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105B1 - 손 재활치료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손 재활치료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105B1
KR101323105B1 KR1020120016141A KR20120016141A KR101323105B1 KR 101323105 B1 KR101323105 B1 KR 101323105B1 KR 1020120016141 A KR1020120016141 A KR 1020120016141A KR 20120016141 A KR20120016141 A KR 20120016141A KR 101323105 B1 KR101323105 B1 KR 101323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habilitation
hand
sensor
patient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4895A (ko
Inventor
김영국
최종원
Original Assignee
삼일씨티에스(주)
디게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일씨티에스(주), 디게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일씨티에스(주)
Priority to KR102012001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10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4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Displaying an avatar, e.g. an animated cartoon charac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이나 글러브에 부착하여 재활치료를 위한 손 재활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손의 움직임과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에서 감지한 데이터를 취합 및 전송하는 메인프로세서와, 메인프로세서의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 및 상기 데이터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아바타를 구현하고 검사자료를 비교 및 분석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 재활치료 장치 및 방법{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for Hand and Rehabilit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손 재활치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환자의 원활한 재활 치료를 돕기 위하여 환자의 운동상태 및 생체정보를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아바타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손 재활치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활환자의 재활 치료과정은 환자보다는 의사 입장에서 재활치료 과정이 진행되어 왔다. 또한 환자의 재활 관련된 정보를 수치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제공하기보다는 의사에 의하여 정성적인 방법으로 재활 정보가 제공되어 왔다.
따라서 환자에게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의사 또한 보다 정량적이고 객관화된 정보를 바탕으로 재활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환자의 치료 시 수치를 통해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환자의 재활 상태를 검사하고 치료하는 손 재활치료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상태 및 생체정보를 정확히 측정하고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정량적인 치료 및 진단이 가능한 손 재활치료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바타를 이용하여 환자의 재활 모습을 실시간으로 표현하거나 모니터링하는 손 재활치료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이나 글러브에 부착하여 재활치료를 위한 손 재활치료 장치에 있어서, 손의 움직임과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데이터를 취합 및 전송하는 메인프로세서와; 상기 메인프로세서의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 및 상기 데이터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아바타를 구현하고 검사자료를 비교 및 분석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환자에게 알람을 알리는 진동기 또는 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손가락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는 플렉서블 센서와; 맥박 및 체온을 감지하는 생체신호센서; 및 손목과 팔의 운동상태를 측정하는 관성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성센서는 손의 움직이는 방향, 속도 및 거리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센서는 또는 글러브의 1/3 부위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는 환자의 재활모습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손이나 글러브에 부착하여 재활치료를 위한 손 재활치료 방법에 있어서, 플렉서블 센서로 손가락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고, 관성센서로 손목과 팔의 운동상태를 측정하고, 생체신호센서로 생체신호인 맥박과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들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메인프로세서가 취합 및 분석하여 수치화하는 단계와; 상기 수치화된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전송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토대로 운동 및 생체 상태를 비교 분석하고, 아바타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환자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손 재활치료 장치를 사용할 경우 올바르고 적절한 치료 시기와 방법을 제공하고 재활상태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바타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환자의 재활모습을 관찰하고 치료를 원활하게 돕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 재활치료 장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손 재활치료를 위한 장갑형태 글러브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손 재활치료를 위한 밴드형태 글로브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손 재활치료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 재활치료 장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손 재활치료 장치는, 손의 움직임 및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110)와, 데이터를 취합 및 전송하는 메인프로세서(100)와, 메인프로세서로 취합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120)와,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아바타를 구현하고 검사 자료를 비교 및 분석하는 서버(14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손 재활치료 장치는 메인프로세서(100)와 서버(140)로부터 제어 명령을 받아 환자에게 알람 등을 알리는 진동기(131) 또는 LED(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110)는 손가락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는 플렉서블 센서(111)와, 손목과 팔의 운동상태를 측정하는 관성센서(115)와, 맥박과 체온 등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센서(1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관성센서(115)는 손의 움직이는 방향, 속도 및 거리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113)와 자이로 센서(114)로 구성한다.
재활환자의 운동 및 생체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센서(111)는 각각의 손가락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관성센서(115)는 손등에 부착하고, 생체신호센서(112)는 손바닥의 1/3 위치에 부착하고, LED(130)와 진동기(131)는 손등에 부착한다.
