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100B1 -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100B1
KR102342100B1 KR1020200035741A KR20200035741A KR102342100B1 KR 102342100 B1 KR102342100 B1 KR 102342100B1 KR 1020200035741 A KR1020200035741 A KR 1020200035741A KR 20200035741 A KR20200035741 A KR 20200035741A KR 102342100 B1 KR102342100 B1 KR 102342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
sensor
bottom plate
measuring devic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9179A (ko
Inventor
손락성
정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스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스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스맥스
Priority to KR1020200035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100B1/ko
Publication of KR20210119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7Exercise mats for personal use, with or without hand-grips or foot-grips, e.g. for Yoga or supine floor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4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with signalling or indicating means, e.g. of incorrect posture, for deep-breat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05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1Contac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상체가 안착되는 매트와,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지지대, 그리고 발목을 고정하는 발목고정대가 바닥 플레이트 상단에 부착되는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로서서, 매트에 매립 배치되어 사용자의 등이 매트에 접촉한 다운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와, 바닥 플레이트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 길이를 갖는 센서 지지유닛과, 센서 지지유닛에 결합 배치되고, 객체의 유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윗몸이 일으켜진 업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 그리고 다운 상태와 업 상태가 연속하여 감지되면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1회 가산하여 카운트하는 윗몸일으키기 카운트부가 구비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는 정확한 윗몸일으키기 동작이 이루어졌을 때에만 카운트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객관적이고 형평성 있는 윗몸일으키기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Auto-counter of Curl-up}
본 발명은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등이 매트에 접촉한 다운 상태와 사용자의 윗몸이 일으켜진 업 상태를 각각 감지하고, 다운 상태와 업 상태가 연속하여 감지되는 경우에만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정확한 윗몸일으키기 동작을 수행한 경우에만 횟수가 카운트되도록 하는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윗몸 일으키기 운동은 윗몸을 눕혔다가 일으키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이루어진다. 윗몸 일으키기 운동은 허리와 복부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으로 건강증진과 다이어트의 수단으로 행해진다.
또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은 초중고 학생, 경찰 소방 공무원, 군인, 운동선수들의 체력 검정 내지는 측정의 일환으로도 행해지는데, 특히, 윗몸 일으키기 운동이 체력 검정 내지는 체력 측정의 일환으로 행해지는 경우에는 윗몸 일으키기 운동의 측정 결과가 내신 성적, 진급, 합격 등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객관적이고 형평성 있는 측정이 요구된다.
윗몸 일으키기 운동의 객관적이고 형평성 있는 측정을 위해서는 정확한 동작에 따라 수행된 윗몸일으키기 동작만이 카운트되어야 한다. 하지만,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카운트하는 측정자가 사람인 경우,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졌는지 판단 과정에서 오판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측정자가 다수인 경우에는 측정자마다 정확한 동작에 대한 기준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객관적인 기록 측정이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85778호 (2005.05.25)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정확한 윗몸일으키기 동작을 대상으로 횟수를 자동으로 카운트하는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윗몸일으키기 동작을 카운트하기 위해 사용자가 윗몸을 일으킨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일반적인 윗몸일으키기 동작 외에도 크런치(crunch) 동작과 같은 변형된 윗몸일으키기 동작 횟수를 측정 가능한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상체가 안착되는 매트와,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지지대, 그리고 발목을 고정하는 발목고정대가 바닥 플레이트 상단에 부착되는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에 있어서, 매트에 매립 배치되어 사용자의 등이 매트에 접촉한 다운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와, 바닥 플레이트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 길이를 갖는 센서 지지유닛과, 센서 지지유닛에 결합 배치되고, 객체의 유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윗몸이 일으켜진 업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 그리고 다운 상태와 업 상태가 연속하여 