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88581A1 -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88581A1
WO2019088581A1 PCT/KR2018/012786 KR2018012786W WO2019088581A1 WO 2019088581 A1 WO2019088581 A1 WO 2019088581A1 KR 2018012786 W KR2018012786 W KR 2018012786W WO 2019088581 A1 WO2019088581 A1 WO 20190885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tion
movement
motion estimation
measuring
estim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278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성호
서정표
손수민
김재룡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90885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885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2Diagnosing or monitoring movement diseases, e.g. Parkinson, Huntington or Touret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motion and a method for evaluating a disorder of a patient using the same.
  • mirror movement is a sequela of a stroke patient.
  • the independent movement control of the opposite hand is reduced and symmetrical and involuntary movements appear in the same muscle. It is called an ordinary movement.
  • the current motion can be used as an index of stroke sequelae, for example, when the movement is large, it means that the stroke sufferers suffer from a severe aftereffect.
  • the after-stroke of stroke is important in early rehabilitation treatment, which may cause delayed response to initial rehabilitation treatment due to subjective judgment error of experts.
  •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motion estimation device for evaluating a disturbance class by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measuring a minute motion, and a method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a disorder of a patient using the same.
  • an apparatus for evaluating a mirror movement of a hand caused by sequelae of a stroke patient comprising: A firs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moving distance of the hand movement generated in the hand located at the first reference unit and a second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involuntary movement occurring in the hand located at the second reference unit, And a second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measuring unit and the second measuring unit.
  • the motion estima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rtions for guiding the initial positions of both hands and the movement of the hand and involuntary movements occurring in the hand located at the reference portion
  • the mo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rtions for guiding the initial positions of both hands and the movement of the hand and involuntary movements occurring in the hand located at the reference portion By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measurement units for measuring the mo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motion motion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flex the initial motion for the stroke after-stroke.
  • Figures 1 and 2 are views showing an exemplary current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emplary current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emplary current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device for evaluating mirror movement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evaluating motion of a hand caused by sequelae of a stroke patient.
  • Exemplary motion estimation devices include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rtions for guiding the initial positions of both hands, and movement distances of the hand and involuntary movements occurring in the hands located at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rtions It is possible to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measure the minute motion that is hard to be recognized by the eye, so that it is possible to flex the early coping with the after-stroke of the stroke patient, And can contribute to determining the system.
  • FIG. 1 and 2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n example motion estim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emplary current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 the motion estimation device includes a reference portion and a measurement portion.
  • the motion estimation device includes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rtions 10 and 20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guide the initial positions of both hands, A first measuring unit 30 for measur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hand movement generated in the hand located at the reference unit 10 and a moving distance measuring unit 40 for measur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involuntary movement occurring in the hand located at the second reference unit 20 And a second measuring unit 4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 the motion estimation device includes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rtions 10 and 20 for guiding the initial positions of both hands and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rtions 10 and 20 for measur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numerical and involuntary movements of both hands. (30, 40) are provided, accurate and quantitative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even if microscopic motion occurs.
  • &quot voluntary movement " refers to movement of the muscles capable of independent exercise control depending on the will of the user (or patient). Also, in the above, the term " involuntary movement " refers to a motion that is symmetric in the same muscle as the numerical motion, regardless of the patient's will, and the involuntary movement refers to a motion in which independent motion control is impossible.
  •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rtions 10 and 20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respectively,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Can be displayed.
  •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rtions 10 and 20 hav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as main components, the first reference portion and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reference por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plate, 2 Support plates are mark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rtions 10 and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0 cm to 80 cm, The spacing within the range can be adjusted.
  • the guide line is hand-shaped and may be symmetrically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10,20.
  • a guide line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left han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10
  • a guide line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right han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20, no.
  • a user in order to use the current evaluation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firstly places his / her left hand in a flat state against the guideline display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10, It is required to prepare a procedure for bringing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supporting plate 20 into contact with the guideline of the right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hand side is in contact with the back side.
  •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10, 20 with the guideline indicated may b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 the size and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10 and 2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shape and size of the hand guide line can be displayed.
  •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portions respectively guide the initial positions of both hands of the user, so that the motions occurring in both hands of the first and second measurement portions 30 and 40 are measured at the same reference point a Accordingly, the first or second evaluation mean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accurately compare the moving distance or the moving angle of both hands, and can provide the user with an objective and accurate failure level.
  • the guideline having the shape of the hand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reference line b therein.
  • the reference line b may be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
  • the user may place the hand and hip joint joint of the back of the hand on the reference line (b).
