 위치조절장치(160)는 제1, 제2구조물(10, 20)의 열변형 등에 의해 틈새(G)의 간격이 변함에 따라 신축되면서 양날 핑거부재(130)가 틈새(G)의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양날 핑거부재(130)가 상방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위치조절장치(160)는, 양날 핑거부재(130) 상부에서 차량이 급정지하거나 출발 시 양날 핑거부재(130)에 큰 수평력이 작용하더라도 양날 핑거부재(130)가 틈새(G)의 한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제1슬롯가이드(161b)와 제2슬롯가이드(162b)가 결합부(168)를 중심으로 같은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서 슬롯 지지부재(166)를 균형 있게 잡아주고, 4개의 링크부재(LM)가 슬롯 지지부재(166)를 잡아주므로 큰 힘으로 양날 핑거부재(130)를 지지한다. 이 경우에도 각 핑거(132)의 저면에는 폴리트론 퍽(polytron puck) 등의 탄성패드(139a)나 뒤에서 설명되는 구면블록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3을 통해 설명한 실시 예의 핑거조인트(100)는 양날 핑거부재(130)의 양쪽 핑거(132)가 각각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의 전체 신축량의 반씩 분담하여 신축을 허용하므로, 각 핑거(132)의 길이와 핑거삽입판(110)의 핑거삽입홈(111g)의 길이는 한쪽 핑거만 핑거삽입홈에 삽입되는 형태의 것에 비해 짧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료가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는 슬라이딩 포켓을 양쪽 구조물에 각각 설치하는 대신 중앙에 슬롯지지부재(166) 하나만 구비하면 되므로, 재료비가 적게 들고, 연결대상물 위치조절장치(160)의 설치공정이 복잡하지 않아서 콘크리트 타설의 곤란성으로 인한 시공불량의 염려는 없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핑거조인트(100)에서, 위치조절장치(160)는 연결구(169)를 풀고 양날 핑거부재(130)만 분해하면 신속하게 수리를 할 수 있어서 교통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유지, 보수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핑거조인트(100)에서, 위치조절장치(160)는 제1, 제2슬롯가이드(161b, 162b)와 슬롯지지부재(166) 간의 1곳의 유격만 정밀하게 조정하면 되므로 차량의 시, 제동력에 의해 양날 핑거부재(130)가 유동될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수명연장 및 안전사고 발생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도 4는 핑거 저면을 지지하는 구면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때에 따라, 양날 핑거부재(130)의 핑거(132) 저면에는 구면홈(135)을 형성하고, 이 구면홈(135)에 면접촉하는 볼록구면(152)이 상면에 형성되고 저면은 평면(154)으로 된 구면블록(150)을 핑거(132) 저면에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핑거(132)의 단부가 상방으로 들리거나 하방으로 내려갈 때 또는 양날 핑거부재(130)가 하중에 의해 휨 변형을 일으킬 때 핑거(132) 또는 양날 핑거부재(130)의 상하 회동을 허용하고, 양날 핑거부재(130)의 회동을 부드럽게 받아줄 수 있다. 구면블록(150)으로는 철판과 마찰계수가 작은 PTFE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만든 것이 적당하고, 때에 따라, 금속재로 된 것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슬롯지지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앞의 도 1 내지 4를 함께 참고하면서 설명한다.
때에 따라, 슬롯지지부재(166)의 중앙부에도 슬롯(167)을 형성하여 앞에서 설명한 양날 핑거부재(130)가 연결되는 결합부(168)가 슬롯(167)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 연결구(169)를 이용하여 양날 핑거부재(130)의 연결부(134)를 결합부(168)에 연결할 때 결합부(168)와 연결부(134)의 위치가 조금 어긋나게 설치되더라도 결합부(168)를 연결부(134) 직하방의 연결구(169)의 결합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시켜 연결 할 수 있어서 핑거조인트 설치작업이 수월하다.
