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339Y1 - 디지털 측정장치를 갖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디지털 측정장치를 갖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339Y1
KR200415339Y1 KR2020060004347U KR20060004347U KR200415339Y1 KR 200415339 Y1 KR200415339 Y1 KR 200415339Y1 KR 2020060004347 U KR2020060004347 U KR 2020060004347U KR 20060004347 U KR20060004347 U KR 20060004347U KR 200415339 Y1 KR200415339 Y1 KR 200415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sit
contact sensor
control unit
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성
정영천
Original Assignee
김지성
정영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성, 정영천 filed Critical 김지성
Priority to KR2020060004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3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3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ank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3Relative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1Contac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릎과 등받이 부분에 측정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무릎과 허리부부이 센싱되면 이를 디지털 측정장치로 디스플레이하여 윗몸 일으키기를 실행한 정확한 갯수를 외부에서 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측정장치를 갖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등받침 매트 내부에 장착되며, 운동하는 사람의 등이 매트에 접촉될 때 발생하는 압력을 센싱하는 등접촉 센서와; 무릎을 감싸는 부직포 내부에 장착되며 운동하는 사람의 팔꿈치가 접촉될 때 발생하는 압력을 센싱하는 무릎접촉 센서와; 상기 등접촉 센서 및 무릎접촉 센서의 정보를 입력하며, 순차적으로 센서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카운트하여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계수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를 통해 계수되는 수치를 디지털 숫자형태를 통해 실시간으로 외부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며;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운동자는 자신의 운동량을 정확하게 알 수 있고, 관리자 역시 정확한 측정을 구할 수 있어 공정성과 신뢰성과 정확성 및 시간절약등 다양한 잇점을 갖게 된다.
디지털, 측정장치, 윗몸일으키기, 운동