  • the first and second measuring units 30 and 40 can be provided with a more accurate reference point a for measuring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motion generated in both hands.
  • " reference point (a) " in the present application means a point where both hands located on the first and second measurement sections 30 and 40 are positioned on the guide rail immediately before moving, (a), the moving distance of the numerical and involuntary movements is zero, and the moving angles of the numerical and involuntary movements described below are 0 °.
  • the first and second measuring portions 30 and 40 can measure the moving distance of the finger tip when the finger moves toward the palm side.
  • the finger may be a stop fing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and second measuring units 30 and 40 are provided with guide rails 31 and 4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moving path direction of the stop finger, and the guide rails 31, 41 which are movably arranged in the operating bar 33, 43.
  • the first measuring unit 30 may include a first operating bar 33 movably disposed in the first guide rail 31
  • the second measuring unit 40 may include a second operating bar 33, And a second operating bar 43 movably arranged in the rail 41.
  •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reclining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such that when the hand located at the first reference portion 10 moves the first operating bar 33 manually, The distance that the bar 33 moves within the first guide rail 31 can be measured.
  • the second measuring unit 4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hand located at the second reference unit 20 unintentionally moves the second operating bar 43, the second operating bar 43 is moved to the second guide rail 41 ) Can be measured.
  • " moving distance " in the present application means the moving dis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operating bars 33 and 43.
  • graduations 32 and 42 may be displayed on the guide rails 31 and 41 at regular intervals.
  • the guide lines 31 and 41 of the first and second measuring units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scales 32 and 42 may b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 the shape of the guide rail may be, for example, Shape.
  • the scale (32, 42) can be used as a measure to measure the angles of movement of the voluntary and involuntary movements.
  • 1, graduations 32 and 42 are display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guide rails 31 and 41 of the first and second measuring units 30 and 40.
  • the first The second scale represents less than 5 °
  • the third scale represents less than 20 °
  • the fourth scale represents more than 90 °
  • the fifth scale may represent more than 160 °
  • the angle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and interval of graduations.
  • the motion estimation device may include a first evaluation means 50 for evaluating a disturbance grade by comparing movement distances measured by the first and second measurement portions 30 and 40.
  • the first evaluation means 50 can evaluate the disability grade as the ratio of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unauthorized movement to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numerical motion becomes closer to 1. That is, the first evaluation means 50 can evaluate the disturbance grade higher a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hand movement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involuntary movement become closer.
  • the first evaluation means 50 may evaluate the fault grade to be lower as the ratio of the moving distance of the unauthorized movement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numerical motion is closer to zero.
  • the first evaluation means 50 can contribute to the user's determination of the personalized treatment system for treating the disorder by evaluating the disorder class through the moving distance ratios of the voluntary and involuntary movements.
  • the first and second measurement units 30 and 40 can measure the movement angle of the finger tip when the finger moves toward the palm side.
  • the movement angle can be measured by various methods. For example, an accurate angle can be measured through an angle sensor, and the movement angle can be roughly measured using a scale indicated on a guide rail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otion estimation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second evaluation means (60) for evaluating a disturbance grade by comparing movement angles measured by the first and second measurement portions (30, 40).
  • the second evaluation means 60 can evaluate the degree of disability more as the ratio of the moving angle of the numerical motion to the moving angle of the involuntary movement approaches 1. That is, the second evaluation means 60 can evaluate the degree of the disability to be higher as the movement angle of the hand movement and the movement angle of the involuntary movement are closer to each other.
  • the physical 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70 for displaying the degree of failure evaluated by the evaluation means 50, 60 on a screen.
  • the degree of disability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used as a measure of the degree of sequelae of a stroke patient. For example, a high disability rating indicates a large after-stroke in a stroke patient, and a lower disability rating indicates a low sequel to a stroke patient.
  • the display unit 70 can easily recognize the fault class by displaying the fault class on the screen.
  • the first and second measuring units 30 and 40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force of the finger tip when the finger moves toward the palm side.
  • the pressure senso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measuring bars 33, 44 so that both hands can move the first and second measuring bars 33,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moving force. Quantified data can be obtained from the measured forces and objective evaluation of the patient from the data may be possible.
  •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valuating a patient's disorder.