감지되면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1회 가산하여 카운트하는 윗몸일으키기 카운트부가 구비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바닥 플레이트의 측면에는 스타트 신호를 생성하는 스타트 버튼이 배치되고, 윗몸일으키기 카운트부는 스타트 신호가 수신되면 설정된 시간동안 발생한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스타트 버튼은 다운 상태에서 조작된 경우에 스타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지지유닛은 바닥 플레이트에 좌우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 프레임과, 연장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바닥 플레이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따라 바닥 플레이트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바디, 그리고 하단이 슬라이드 바디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바디와 함께 수평 프레임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제2 센서는 수직 프레임에 수직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지지유닛은 적어도 일부 구간이 수평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케이블 베어를 더 포함하고, 케이블 베어에는 제2 센서로 연결되는 전선이 수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직 프레임은 하단이 슬라이드 바디에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은 윗몸일으키기 모드 또는 크런치(crunch) 모드 중 하나의 운동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와, 크런치 모드가 선택되면 크런치 동작 횟수를 카운트하는 크런치 카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크런치 카운트부는 업 상태가 감지되면 크런치 횟수를 1회 가산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선택부는 수평 프레임이 바닥 플레이트와 형성하는 각도가 임계각도를 초과하면 윗몸일으키기 모드를 선택하고, 수평 프레임이 바닥 플레이트와 형성하는 각도가 임계각도 이내이면 크런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트에 매립되는 제1 센서로부터 다운 상태가 감지되고 연속하여 센서 지지유닛에 배치되는 제2 센서로부터 업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윗몸일으키기 횟수가 카운트되어 정확한 윗몸일으키기 동작이 이루어졌을 때에 카운트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객관적이고 형평성 있는 윗몸일으키기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운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가 매트에 매립 배치되어 제1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함과 통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센서의 위치가 상하 방향, 바닥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및 바닥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업 상태를 감지하는 위치가 자유롭게 가변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체형(특히, 하지장의 길이)에 따라 최상의 조건에서 윗몸일으키기를 수행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센서가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이 하측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크런치 동작과 같은 변형된 동작에서의 업 상태를 감지할 수 있어, 다양한 동작과 기준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동작을 측정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에서 윗몸일으키기 동작이 수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의 각 구성의 위치가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지지유닛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지지유닛의 수직 프레임이 회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지지유닛에 구비되는 케이블 베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에서 사용자가 크런치 운동을 수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제어모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에서 윗몸일으키기 동작이 수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는 윗몸일으키기 동작을 감지하여 그 횟수를 자동으로 카운트하되, 정확한 윗몸일으키기 동작이 수행되었을 때만 횟수가 카운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는 매트(10), 무릎지지대(20), 발목고정대(30), 바닥 플레이트(40), 제1 센서(50), 센서 지지유닛(60), 제2 센서(70), 스타트 버튼(80), 제어모듈(90) 및 컨트롤러(Co)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의 상체가 안착되는 매트(10)와,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지지대(20), 그리고 발목을 고정하는 발목고정대(30)는 바닥 플레이트(40)의 상단에 부착된다. 바닥 플레이트(40)를 포함하는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의 몸체를 이동시키기 편리하도록 바닥 플레이트(40)의 일단에는 하나 이상의 바퀴(41)가 부착되고 타단에는 손잡이(42)가 부착될 수 있다.
제1 센서(50)는 매트(10)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등이 매트에 접촉한 다운 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제1 센서(50)는 비접촉식 정전용량센서 또는 사용자의 자중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다운 상태에서 제1 센서(50)에 의해 불편함 또는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매트(10)에 매립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사용자의 다운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제1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센서 지지유닛(60)은 무릎지지대(20)와 이격되어 바닥 플레이트(40)의 측면에 결합 배치되는데, 센서 지지유닛(60)은 사용자의 윗몸이 일으켜진 업 상태를 감지 가능하게 한다.
