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314B1 -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 계측 장치 - Google Patents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 계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314B1
KR101571314B1 KR1020150025554A KR20150025554A KR101571314B1 KR 101571314 B1 KR101571314 B1 KR 101571314B1 KR 1020150025554 A KR1020150025554 A KR 1020150025554A KR 20150025554 A KR20150025554 A KR 20150025554A KR 101571314 B1 KR101571314 B1 KR 101571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link
rotation angle
join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용환
최우혁
박재영
김재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25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314B1/ko
Priority to PCT/KR2016/001296 priority patent/WO20161371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1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angles, e.g. using goni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손가락 관절의 회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 능력 평가를 위해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계측하는 계측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측면에 고정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등에 고정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손가락의 측면에서 손가락 마디에 고정되는 링크 마디와, 상기 링크 마디의 회전 중심이 되는 링크 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관절은 손가락 관절의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 관절에는 그에 연결된 링크 마디의 회전각을 측정하여, 대응하는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수직 회전각 측정 센서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 계측 장치{Device for identification of finger joint-angles}
본 발명은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 계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가락 관절의 회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 능력 평가를 위해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계측하는 계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손가락은 어떤 대상을 조작하고 상호 작용하기 위한 주요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때, 손가락 각 관절의 굴곡과 신전의 정도, 그리고 이 회전각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 능력은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모션 인식(motion, gesture recognition), 원격 수술 및 재활 등 의료 분야와 가상/증강 현실, 게임 등의 시뮬레이션,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이용되고 있으며 향후 그 필요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의료 분야에서는 뇌성마비 등 사지 말단의 통제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손가락 관절의 굴곡과 신전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병이나 증상의 진단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로봇을 이용한 원격 수술 등 의료 시술 등에서는 시술자 손가락의 정밀한 동작을 로봇이 정밀하게 재현해내는 고수준의 제어가 필요한데 이때 손가락 각 관절의 움직임을 면밀히 계측할 필요가 있다.
그 밖에, 가상 현실/증강 현실, 게임, 훈련 시뮬레이션 등 사용자에게 몰입감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분야에서, 사람의 손가락 동작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들은 대부분 손가락 끝의 위치만을 파악하는데 그쳐 있다. 손가락 끝이 동일한 지점에 위치하더라도 여러 관절로 이루어진 손가락의 각 관절의 회전각은 상이할 수 있는데, 손가락 끝 위치와 더불어 각 마디의 위치와 기절골/중절골/말절골 각각의 각도를 정확히 계측하는 장비는 매우 부족한 실태이다.
한편, 사람의 감각과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 중의 하나로 소위 "식별 최소차(JND; Just Noticeable difference)"라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무게 100g이 주어졌을 때, 20g 이상은 더 무게가 가해져야 사람이 차이를 감지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JND는 20g이다. 이것의 의미는 피험자에게 100g을 기준으로 하여 110g을 구분해보라고 하면 구분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JND는 고정적인 상수가 아니며 실험 조건에 따라 바뀐다. 즉, 피험자에게 주어지는 자극의 강도와 범위가 바뀌면 그에 따라 JND도 다른 값을 갖는다.
사람의 손가락 관절의 움직임과 이에 대한 인지 능력 평가에도 JND를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손가락 위치, 관절의 회전 정도에 따른 인지 능력을 평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사람의 손가락이 정교한 인터페이스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손가락의 관절각에 대한 계측과 인지 능력 평가가 이루어져 데이터화될 필요가 있다.