  • An exemplary method of evaluating a patient's impairment is a method of evaluating a disorder caused by sequelae of a stroke patient, and a method of evaluating the disorder using the motion exercise evaluat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recumbent motion evaluating apparatus and the duplic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hys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경상 운동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제1 및 제2 기준부 및 제1 및 제2 기준부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수의적 및 불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측정부를 포함함으로써, 경상 운동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뇌졸중 후유증에 대한 초기 대처를 유연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관련 출원들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17년 11월 01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7-0144624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상 운동(Mirror movement)은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의 일종으로서, 어떤 상황에서 한 손을 움직이려고 할 때 반대쪽 손의 독립적인 운동 조절이 감소하게 되어 동일한 근육에서 대칭적이고 불수의적인 움직임이 나타나는데, 이를 경상 운동이라 한다.
상기 경상 운동은 뇌졸중 후유증의 지표로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불수적인 움직임이 큰 경우,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이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에는 전문가(의사)가 눈으로 양 손에서 발생하는 수의적 및 불수의적 움직임을 비교하였고, 이로부터 주관적 판단 하에 손의 경상 운동을 평가했으며, 따라서, 눈으로 판별하기 어려운 미세한 경상 운동의 경우 미처 발견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뇌졸중의 후유증은 초기 재활 치료가 중요한데, 기존 방법으로는 전문가의 주관적인 판단 착오로 인해 초기 재활 치료에 대처가 늦어지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한 경상 운동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후유증에 대한 초기 대처를 유연하게 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출원은 미세한 경상 운동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통해 장애 등급을 평가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등급 평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르면,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으로 발생하는 손의 경상운동(Mirror Movement)을 평가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고,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제 1 및 제2 기준부와, 상기 제1 기준부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 및 상기 제2 기준부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를 포함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가 제공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경상 운동 평가 장치는,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제1 및 제2 기준부 및 상기 기준부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수의적 및 불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측정부를 포함함으로써, 경상 운동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뇌졸중 후유증에 대한 초기 대처를 유연하게 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경상 평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경상 평가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은 경상 운동(Mirror Movement)을 평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으로 발생하는 손의 경상운동을 평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경상 운동 평가 장치는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제1 및 제2 기준부와, 상기 제1 및 제2 기준부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수의적 움직임 및 불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측정부를 포함함으로써, 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미세한 경상 운동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이 가능하여,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에 대한 초기 대처를 유연하게 할 수 있고, 환자가 개인화된 치료 체계를 결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및 2는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경상 운동 평가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경상 평가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경상 운동 평가 장치는 기준부 및 측정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경상 운동 평가 장치는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고,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제 1 및 제2 기준부(10, 20)와, 상기 제1 기준부(10)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30) 및 상기 제2 기준부(20)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40)를 포함한다. 상기 경상 운동 평가 장치는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제1 및 제2 기준부(10, 20) 및 양 손의 수의적 및 불수의적 움직임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측정부(30, 40)가 마련됨으로써, 미세한 경상 운동이 발생하더라도 정확하고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용어 「수의적 움직임」은 사용자(또는 환자)의 의지 여부에 따라 독립적인 운동 조절이 가능한 근육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에서 용어 「불수의적 움직임」은 상기 수의적 움직임과 동일한 근육에서 대칭적이면서 환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나타나는 움직임이고, 불수의적 움직임은 독립적인 운동 조절이 불가능한 움직임을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기준부(10, 20)는 각각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준부(10, 20)는 각각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를 주 구성으로 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에서 편의상 제1 기준부와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제2 기준부와 제2 지지 플레이트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기준부(10,20)에 마련된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이격 거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0cm 내지 80cm의 범위일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상기 범위 내에서 이격 거리는 조절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가이드 라인은 손 모양이고, 대칭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0, 20)의 일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플레이트(10)의 일면에 왼손의 모양으로 가이드 라인이 표시된 경우, 제2 지지 플레이트(20)의 일면에는 오른손의 모양으로 가이드 라인이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원의 경상 평가 운동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 지지 플레이트(10)의 일면에 표시된 가이드 라인에 왼손을 편 상태로 손등 측을 밀착시키고,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지지 플레이트(20) 일면에 표시된 가이드 라인에 오른손을 편 상태로 손등 측을 밀착시키는 준비 과정이 요구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가이드 라인이 표시된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0, 20)의 