여기서, 상기 LED(130)와 진동기(131)는 환자의 움직임이 일정 이상 되는 조건이나 지난 검사시의 각도보다 더 운동성이 향상되는 경우 또는 지정된 조건의 경우에 치료 환자에게 즉각적으로 통보하여 재활치료 효과를 직접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플렉서블 센서(111), 생체신호센서(112), 관성센서(115), 진동기(131)는 메인프로세서(100)를 통하여 제어하며, 메인프로세서(100)는 테이터전송부(120)을 통하여 유선이나 블루투스, Wireless LAN 등의 무선 데이터통신 모듈을 탑재하여 획득한 모든 재활환자 정보를 서버(140)로 전송한다.
또한, 재활환자들이 센서부(110), 메인프로세서(100), LED(130) 및 진동기(131)를 보다 간편하고 쉽게 장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글로브를 사용하여 재활 치료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글로브는 재활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데, 재활환자의 경우 스스로 손가락을 어느 정도 구부릴 수 있는 환자는 장갑형태의 글로브를 사용하고, 손가락을 전혀 제어할 수 없는 환자는 밴드형태 글로부를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손 재활치료를 위한 장갑형태 글러브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센서(111)를 글로브의 손가락 부위에 각각 부착하고, 가속도센서(113) 및 자이로센서(114)는 글로브의 손등 부위에 부착하여 고정시킨다.
생체신호센서(112)는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글로브의 손바닥 1/3 지점에 부착시키고, 메인프로세서(100), 진동기(131) 및 LED(130)는 글로브의 손등 부위에 부착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손 재활치료를 위한 밴드형태 글로브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손가락을 전혀 제어할 수 없는 환자의 경우는 플렉서블 센서가 필요하지 않으며, 글로브는 밴드형태로 제작하여 플렉서블 센서를 제외한 모든 센서 위치는 손가락을 제어할 수 있는 장갑형태의 글로브 위치와 동일하게 부착한다.
상기 글로브에 부착한 센서들로부터 재활환자의 운동상태 및 생체신호 정보를 메인프로세서(100)를 통하여 유선이나 블루투스, Wireless LAN 등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서버(14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140)는 전송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환자별로 모든 데이터를 저장, 비교 및 분석을 하고, 환자의 재활치료 과정을 쉽게 보여주기 위하여 아바타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환자가 취하는 행동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글로브 장치를 장착한 재활환자가 의사의 지시에 따라 팔을 들어 올리거나 손목을 비틀거나 손가락을 움직일 경우, 글로브 장치를 통하여 운동 및 생체 신호가 전송되고 2D 또는 3D로 구형된 가상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환자의 행동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손 재활치료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플렉서블 센서(111)의 휘어짐 정도에 따른 손가락의 휘어지는 정도를 측정하여 각각의 손가락 움직임을 감지하고, 관성센서(115)인 가속도센서(113) 및 자이로센서(114)로 손목이나 팔의 운동 속도, 방향 및 거리 등을 측정하며, 생체신호센서(112)로 맥박과 체온 등의 생체신호를 측정한다(S100).
이어서, 상기 센서들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메인프로세서(100)가 취합 및 분석하여 수치화한다(S200).
이어서, 상기 수치화된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전송부(120)를 통해 서버(140)로 전송한다(S300).
마지막으로, 서버(140)에 전송된 데이터를 토대로 운동 및 생체 상태를 비교 분석하고, 2D 또는 3D로 구현된 가상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환자의 움직임을 관찰한다(S400).
따라서, 본 발명은 재활환자의 운동상태 및 생체신호를 측정한 정보를 저장하고 아바타를 이용하여 환자의 재활모습을 관찰하고 치료를 원활하게 도울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메인 프로세서 110 : 센서부
111 : 플렉서블 센서 112 : 생체신호센서
113 : 가속도센서 114 : 자이로센서
120 : 데이터 전송부 130 : LED
131 : 진동기 140 : 서버

Claims (7)

  1. 손이나 글러브에 부착하여 재활치료를 위한 손 재활치료 장치에 있어서,
    손의 움직임과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데이터를 취합 및 전송하는 메인프로세서와;
    상기 메인프로세서의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와;
    상기 데이터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아바타를 구현하고 검사자료를 비교 및 분석하는 서버; 및
    상기 메인프로세서와 상기 서버로부터 제어 명령을 받아 환자에게 알람을 알리는 진동기 또는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재활치료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손가락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는 플렉서블 센서와;
    맥박 및 체온을 감지하는 생체신호센서; 및
    손목과 팔의 운동상태를 측정하는 관성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재활치료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센서는 손의 움직이는 방향, 속도 및 거리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재활치료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센서는 손바닥 또는 글러브의 1/3 부위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재활치료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는 환자의 재활모습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재활치료 장치.