센서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손가락 관절각을 측정하는 계측 장비의 부재로 인하여 기존 연구에서 손가락 관절각의 측정은 각도기를 사용하는 등 다소 수동적이고 번거로운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비록 일부 계측 장치가 제시되고 있지만, 종래 계측 장치들은 제한적인 손가락의 움직임만을 허용해,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에 대한 인지 능력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Tan, H. Z., Srinivasan, M. A., Reed, C. M., and Durlach, N. I. 2007. "Discrimination and identification of finger joint-angle position using active motion", ACM Trans. Appl. Percpt. 4, 2, Article 10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람의 손가락의 관절 회전각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계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손가락 관절의 회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 능력 평가를 위해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계측하는 계측 장치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측면에 고정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등에 고정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손가락의 측면에서 손가락 마디에 고정되는 링크 마디와, 상기 링크 마디의 회전 중심이 되는 링크 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관절은 손가락 관절의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 관절에는 그에 연결된 링크 마디의 회전각을 측정하여, 대응하는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수직 회전각 측정 센서가 구비되는 계측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연결체를 통해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연결체에는 상기 몸체부에 대한 상기 연결체의 회전각을 측정하여, 손가락의 기절골의 손등에 대한 수평 방향 회전각을 측정하는 수평 회전각 측정 센서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 회전각 측정 센서는, 손가락의 기절골과 손등을 잇는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제1 수직 회전각 측정센서와, 손가락의 기절골과 중절골을 잇는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제2 수직 회전각 측정센서, 및 손가락의 중절골과 말절골을 잇는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제3 수직 회전각 측정센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직 회전각 측정 센서, 제2 수직 회전각 측정 센서 및 제3 수직 회전각 측정 센서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각 수직 회전각 측정 센서의 위치를 대응하는 손가락 관절의 위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 마디는 손가락 마디를 감싸는 고정구에 의해 손가락 마디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는 두 개의 절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 개의 절편 사이의 거리를 손가락 마디의 굵기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측 장치는 인접한 두 고정구를 연결 지지하는 보조 링크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는, 상기 손등을 측면에서 가로지르는 고정부와, 상기 링크부가 결합되는 손가락으로 이어지는 중수골의 연장방향에 대응하여 비스듬히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연장부의 전방 단부에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를 여러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계측하는 계측 장치(1)를 여러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1)는, 사용자의 손가락 측면에 고정되는 링크부(2)와, 상기 링크부(2)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등에 고정되는 몸체부(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1)는 피험자의 오른손에 착용되며, 링크부(2)가 오른손 검지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었다.
링크부(2)는, 연결체(61)를 통해 몸체부(3)에 연결되며, 연결체(61)는 중심축(11)을 기준으로 몸체부(3)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연결체(61)를 통해 링크부(2)가 몸체부(3)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회전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수평"과 "수직"은 지면에 대한 절대적인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직교하는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 것임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연결체(61)에는, 연결체(61)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었다가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절곡 바(62)가 결합되어 있으며, 절곡 바(62)에는 수직 바(63)가 고정된다.
수직 바(63)에는 소정 길이로 가이드 레일(64)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절곡 바(62)의 수직 연장부에는 가이드 레일(64)에 체결될 수 있는 핀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 바(63)는 가이드 레일(64)을 통해 절곡 바(62)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수직 바(63)가 상하 이동함으로써, 링크부(2)가 몸체부(3)에 대해 상하로 위치 조정될 수 있다.
연결체(61)에는 몸체부(3)에 대한 연결체(61)의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는 수평 회전각 측정 센서(20)가 구비된다.
피험자가 계측 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손등과 기절골을 잇는 관절을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면, 링크부(2) 전체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에 연결된 연결체(62)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수평 회전각 측정 센서(20)가 측정하는 회전각은 바로 기절골과 손등을 잇는 관절의 수평 방향 회전각이 된다.
수직 바(63)의 단부에는 제1 링크 관절(30)을 통해 제1 링크 마디(65)가 연결된다. 제1 링크 마디(65)는 제1 링크 관절(30)의 중심축(12)을 기준으로 수직 바(63)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1 링크 마디(65)는 검지의 기절골을 따라 연장되며 기절골의 측면에 고정된다. 제1 링크 관절(30)은 검지의 기절골과 손등을 잇는 손가락 관절의 측면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 마디(65)의 내측면에는 기절골을 감쌀 수 있는 제1 고정구(77, 79)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구(77, 79)는 두 개의 반원형 절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절편은 각각 제1 링크 마디(65)에 결합된 수직 바(78)에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바(78)에는 상하 방향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고정구(77, 79)의 두 절편을 각각 수직 바(78)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제1 고정구(77, 79)의 두 절편 사이의 거리가 그에 연결되는 기절골의 굵기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제1 고정구(77, 79)에 기절골이 위치한 후에는 두 절편을 단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나사를 체결하여 두 절편을 위치 고정함으로써, 제1 링크 마디(65)를 기절골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1 링크 관절(30)은, 수직 바(63)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내측 하우징(32)과 제1 링크 마디(65)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외측 하우징(31)을 포함한다. 내측 하우징(32)과 외측 하우징(31)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검지의 기절골과 손등을 잇는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제1 수직 회전각 측정센서(33)가 구비된다.
