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667B1 - 운동부하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푸쉬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운동부하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푸쉬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667B1
KR102156667B1 KR1020180145904A KR20180145904A KR102156667B1 KR 102156667 B1 KR102156667 B1 KR 102156667B1 KR 1020180145904 A KR1020180145904 A KR 1020180145904A KR 20180145904 A KR20180145904 A KR 20180145904A KR 102156667 B1 KR102156667 B1 KR 102156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grip
push
exercise load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0839A (ko
Inventor
김일
Original Assignee
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 filed Critical 김일
Priority to KR1020180145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66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36Push-ups in horizont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4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업의 운동부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푸쉬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유닛이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부하를 산출하여 운동능력이 부족한 사용자도 푸쉬업에 대한 흥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운동부하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푸쉬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방법{SMART PUSH-UP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EXERCISE LOAD AND METHOD OF CONTROLLING EXERCISE LOAD OF PUSH-UP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푸쉬업의 운동부하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에 적합한 운동부하로 푸쉬업을 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한 스마트 푸쉬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비례하여 사람의 기대수명도 급격히 증가하여 백세시대 도래를 눈 앞에 두고 있다. 백세시대는 단순히 오래 사는 것(Living Longer)이 아니라 건강하게 잘 사는 것(Living Well)을 의미한다. 이에 건강해지기 위한 하나의 방법인 운동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람들은 건강해지기 위해서 운동을 한다. 운동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기구를 사용하는 운동은 각 개인의 운동능력을 초과하여 잦은 부상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결국 최근에는 자신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인 맨몸운동이 대안으로 다시 부상하고 있다.
맨몸운동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푸쉬업(Push-Up)이다. 푸쉬업이란 지면이나 벽면에 손바닥을 대고 미는 것으로서, 체중에 의한 운동효과를 이용하는 것이다. 푸쉬업은 전신운동으로서 대흉근뿐만아니라 상완삼두근 및 전면삼각근, 나아가 복근까지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푸쉬업은 근육강화 외에도 근육 스트레칭, 심혈관계 강화 및 자세교정 등에 유용하다.
하지만 체중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운동능력이 부족한 여성이나, 청소년, 중장년층 및 노년층의 사용자는 과도한 운동강도로 인해 제대로 푸쉬업을 하기 어렵다. 벽면을 이용한 푸쉬업의 경우에도 점차적으로 강도를 증가시키기 어렵다는 문제, 즉 운동부하 조절이 세분화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푸쉬업 자체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고 지속성이 결여되어, 결론적으로는 푸쉬업을 이용한 운동능력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따라서 보다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적합한 운동부하를 제공할 수 있는 푸쉬업 장치와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분화된 운동부하 조절이 가능하며, 나아가 보다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적합한 운동부하를 제공할 수 있는 푸쉬업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부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푸쉬업에 대한 지속적인 흥미 유발 및 동기 부여가 가능하도록 하여 푸쉬업이 사용자의 건강한 삶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부하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푸쉬업 장치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를 축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1그립 및 제2그립이 배치된 그립유닛;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의 일 위치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타 단부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각도조절바; 상기 각도조절바의 타 단부의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한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 방법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스마트 푸쉬업 장치를 이용하여 제공되며, 상기 제어유닛이 사용자가 지정한 목표 푸쉬업 횟수, 상기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을 작동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도를 사용자가 지정한 목표 푸쉬업 횟수가 가능한 운동부하에 적합하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조건은 상기 사용자의 나이, 키 및 체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상기 사용자의 운동능력은 상기 제어유닛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와 유사한 신체조건을 가지는 사람의 평균운동능력 또는 상기 사용자의 과거 운동기록으로부터 산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 프로그램은 바닥면에 배치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를 축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1그립 및 제2그립이 배치된 그립유닛;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일 위치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타 단부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각도조절바; 상기 각도조절바의 타 단부의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한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 푸쉬업 장치를 이용한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는 지지프레임의 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함으로써 각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부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푸쉬업 장치는 그립 유닛의 지지프레임에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그립 사이의 간격과 그립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푸쉬업을 통한 다양한 근육 부위에 자극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스마트 푸쉬업 장치는 심박측정유닛를 포함하여, 그립에 심박측정전극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푸쉬업을 수행하는 중의 심박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간으로 측정한 심박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부하를 산출하고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푸쉬업 장치는 제1그립 및 제2그립의 사이에 횟수센서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푸쉬업 횟수 및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나아가 측정한 횟수 및 시간과 이때의 운동부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음 세트의 목표(운동부하, 횟수 및 시간 등)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스마트 푸쉬업 장치는 각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사용자의 나이, 체중, 운동기록을 휴대용 통신장치로 송신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부하 및 회수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푸쉬업 장치는 제어유닛 또는 휴대용 통신장치가 빅데이터(Bigdata) 서버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대응하는 평균 운동부하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부하를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의 그립유닛이 연장부를 가지는 경우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의 제어유닛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의 제어유닛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의 운동부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를 이용할 경우의 운동부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의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100)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푸쉬업 장치(100)는 본체프레임(10), 지지프레임(20) 및 그립유닛(40)으로 구성된다.