제2 센서(70)는 센서 지지유닛(60)에 의해 바닥 플레이트(40)로부터 소정 높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업 상태를 감지하는데, 제2 센서(70)로는 목표 지점의 객체를 감지하는 광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70)는 바닥 플레이트(40)의 측면 상측에서 바닥 플레이트(40)의 상측에 위치하는 객체를 감지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2 센서(70)의 객체 감지 지점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업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스타트 버튼(80)은 제어모듈(90)이 윗몸일으키기 동작 카운트를 시작하도록 하는 스타트 신호를 생성시킨다. 이때, 스타트 버튼(80)은 컨트롤러(Co)에 배치되어 관리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바닥 플레이트(40)의 측면에 별도로 배치되어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어모듈(90)은 사용자가 윗몸일으키기 동작을 수행하면 수행된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카운트하며, 카운트된 윗몸일으키기 횟수는 컨트롤러(Co)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제어모듈(90)에 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모듈(90)은 제1 센서(50) 및 제2 센서(70)로부터 감지 정보를 인가받아 다운 상태와 업 상태가 연속하여 감지되면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1회 가산하여 카운트한다. 즉, 제어모듈(90)은 사용자가 등을 매트에 닿지 않은 상태로 제2 상태의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여도 제1 상태가 감지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윗몸일으키기 횟수로 카운트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모듈(90)은 스타트 버튼(80)에 의해 스타트 신호가 생성되면 설정된 시간동안 발생한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스타트 버튼(80)은 다운 상태가 감지된 상태에서 조작된 경우에만 스타트 신호를 생성하여 모든 사용자가 다운상태의 자세로 윗몸일으키기를 시작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마다 윗몸일으키기 조건을 동일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90)은 컨트롤러(Co)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센서(50), 제2 센서(70) 및 스타트 버튼(8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의 각 구성의 위치가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지지유닛(60)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지지유닛의 수직 프레임이 회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지지유닛(60)에 구비되는 케이블 베어(65)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체형(특히, 하지장의 길이)에 상관없이 최상의 조건에서 윗몸일으키기를 수행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체형에 상관없이 객관적인 윗몸일으키기 동작 횟수를 측정하기 위해 각 구성의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릎지지대(20) 및 발목고정대(30)의 상하 높이가 조절되고, 무릎지지대(20)의 위치가 바닥 플레이트(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체형, 특히 사용자의 하지장의 길이에 맞추어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체형에 따라 최상의 조건에서 윗몸일으키기를 수행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70)를 지지하는 센서 지지 유닛(60)은 제2 센서(70)의 사용자의 업 상태를 감지하는 위치가 자유롭게 조절되도록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센서 지지 유닛(60)은, 바닥 플레이트(40)에 좌우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 프레임(61)과, 연장 프레임(61)의 상단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62)과, 수평 프레임(6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바디(63)와, 하단이 슬라이드 바디(63)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바디(63)와 함께 수평 프레임(6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 프레임(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 프레임(64)은 하단이 슬라이드 바디(63)에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센서(70)는 수직 프레임(6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2 센서(70)를 수직 프레임(64)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제2 센서(70)의 상하 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수직 프레임(64)을 슬라이드 바디(63)와 함께 수평 프레임(62) 상에서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제2 센서(70)의 전후 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연장 프레임(61)을 좌우 폭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센서(70)의 좌우 폭 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때문에, 제2 센서(70)는 바닥 플레이트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을 통해 사용자의 업상태 감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며 체격이 큰 사용자가 윗몸일으키기 운동할 때에는 연장 프레임(61)을 따라 수평 프레임(62)을 바닥 플레이트(4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센서(70) 및 수직 프레임(64)이 사용자의 신체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 프레임(64)을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제2 센서(70)의 위치를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직 프레임(64)에 배치되는 제2 센서(70)의 높이와 회전 각도를 사용자의 체형이나 측정하고자 하는 윗몸일으키기 동작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2 센서(70)가 업 상태를 감지 가능할 수 있으며, 동시에, 윗몸일으키기 동작이 카운트되도록 인정되는 업 상태의 기준을 다양하게 설정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제1 센서(50) 및 제2 센서(70)는 전원 공급 및 제어모듈(90)과 통신 연결을 위해 전원모듈(미도시) 및 통신모듈(미도시)과 전선(Ca)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원모듈과 통신모듈은 바닥 플레이트(4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모듈 및 통신모듈로부터 제2 센서(70)로 연결되는 전선(Ca)은 바닥 플레이트(40)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프레임(61), 수평 프레임(62) 및 수직 프레임(64)의 내측을 통과하여 제2 센서(70)까지 연장 형성됨으로써, 전선(Ca)의 외부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바디(63)이 수평 프레임(6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선(Ca)이 꼬이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센서 지지유닛(60)에는 수평 프레임(62)의 내측에 배치되는 케이블 베어(65)가 구비되고, 제2 센서로 연결되는 전선(Ca)의 일부 구간은 케이블 베어(65)의 내측에 수용 배치될 수 있다.
