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439B1 -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439B1
KR102096439B1 KR1020170144624A KR20170144624A KR102096439B1 KR 102096439 B1 KR102096439 B1 KR 102096439B1 KR 1020170144624 A KR1020170144624 A KR 1020170144624A KR 20170144624 A KR20170144624 A KR 20170144624A KR 102096439 B1 KR102096439 B1 KR 10209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evaluating
measuring
disability
volun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117A (ko
Inventor
장성호
서정표
손수민
김재룡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4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439B1/ko
Priority to PCT/KR2018/012786 priority patent/WO2019088581A1/ko
Publication of KR20190049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2Diagnosing or monitoring movement diseases, e.g. Parkinson, Huntington or Touret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Abstract

본 출원은, 경상 운동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제1 및 제2 기준부 및 제1 및 제2 기준부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수의적 및 불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측정부를 포함함으로써, 경상 운동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뇌졸중 후유증에 대한 초기 대처를 유연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MIRROR MOVEMENT EVALUATION DEVICE AND METHOD OF EVALUATING A PATIENT`S DISABILITY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상 운동(Mirror movement)은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의 일종으로서, 어떤 상황에서 한 손을 움직이려고 할 때 반대쪽 손의 독립적인 운동 조절이 감소하게 되어 동일한 근육에서 대칭적이고 불수의적인 움직임이 나타나는데, 이를 경상 운동이라 한다.
상기 경상 운동은 뇌졸중 후유증의 지표로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불수적인 움직임이 큰 경우,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이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에는 전문가(의사)가 눈으로 양 손에서 발생하는 수의적 및 불수의적 움직임을 비교하였고, 이로부터 주관적 판단 하에 손의 경상 운동을 평가했으며, 따라서, 눈으로 판별하기 어려운 미세한 경상 운동의 경우 미처 발견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뇌졸중의 후유증은 초기 재활 치료가 중요한데, 기존 방법으로는 전문가의 주관적인 판단 착오로 인해 초기 재활 치료에 대처가 늦어지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한 경상 운동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후유증에 대한 초기 대처를 유연하게 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출원은 미세한 경상 운동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통해 장애 등급을 평가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등급 평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으로 발생하는 손의 경상운동(Mirror Movement)을 평가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고,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제 1 및 제2 기준부와, 상기 제1 기준부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 및 상기 제2 기준부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를 포함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가 제공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경상 운동 평가 장치는,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제1 및 제2 기준부 및 상기 기준부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수의적 및 불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측정부를 포함함으로써, 경상 운동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뇌졸중 후유증에 대한 초기 대처를 유연하게 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경상 평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은 경상 운동(Mirror Movement)을 평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으로 발생하는 손의 경상운동을 평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경상 운동 평가 장치는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제1 및 제2 기준부와, 상기 제1 및 제2 기준부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수의적 움직임 및 불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측정부를 포함함으로써, 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미세한 경상 운동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이 가능하여,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에 대한 초기 대처를 유연하게 할 수 있고, 환자가 개인화된 치료 체계를 결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및 2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경상 운동 평가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경상 운동 평가 장치는 기준부 및 측정 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경상 운동 평가 장치는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고,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제 1 및 제2 기준부(10, 20)와, 상기 제1 기준부(10) 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30) 및 상기 제2 기준부(20) 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40)를 포함한다. 상기 경상 운동 평가 장치는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제1 및 제2 기준부(10, 20) 및 양 손의 수의적 및 불수의적 움직임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의 측정부(30, 40)가 마련됨으로써, 미세한 경상 운동이 발생하더라도 정확하고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용어 「수의적 움직임」은 환자의 의지 여부에 따라 동일한 근육에서 대칭적으로 발생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예를 들어, 환자의 의지대로 독립적인 운동 조절이 가능한 근육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용어 과 「불수의적 움직임」은 상기 수의적 움직임과 동일한 근육에서 대칭적이고, 환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독립적인 운동 조절이 감소한 움직임을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기준부(10, 20)는 각각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준부(10, 20)는 각각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를 주 구성으로 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에서 편의상 제1 기준부와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제2 기준부와 제2 지지 플레이트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기준부(10,20)에 마련된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이격 거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0 cm 내지 80cm의 범위일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상기 범위 내에서 이격 거리는 조절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가이드 라인은 손 모양이고, 대칭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0, 20)의 일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플레이트(10)의 일면에 왼손의 모양으로 가이드 라인이 표시된 경우, 제2 지지 플레이트(20)의 일면에는 오른손의 모양으로 가이드 라인이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원의 경상 평가 운동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 지지 플레이트(10)의 일면에 표시된 가이드 라인에 왼손을 편 상태로 손등 측을 밀착시키고,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지지 플레이트(20) 일면에 표시된 가이드 라인에 오른손을 편 상태로 손등 측을 밀착시키는 준비 과정이 