  7. 삭제
KR1020120016141A 2012-02-17 2012-02-17 손 재활치료 장치 및 방법 KR101323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141A KR101323105B1 (ko) 2012-02-17 2012-02-17 손 재활치료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141A KR101323105B1 (ko) 2012-02-17 2012-02-17 손 재활치료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895A KR20130094895A (ko) 2013-08-27
KR101323105B1 true KR101323105B1 (ko) 2013-10-30

Family

ID=49218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141A KR101323105B1 (ko) 2012-02-17 2012-02-17 손 재활치료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1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1257B2 (en) 2014-11-20 2016-12-06 Soonchunhyang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Exercise equipment for rehabilitation of hand grip and wrist
KR20210085187A (ko) * 2019-12-30 2021-07-0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적 손 움직임 유도를 통한 뇌 운동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700B1 (ko) * 2015-01-27 2015-04-07 박찬흠 손 동작 인식에 의한 컴퓨터 재활 치료 방법
WO2017051948A1 (ko) * 2015-09-24 2017-03-30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 재활 훈련장치
KR102096439B1 (ko) * 2017-11-01 2020-04-0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CN109045483B (zh) * 2018-09-17 2024-03-29 深圳市名家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理疗手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675B1 (ko) 2000-12-26 2004-03-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손 재활 훈련을 위한 햅틱 그립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햅틱 시스템의 환자용 클라이언트/의사용 서버/햅틱 그립프 제어 장치와 재활 훈련 방법
KR20040051264A (ko) * 2002-12-12 2004-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햅틱인터페이스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현실재활시스템 및 방법
KR100453223B1 (ko) 2001-12-20 2004-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환자의 장애 예방 및 재활치료 시스템
US20090131225A1 (en) * 2007-08-15 2009-05-21 Burdea Grigore C Rehabilitation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675B1 (ko) 2000-12-26 2004-03-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손 재활 훈련을 위한 햅틱 그립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햅틱 시스템의 환자용 클라이언트/의사용 서버/햅틱 그립프 제어 장치와 재활 훈련 방법
KR100453223B1 (ko) 2001-12-20 2004-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환자의 장애 예방 및 재활치료 시스템
KR20040051264A (ko) * 2002-12-12 2004-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햅틱인터페이스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현실재활시스템 및 방법
US20090131225A1 (en) * 2007-08-15 2009-05-21 Burdea Grigore C Rehabilitation systems and method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1257B2 (en) 2014-11-20 2016-12-06 Soonchunhyang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Exercise equipment for rehabilitation of hand grip and wrist
KR20210085187A (ko) * 2019-12-30 2021-07-0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적 손 움직임 유도를 통한 뇌 운동 시스템 및 방법
KR102372849B1 (ko) * 2019-12-30 2022-03-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적 손 움직임 유도를 통한 뇌 운동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895A (ko)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105B1 (ko) 손 재활치료 장치 및 방법
US11399766B2 (en) Feta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EP34887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respiration rate
WO2001007112A2 (en) Rehabilitation apparatus and method
JP6916858B2 (ja) 筋硬直の測定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JP2008245917A (ja) 振戦疾患評価装置及び振戦疾患評価方法
CN109171752A (zh) 确定运动障碍的设备
CN112789006A (zh) 在操纵机器人系统的用户输入控制装置期间监测执行
KR101803291B1 (ko) Eeg 및 emg 신호에 기반한 자궁 수축도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2403752B1 (ko) 이상운동증상 진단을 위한 정량화 방법 및 시스템
KR20070122012A (ko) 생체 정보 인식 및 분석을 통한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49317A (ko) 운동량에 따른 근피로도 측정방법
Rovini et al. Vision optical-based evaluation of SensHand accuracy for Parkinson’s disease motor assessment
Rovini et al. SensRing, a novel wearable ring-shaped device for objective analysis of reachto-grasp movements
Derungs et al. A metric for upper extremity functional range of motion analysis in long-term stroke recovery using wearable motion sensors and posture cubics
JP6970645B2 (ja) 脈拍検出方法、および、脈拍検出システム
JP687073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343506B1 (ko) 피검자의 운동장애 진단을 위한 생체역학적 파라미터 추출장치
TWI601525B (zh) 整合輔具及慣性感測器之遠距復健裝置
JP2016083004A (ja) 健康モニタシステム
US20220192582A1 (en) Analysis system with a portable connected device
US10136851B2 (en) Integrated device to measure variations in neuromuscular control when tracing defined target patterns and a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integrated device
Vanitha et al. A wearable system to analyse tremors in the presence of external stressors
Bavan Inertial sensors for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shoulder pain
Gautam et al. Comparative study of Wearable Devices for Detection, Diagnosis and Rehabilitation of carpal Tunnel Syndr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