도 7a, 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블 베어(65)는 수평 프레임(62)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프레임(64)의 하단으로 연장되는 전선(Ca)의 배치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수평 프레임(62)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케이블 베어(65)의 제1 구간은 수평 프레임(65)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전후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제2 구간은 제1 구간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수직 프레임(64)에 연결되도록 제1 구간과 평행하게 연장 배치된다. 즉, 케이블 베어(65)의 시작 지점은 수평 프레임(62)의 일단부에 위치 고정되고, 케이블 베어(65)의 종단 지점은 수직 프레임(64)에 위치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수직 프레임(64)이 수평 프레임(6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케이블 베어(65)의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은 그 구간의 길이가 각각 변화하며 평행 배치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케이블 베어(65)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Ca)은 케이블 베어(65)에 의해 가이드되어 그 꼬임이 방지되고 안정적인 배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수직 프레임(64)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센서(7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하더라도 제2 센서(70)에 연결되는 전선(Ca)의 꼬임이 발생되지 않아 더욱 안정적인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에서 사용자가 크런치 운동을 수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제어모듈(90)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는 제2 센서(70)의 위치가 넓은 범위에서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는 수직 프레임(64)이 슬라이드 바디(6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기본적인 윗몸일으키기 동작뿐만 아니라, 크런치 동작과 같은 변형된 동작을 감지하고 카운트할 수 있다.
크런치 동작이란 등이 바닥에 접한 상태로 어깨와 머리만을 들어올리는 변형된 윗몸일으키기 동작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64)과 바닥 플레이트(40)가 소정 각도(a)를 이루는 상태에서 제2 센서(70)는 사용자가 크런치 동작으로 어깨 및 머리를 들어 올렸을 때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를 객체로 감지할 수 있다. 즉, 수직 프레임(64)이 바닥 플레이트(40)와 소정 각도(a)를 이루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제2 센서(70)는 사용자가 등을 매트(10)에 붙이고 어깨와 머리만 들어올린 상태를 업 상태로 감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는 수직 프레임(64)의 회동만으로 크런치 동작 또한 카운트 가능하게 형성된다. 하지만, 크런치 운동을 카운트할 때, 제1 센서(50)의 매립 위치 또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업 상태의 동작을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제1 센서(50)에 의해 다운 상태로 감지되어 정상적인 카운트가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90)은 일반적인 윗몸일으키기 동작을 카운트하는 윗몸일으키기 모드와 크런치 동작을 카운트하는 크런치 모드로 구분되어 카운트가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모듈(90)은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91)와, 윗몸일으키기 모드 또는 크런치 모드 중 하나의 운동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92)와, 크런치 모드가 선택되면 크런치 동작 횟수를 카운트하는 크런치 카운트부(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윗몸일으키기 모드가 선택되면 윗몸일으키기 카운트부(91)는 제1 센서(50) 및 제2 센서(70)로부터 감지 정보를 인가받아 다운 상태와 업 상태가 연속하여 감지되면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1회 가산하여 카운트한다.
그리고 크런치 모드가 선택되면 윗몸일으키기 카운트부(91)를 대신하여 크런치 카운트부(93)가 크런치 동작을 카운트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 크런치 카운트부(93)는 다운 상태와 상관없이 업 상태가 감지될 때마다 크런치 횟수를 1회 가산하여 카운트할 수 있다.
이때, 모드 선택은 컨트롤러(Co)에 별도로 마련되는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모드 선택부(92)는 수평 프레임(62)의 각도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드 선택부(92)는 수평 프레임(62)이 바닥 플레이트와 형성하는 각도가 임계각도를 초과하면 윗몸일으키기 모드를 선택하고, 수평 프레임(62)이 바닥 플레이트와 형성하는 각도가 임계각도 이내이면 크런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슬라이드 바디(63) 내측에는 별도의 각도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수평 프레임(62)의 각도를 감지하고, 모드 선택부(92)는 각도 감지 센서로부터 인가받은 각도 정보를 통해 수평 프레임(62)과 바닥 플레이트 간의 형성 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매트
20: 무릎지지대 30: 발목고정대
40: 바닥 플레이트 41: 바퀴
42: 손잡이 50: 제1 센서
60: 센서 지지유닛 61: 연장 프레임
62: 수평 프레임 63: 슬라이드 바디
63: 수직 프레임 65: 케이블 베어
70: 제2 센서 80: 스타트 버튼
90: 제어모듈 91: 윗몸일으키기 카운트부
92: 모드 선택부 93: 크런치 카운트부
Ca: 전선 Co: 컨트롤러

Claims (9)

  1. 사용자의 상체가 안착되는 매트와,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지지대, 그리고 발목을 고정하는 발목고정대가 바닥 플레이트 상단에 부착되는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트에 매립 배치되어 사용자의 등이 상기 매트에 접촉한 다운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 길이를 갖는 센서 지지유닛;
    상기 센서 지지유닛에 결합 배치되고, 객체의 유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윗몸이 일으켜진 업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다운 상태와 상기 업 상태가 연속하여 감지되면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1회 가산하여 카운트하는 윗몸일으키기 카운트부가 구비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지지유닛은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좌우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 프레임;