Description

디지털 측정장치를 갖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A Physical Exercise Instrument Using Digital Sensing Unit}
도 1은 일반적인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회로구성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20: 무릎접촉 센서
30: 등접촉 센서
40: 제어부
50: 디스플레이 장치
100: 등받이 매트
200: 부직포
본 고안은 디지털 측정장치를 갖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릎과 등받이 부분에 측정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무릎과 허리부분이 센싱되면 이를 디지털 측정장치로 디스플레이하여 윗몸 일으키기를 실행한 정확한 갯수를 외부에서 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측정장치를 갖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는 평판으로 이루어진 패널형 등받이에 등을 대고 발걸이에 발등을 거치하여 지지한 다음에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허리를 중심으로 접었다 폈다를 반복하면서 복근등과 같은 신체 근육을 단련하는 기구이다.
가장 단순한 형태의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의 실시예로서,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10)는 나무 또는 철재로 이루어지는 등받이(11)가 마련되고, 이 등받이(11) 일단에 T자형의 발걸이(12)가 배치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등받이(11) 일단에 배치된 발걸이(12)에 발목 앞부분을 끼운 상태에서 무릎을 구부리고,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는 윗몸일으키기의 시간당 횟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즉, 현재까지의 운동기구는 사람이 숫자를 파악하기 때문에 실제 운동을 하는 자가 등받이에 등을 닿지 않거나 팔을 무릎까지 닿지 않더라도 카운트를 실시하는등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정확하게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서 운동량 측정시 손해를 입을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사람에 의해서 윗몸일으키기 갯수를 파악하면 정확한 셈을 못할 경우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갯수를 조작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등받이와 무릎에 센서장치를 더 부가하고 디지털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함으로서 보다 정확한 갯수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운동자나 관리자 모두에게 만족할만한 운동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등을 기대는 등받침 매트와 발을 장착하는 발걸이를 포함하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 매트 내부에 장착되며, 운동하는 사람의 등이 매트에 접촉될 때 발생하는 압력을 센싱하는 등접촉 센서와;
무릎을 감싸는 부직포 내부에 장착되며 운동하는 사람의 팔꿈치가 접촉될 때 발생하는 압력을 센싱하는 무릎접촉 센서와;
상기 등접촉 센서 및 무릎접촉 센서의 정보를 입력하며, 순차적으로 센서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카운트하여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계수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를 통해 계수되는 수치를 디지털 숫자형태를 통해 실시간으로 외부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회로구성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팔꿈치 접촉센서(20) 1개조와, 등접촉센서(30)등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의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센서가 순차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1회로 카운트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서 디지털 형태로 숫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5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은 운동자의 등접촉과 팔꿈치의 무릎접촉을 센싱토록 하기 위한 센서장치를 설치토록 하여 상기 센서의 센싱결과를 이용하여 디지털 형태로 표시함으로서 윗몸일으키기 측정갯수에 신뢰감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먼저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기에 있어서 운동자의 등 끝단부가 닿는 등받침 매트 부분에 등접촉 센서(30)를 설치하는바, 상기 센서는 일정이상 압력이 가해지면 반응하는 압력 측정형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는 등받침 매트(100) 내부 또는 외부표면에 센서를 삽입하고 출력라인을 외부로 인출토록 하며, 센서는 부직포 등으로 감싼 형태로 구성하여 운동자가 운동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또한, 무릎에 착용하는 무릎접촉 센서(20)는 부직포(200)의 내부에 장착하거나 외부에 부착하여 부직포(200)를 롤 형태로 무릎을 감쌀 수 있으며, 무릎에 감싼후 연결부위는 벨크로 메직 테이프 등으로 상호 결합토록 하며, 이때 부직포(200)에 장착된 무릎접촉 센서(20)가 무릎의 정면에 위치토록 배치하여 운동자가 팔꿈치로 쉽게 센서부위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무릎접촉 센서(20)는 등접촉 센서(30)와 마찬가지로 일정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반응하도록 하는 압력 측정형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며, 유선을 이용하여 출력라인을 외부로 연장시킨다.
상기 등접촉 센서(30)와 무릎접촉 센서(20)에 의해서 측정된 결과는 제어부(40)로 연결되며,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등접촉 센서(30)와 무릎접촉 센서(20)의 반응이 각각 이루어지는 것을 1회 윗몸일으키기 횟수로 인정하여 카운트하게 된다.
즉, 만약에 등접촉 센서(30)만이 연이어 반응하게 되면, 운동자가 무릎을 터치하지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1회 윗몸일으키기 횟수로 인정하지 않고, 등접촉 센서(30) 측정 후 반드시 무릎접촉 센서(20)를 터치하여야만 1회 윗몸일으키기 횟수로 인정토록 한다.
물론, 무릎접촉 센서(20)만을 연이어 터치하더라도 마찬가지로 1회 윗몸일으키기 횟수로 인정하지 않토록 하여 부정한 카운트를 원천적으로 봉쇄한다.
그리고, 제어부(40)에 의해서 카운트한 결과는 곧바로 디스플레이 장치(50)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윗몸일으키기의 갯수를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자는 운동자의 윗몸일으키기 갯수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동자는 무릎에 무릎접촉 센서(20)가 장착된 부직포(200)를 각각 착용하되, 센서부분이 무릎의 정면으로 위치하도록 부직포(200)를 무릎부위에 잘 감싸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등받이 매트(100) 부분에는 이미 등접촉 센서(3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윗몸일으키기 측정준비는 마무리 된다.
그리고, 등접촉 센서(30)의 출력라인과 무릎접촉 센서(20)의 출력라인을 제어부 영역에 접속하여 카운트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 결과는 제어부(40)의 출력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운동자가 등받이에 누워 등접촉 센서(30)로부터 신호가 들어오면 제어부(40)는 윗몸일으키기를 카운트할 준비를 하며, 이후 운동자가 윗몸일으키기를 실시하여 팔꿈치가 무릎접촉 센서(20)에 닿게 되면 1회 카운트를 하고, 이런 방식으로 등접촉 센서(30)와 무릎접촉 센서(20)를 교대로 터치한 경우 순차적으로 카운트를 계수토록 한다.
물론, 상기 무릎접촉 센서(20)는 양무릎에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양무릎을 모두 터치해야 하며, 만약에 한개의 센서만 터치하게 되면 카운트를 생략토록 하여 부정한 방법으로 윗몸일으키기를 하는 운동자에게 불이익을 주도록 한다.
결국, 본 고안은 등받이와 무릎부분에 각각 측정센서(20, 30)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의 터치가 교대로 이루어진 경우에만 윗몸일으키기 횟수로 인정토록 하여 정확한 측정 신뢰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등받이와 무릎을 통해 등접촉센서와 무릎접촉센서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센서의 결과를 조합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운동자는 자신의 운동량을 정확하게 알 수 있고, 관리자 역시 정확한 측정을 구할 수 있어 공정성과 신뢰성과 정확성 및 시간절약등 다양한 잇점을 갖게 된다.
또한, 여러대의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를 이용한다면 관리자 한사람이 여러사람을 대상으로 윗몸일으키기 갯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력감축 효과를 가져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 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1)