제1 수직 회전각 측정센서(33)는 수직 바(63)에 대한 제1 링크 마디(65)의 회전각을 측정한다. 제1 링크 마디(65)가 기절골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기절골이 상하로 움직이면 제1 링크 마디(65)도 그에 대응하여 상하로 움직인다. 따라서, 제1 수직 회전각 측정 센서(33)가 측정하는 회전각이 바로 기절골과 손등을 잇는 관절의 수직 방향 회전각이 된다.
제1 링크 마디(65)의 단부에는 제2 링크 관절(40)을 통해 제2 링크 마디(67)가 연결된다. 제2 링크 마디(67)는 제2 링크 관절(40)의 중심축(13)을 기준으로 제1 링크 마디(65)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2 링크 마디(67)는 검지의 중절골을 따라 연장되며 중절골의 측면에 고정된다. 제2 링크 관절(40)은 검지의 중절골과 기절골을 잇는 손가락 관절의 측면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 마디(67)의 내측면에는 중절골을 감쌀 수 있는 제2 고정구(74, 7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구(74, 76) 역시 두 개의 반원형 절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절편은 각각 제2 링크 마디(67)에 결합된 수직 바(75)에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바(75)에는 상하 방향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고정구(74, 76)의 두 절편을 각각 수직 바(75)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제2 고정구(74, 76)의 두 절편 사이의 거리가 그에 연결되는 중절골의 굵기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제2 고정구(74, 76)에 중절골이 위치한 후에는 두 절편을 단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나사를 체결하여 두 절편을 위치 고정함으로써, 제2 링크 마디(67)를 중절골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2 링크 관절(40)은, 제1 링크 마디(65)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외측 하우징(41)과 제2 링크 마디(67)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내측 하우징(42)을 포함한다. 내측 하우징(42)과 외측 하우징(41)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검지의 중절골과 기절골을 잇는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제2 수직 회전각 측정센서(43)가 구비된다.
제2 수직 회전각 측정센서(43)는 제1 링크 마디(65)에 대한 제2 링크 마디(67)의 회전각을 측정한다. 제2 링크 마디(67)가 중절골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절골이 움직이면 제2 링크 마디(67)도 그에 대응하여 움직인다. 따라서, 제2 수직 회전각 측정 센서(43)가 측정하는 회전각이 바로 중절골과 기절골을 잇는 관절의 수직 방향 회전각이 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 마디(65)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링크 관절(30)은 핀을 통해 링크 마디(65)의 가이드 레일(66)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링크 마디(65)는 제1 링크 관절(3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제1 링크 마디(65)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그에 결합된 제2 링크 관절(40) 역시 제1 링크 마디(65)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한다. 따라서, 제1 링크 마디(65)를 제1 링크 관절(30) 쪽 또는 그 반대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링크 관절(30)과 제2 링크 관절(4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제1 링크 관절(30)과 제2 링크 관절(4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그에 구비된 제1 수직 회전각 센서(33)와 제2 수직 회전각 센서(43)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체형이 상이한 피험자의 손가락 관절의 위치에 맞게 제2 수직 회전각 센서(4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링크 마디(67)의 단부에는 제3 링크 관절(50)을 통해 제3 링크 마디(69)가 연결된다. 제3 링크 마디(69)는 제3 링크 관절(50)의 중심축(14)을 기준으로 제3 링크 마디(67)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3 링크 마디(69)는 검지의 말절골을 따라 연장되며 말절골의 측면에 고정된다. 제4 링크 관절(50)은 검지의 말절골과 중절골을 잇는 손가락 관절의 측면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링크 마디(69)의 내측면에는 말절골을 감쌀 수 있는 제3 고정구(71, 73)가 형성되어 있다. 제3 고정구(71, 73) 역시 두 개의 반원형 절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절편은 각각 제3 링크 마디(69)에 결합된 수직 바(72)에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바(72)에는 상하 방향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3 고정구(71, 73)의 두 절편을 각각 수직 바(7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제3 고정구(71, 73)의 두 절편 사이의 거리가 그에 연결되는 말절골의 굵기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제3 고정구(71, 73)에 말절골이 위치한 후에는 두 절편을 단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나사를 체결하여 두 절편을 위치 고정함으로써, 제3 링크 마디(69)를 말절골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3 링크 관절(50)은, 제2 링크 마디(67)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외측 하우징(51)과 제2 링크 마디(69)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내측 하우징(52)을 포함한다. 내측 하우징(52)과 외측 하우징(51)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검지의 말절골과 중절골을 잇는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제3 수직 회전각 측정센서(53)가 구비된다.