요구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가이드 라인이 표시된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0, 20)의 일면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0, 20)의 크기 및 모양은 손 모양의 가이드 라인이 표시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기준부는 각각 사용자의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함으로써, 제1 및 제2 측정부(30, 40)에서 양 손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을 동일한 기준점(a)에서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제1 또는 제2 평가 수단은 양 손의 이동 거리 또는 이동 각도를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객관적이고 정확한 장애 등급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손의 모양을 가지는 가이드 라인은 내부에 기준선(b)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기준선(b)은 손의 길이 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상 운동을 평가하기 전 사용자는 상기 기준선(b)에 손등 측의 손 허리 손가락 관절을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측정부는 양 손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더욱 정확한 기준점(a)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에서 상기 용어 「기준점(a)」은 제1 및 제2 측정부에 위치한 양 손이 움직이기 직전 가이드 레일 상에 위치한 지점을 의미하고, 상기 기준점(a)에서 수의적 및 불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거리는 0이며, 후술하는 수의적 및 불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각도는 0°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30, 40)는 손가락이 손바닥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손가락 말단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가락은 중지 손가락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30, 40)는 중지 손가락의 이동 경로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 레일(31, 41)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31, 41)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바(33, 4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측정부(30)는 제1 가이드 래일(31)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조작바(33)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측정부(40)는 제2 가이드 레일(41)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조작바(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경상 운동 장치의 일 구동 원리는, 제1 기준부(10)에 위치한 손이 상기 제1 조작바(33)를 수의적으로 움직일 경우, 제1 측정부(30)는 상기 제1 조작바(33)가 제1 가이드 레일(31) 내에서 움직이는 거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측정부(40)는 제2 기준부(20)에 위치한 손이 제2 조작바(43)를 불수의적으로 움직일 경우, 상기 제2 조작바(43)가 제2 가이드 레일(41) 내에서 움직이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에서 용어 「이동 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조작바(33, 43)의 이동거리를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31, 41)에는 일정 간격으로 눈금(32, 42)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의 가이드 라인(31, 41) 은 서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눈금(32, 42)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형상은 예를 들어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눈금(32, 42)은 수의적 움직임 및 불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각도를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30, 40)의 가이드 레일(31, 41)에는 일정 간격으로 눈금(32, 42)이 표시되는데, 손과 가장 가까운 방향으로부터 첫번째 눈금은 0°를 나타내고, 두번째 눈금은 5°미만을 나타내며, 세번째 눈금은 20°미만을 나타내고, 네번째 눈금은 90°이상을 나타내며, 다섯번째 눈금은 160°이상을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각도는 눈금의 개수 및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경상 운동 평가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측정 부에서 측정된 이동 거리를 비교하여 장애 등급을 평가하는 제1 평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평가 수단은 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거리 대비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거리의 비가 1에 가까울수록 장애 등급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평가 수단은 수의적 움직임의 이동거리와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거리가 근사할수록 장애 등급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평가 수단은 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거리 대비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거리의 비가 0에 가까울수록 장애 등급을 낮게 평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평가 수단은 수의적 움직임 및 불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거리 비를 통해 장애 등급을 평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개인화된 치료 체계를 결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경상 평가 장치는 상기 평가 수단에 의해 평가된 장애 등급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화면에 표시된 장애 등급은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 등급이 높은 경우,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이 크다는 것을 나타내고, 장애 등급이 낮을 수록,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이 낮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장애 등급을 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장애 등급을 인식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는 손가락이 손바닥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손가락 말단의 이동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각도의 측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도 센서를 통해 정확한 각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에 표시된 눈금을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이동 각도를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경상 운동 평가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에서 측정된 이동 각도를 비교하여 장애 등급을 평가하는 제2 평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2 평가 수단은 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각도 대비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각도의 비가 1에 가까울수록 장애 등급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평가 수단은 수의적 움직임의 이동각도와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각도가 근사할수록 장애 등급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는 손가락이 손바닥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손가락 말단의 힘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 센서는 제1 및 제2 측정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양 손이 상기 제1 및 제2 측정바를 수의적 및 불수적으로 움직이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은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은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으로 발생하는 장애를 평가하는 방법이고, 전술한 경상 운동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전술한 경상 운동 평가 장치에 대한 내용과 중복된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출원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a: 기준점
b: 기준선
10: 제1 기준부
20: 제2 기준부
30: 제1 측정부
40: 제2 측정부
31, 41: 가이드 레일
32, 42: 눈금
33, 43: 측정바