본체프레임(10)은 바닥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3개 이상의 받침대(11)로 바닥면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본체프레임(10)은 'T'자 형상일 수 있으며, 'T'자 형상의 3곳의 단부에 받침대(11)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프레임(10)은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본체프레임(10)에는 지지프레임(20)과 연결되는 연결부(30)가 설치된다. 연결부(30)는 지지프레임(20)이 연결부(30)를 축으로 R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30)는 본체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20)을 힌지(hinge) 결합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지지프레임(20)의 본체프레임(10)에 대한 각도는 각도조절바(64)에 의해 결정된다. 각도조절바(64)는 일 단부가 지지프레임(20)의 일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고리(21)와 연결되고, 타 단부가 본체프레임(10)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고리(63)에 연결된다.
이동고리(63)의 일부는 이동축(62)에 끼워지는 관형상일 수 있으며, 구동유닛(60)의 동작에 의해 이동고리(63)가 이동하게 된다. 이동고리(63)가 이동함에 따라 각도조절바(64)가 지지프레임(20)을 밀어올리거나 내려 지지프레임(20)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동고리(63)의 움직임은 구동유닛(60)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구동유닛(60)이 전기모터인 경우, 전기모터의 작동으로 웜기어(61)를 회전시켜 웜기어(61)와 이동축(62)의 웜이 맞물려 이동축(62)이 회전된다. 이동축(62)과 이동고리(63)를 나사결합시켜 이동축(62)의 회전에 따라 이동고리(63)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고리(63)가 M 방향의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각도조절바(64)가 지지프레임(20)을 밀어올려, P1에 있던 지지프레임(20)이 순차적으로 P2 및 P3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100)는 이동축(62)과 이동고리(63)를 나사결합시켜 지지프레임(2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세밀하게 지지프레임(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가 푸쉬업 운동을 하는 중에 이동고리(63)가 타측으로 밀려 지지프레임(20)이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유닛(60)으로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거나, 유압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스마트 푸쉬업 장치(100)는 안정성을 위해 이동고리(63)가 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방지장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동고리(63)를 움직여 지지프레임(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이동고리(63)의 움직임으로 발생한 힘이 각도조절바(64)를 통해 지지프레임(20)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힘 전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20)은 제1프레임(20a), 제2프레임(20b), 제3프레임(30c)이 순서대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프레임 및 제3프레임(20a, 20c)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제2프레임(20b)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배치한 후, 제2프레임(20b)에 연결고리(21)를 설치하여 각도조절바(64)가 이동고리(63)의 움직임으로 발생한 힘을 지지프레임(20)의 각도조절에 필요한 힘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동유닛(60)은 제어유닛(5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구동유닛(60)과 제어유닛(50)은 본체프레임(10)에 설치된 하우징(8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0)에는 그립유닛(40)이 배치된다. 