제1슬롯가이드(161b)와 제2슬롯가이드(162b) 및 결합부(168)가 각각 결합되는 슬롯(167)은 전체가 연결된 하나로 형성되거나 각각 분리된 채로 형성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6은 양날 핑거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때에 따라, 양날 핑거부재(130)는 여러 개의 양날 핑거(132a)를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용접이나 볼팅 등으로 연결부(134)에 고정한 구성을 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3을 통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7은 도 1 연결대상물 위치조절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때에 따라, 제1링크기구(161)와 제2링크기구(162)는 제1구조물(10) 및 제2구조물(20)에 연결되는 위치를 달리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링크기구(162)의 양단은 제1구조물(10) 및 제2구조물(20)에 각각 연결되는 제1링크기구(161)의 양단의 연결위치에서 틈새(G)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회동 가능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링크부재(LM)의 단부를 절곡하지 않고도 제1링크기구(161)와 제2링크기구(162)를 같은 높이로 설치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8은 양날 핑거부재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앞의 도 1 내지 3 및 5를 함께 참고하면서 설명한다.
때에 따라 양날 핑거부재(130)의 연결부(134)에 연결구(169) 결합을 위한 체결공(134a)과 홈(134b)을 장공으로 형성하여 그 아래에 설치되는 연결대상물의 위치조절장치(160)에 형성된 결합부(168)의 위치에 맞추어 연결구(169)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연결대상물 위치조절장치(160)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핑거조인트(100) 설치작업이 수월해진다. 양날 핑거부재(130)는 하중을 많이 받는 부재이므로, 체결공(134a)과 홈(134b)의 길이는 최소로 또는 앞 실시 예에서와 같이 구성 하고, 결합부(168)가 슬롯(167)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9는 도 2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때에 따라, 연결구(169)와 연결대상물인 양날 핑거부재(160) 사이에 양날 핑거부재(130)의 상하 회동을 더 원활하게 허용할 수 있도록 탄성재(163)를 설치할 수 있다. 탄성재(163)는 연결구(169)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로 홈(134b)에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핑거(132) 저면에는 탄성패드(139a) 대신 PTFE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황동 등의 금속으로 된 경질의 미끄럼 블록이 설치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조인트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양날 핑거부재가 핑거삽입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12는 핑거삽입판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 핑거삽입판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제1구조물(10)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핑거삽입판 설치부(12)와 제2구조물(20)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핑거삽입판 설치부(22)에 핑거삽입판(110)을 각각 설치하고, 양측의 핑거삽입판(110) 상측면의 골부(111a)들에 양날 핑거부재(130)의 양측으로 돌출된 핑거(132)들을 각각 결합하여 걸쳐지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핑거조인트(100)를 구성할 수 있다. 연결구(169)와 양날 핑거부재(130) 사이에는 탄성재(163)가 개재될 수 있다.
핑거삽입판(110)은 상측면과 하측면에 복수의 상, 하측면의 골부(111a, 111b)가 평행하게 각각 형성된 요철판(111)을 구비한다. 이 요철판(111)으로는 철판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철판의 두께로는 3-5㎜의 것이 적당하다. 골부(111a, 111b)의 폭은 약 50㎜ 전후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골부(111a, 111b)의 깊이는 30~100㎜ 정도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반드시 이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교량의 종류나 크기 등과 현장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증감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판(111)으로는 스테인리스 스틸판, 녹방지 처리가 된 철판 등의 철판이 바람직하지만, 철판 이외의 금속판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황동 등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 수 있는 여타의 합금으로 된 금속판도 이용될 수 있다. 또, 때에 따라, 요철판(111)으로는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되 상방으로 향하는 상측면의 골부(111a)의 바닥에 스테인리스 스틸판, PTFE 판 등의 미끄럼판을 설치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어떤 경우에는 경도가 높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된 요철판(111)이 사용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요철판(111)은 바람직하게, 평판으로 된 철판 등의 금속판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요철판으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때에 따라, 용융된 금속을 압출 또는 주조로 만들거나 용융된 플라스틱을 압출 또는 주조로 만들 수 있다.
