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067B1 -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 - Google Patents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067B1
KR102255067B1 KR1020200164042A KR20200164042A KR102255067B1 KR 102255067 B1 KR102255067 B1 KR 102255067B1 KR 1020200164042 A KR1020200164042 A KR 1020200164042A KR 20200164042 A KR20200164042 A KR 20200164042A KR 102255067 B1 KR102255067 B1 KR 102255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frame
user
information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64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5A single apparatus used for either upper or lower limbs, i.e. with a set of support elements driven either by the upper or the lower limb 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7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calorie expend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는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감지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운동량에 대한 각종 통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 정보에 대한 객관적인 수치화가 가능하고 이를 토대로 간편하게 운동의 정도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 {Whole Body Home Training Equipment that can Quantify Self-Exercise Information}
본 발명은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기구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감지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운동량에 대한 각종 통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 정보에 대한 객관적인 수치화가 가능하고 이를 토대로 간편하게 운동의 정도를 관리할 수 있는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 중에 운동을 하기 위해서 피트니스 클럽을 찾거나 간단한 운동기구로 집에서 운동을 한다. 피트니스 클럽 등의 전문 운동 시설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전문 트레이너로부터 운동방법 및 운동량에 관한 지도를 받을 수 있으나, 바쁜 일과로 인하여 집에서 간단한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고자 할 때에는 전문적인 지도를 받을 수가 없다. 따라서 집에서 잘못된 방식으로 운동을 하거나 사용자의 상태에 맞지 않게 과소 또는 과다한 운동을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보다 계획적인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운동량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유리한데, 기존에 알려진 방식은 유산소 운동 기구의 동작 시간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을 측정하거나 무산소 운동 기구의 운동횟수를 수동으로 입력받아 그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하는 것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따라서 운동기구 사용자에게 최적의 운동 환경을 제공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구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함으로써, 간편하게 자신의 운동 정도를 관리할 수 있는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 종류, 운동 횟수, 운동 시간 및 그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 등 사용자의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상세하게 수치화하여 통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주관적인 판단이 아닌 객관적인 수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보다 계획적이고 효율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기구를 이용하여 적어도 2 이상의 복수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에 있어서, 사용자가 실시하는 운동 동작에 따라 해당 운동의 실시 횟수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정보는 통계화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는, 지면에 접촉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사이드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디핑 프레임; 상기 디핑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치닝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치닝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레임 상에서 사용자가 실시하는 운동 동작에 따른 운동 횟수를 정확하게 카운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치닝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치닝 프레임을 이용하여 친업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운동 횟수를 측정하는 상측 센서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푸시업, 스쿼트, 딥프레스 및 레그레이즈 운동 중 어느 하나의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운동 횟수를 측정하는 하측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 센서부는, 사용자가 상기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의 전방에 엎드려 푸시업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운동 횟수를 측정하는 제1 하측 센서부; 사용자가 상기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의 전방에 서서 스쿼트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운동 횟수를 측정하는 제2 하측 센서부; 사용자가 상기 디핑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된 핸들봉을 파지한 상태로 딥프레스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운동 횟수를 측정하는 제3 하측 센서부; 및 사용자가 상기 디핑 프레임에 팔을 거치한 상태로 레그레이즈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운동 횟수를 측정하는 제4 하측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디핑 프레임의 전단과 연결되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프레임;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프레임; 및 상기 제2 경사프레임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하측 센서부는 상기 제2 경사프레임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센서부는 상기 제2 경사프레임 상에서 아래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은 사용자가 푸시업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핸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가 복수개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한 운동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부 중에서 사용자가 실시할 해당 운동의 횟수를 카운팅하는 센서부가 선택되도록 하고, 선택된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로서 연산될 수 있다.
상기 운동량 정보는, 상기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운동의 종류, 상기 운동의 종류별 운동 횟수, 운동시간 및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운동량 정보는, 시간, 일간, 주간, 월간, 연간 및 누적 통계치를 포함하여 기간별 통계 정보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구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기구 사용시 자동으로 감지된 정보가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고, 사용자는 단말기 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각종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운동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간편하게 운동의 정도를 관리하고 효율적인 운동 환경에서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운동 종류, 운동 횟수, 운동 시간 및 칼로리 소모량 등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상세하게 수치화하여 통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주관적 판단이 아닌 객관적 수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보다 바람직한 운동 계획의 수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와 어플레이션의 연동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를 나타낸 도면들로서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1은 본 기구의 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기구의 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와 어플레이션의 연동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기구를 이용하여 친업(chin-up: 턱걸이), 푸시업(push-up: 팔굽혀펴기), 스쿼드(squat), 딥프레스(dip-press, 평행봉 운동), 레그레이즈(leg raise, 다리 들어올리기)의 다섯 가지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100)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100)는, 지면에 접촉되는 베이스 프레임(110), 베이스 프레임(110)에 후단 양 사이드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2개의 수직 프레임(120), 수직 프레임(120) 사이를 지지하는 연결 프레임(130), 수직 프레임(12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디핑 프레임(140), 디핑 프레임(140)과 베이스 프레임(110)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50), 수직 프레임(120)의 상단에 설치되는 치닝 프레임(160), 그리고 지지 프레임(150) 및 치닝 프레임(160)에 설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대략 'ㄷ'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지면에 접촉되어 본 기구(100)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직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후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이하 기술되는 디핑 프레임(140) 및 치닝 프레임(160)의 설치를 위한 기초적인 틀을 제공한다.