그립유닛(40)은 지지프레임(20)에서 V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신장에 적합한 위치에 그립유닛(40)을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그립유닛(40)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 사용자는 그립유닛고정레버를 동작시켜 그립유닛(40)이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립유닛고정레버는 그립유닛(40)에 설치되며, 일측은 레버로, 타측은 지지프레임(20)에 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레버를 동작시키면 그립유닛고정레버가 지지프레임(20)을 가압하여 그립유닛(4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립유닛(40)에는 제1그립(41a) 및 제2그립(41b)이 배치된다. 제1그립(41a) 및 제2그립(41b)은 사용자가 푸쉬업 운동시에 잡는 부분이다. 제1그립(41a) 및 제2그립(41b)은 그립유닛(40)의 일 위치에서 회전(G1)이 가능하며, 나아가 그립유닛(40) 상에서 이동(G2)도 가능하다. 푸쉬업을 하는 사용자는 제1그립(41a) 및 제2그립(41b)의 각도와 위치를 조절하여 운동이 되는 부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그립(41a) 및 제2그립(41b)은 각각 제1그립(41a) 및 제2그립(41b)을 그립유닛(40)의 일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1그립고정레버 및 제2그립고정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립유닛(40)의 제1그립(41a) 및 제2그립(41b) 사이에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장치가 배치될 수 있는 거치부(42)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유닛(40)은 제1그립(41a) 및 제2그립(41b)의 사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40a)를 가지고, 연장부(40a)에 거치부(42)가 배치될 수 있다.
거치부(42)는 미끄럼방지 패드가 설치되어 있거나, 홈이나 돌출부를 가져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장치를 거치할 수 있다.
특히, 거치부(42)에 배치된 휴대용 통신장치와 제어유닛(50)이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는 휴대용 통신장치의 카메라, 거리측정센서, 근접센서, 광센서 또는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푸쉬업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42)에 거치된 휴대용 통신장치의 자이로센서 또는 기울기센서를 이용하여 지지프레임(20)의 현재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유닛(50)이 구동유닛(60)을 동작시켜 지지프레임(2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거치부(42)에 거치된 휴대용 통신장치의 자이로센서 또는 기울기센서를 통해 지지프레임(20)의 현재 각도를 확인하여 지지프레임(20)의 각도가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부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42)가 연장부(40a)에 위치하는 경우, 휴대용 통신장치를 사용자의 시야 내에 위치시켜 사용자는 푸쉬업을 하면서 자신의 현재 상태를 휴대용 통신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100)는 휴대용 통신장치 없이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그립유닛(40)에 자이로센서 또는 기울기 센서를 설치하여 지지프레임(20)의 현재 각도를 확인함으로써 제어유닛(50)이 구동유닛(60)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부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2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그립유닛(40)의 제1그립 및 제2그립의 사이에 횟수센서를 설치하여, 휴대용 통신장치 없이도 사용자의 푸쉬업 횟수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통신장치와 제어유닛(50)이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어유닛(50)은 운동부하, 그립유닛의 위치, 제1그립 및 제2그립 사이의 간격, 제1그립 및 상기 제2그립의 각도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유닛(50)은 심박측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이와 같은 심박측정모듈은 제1그립(41a) 및 제2그립(41b)에 각각 설치되는 제1심박측정센서(43a) 및 제2심박측정센서(4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심박측정센서(43a) 및 제2심박측정센서(43b)는 푸쉬업 운동중의 사용자의 심박수 변화를 측정한다.
그립유닛(40)의 제1그립(41a) 및 제2그립(41b) 사이에는 미끄럼방지패드(44)가 배치될 수 있으며, 미끄럼방지패드는 사용자가 리버스 모드로 그립유닛에 발을 올려놓고 바닥에 손을 놓고 푸쉬업을 할 경우에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리버스 모드란 사용자의 발의 높이를 높여 사용자가 더 강한 운동부하를 느낄 수 있는 형태의 운동방법을 의미한다.