도 12와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요철판(111)의 저면에는 스터드(113) 들이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다.
또한, 요철판(111)의 저면에는 복수의 스터드(113)의 하측 일부를 남겨두고 하측면의 골부(111b)에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CR)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요철판(111)의 저면에는 하측면의 골부(111b)뿐만 아니라 하측면의 골부(111b)의 깊이를 초과하는 높이까지 콘크리트가 함께 타설되고 양생되어 하측면의 골부(111b)의 콘크리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체(1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요철판(111)의 일 측면에는 요철판(111)의 길이방향 일 측면을 벗어나는 위치까지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어 하측면의 골부(111b)의 콘크리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체(114)가 함께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핑거삽입판(110)의 상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돌출부(112)들과 이웃하는 돌출부(112)들 사이에 뒤에서 설명되는 양날 핑거부재(130)의 핑거(132)가 삽입되어 지지되며, 제1, 제2구조물(10, 20)의 신축에 따라 핑거(132)가 틈새의 폭방향(교량의 경우 교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상측면의 골부(111a)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구비된다. 이 상측면의 골부(111a)의 폭은 뒤에서 설명되는 핑거(132)의 폭보다 크게 하여, 핑거(132)가 원활하게 교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소정 각도 수평방향으로의 회전 및 교축직각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한다. 이는 이웃하는 두 핑거(132)들 사이의 공간의 폭과 이 공간에 삽입되는 돌출부(112)의 폭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요철판(111)의 하측면의 골부(111b)를 벗어난 콘크리트(CR)와 요철판(111)의 일 측면 단부 바깥의 콘크리트(CR)는 하측면의 골부(111b)에 각각 형성된 막대 형상의 콘크리트(CR)를 하나로 연결하는 연결체(114)의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핑거삽입판(110)은 제1, 제2구조물(10, 20) 가장자리의 콘크리트를 제거하고 치핑 등의 작업으로 형성한 핑거삽입판 설치부(12, 22)에 각각 장착되어 콘크리트 타설로 고정된다.
양날 핑거부재(130)의 자유단 쪽 단부 저면, 즉, 핑거(132)의 저면에 바람직하게, 탄성패드(139a)가 설치된다. 탄성패드(139a)는 핑거(132)의 저면에 홈을 형성하고, 홈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탄성패드(139a)는 요철판(111)으로 이루어진 상측면의 골부(111a)의 바닥에 미끄럼 접촉되며 양날 핑거부재(130)의 회전을 수용하고 차량통과 시 양날 핑거부재(130)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도 한다.
탄성패드(139a) 대신 PTFE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된 미끄럼부재나 앞에서 설명한 구면블록이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조인트(100)는 스터드(113)가 설치된 요철판(111)에 콘크리트(CR)를 타설하여 만든 핑거삽입판(110)을 사용함으로써 핑거(132)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판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핑거(132)가 삽입되어 유동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기 위해 두꺼운 철판을 절단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고, 핑거삽입판(110)을 구조물 가장자리에 통째로 장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핑거삽입판(110)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일일이 핑거삽입판을 고정하는 등의 복잡한 조립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핑거삽입판을 만들기 위한 두꺼운 강재가 필요치 않고, 필요한 볼트와 너트의 수량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제1구조물(10)의 벽면과 제2구조물(20)의 벽면 사이에 설치된 것은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받이(170)이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4 내지 도 16은 제1, 제2링크기구와 슬롯지지부재의 결합상태의 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7은 결합부가 슬롯지지부재에 이동 가능케 설치되는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 제2링크기구는 설치방향만 다를 뿐 같은 구조를 가지므로 함께 설명한다.