  1. 등을 기대는 등받침 매트와 발을 장착하는 발걸이를 포함하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 매트 내부에 장착되며, 운동하는 사람의 등이 매트에 접촉될 때 발생하는 압력을 센싱하는 등접촉 센서와;
    무릎을 감싸는 부직포 내부에 장착되며, 운동하는 사람의 팔꿈치가 접촉될 때 발생하는 압력을 센싱하는 무릎접촉 센서와;
    상기 등접촉 센서 및 무릎접촉 센서의 정보를 입력하며, 순차적으로 센서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카운트하여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계수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를 통해 계수되는 수치를 디지털 숫자형태를 통해 실시간으로 외부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측정장치를 갖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20060004347U 2006-02-16 2006-02-16 디지털 측정장치를 갖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0415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347U KR200415339Y1 (ko) 2006-02-16 2006-02-16 디지털 측정장치를 갖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347U KR200415339Y1 (ko) 2006-02-16 2006-02-16 디지털 측정장치를 갖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339Y1 true KR200415339Y1 (ko) 2006-05-02

Family

ID=41764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347U KR200415339Y1 (ko) 2006-02-16 2006-02-16 디지털 측정장치를 갖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33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074B1 (ko) 2011-02-09 2012-07-12 이승찬 윗몸 일으키기 및 팔 굽혀 펴기 측정장치
CN109999472A (zh) * 2019-05-10 2019-07-12 江苏金动感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仰卧起坐智能测试装置
KR200489190Y1 (ko) * 2018-05-15 2019-08-28 김지민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스마트 복근 운동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074B1 (ko) 2011-02-09 2012-07-12 이승찬 윗몸 일으키기 및 팔 굽혀 펴기 측정장치
KR200489190Y1 (ko) * 2018-05-15 2019-08-28 김지민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스마트 복근 운동 기구
CN109999472A (zh) * 2019-05-10 2019-07-12 江苏金动感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仰卧起坐智能测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20499A1 (zh) 运动记录方法及装置
JP2006145540A (ja) 脈搏或は心搏測定が可能な体重計
US20070179360A1 (en)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body composition
US20190365284A1 (en) Device for measuring the circumference of an object
US20190290962A1 (en) Device and methods for improved resistance training
WO2007069111A2 (en) Device for assessing the physical condition of a person
KR101384174B1 (ko)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JP2006247209A (ja) 身体組成測定装置
JPH10511866A (ja) 差動型の筋力計
KR200415339Y1 (ko) 디지털 측정장치를 갖는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CN109820476A (zh) 一种平衡能力评估方法及应用该方法的装置和系统
CN102614624A (zh) 配置体重自动测定系统的电动跑步机及运行方法
US5394888A (en) Arthrometer with gravity switches and adjustable limit signaling
EP4192408A1 (en) Arrangement for compression treatment, in particular compression therapy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nd monitoring the same
CN105833466A (zh) 一种仰卧起坐的测量计数方法及装置
KR102342100B1 (ko)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KR200176009Y1 (ko) 윗몸일으키기 자동 측정 장치
KR200385778Y1 (ko) 윗몸일으키기 측정기
WO2007021062A1 (en) A unit,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1 repetition maximum
CN210843058U (zh) 用于深静脉血栓判断的腿围测量尺
TWI615174B (zh) 屈膝仰臥起坐檢測器系統及其方法
KR200195616Y1 (ko) 팔굽혀펴기 측정장치
KR102101102B1 (ko) 탄성체를 이용한 팔굽혀펴기 계수 장치
KR200177629Y1 (ko) 엎드려 팔굽혀펴기 자동 측정 장치
KR200195617Y1 (ko) 윗몸일으키기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