    상기 연장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을 따라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바디; 및
    하단이 상기 슬라이드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함께 상기 수평 프레임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수직 프레임에 상기 수직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측면에는 스타트 신호를 생성하는 스타트 버튼이 배치되고,
    상기 윗몸일으키기 카운트부는 상기 스타트 신호가 수신되면 설정된 시간동안 발생한 상기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버튼은 상기 다운 상태에서 조작된 경우에 상기 스타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유닛은 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수평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케이블 베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베어에는 상기 제2 센서로 연결되는 전선이 수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하단이 상기 슬라이드 바디에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윗몸일으키기 모드 또는 크런치(crunch) 모드 중 하나의 운동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 및
    상기 크런치 모드가 선택되면 크런치 동작 횟수를 카운트하는 크런치 카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크런치 카운트부는 상기 업 상태가 감지되면 크런치 횟수를 1회 가산하여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이 회동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플레이트 간에 형성하는 각도가 임계각도를 초과하면 윗몸일으키기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이 회동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플레이트와 형성하는 각도가 임계각도 이내이면 크런치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KR1020200035741A 2020-03-24 2020-03-24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KR102342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741A KR102342100B1 (ko) 2020-03-24 2020-03-24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741A KR102342100B1 (ko) 2020-03-24 2020-03-24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179A KR20210119179A (ko) 2021-10-05
KR102342100B1 true KR102342100B1 (ko) 2021-12-24

Family

ID=7807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741A KR102342100B1 (ko) 2020-03-24 2020-03-24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1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7927B (zh) * 2022-07-14 2023-08-11 北京鑫东华腾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仰卧起坐测试装置与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009Y1 (ko) * 1999-10-21 2000-03-15 주식회사세우시스템 윗몸일으키기 자동 측정 장치
KR200461560Y1 (ko) * 2011-11-29 2012-07-19 박정석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778B1 (ko) 2000-11-07 2003-06-02 이청규 내부건조 및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수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009Y1 (ko) * 1999-10-21 2000-03-15 주식회사세우시스템 윗몸일으키기 자동 측정 장치
KR200461560Y1 (ko) * 2011-11-29 2012-07-19 박정석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179A (ko)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37071B (en) Waist circumference calculation apparatus and body composition determination apparatus
RU264593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истрации упражнения
JP6746334B2 (ja) バランス能力測定装置
US8512142B2 (en) Game controller having a stepping exercise platform and a sliding platform
WO2014144827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weight of a treadmill user
JP4990719B2 (ja) 健康測定装置
KR101979393B1 (ko) 근전도를 이용한 무소음 헬스 운동 시스템
JP6553921B2 (ja) バランス能力測定方法およびバランス能力測定装置
KR101384174B1 (ko)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KR102342100B1 (ko)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CN106390422B (zh) 一种劈叉测试装置
CN100562289C (zh) 腰围计算装置和身体组成确定装置
JP5470575B2 (ja) 運動状態測定装置及び生体測定装置
KR20180100971A (ko) 샌들 기반의 자세교정 장치
TWM374335U (en) Student fitness measuring and exercise prescription generating apparatus
CN114699067A (zh) 一种身高体重、坐位前屈体质健康测试装置
WO2018033909A1 (en) An apparatus for measuring and tracking progress of a person's movements during physical exercise
CN211131079U (zh) 一种改良型坐位体前屈测试机
CN211357674U (zh) 标尺高度可调型坐位体前屈
KR200415339Y1 (ko) 디지털 측정장치를 갖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102156667B1 (ko) 운동부하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푸쉬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방법
CN206262044U (zh) 劈叉测试装置
KR20210119178A (ko) 유연성 측정장치
CN109000772A (zh) 一种母婴健康秤
TWI598075B (zh) 坐姿體前彎檢測器系統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