제3 수직 회전각 측정센서(53)는 제2 링크 마디(67)에 대한 제3 링크 마디(69)의 회전각을 측정한다. 제3 링크 마디(69)가 말절골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말절골이 움직이면 제3 링크 마디(69)도 그에 대응하여 움직인다. 따라서, 제3 수직 회전각 측정 센서(53)가 측정하는 회전각이 바로 말절골과 중절골을 잇는 관절의 수직 방향 회전각이 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 마디(67)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68)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링크 관절(40)은 핀을 통해 제2 링크 마디(67)의 가이드 레일(68)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링크 마디(67)는 제2 링크 관절(4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제2 링크 마디(67)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그에 결합된 제3 링크 관절(50) 역시 제2 링크 마디(67)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한다. 따라서, 제2 링크 마디(67)를 제2 링크 관절(40) 쪽 또는 그 반대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제2 링크 관절(40)과 제3 링크 관절(5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제2 링크 관절(40)과 제3 링크 관절(5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그에 구비된 제2 수직 회전각 센서(43)와 제3 수직 회전각 센서(53)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체형이 상이한 피험자의 손가락 관절의 위치에 맞게 제3 수직 회전각 센서(5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2)는 보조 링크(81 내지 86)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보조 링크는 제1 내지 제3 고정구와 연결체(61)를 톱니 형태의 링크 구조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보조 링크에 따르면, 링크 마디와 연결체의 움직임을 간섭하지는 않는 대신, 각각의 고정구들의 위치를 잡아주어 링크 마디의 회전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3)는 피험자의 손등을 측면에서 가로지르는 고정부(88, 89, 90)와, 고정부로부터 전방으로 행해 연장되는 연장부(87)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사용자의 손바닥 쪽으로 연장되는 손바닥 고정부(90), 사용자의 송등 쪽으로 연장되는 손등 고정부(88) 및 손바닥 고정부(90)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수직 고정부(89)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대략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고정부를 새끼 손가락에서 검지 방향으로 손에 끼워 넣는 방법으로 몸체부(3)를 손등에 고정한다.
이때, 손의 두께에 따라 손바닥 고정부(90)의 위치를 조정하여 몸체부(3)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연장부(87)는 링크부(2)가 결합되는 검지로 이어지는 손의 중수골의 연장방향에 대응하여 고정부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며, 링크부(2)는 연장부(87)의 단부에 연결된다.
연장부(87)를 손의 중수골의 연장방향에 대응하여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을 움직이는 과정에서 링크부(2)가 손가락의 움직임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1)는 손가락의 기절골에 2자유도를 부가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길이에 따라 링크 관절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손가락 및 손의 두께에 따라 고정 장치를 재조정할 수 있으며, 손의 골격에 대응하도록 연장부 등의 구조를 형성하여, 피험자에게 전혀 불편함이 없이 자연스러운 손가락 움직임을 허용한다.