일면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0, 20)의 크기 및 모양은 손 모양의 가이드 라인이 표시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기준부는 각각 사용자의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함으로써, 제1 및 제2 측정부(30, 40)에서 양 손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을 동일한 기준점(a)에서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제1 또는 제2 평가 수단은 양 손의 이동 거리 또는 이동 각도를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객관적이고 정확한 장애 등급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손의 모양을 가지는 가이드 라인은 내부에 기준선(b)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기준선(b)은 손의 길이 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상 운동을 평가하기 전 사용자는 상기 기준선(b)에 손등 측의 손 허리 손가락 관절을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측정부(30, 40)는 양 손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더욱 정확한 기준점(a)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에서 상기 용어 「기준점(a)」은 제1 및 제2 측정부(30, 40)에 위치한 양 손이 움직이기 직전 가이드 레일 상에 위치한 지점을 의미하고, 상기 기준점(a)에서 수의적 및 불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거리는 0이며, 후술하는 수의적 및 불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각도는 0°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30, 40)는 손가락이 손바닥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손가락 말단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가락은 중지 손가락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30, 40)는 중지 손가락의 이동 경로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 레일(31, 41)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31, 41)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바(33, 4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측정부(30)는 제1 가이드 래일(31)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조작바(33)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측정부(40)는 제2 가이드 레일(41)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조작바(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경상 운동 장치의 일 구동 원리는, 제1 기준부(10)에 위치한 손이 상기 제1 조작바(33)를 수의적으로 움직일 경우, 제1 측정부(30)는 상기 제1 조작바(33)가 제1 가이드 레일(31) 내에서 움직이는 거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측정부(40)는 제2 기준부(20)에 위치한 손이 제2 조작바(43)를 불수의적으로 움직일 경우, 상기 제2 조작바(43)가 제2 가이드 레일(41) 내에서 움직이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에서 용어 「이동 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조작바(33, 43)의 이동거리를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31, 41)에는 일정 간격으로 눈금(32, 42)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의 가이드 라인(31, 41) 은 서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눈금(32, 42)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형상은 예를 들어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눈금(32, 42)은 수의적 움직임 및 불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각도를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30, 40)의 가이드 레일(31, 41)에는 일정 간격으로 눈금(32, 42)이 표시되는데, 손과 가장 가까운 방향으로부터 첫번째 눈금은 0°를 나타내고, 두번째 눈금은 5°미만을 나타내며, 세번째 눈금은 20°미만을 나타내고, 네번째 눈금은 90°이상을 나타내며, 다섯번째 눈금은 160°이상을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각도는 눈금의 개수 및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경상 운동 평가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측정 부(30, 40)에서 측정된 이동 거리를 비교하여 장애 등급을 평가하는 제1 평가 수단(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평가 수단(50)은 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거리 대비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거리의 비가 1에 가까울수록 장애 등급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평가 수단(50)은 수의적 움직임의 이동거리와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거리가 근사할수록 장애 등급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평가 수단(50)은 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거리 대비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거리의 비가 0에 가까울수록 장애 등급을 낮게 평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평가 수단(50)은 수의적 움직임 및 불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거리 비를 통해 장애 등급을 평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개인화된 치료 체계를 결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30, 40)는 손가락이 손바닥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손가락 말단의 이동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각도의 측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도 센서를 통해 정확한 각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에 표시된 눈금을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이동 각도를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경상 운동 평가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30, 40)에서 측정된 이동 각도를 비교하여 장애 등급을 평가하는 제2 평가 수단(6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2 평가 수단(60)은 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각도 대비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각도의 비가 1에 가까울수록 장애 등급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평가 수단(60)은 수의적 움직임의 이동각도와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각도가 근사할수록 장애 등급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경상 평가 장치는 상기 평가 수단(50, 60)에 의해 평가된 장애 등급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7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화면에 표시된 장애 등급은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 등급이 높은 경우,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이 크다는 것을 나타내고, 장애 등급이 낮을 수록,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이 낮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0)는 장애 등급을 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장애 등급을 인식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30, 40)는 손가락이 손바닥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손가락 말단의 힘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 센서는 제1 및 제2 측정바(33, 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양 손이 상기 제1 및 제2 측정바(33, 43)를 수의적 및 불수적으로 움직이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힘으로부터 정량화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로부터 환자의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할 수 있다.