그립유닛(40)에는 콘트롤러(45)가 배치되어, 사용자는 콘트롤러(45)를 통해 스마트 푸쉬업 장치(100)를 조작할 수있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의 제어유닛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4a는 스마트 푸쉬업 장치의 제어유닛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며, 도 4b는 스마트 푸쉬업 장치의 제어유닛이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장치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4a 및 도 4b를 별개로 도시하였으나, 일 실시예에서는 양자를 함께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의 제어유닛은 제어모듈과 함께 심박측정모듈, 통신모듈 및 저장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사용자가 콘트롤러를 통해 입력한 목표 푸쉬업 횟수,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따라 구동유닛을 작동시켜 지지프레임의 각도를 사용자가 지정한 목표 푸쉬업 횟수가 가능한 운동부하에 적합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사용자의 신체조건은 사용자의 나이, 키 및 체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사용자의 운동능력은 제어유닛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와 유사한 신체조건을 가지는 사람의 평균운동능력 또는 사용자의 과거 운동기록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푸쉬업 장치가 지지프레임의 현재 각도를 확인할 수 있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할 경우, 제어모듈은 지지프레임의 현재 각도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부하에 필요한 각도에 지지프레임이 위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은 사용자가 푸쉬업을 수행한 횟수를 횟수센서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모듈에서 사용자의 운동능력을 결정하기 위해서, 통신모듈은 사용자의 빅데이터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모듈은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대응하는 평균 운동부하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부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이 별도의 저장모듈을 구비하여, 나이 및 신체조건에 따른 평균 운동능력에 관한 정보나 사용자의 과거운동기록을 저장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유닛은 심박측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심박측정모듈이 사용자가 푸쉬업을 하는 동안 심박수를 측정하고, 제어유닛이 사용자의 심박수가 목표심박수에 도달한 경우의 푸쉬업 횟수를 기록하여 사용자의 과거운동기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목표심박수는 220에서 사용자의 나이를 제한 값으로 결정하여 사용자의 나이에 따라서 각각 목표심박수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형태의 제어유닛은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과거운동기록이나 심박수 등의 정보는 사용자의 휴대용통신장치의 저장모듈에 저장될 수 있으며, 나아가 휴대용통신장치의 연산모듈(AP; application processor)이 사용자에게 적절한 운동부하를 산출하여 제어유닛으로 전송하여 제어유닛이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지지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한다. 한편, 사용자의 휴대용통신장치는 위와 같은 운동기록 등의 수집, 분석, 및 적절할 운동부하 산출 등을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용통신장치의 입력모듈을 이용하여 목표 푸쉬업 횟수, 사용자의 신체조건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휴대용통신장치의 출력모듈을 통해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휴대용통신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립유닛의 거치부에 배치되는데, 이 경우 휴대용통신장치의 카메라, 거리측정센서, 근접센서, 광센서 또는 터치센서 등이 횟수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휴대용통신장치의 기울기센서나 자이로센서가 지지프레임의 현재 각도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휴대용 통신장치는 빅데이터 서버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휴대용 통신장치의 연산모듈은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대응하는 평균 운동부하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부하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부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운동부하를 정확히 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부하를 제공하기 위한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를 이용할 경우의 운동부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사용자는 키가 h라하고, 몸무게가 m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연결부로부터 그립유닛까지의 직선 길이를 l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사용자의 발바닥부터 어깨까지의 길이를 hshoulder라 하고, 상기 사용자의 팔 길이를 harm이라 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부터 신체의 무게중심(C)까지의 거리를 hcenter라 가정한다. g는 중력가속도를 의미한다. 지지프레임이 0도에 위치할 경우에 그립으로부터 수평으로 그은 선을 기준선(O)이라고 한다.
푸쉬업을 할 때, 사용자의 팔에 인가되는 운동부하를 구하기 위해서는 힘의 평형방정식이 필요하다. 사용자는 팔과 발로 지지하고 있으며, 체중(m)만큼 중력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으므로 다음 수학식 1과 같은 수직 방향의 힘의 평형 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116979961-pat00001
이를 이용하여 모멘텀 평형식을 세우면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Figure 112018116979961-pat00002
D1은 발과 손사이의 수평거리이며, D2는 발과 몸의 무게중심까지의 수평거리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팔에 인가되는 힘을 운동부하(Fh)로 불 수 있으므로, 수학식 2는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푸쉬업의 경우 운동부하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존하는 바, 본 명세서에서는 운동부하를 사용자 체중에 대한 비율(%)이나 kg으로 환산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수학식 3]
Figure 112018116979961-pat00003
즉, 지지프레임의 각도(θ1)에 따른 운동부하(Fh)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발과 손사이의 수평거리(D1) 및 발과 몸의 무게중심까지의 수평거리(D2)를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준선(O)부터 손까지의 높이(H)를 구해면, 다음 수학식 4와 같다.