연결 프레임(130)은 양 측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2개의 수직 프레임(120) 사이에 연결되어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부재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디핑 프레임(140)이 설치되는 위치와 동일한(또는 근사한) 높이에 연결 프레임(1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130)에는 사용자가 레그레이즈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등을 기댈 수 있도록 등받이 쿠션(131)이 설치될 수 있다.
디핑 프레임(140)은 사용자가 레그레이즈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양 팔을 거치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수직 프레임(120)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며 지면과 평행을 이룬다. 디핑 프레임(140)의 상부면에는 사용자가 팔을 편안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암 쿠션(141)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50)은 디핑 프레임(140)과 베이스 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기구 사용시 지지 프레임(15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지지 프레임(150)은 디핑 프레임(140)의 전단으로부터 하측의 베이스 프레임(110)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50)은, 디핑 프레임(150)의 전단부와 연결되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프레임(151)과, 제1 프레임(151)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프레임(152)과, 제2 프레임(152)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53)으로 구성되어, 절곡된 형태를 포함함으로써 구조적으로 튼튼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으로도 심미적인 요소를 가미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경사프레임(151)과 제2 경사프레임(152)이 각도를 가지면서 절곡된 형태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경사프레임(151)과 제2 경사프레임(152)의 연결부도 제2 경사프레임(152)과 수평프레임(153)의 연결부와 같이 라운드진 형태로 마련하여, 지지 프레임(150)이 전체적으로 'S'자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지지 프레임(150)에서 하측부에 위치하는 수평프레임(153)은 사용자가 딥프레스 또는 레그레이즈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발판으로서의 기능을 하고, 사용자의 푸시업 운동시에는 핸들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153)에는 사용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끄럼 방지패드가 둘레를 따라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디핑 프레임(140)과 지지 프레임(150)의 연결부에는 제1 핸들봉(142) 및 제2 핸들봉(143)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핸들봉(142)은 사용자가 레그레이즈 운동시 디핑 프레임(140)에 팔을 거치한 상태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핸들봉(143)은 사용자가 딥프레스 운동시 파지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핸들봉(143)은 디핑 프레임(140)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각각의 핸들봉(142, 143)은 사용자의 파지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패드로 감싸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치닝 프레임(160)은 수직 프레임(12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 및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치닝 프레임(160)의 끝단부에는 사용자가 친업 운동시 파지할 수 있도록 양측 방향으로 핸들바(161, 162)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치닝 프레임(160)의 내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핸들바(161)를 파지하여 운동을 실시하거나 또는 치닝 프레임(160)의 외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핸들바(162)를 파지하여 운동을 실시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의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다.
센서부는 사용자의 운동 동작에 따른 운동 횟수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움직임과 위치를 감지하는 모션센서(예컨대, 적외선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션센서로부터 얻은 정보를 수치로 변환하고 변환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센서부는 본 기구(100)에 의해 실시될 수 있는 다섯 가지 운동 동작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각각 측정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부가 해당 운동의 횟수를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는, 사용자의 친업 운동시 운동 횟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치닝 프레임(160)에 설치되는 상측 센서부와, 사용자의 푸시업, 스쿼트, 딥프레스 및 레그레이즈 운동시 운동 횟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15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하측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센서부는 사용자의 친업 운동시 운동 횟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친업 운동이 사용자가 치닝 프레임(16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핸들바(161/162)를 파지한 상태로 신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운동임을 고려하여, 치닝 프레임(160) 상에서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예컨대, 도 4에서 S1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하측 센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푸시업, 스쿼트, 딥프레스 및 레그레이즈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의 운동 횟수를 각각 측정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4 하측 센서부가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하측 센서부는 사용자의 푸시업 운동시 운동 횟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푸시업 운동이 사용자가 지지 프레임(150)의 수평 프레임(151)을 파지하여 엎드린 상태에서 신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운동임을 고려하여, 지지 프레임(150) 상에서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 또는 상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예컨대, 도 4에서 S2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하측 센서부는 사용자의 스쿼트 운동시 운동 횟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쿼트 운동이 사용자가 앉았다 일어나는 것을 반복하는 운동임을 고려하여, 지지 프레임(150) 상에서 사용자의 엉덩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예컨대, 도 4에서 S3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스쿼트 운동을 위하여 본 기구(100)의 구조물을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본 기구(100)에서 양측 지지 프레임(150) 사이에서 스쿼트 운동을 수행할 때 운동 횟수의 측정이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하여 스쿼트 운동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3 하측 센서부는 사용자의 딥프레스 운동시 운동 횟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딥프레스 운동이 사용자가 디핑 프레임(140) 전단에 형성되는 제2 핸들봉(143)을 파지한 상태(보다 바람직하게는 다리를 굽힌 상태로)에서 