도 14에서 제1, 제2링크기구(161, 162)를 구성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LM)는 연결축(161a)을 통해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있다. 슬롯지지부재(166)에 형성된 슬롯(167)의 내면을 따라 걸림홈(167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제2슬롯가이드(161b, 162b)는 걸림홈(167a)에 결합된 상태로 슬롯(167)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연결축(161a)은 슬롯(167)을 통해 제1, 제2슬롯가이드(161b, 162b)와 결합되어 있고, 연결축(161a)의 상하 양단에 너트(N)가 결합되어 있다. 슬롯지지부재(166)는 상부 슬롯부재와 하부 슬롯부재 두 개를 용접이나 여타 결합수단을 통해 상하로 결합하여 구성하거나 왼쪽 슬롯부재와 오른쪽 슬롯부재 두 개를 좌우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때에 따라, 걸림홈(167a)을 한쪽으로 개방되게 하여 하나의 부재로 슬롯지지부재(166)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슬롯지지부재(166)는 측면개구(166a)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링크부재(LM)는 이 측면개구(166a)를 통해 슬롯지지부재(166) 내부로 삽입되어 연결축(161a)을 통해 회동 가능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축(161a)은 슬롯(167)에 삽입되어 제1, 제2슬롯가이드(161b, 162b)의 역할을 한다. 슬롯지지부재(166) 내부의 연결축(161a)의 외주면에는 홈을 형성하고 이탈방지링(R)을 끼워서 연결축(161a)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하로 중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LM) 사이의 연결축(161a) 외주면에는 미끄럼재(SM)를 삽입하여 한 쌍의 링크부재(LM)가 원활하게 서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시 예의 슬롯지지부재(166) 역시, 상하 또는 좌우로 분할된 것을 결합하여 구성하거나 하나의 부재에 슬롯(167)과 측면개구(166a)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한 쌍의 링크부재(LM) 중 하나는 슬롯지지부재(166) 상측면에 층상으로 배치하고, 나머지 하나는 슬롯지지부재(166) 하측면에 층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슬롯(167)을 통과하는 연결축(161a)을 통해 한 쌍의 링크부재(LM)를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결대상물 위치조절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축(161a)은 볼트로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연결축(161a)에는 너트(N)를 결합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실시 예에서도, 연결축(161a)은 슬롯(167)에 삽입되어 제1, 제2슬롯가이드(161b, 162b)의 역할을 한다.
이때, 링크부재(LM)와 슬롯지지부재(166) 사이 및/또는 볼트 또는 너트(N)와 링크부재(LM) 사이에는 미끄럼재(SM)가 개재될 수 있다. 때에 따라, 미끄럼재(SM)는 링크부재(LM)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미끄럼재를 장착하여 링크부재(LM)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제1, 제2링크기구(161, 162)와 슬롯지지부재(166)의 결합형태는 앞에서 설명한 형태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결합부(168)의 측면에 측면홈(168a)이 형성되고, 이 측면홈(168a)을 통해 결합부(168)가 슬롯지지부재(166)의 슬롯(167)에 결합되어 슬롯(167)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결합부(168)에는 연결구(169)의 결합을 위해 나선이 형성된 체결공(168b)이 형성될 수 있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은 교량 상판 등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두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 외에 연결대상물의 위치를 두 구조물의 사이의 틈새의 중앙부에 유지할 필요가 있는 장치나 구조물이라면 여타의 것에도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 제1구조물 20: 제2구조물
100: 핑거조인트 110: 핑거삽입판
111: 요철판 111a, 111b: 골부
112: 돌출부 113: 스터드
114: 연결체 130: 양날 핑거부재
132: 핑거 134: 연결부
139a: 탄성패드 150: 구면블록
160: 위치조절장치 161: 제1링크기구
161b: 제1슬롯가이드 162b: 제2슬롯가이드
162: 제2링크기구 166: 슬롯지지부재
167: 슬롯 168: 결합부
169: 연결구 170: 물받이
100: 핑거조인트 110: 핑거삽입판
111: 요철판 111a, 111b: 골부
112: 돌출부 113: 스터드
114: 연결체 130: 양날 핑거부재
132: 핑거 134: 연결부
139a: 탄성패드 150: 구면블록
160: 위치조절장치 161: 제1링크기구
161b: 제1슬롯가이드 162b: 제2슬롯가이드
162: 제2링크기구 166: 슬롯지지부재
167: 슬롯 168: 결합부
169: 연결구 170: 물받이
Claims (11)