[수학식 4]
Figure 112018116979961-pat00004
발로부터 손까지의 직선거리(L)는 팔의 길이(harm)와 발바닥과 어깨사이의 길이(hshoulder)를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해서 구하면, 다음과 같은 수학식 5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20011030450-pat00032
사람의 팔의 길이는 평균적으로 키의 0.35배이며, 발과 어깨까지의 길이는 평균적으로 키의 0.8배로 알려져 있다. 이를 이용하여 수학식 5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수학식 6이 도출된다.
[수학식 6]
Figure 112020011030450-pat00033
수학식 4에서 구한 H를 이용하면, θ2를 다음과 같이 수학식 7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112018116979961-pat00007
수학식 7에 수학식 6의 L을 대입하면 다음 수학식 8과 같이 정리된다.
[수학식 8]
Figure 112018116979961-pat00008
한편, θ3를 팔의 길이(harm)와 발과 어깨사이의 길이(hshoulder)를 이용해 정리하면 다음 수학식 9와 같다.
[수학식 9]
Figure 112018116979961-pat00009
사람의 팔의 길이는 평균적으로 키의 0.35배이며, 발과 어깨까지의 길이는 평균적으로 키의 0.8배 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수학식 9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수학식 10이 도출된다.
[수학식 10]
Figure 112018116979961-pat00010
수학식 6 및 수학식 8을 이용하여, 발과 손사이의 수평거리(D1)를 구해보면 수학식 11이 도출된다.
[수학식 11]
Figure 112018116979961-pat00011
또한, 발과 몸의 무게중심까지의 수평거리(D2)를 수학식 8과 수학식 10을 이용하여 구해보면 수하식 12가 도출된다. 이때, 발바닥로부터 신체의 무게중심까지의 길이(hcenter)는 평균적으로 키의 0.55배이므로 이를 이용하였다.
[수학식 12]
Figure 112018116979961-pat00012
수학식 12 및 수학식 13을 수학식 3에 대입하면 지지프레임의 각도(θ1)에 따른 운동부하(Fh)를 수학식 13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수학식 13]
Figure 112018116979961-pat00013
만약, harm, hshoulder, hcenter를 가정하지 않는다면 운동부하(Fh)는 수학식 14와 같이 표현될 것이다.
[수학식 14]
Figure 112018116979961-pat00014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푸쉬업 장치의 지지프레임이 소정의 각도(θ1)일 때의 운동부하는 위의 수학식 13이나 수학식 14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전술한 수학식 13을 이용하여, 키가 1.8 m인 사용자가 지지프레임의 각도(θ1)에 따라 느끼는 운동부하를 사용자 체중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18116979961-pat00015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지지프레임의 각도(θ1)가 0도 일때는 자신의 체중의 약 69%의 운동부하를 느끼게 되는데, 이는 실험적으로 알려진 값과 일치하는 것이다.
또한, 지지프레임의 각도(θ1)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에 대한 운동부하가 점차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지정한 목표 푸쉬업 횟수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조건을 콘트롤러나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제어유닛에 입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제어유닛이 사용자가 지정한 목표 푸쉬업 횟수, 상기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을 작동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도를 사용자가 지정한 목표 푸쉬업 횟수가 가능한 운동부하에 적합하도록 조절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사용자의 신체조건은 사용자의 나이, 키 및 체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사용자의 운동능력은 제어유닛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와 유사한 신체조건을 가지는 사람의 평균운동능력 또는 사용자의 과거 운동기록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가 지지프레임이 제1각도(θ1)인 상태에서 N회의 푸쉬업을 수행하게 된다. 제1각도(θ1)에서 수행한 운동부하는 제어유닛이 위의 수학식 13이나 수학식 14에 의해 산출한다.