또한, 손가락의 모든 마디의 위치와 마디를 잇는 관절의 회전각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관절 바로 옆에 회전각 측정 센서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회전각 계측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손가락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정확한 손가락의 관절 회전각을 계측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계측 장치(2)는, 손가락 관절의 회전에 대한 JND 측정을 위해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계측하는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JND 측정은 손가락 관절의 회전에 대한 피험자의 인지 능력 평가를 통해 이루어진다.
인지 능력 평가는, 피험자가 계측 장치(1)를 검지에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 장치 또는 피험자의 의지에 따라 손가락을 움직이고, 손가락 관절의 회전 여부를 피험자가 인지하는지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검지만을 이용해 소정의 물체를 약간 위치 이동시키는 동안 피험자는 자신의 검지의 각 관절이 회전하였는지 여부를 시험자에게 통보한다.
계측 장치(1)를 통해 피험자의 관절 회전이 감지되어 그 회전각도가 기록되었음에도 피험자가 관절의 회전을 인지하지 못하였다면, 해당 회전각도는 관절의 JND 임계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피험자가 손가락 관절의 회전을 인지하는지 여부는 피험자에게 가부를 문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피험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계측 장치(1)의 센서로부터 계측된 회전각 정보와, 피험자의 손가락 관절의 회전 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 전달되고, 데이터 처리 장치는 피험자의 손가락 관절각에 대한 인지 능력을 JND 형태로 산출하여 데이터 베이스화한다.
여러 피험자에 대한 다양한 상황에 대한 손가락 움직임의 JND 값을 얻어냄으로써, 사람이 손가락 움직임의 보편적인 JND를 데이터 베이스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얻어진 JND 값들은 손가락 움직임에 대한 휴면 팩터(human factor) 또는 휴먼 햅틱 퍼셉션(human haptic perception)으로서의 데이터 그 자체로도 가치가 있으며, 분야를 막론하고 "손가락을 움직일 때 사용자가 손가락 관절각 변화를 어느 정도로 잘 감지해낼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그 준거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로부터 측정된 손가락 관절각은 의료나 재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뇌성마비 등 사지 말단의 통제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손가락 관절의 각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병이나 증상의 진단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골절, 사고로 인한 절단 후 봉합 이후 운동 능력 회복 정도를 판단하는데 쓰일 수 있다.
또한, 계측 장치로부터 획득하여 가공한 인지 능력 결과(즉, JND)는 의료분야 뿐만 아니라 로봇 기술, 가상/증강 현실, 시뮬레이션 등의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로봇을 이용한 원격 수술 등 의료 시술 등에서 손의 움직임을 정확히 재현할 필요가 있는 장치의 설계나 제작시 정밀도의 설계 기준으로 활용 가능하다.
또한, 사실감 보다는 컨텐츠에 대한 몰입감을 필요로 하는 게임 등의 분야에서는 사용자의 손 움직임을 표현할 때 적당히 그럴 듯한(plausible) 정도로만 표현을 하면 되는데, 이때 이 '그럴 듯한' 정도의 수준을 결정하는데 획득한 JND 등의 지표가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의 JND가 1도라고 가정한다면, 1도 이상의 회전에 대해서만 아바타(가상/증강 현실에서의 손)가 반응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몰입감이나 임장감을 요하는 훈련 시뮬레이션 등에서는 사실적인 표현을 위하여 아바타의 움직임이 항상 사용자의 인지 수준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이때는 JND를 렌더링 퀄리티를 평가하기 위한 설계 기준으로 활용 가능하다.