- 틈새를 두고 배치되고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 수축되거나 지진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틈새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차량이 상기 틈새 위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주기 위한 핑거조인트로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핑거삽입홈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의 가장자리에 마주보고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핑거삽입판, 한 쌍의 상기 핑거삽입판의 복수의 상기 핑거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핑거삽입홈의 바닥에 걸쳐지게 양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핑거와 양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상기 핑거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양날 핑거부재 및 상기 양날 핑거부재 아래쪽에서 상기 제1구조물과 상기 제2구조물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양날 핑거부재가 상방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틈새의 간격에 따라 신축되면서 상기 양날 핑거부재가 상기 틈새의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양날 핑거부재의 수평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대상물의 위치조절장치를 가지는 핑거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상물의 위치조절장치는,
일단은 상기 제1구조물에 수평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2구조물에 수평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틈새의 간격이 변함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고, 접히거나 펼쳐짐에 따라 상기 틈새의 폭방향 중심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슬롯가이드가 중앙부에 구비된 제1링크기구;
일단은 상기 제1구조물에 수평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2구조물에 수평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제1링크기구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틈새의 간격이 변함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고, 접히거나 펼쳐짐에 따라 상기 틈새의 폭방향 중심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1슬롯가이드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슬롯가이드가 중앙부에 구비된 제2링크기구;
상기 양날 핑거부재의 상기 연결부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의 좌우 양측에 상기 틈새의 길이방향으로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슬롯가이드 및 상기 제2슬롯가이드에 대해 상기 틈새의 폭방향 중심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1슬롯가이드 및 상기 제2슬롯가이드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틈새의 간격이 변함에 따라 상기 제1슬롯가이드 및 상기 제2슬롯가이드의 상기 틈새의 폭방향 중심부를 따른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롯을 가지는 슬롯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결합부의 결합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를 상기 연결부에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슬롯지지부재를 상기 틈새의 폭방향 중심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결합부의 위치를 상기 결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정확한 위치에서 상기 연결구를 통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조인트. - 삭제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연결구와 상기 양날 핑거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양날 핑거부재의 상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한 탄성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조인트.
- 제1항에서, 상기 슬롯지지부재는 상기 틈새의 길이방향으로의 상기 결합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조인트.
- 삭제
- 제1항에서, 복수의 상기 핑거의 저면에는 상기 핑거삽입홈의 바닥에 미끄럼 접촉되며 회전수용을 위한 탄성을 갖는 탄성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조인트.
- 제1항에서, 복수의 상기 핑거의 저면에 구면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면홈에는 상측에 상기 구면홈에 면접촉되는 볼록구면이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핑거삽입홈의 바닥에 면접촉되는 표면을 가지는 구면블록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조인트.
- 제1항에서, 상기 핑거삽입홈은 상하로 관통되어 있고,
상기 핑거삽입판의 저면에 상기 핑거를 지지하는 베이스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조인트. - 제1항에서, 상기 핑거삽입판은 상측면과 하측면에 복수의 골부가 평행하게 각각 형성된 요철판, 상기 요철판의 저면에 간격을 두고 부착된 복수의 스터드 및 복수의 상기 스터드의 하측 일부를 남겨두고 상기 하측면의 상기 골부에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조인트.