한편, 사용자가 제1각도(θ1)에서 N회의 푸쉬업을 수행한 경우에 제어유닛은 사용자의 최대 운동부하(Fmax)를 다음의 수학식 15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최대운동부하란 사용자가 1회만 푸쉬업 할 수 있는 운동부하를 의미한다.
[수학식 15]
Figure 112018116979961-pat00016
몸무게가 80키로이며, 키가 1.8m인 사용자 A가 제1각도(θ1)가 45인 경우에 20회의 푸쉬업을 수행하였다면, 사용자 A는 59.6 kg의 무게에 해당하는 운동부하를 최대 운동부하로 가지게 된다.
만약, 사용자 A가 25회를 목표횟수(Na)로 설정할 경우, 제어유닛은 적합한 운동부하(Fha)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때, 제어유닛은 다음의 수학식 16에 의해 적합한 운동부하(Fha)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6]
Figure 112018116979961-pat00017
즉, 제어유닛은 수학식 16에 의해 사용자 A가 25회의 푸쉬업을 하기에 적합한 운동부하(Fha)로 36.7 kg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A의 체중에 45.83%에 해당하는 운동부하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제어유닛은 결정한 운동부하(Fha)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17로부터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어프레임의 각도(θa)를 산출하게 된다.
[수학식 17]
Figure 112018116979961-pat00018
수학식 17을 의용하여 사용자 A가 25회의 푸쉬업을 하기 위한 적절한 지지프레임의 각도를 산출해보면 약 56.8도임을 알 수 있다.
위의 일련의 과정은 제어유닛이 사용자의 과거운동기록을 통해 적합한 운동부하를 결정하는 것을 설명한 것이며, 제어유닛인 이와 더불어 빅데이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와 유사한 신체조건을 가지는 사람의 평균운동능력을 고려하여 적합한 운동부하로 보정 할 수 있다. 즉, 제어유닛은 빅데이터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대응하는 평균 운동부하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부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이가 많은 경우에는 적합한 운동부하를 더 낮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푸쉬업 운동을 하다보면 본인의 한계를 넘어서 운동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자세가 무너진 상태로 푸쉬업을 하기 때문에 부정확한 운동횟수로 산정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심박측정모듈이 사용자가 푸쉬업을 하는 동안 심박수를 측정하고, 제어유닛이 사용자의 심박수가 목표심박수에 도달한 경우의 푸쉬업 횟수를 기록하여, 이때의 횟수를 최대운동부하 산출에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심박수는 220에서 사용자의 나이를 제한 값으로 결정하여 사용자의 나이에 따라서 각각 목표심박수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스마트 푸쉬업 장치와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 방법을 통해 각 사용자에게 적합한 강도의 운동부하를 제공할 수 있다. 적합한 운동부하를 제공받은 각 사용자는 자신이 목표횟수의 푸쉬업을 성공함으로써 푸쉬업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내고 동기를 유발하는 선순환을 통해 더욱 건강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방법은 제어유닛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어유닛이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용통신장치와 연결될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방법은 휴대용통신장치의 AP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휴대용통신장치에는 이와 같은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방법을 구현하기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방법은 컴퓨터나 휴대용통신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스마트 푸쉬업 장치
10: 본체프레임 11: 받침대
20: 지지프레임 21: 연결고리
30: 연결부
40: 그립유닛
50: 제어유닛 41a, 41b: 제1 및 제2그립
42: 거치부 43a, 43b:제1및 제2심박측정센서
44: 미끄럼방지패드 45: 콘트롤러
60: 구동유닛
61: 웜기어 62: 이동축
63: 이동고리 64: 각도조절바

Claims (20)

  1. 바닥면에 배치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를 축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1그립 및 제2그립이 배치된 그립유닛;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일 위치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타 단부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각도조절바;
    상기 각도조절바의 타 단부의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한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키가 h라하고, 몸무게가 m이라하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그립유닛까지의 직선길이를 l이라 하며, 상기 사용자의 발로부터 손까지의 직선거리를 L이라 하며,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부터 어깨까지의 길이를 hshoulder라 하고, 상기 사용자의 팔 길이를 harm이라 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부터 신체의 무게중심까지의 거리를 hcenter라 하며, 중력가속도를 g라고 정의할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이 제1각도(θ- 1)일 경우에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사용자에게 인가되는 운동부하(Fh)를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하는 스마트 푸쉬업 장치.