본 출원은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은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으로 발생하는 장애를 평가하는 방법이고, 전술한 경상 운동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전술한 경상 운동 평가 장치에 대한 내용과 중복된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출원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a: 기준점
b: 기준선
10: 제1 기준부
20: 제2 기준부
30: 제1 측정부
40: 제2 측정부
31, 41: 가이드 레일
32, 42: 눈금
33, 43: 측정바
50: 제1 평가 수단
60: 제2 평가 수단
70: 디스플레이부

Claims (13)

  1. 뇌졸중 환자의 후유증으로 발생하는 손의 경상운동(Mirror Movement)을 평가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고,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제1 및 제2 기준부;
    상기 제1 기준부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수의적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 및
    상기 제2 기준부에 위치한 손에서 발생하는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제2 측정부를 포함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준부는 각각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양 손의 초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이 표시된 경상 운동 평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는 손가락이 손바닥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손가락 말단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측정부는 손가락의 이동 경로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바를 포함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에는 일정 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된 경상 운동 평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에서 측정된 이동 거리를 비교하여 장애 등급을 평가하는 제1 평가 수단을 포함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가 수단은 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거리 대비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거리의 비가 1에 가까울수록 장애 등급을 높게 평가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는 손가락이 손바닥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중지 손가락 말단의 이동 각도를 측정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에서 측정된 이동 각도를 비교하여 장애 등급을 평가하는 제2 평가 수단을 포함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2 평가 수단은 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각도 대비 불수의적인 움직임의 이동 각도의 비가 1에 가까울수록 장애 등급을 높게 평가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11. 제 6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수단에 의해 평가된 장애 등급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추가로 마련되는 경상 운동 평가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는 손가락이 손바닥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손가락 말단의 힘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가 추가로 마련된 경상 운동 평가 장치.
  13. 제 1 항에 따른 경상 운동 평가 장치를 이용하는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PCT/KR2018/012786 2017-11-01 2018-10-26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WO201908858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624 2017-11-01
KR1020170144624A KR102096439B1 (ko) 2017-11-01 2017-11-01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581A1 true WO2019088581A1 (ko) 2019-05-09

Family

ID=6633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2786 WO2019088581A1 (ko) 2017-11-01 2018-10-26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6439B1 (ko)
WO (1) WO201908858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1043A (ko) * 2008-05-21 2009-11-2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KR20130094895A (ko) * 2012-02-17 2013-08-27 디게이트 주식회사 손 재활치료 장치 및 방법
KR20150129919A (ko) * 2014-05-12 2015-11-23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가락 움직임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KR20160098878A (ko) * 2015-02-11 2016-08-19 울산과학기술원 손가락 움직임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KR20170059044A (ko) * 2015-11-19 2017-05-30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손목운동 제어기능 평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2155B2 (en) 2004-02-05 2012-02-07 Motorika Limited Neuromuscular stimul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1043A (ko) * 2008-05-21 2009-11-2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KR20130094895A (ko) * 2012-02-17 2013-08-27 디게이트 주식회사 손 재활치료 장치 및 방법
KR20150129919A (ko) * 2014-05-12 2015-11-23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가락 움직임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KR20160098878A (ko) * 2015-02-11 2016-08-19 울산과학기술원 손가락 움직임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KR20170059044A (ko) * 2015-11-19 2017-05-30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손목운동 제어기능 평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17A (ko) 2019-05-09
KR102096439B1 (ko)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derland et al. Arm function after stroke. An evaluation of grip strength as a measure of recovery and a prognostic indicator.
WO2016137140A1 (ko)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 계측 장치
US82773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proprioceptive function
Da Gama et al. Guidance and movement correction based on therapeutics movements for motor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s
EP2134243B1 (en) Unitary vision testing center
Rabin et al. Tactile feedback contributes to consistency of finger movements during typing
WO2013122327A1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체력검사 시스템
Huang et al. Motor impairment evaluation for upper limb in stroke patients on the basis of a microsensor
Hollins et al. Perception of the length of voluntary movements
Robert et al. Validation of reaching in a virtual environment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children with mild unilateral cerebral palsy
WO2019013563A1 (ko) 동체 시력 검사 방법 및 시스템
Capaday et al. Pointing to oneself: active versus passive proprioception revisited and implications for internal models of motor system function
KR20120139473A (ko) 손가락 재활 장치
WO2017217691A1 (ko) 스킨 폴드 캘리퍼
Hartle et al. Depth magnitude from stereopsis: Assessment techniques and the role of experience
WO2019088581A1 (ko)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WO2014112782A1 (ko) 트랙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트랙킹 방법
CN104969252A (zh) 手部卫生契机测量系统
Stenlund et al. Inter-and intra-tester reliability when measuring seated spinal postures with inertial sensors
Slavens et al. Evaluation of pediatric manual wheelchair mobility using advanced biomechanical methods
Trojan et al. Altered tactile localization and spatiotemporal integration in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patients
Craske et al. Shifts in kinesthesis through time and after active and passive movement
Suzuki et al. Sitting posture diagnosis using a pressure sensor mat
Tanashi et al. Comparison of finger kinematics between patients with hand osteoarthritis and healthy participants with and without joint protection programs
Feys et al. Effects of vision and arm position on amplitude of arm postural tremor in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742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742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