Claims (7)

  1. 손가락 관절의 회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 능력 평가를 위해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계측하는 계측 장치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측면에 고정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등에 고정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손가락의 측면에서 손가락 마디에 고정되는 링크 마디와,
    상기 링크 마디의 회전 중심이 되는 링크 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관절은 손가락 관절의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 관절에는 그에 연결된 링크 마디의 회전각을 측정하여, 대응하는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수직 회전각 측정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연결체를 통해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연결체에는 상기 몸체부에 대한 상기 연결체의 회전각을 측정하여, 손가락의 기절골의 손등에 대한 수평 방향 회전각을 측정하는 수평 회전각 측정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회전각 측정 센서는,
    손가락의 기절골과 손등을 잇는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제1 수직 회전각 측정센서,
    손가락의 기절골과 중절골을 잇는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제2 수직 회전각 측정센서, 및
    손가락의 중절골과 말절골을 잇는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제3 수직 회전각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회전각 측정 센서, 제2 수직 회전각 측정 센서 및 제3 수직 회전각 측정 센서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각 수직 회전각 측정 센서의 위치를 대응하는 손가락 관절의 위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마디는 손가락 마디를 감싸는 고정구에 의해 손가락 마디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는 두 개의 절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 개의 절편 사이의 거리를 손가락 마디의 굵기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인접한 두 고정구를 연결 지지하는 보조 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손등을 측면에서 가로지르는 고정부와,
    상기 링크부가 결합되는 손가락으로 이어지는 중수골의 연장방향에 대응하여 비스듬히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연장부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장치.
KR1020150025554A 2015-02-24 2015-02-24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 계측 장치 KR101571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554A KR101571314B1 (ko) 2015-02-24 2015-02-24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 계측 장치
PCT/KR2016/001296 WO2016137140A1 (ko) 2015-02-24 2016-02-05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 계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554A KR101571314B1 (ko) 2015-02-24 2015-02-24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 계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1314B1 true KR101571314B1 (ko) 2015-11-26

Family

ID=54847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554A KR101571314B1 (ko) 2015-02-24 2015-02-24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 계측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1314B1 (ko)
WO (1) WO2016137140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590B1 (ko) 2017-05-08 2018-09-10 주식회사 엠셀 다중 관절 각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20180131858A (ko) * 2017-06-01 2018-12-11 울산과학기술원 손 움직임 측정 시스템
KR20180131857A (ko) * 2017-06-01 2018-12-11 울산과학기술원 손 움직임 측정 시스템
KR20190011926A (ko) * 2017-07-26 2019-02-08 울산과학기술원 손 움직임 측정을 위한 착용형 메커니즘
WO2019035546A1 (ko) * 2017-08-18 2019-02-21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3차원 자기 센서 기반의 손가락 모션 캡쳐 인터페이스 장치
KR102214913B1 (ko) 2020-01-06 2021-02-1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지의 근위지 관절 신전에 기여하는 근육계에 대한 생역학 분석 방법
KR102214912B1 (ko) 2020-01-06 2021-02-1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손가락의 근위지 관절 신전의 생역학 분석 장치
KR20210118606A (ko) * 2020-03-23 2021-10-01 울산과학기술원 3차원 손가락 움직임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3574B (zh) * 2019-07-23 2021-12-03 山东师范大学 一种手部韧带测量装置及测量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21290B (zh) 2009-11-17 2012-05-23 北京航空航天大学 外骨骼式手指运动功能康复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082B1 (ko) * 1997-10-29 2000-04-15 윤종용 손동작 감지장치
KR100362733B1 (ko) * 1999-09-21 2002-11-29 최혁렬 장착형 반직접 구동방식의 역감제시 기구
KR100840741B1 (ko) * 2006-11-17 2008-06-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지 로봇 핸드
CN102773861B (zh) * 2011-05-13 2015-01-07 苏茂 外构架式数据手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21290B (zh) 2009-11-17 2012-05-23 北京航空航天大学 外骨骼式手指运动功能康复机器人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590B1 (ko) 2017-05-08 2018-09-10 주식회사 엠셀 다중 관절 각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968740B1 (ko) * 2017-06-01 2019-04-12 울산과학기술원 손 움직임 측정 시스템