    [수학식 1]
    Figure 112020011030450-pat0003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그립유닛을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 위치에 고정시키는 그립유닛고정레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푸쉬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 및 상기 제2그립은 상기 그립유닛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그립 및 상기 제2그립을 각각 상기 그립유닛의 일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1그립고정레버 및 제2그립고정레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푸쉬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 및 상기 제2그립은 상기 그립유닛의 일 위치에서 회전가능한 스마트 푸쉬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심박측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심박측정모듈은 상기 제1그립 및 상기 제2그립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심박측정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심박측정센서 및 제2심박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푸쉬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유닛에는 상기 제1그립 및 상기 제2그립 사이에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장치가 배치될 수 있는 거치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유·무선으로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와 연결되어 운동부하, 상기 그립유닛의 위치, 상기 제1그립 및 상기 제2그립 사이의 간격, 상기 제1그립 및 상기 제2그립의 각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스마트 푸쉬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유닛은 상기 제1그립 및 상기 제2그립 사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장치가 배치될 수 있는 거치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유·무선으로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와 연결되어 운동부하, 상기 그립유닛의 위치, 상기 제1그립 및 상기 제2그립 사이의 간격, 상기 제1그립 및 상기 제2그립의 각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스마트 푸쉬업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의 카메라, 거리측정센서 또는 터치감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푸쉬업 횟수를 측정하는 스마트 푸쉬업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장치의 자이로센서 또는 기울기센서를 이용하여 지지프레임의 현재 각도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푸쉬업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 및 상기 제2그립 사이의 상기 그립유닛에 배치되는 미끄럼방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푸쉬업 장치.
  11. 삭제
  12. 바닥면에 배치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를 축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1그립 및 제2그립이 배치된 그립유닛;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일 위치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타 단부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각도조절바; 상기 각도조절바의 타 단부의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한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 푸쉬업 장치를 이용한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이 사용자가 지정한 목표 푸쉬업 횟수, 상기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을 작동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도를 사용자가 지정한 목표 푸쉬업 횟수가 가능한 운동부하에 적합하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조건은 상기 사용자의 나이, 키 및 체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사용자의 운동능력은 상기 제어유닛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와 유사한 신체조건을 가지는 사람의 평균운동능력 또는 상기 사용자의 과거 운동기록으로부터 산출되고,
    상기 사용자의 키가 h라하고, 몸무게가 m이라하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그립유닛까지의 지지프레임의 길이를 l이라 하며, 상기 사용자의 발로부터 손까지의 직선거리를 L이라 하며,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부터 어깨까지의 길이를 hshoulder라 하고, 상기 사용자의 팔 길이를 harm이라 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부터 신체의 무게중심까지의 거리를 hcenter라 하며. 중력가속도를 g라고 정의할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이 제1각도(θ- 1)일 경우에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사용자에게 인가되는 운동부하(Fh)를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20011030450-pat00035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키가 h라하고, 몸무게가 m이라하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그립유닛까지의 지지프레임의 길이를 l이라 하며,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부터 어깨까지의 길이를 0.8h라 하고, 상기 사용자의 팔 길이를 0.35h이라 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부터 신체의 무게중심까지의 거리를 0.55h라 하며, 중력가속도를 g라고 정의할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이 제1각도(θ1)일 경우에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사용자에게 인가되는 운동부하(Fh)를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 방법.

    [수학식 2]
    Figure 112020011030450-pat00036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1각도(θ1)에서 N회의 푸쉬업을 수행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사용자의 최대 운동부하(Fmax)를 다음의 수학식 3에 의해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 방법.