- 제10항에서, 상기 하측면의 상기 골부의 깊이를 초과하는 부분에 타설되고 양생되어 상기 하측면의 복수의 상기 골부에 각각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체와, 상기 골부의 일측 바깥으로 벗어난 부분에 타설되고 양생되어 상기 하측면의 복수의 상기 골부에 각각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조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6621A KR102096624B1 (ko) | 2019-07-17 | 2019-07-17 | 연결대상물의 위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핑거조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6621A KR102096624B1 (ko) | 2019-07-17 | 2019-07-17 | 연결대상물의 위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핑거조인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6624B1 true KR102096624B1 (ko) | 2020-04-02 |
Family
ID=70281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6621A KR102096624B1 (ko) | 2019-07-17 | 2019-07-17 | 연결대상물의 위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핑거조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662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09515A (zh) * | 2020-08-11 | 2020-10-23 | 成都市长大路桥科技有限公司 | 一种梳齿型伸缩装置 |
KR102214795B1 (ko) * | 2020-05-13 | 2021-02-10 |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 연결대상물의 위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핑거조인트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09313A (ja) * | 1996-02-07 | 1997-08-12 | Kawaju Koji Kk | 橋梁主桁の耐震連結装置 |
JP2014169531A (ja) * | 2013-03-01 | 2014-09-18 | Dooei Gaiso Kk | 床用目地装置 |
KR20150134536A (ko) * | 2014-05-22 | 2015-12-02 | 포인텍이앤씨(주) | 밸런스 바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2019
- 2019-07-17 KR KR1020190086621A patent/KR10209662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09313A (ja) * | 1996-02-07 | 1997-08-12 | Kawaju Koji Kk | 橋梁主桁の耐震連結装置 |
JP2014169531A (ja) * | 2013-03-01 | 2014-09-18 | Dooei Gaiso Kk | 床用目地装置 |
KR20150134536A (ko) * | 2014-05-22 | 2015-12-02 | 포인텍이앤씨(주) | 밸런스 바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4795B1 (ko) * | 2020-05-13 | 2021-02-10 |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 연결대상물의 위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핑거조인트 |
CN111809515A (zh) * | 2020-08-11 | 2020-10-23 | 成都市长大路桥科技有限公司 | 一种梳齿型伸缩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63360B2 (en) | Finger joint with a bridging cover plate | |
KR102096624B1 (ko) | 연결대상물의 위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핑거조인트 | |
US4824068A (en) | Flexible form for street and sidewalk curbs | |
KR100783010B1 (ko) | 쐐기부재를 가지는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트랙 | |
KR102142249B1 (ko) | 빔 조립체 및 그 것으로 건립된 건설물 | |
JP6846322B2 (ja) | プレキャスト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 |
KR102103574B1 (ko) | 핑거조인트, 핑거조인트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핑거지지판과 그 제조방법 | |
KR101418758B1 (ko) | 원호형 변단면 강재 거더, 원호형 변단면 강재 거더를 갖는 교량 및 원호형 변단면 강재 거더의 제조방법 | |
KR102170261B1 (ko) |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구조 | |
KR101293331B1 (ko) |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분력을 이용한 수평변위 조절기구와 교좌장치 | |
KR102096371B1 (ko) | 걸침판부를 가지는 핑거 조인트 | |
JP2006312841A (ja) | 構造物移動制限用ストッパ装置 | |
JP2777919B2 (ja) | 橋桁の支承方法 | |
JP4552229B2 (ja) | 橋梁用弾性支承 | |
KR102214795B1 (ko) | 연결대상물의 위치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핑거조인트 | |
KR200338431Y1 (ko) | 교량의 충격하중 분산 교좌장치 | |
KR100225536B1 (ko) | 교량상판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790616B1 (ko) | 스페리컬 교좌 장치 | |
JP4112831B2 (ja) | 柵用手摺ビーム固定構造 | |
KR102651760B1 (ko) | 양방향 격리 핑거 조인트 | |
KR20210012699A (ko) | 교량받침 및 이를 이용하는 보수공법 | |
KR20060018580A (ko) | 교량의 탄성받침 | |
KR102688888B1 (ko) | 타이바 삽입홈이 형성된 골형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철골 수평 조립체 | |
KR200242581Y1 (ko) | 강구조 트러스 거더교량 교좌 장치 | |
JP2005534836A (ja) | 結合エレメン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