Claims (13)

  1.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으로 발생하는 손의 경상운동(Mirror Movement)을 평가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고,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제 1 및 제2 기준부;
    상기 제1 기준부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 및
    상기 제2 기준부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는 손가락이 손바닥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손가락 말단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는 손가락의 이동 경로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바를 포함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준부는 각각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이 표시된 경상 운동 평가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에는 일정 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된 경상 운동 평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에서 측정된 이동 거리를 비교하여 장애 등급을 평가하는 제1 평가 수단을 포함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가 수단은 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거리 대비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거리의 비가 1에 가까울수록 장애 등급을 높게 평가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가 수단에 의해 평가된 장애 등급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추가로 마련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는 손가락이 손바닥측으로 움직일 때, 중지 손가락 말단의 이동 각도를 측정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에서 측정된 이동 각도를 비교하여 장애 등급을 평가하는 제2 평가 수단을 포함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제2 평가 수단은 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각도 대비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 각도의 비가 1에 가까울수록 장애 등급을 높게 평가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는 손가락이 손바닥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손가락 끝의 힘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추가로 마련된 경상 운동 평가 장치.
  13. 삭제
KR1020170144624A 2017-11-01 2017-11-01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KR10209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624A KR102096439B1 (ko) 2017-11-01 2017-11-01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PCT/KR2018/012786 WO2019088581A1 (ko) 2017-11-01 2018-10-26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624A KR102096439B1 (ko) 2017-11-01 2017-11-01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17A KR20190049117A (ko) 2019-05-09
KR102096439B1 true KR102096439B1 (ko) 2020-04-02

Family

ID=6633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624A KR102096439B1 (ko) 2017-11-01 2017-11-01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6439B1 (ko)
WO (1) WO201908858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8020A1 (en) 2004-02-05 2008-11-20 Motorika Inc. Neuromuscular Stim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495B1 (ko) * 2008-05-21 2010-02-1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KR101323105B1 (ko) * 2012-02-17 2013-10-30 삼일씨티에스(주) 손 재활치료 장치 및 방법
KR101609158B1 (ko) * 2014-05-12 2016-05-17 울산과학기술원 손가락 움직임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KR101682951B1 (ko) * 2015-02-11 2016-12-20 울산과학기술원 손가락 움직임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KR101748138B1 (ko) * 2015-11-19 2017-06-28 대한민국 손목운동 제어기능 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8020A1 (en) 2004-02-05 2008-11-20 Motorika Inc. Neuromuscular Stim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581A1 (ko) 2019-05-09
KR20190049117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rryman et al. Representation of object size in the somatosensory system
US9218071B2 (en) Interpolation of position of a stylus in a touch sensor
US20140255888A1 (en) Optical neuroinformatics
JP2018529948A (ja) 抵抗容量型変形センサ
US10413431B2 (en) Rehabilitation system with stiffness measurement
JP6553921B2 (ja) バランス能力測定方法およびバランス能力測定装置
KR101739647B1 (ko) 관성 센서를 이용한 경직 및 간대성 경련 평가 보조 장치 및 방법
KR102011749B1 (ko) 복부 경직도 측정 장치 및 방법
US20100106060A1 (en) Method of estimating finger-tapping force
Huang et al. Motor impairment evaluation for upper limb in stroke patients on the basis of a microsensor
Chophuk et al. Hand postures for evaluating trigger finger using leap motion controller
JP2019054988A (ja) 協調運動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87135B1 (ko) 모션 콘텐츠 기반의 학습 장치 및 방법
KR102096439B1 (ko)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JP6385194B2 (ja) 筋トーヌス計測装置
Michiels et al. Measurement of cervical sensorimotor control: The reliability of a continuous linear movement test
KR102031878B1 (ko) 팔굽혀펴기 측정기
CN106390422A (zh) 一种劈叉测试装置
Čakrt et al. Subjective visual and haptic vertical in young and elderly
KR101642180B1 (ko) 낙상 위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US7159476B2 (en)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measuring errors
KR101568104B1 (ko) 안검장력 측정장치 및 안검장력 측정시스템
KR102342100B1 (ko)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US20110213277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ive assessment of motor signs at the extremities
DE102006004514A1 (de) Messvorrichtung zur Bestimmung anatomischer Messpunkte und Kurvatu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