    [수학식 3]
    Figure 112018116979961-pat00022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사용자의 최대 운동부하(Fmax)를 산출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사용자가 횟수 Na 만큼 푸쉬업을 하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부하(Fha)를 다음의 수학식 4에 의해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유닛이 결정한 운동부하(Fha)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5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도(θa)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구동유닛을 동작시켜 상기 지지프레임의 각도를 θa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 방법.

    [수학식 4]
    Figure 112018116979961-pat00023


    [수학식 5]
    Figure 112018116979961-pat00024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심박측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심박측정모듈은 상기 제1그립 및 상기 제2그립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심박측정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심박측정센서 및 제2심박측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심박측정모듈이 상기 사용자가 푸쉬업을 하는 동안 심박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가 목표심박수에 도달한 경우의 푸쉬업 횟수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심박수는 220에서 사용자의 나이를 제한 값으로 결정하여 사용자의 나이에 따라서 각각 목표심박수를 다르게 결정하는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빅데이터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대응하는 평균 운동부하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부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 방법.
  20. 바닥면에 배치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를 축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1그립 및 제2그립이 배치된 그립유닛;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일 위치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타 단부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각도조절바; 상기 각도조절바의 타 단부의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한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 푸쉬업 장치를 이용한 제12항,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 프로그램.
KR1020180145904A 2018-11-23 2018-11-23 운동부하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푸쉬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방법 KR102156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904A KR102156667B1 (ko) 2018-11-23 2018-11-23 운동부하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푸쉬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904A KR102156667B1 (ko) 2018-11-23 2018-11-23 운동부하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푸쉬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839A KR20200060839A (ko) 2020-06-02
KR102156667B1 true KR102156667B1 (ko) 2020-09-16

Family

ID=7109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904A KR102156667B1 (ko) 2018-11-23 2018-11-23 운동부하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푸쉬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150B1 (ko) * 2020-12-08 2022-12-06 주민호 접이식 운동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679962U (zh) * 2017-12-20 2018-08-03 长安大学 一种可调节式俯卧撑辅助健身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480A (ko) * 2003-02-18 2003-06-28 신인철 런닝머신
KR101479017B1 (ko) * 2013-02-15 2015-01-0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전거용 페달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 시스템
KR101952692B1 (ko) * 2017-03-02 2019-02-28 김민철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운동 관리 및 권장 플랫폼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679962U (zh) * 2017-12-20 2018-08-03 长安大学 一种可调节式俯卧撑辅助健身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839A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9334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weight of a treadmill user
KR102532766B1 (ko) 대화형 ai 코칭기반 근골격계 운동 및 재활 훈련시스템
US10080918B2 (en) Portable elliptical exercise machine
US10561894B2 (en) Treadmill with removable supports
US10258823B2 (en) Instrumented total body recumbent cross trainer system
US8512142B2 (en) Game controller having a stepping exercise platform and a sliding platform
US20160346601A1 (en) Functional postural training machine
TW201713388A (zh) 力量運動機械裝置
KR101138012B1 (ko) 복수 개의 측정 자세에서 사용자의 균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3538229A1 (en) Physiotherapeutic stair&incline system
JP6448015B2 (ja) 運動機能測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93185B1 (ko) 버그 균형 검사장치 및 방법
US9943725B2 (en) Exercise balance trainer
KR102044774B1 (ko) 스트레칭 기능을 구비한 스텝퍼
JPWO2019035444A1 (ja) 足底圧測定器、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GB2577192A (en) Movement capability evaluation device, movement capability evaluation system, movement capability evaluation program and movement capability evaluation method
KR101185575B1 (ko) 균형 감각 측정장치
KR20220121927A (ko) 신체 밸런스와 운동 측정 시스템
KR102116336B1 (ko) 탄성운동을 이용한 스마트 헬스케어시스템
KR102156667B1 (ko) 운동부하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푸쉬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푸쉬업 운동부하 조절방법
US11305153B2 (en) Portable elliptical exercise machine and transport mechanism
WO20211591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stibular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KR102040412B1 (ko) 운동 관리 시스템
KR102255067B1 (ko)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
TWI616223B (zh) 健身器材配重片智慧插銷與其記錄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