KR20180131858A (ko) * 2017-06-01 2018-12-11 울산과학기술원 손 움직임 측정 시스템
KR20180131857A (ko) * 2017-06-01 2018-12-11 울산과학기술원 손 움직임 측정 시스템
KR101951866B1 (ko) * 2017-06-01 2019-02-25 울산과학기술원 손 움직임 측정 시스템
KR20190011926A (ko) * 2017-07-26 2019-02-08 울산과학기술원 손 움직임 측정을 위한 착용형 메커니즘
KR102013344B1 (ko) * 2017-07-26 2019-08-22 울산과학기술원 손 움직임 측정을 위한 착용형 메커니즘
KR101971882B1 (ko) 2017-08-18 2019-04-24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3차원 자기 센서 기반의 손가락 모션 캡쳐 인터페이스 장치
KR20190019693A (ko) * 2017-08-18 2019-02-27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3차원 자기 센서 기반의 손가락 모션 캡쳐 인터페이스 장치
CN109997099A (zh) * 2017-08-18 2019-07-09 财团法人实感交流人体感应研究团 基于三维磁传感器的手指动作捕捉接口装置
WO2019035546A1 (ko) * 2017-08-18 2019-02-21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3차원 자기 센서 기반의 손가락 모션 캡쳐 인터페이스 장치
US10901530B2 (en) 2017-08-18 2021-01-26 Center Of Human-Centered Interaction For Coexistence Three-dimensional magnetic sensor based finger motion capture interface device
CN109997099B (zh) * 2017-08-18 2022-07-19 韩国科学技术研究院 基于三维磁传感器的手指动作捕捉接口装置
KR102214913B1 (ko) 2020-01-06 2021-02-1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지의 근위지 관절 신전에 기여하는 근육계에 대한 생역학 분석 방법
KR102214912B1 (ko) 2020-01-06 2021-02-1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손가락의 근위지 관절 신전의 생역학 분석 장치
KR20210118606A (ko) * 2020-03-23 2021-10-01 울산과학기술원 3차원 손가락 움직임 측정 장치
KR102390949B1 (ko) * 2020-03-23 2022-04-26 울산과학기술원 3차원 손가락 움직임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7140A1 (ko)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314B1 (ko) 손가락 관절의 회전각 계측 장치
Smeragliuolo et al. Validation of the Leap Motion Controller using markered motion capture technology
Carnevale et al. Wearable systems for shoulder kinematics assessment: A systematic review
Morrow et al. Validation of inertial measurement units for upper body kinematics
Lee et al. Automated evaluation of upper-limb motor function impairment using Fugl-Meyer assessment
Metcalf et al. Markerless motion capture and measurement of hand kinematics: validation and application to home-based upper limb rehabilitation
Da Gama et al. Guidance and movement correction based on therapeutics movements for motor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s
Robert-Lachaine et al. Validation of a low-cost inertial motion capture system for whole-body motion analysis
Velloso et al. Qualitative activity recognition of weight lifting exercises
Haik et al. Reliability and minimal detectable change of 3-dimensional scapular orientation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shoulder impingement
Dunne et al. Wearable monitoring of seated spinal posture
Nixon et al.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Microsoft Kinect TM for use in an upper extremity virtual rehabilitation environment
Eltoukhy et al. Validation of static and dynamic balance assessment using Microsoft Kinect for young and elderly populations
Huang et al. Motor impairment evaluation for upper limb in stroke patients on the basis of a microsensor
Bessone et al. Validation of a new inertial measurement unit system based on different dynamic movements for future in-field applications
Humadi et al. Instrumented ergonomic risk assessment using wearable inertial measurement units: Impact of joint angle convention
Cusmano et al. Evaluation of upper limb sense of position in healthy individuals and patients after stroke
Pérez-González et al. Stiffness map of the grasping contact areas of the human hand
Rucco et al. A new technical method to analyse the kinematics of the human movements and sports gesture
Kaplan Evaluating the Relation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Hand Perimeters and Handgrip Strength of Basketball, Volleyball, Badminton and Handball Athletes.
Menychtas et al. Gait analysis comparison between manual marking, 2D pose estimation algorithms, and 3D marker-based system
Payeur et al. Human gesture quantification: An evaluation tool for somatic training and piano performance
Nguyen et al. Sens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wrist using dart thrower’s movement
Bonnechère et al. Patients' follow-up using biomechanical analysis of rehabilitation exercises.
Lee et al. Concurrent and angle-trajectory validity and intra-trial reliability of a novel multi-view image-based motion analysi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