신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운동임을 고려하여, 지지 프레임(150) 상에서 사용자의 다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예컨대, 도 4에서 S4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 하측 센서부는 사용자의 레그레이즈 운동시 운동 횟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그레이즈 운동이 사용자가 디핑 프레임(140)에 팔을 거치한 상태에서 다리를 들고 내리는 것을 반복하는 운동임을 고려하여, 지지 프레임(150) 상에서 사용자의 다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예컨대, 도 4에서 S5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하측 센서부는 바람직하게는 지지 프레임(150)에서 제2 경사프레임(15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치 위치가 상이한 상측 센서부를 제외하고 상기한 제1 내지 제4 하측 센서부는 각각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설치 위치가 유사한 센서부를 통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다리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3 하측 센서부 및 제4 하측 센서부가 하나의 센서부로 통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각각의 센서부는 설치되는 프레임 상에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센서부는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프레임 상에 고정되되, 고정이 풀린 상태에서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지면에 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100)는 센서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어플레이션과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망(예컨대, 블루투스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통신모듈(통신부)이 본 기구(100)에 장착될 수 있다.
통신모듈(통신부)은 본 기구(100)에 설치되는 각각의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정보는 신호로 변환되어 통신모듈(통신부)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다.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정보는 D/B(Data Base)에서 연산을 통해 통계화되어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기구(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 정보를 단말기 상에 설치된 어플리에이션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또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운동 중에도 자신의 운동 정보를 바로 확인하기에 용이하도록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외에도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모듈(통신부)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정보는 D/B에서 연산된 후 어플리케이션으로 송부되어 표시될 수 있는데, 이때 D/B 서버는 운동 종류, 운동 횟수 및 운동 시간에 대한 파라미터(parameter) 값을 연산하여 통계값으로 도출한다.
또한, D/B 서버는 본 기구(100)의 고유 설계 특성 및 각 운동의 특성을 반영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운동 횟수 및 운동 시간으로부터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은 이러한 칼로리 소모량을 운동 횟수 및 운동 시간과 함께 '운동량 정보'로서 표시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운동량 정보'로는 운동 종류, 운동 횟수, 운동 시간(운동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과 쉬는 시간으로 세분화될 수 있음) 및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B 서버는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시간, 일간, 주간, 월간, 연간 또는 누적 통계를 포함하여 기간별 통계 정보로서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되도록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기간 동안에 대한 운동량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이 실시할 운동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에 운동 종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통신모듈(통신부)로 정보를 전송하여 본 기구(100)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부 중에서 사용자가 실시할 해당 운동의 횟수를 카운팅하는 센서부가 선택되도록 제어하고, 선택된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값이 D/B로 전송될 수 있다. 각각의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값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운동과 관련된 피트니스 어패럴(apparel) 및 영양 관련 콘텐츠을 제안하는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개발된 빅데이터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의 평소 구매 패턴과 검색 기록 등을 수집하여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구매 트렌드에 맞는 제품 및 회사를 발굴하고 서비스를 소개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7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100)의 후면에 설치되는 평판부를 나타낸다. 수직 프레임(120)의 후방에 고정되어 후면에 배치되는 평판부(170)는 심미적인 요소를 가미하는 것에 주 목적이 있으나, 평판부(170)로서 미러(mirror) 또는 반투명한 소재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바람직한 운동 환경을 조성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평판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마련되어 본 기구(100)의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출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평판부(170)는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수치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구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기구 사용시 자동으로 감지된 정보가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고, 사용자는 단말기 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각종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운동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간편하게 운동의 정도를 관리하고 효율적인 운동 환경에서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운동 종류, 운동 횟수, 운동 시간 및 칼로리 소모량 등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상세하게 수치화하여 통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주관적 판단이 아닌 객관적 수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보다 바람직한 운동 계획의 수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
110: 베이스 프레임
120: 수직 프레임
130: 연결 프레임
131: 등받이 쿠션
140: 디핑 프레임
141: 암 쿠션
142: 제1 핸들봉
143: 제2 핸들봉
150: 지지 프레임
151: 수평바
160: 치닝 프레임
161: 제1 핸들

Claims (10)

  1. 하나의 기구를 이용하여 적어도 2 이상의 복수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에 있어서,
    지면에 접촉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사이드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디핑 프레임;
    상기 디핑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치닝 프레임; 및
    사용자가 실시하는 운동 동작에 따라 해당 운동의 실시 횟수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디핑 프레임의 전단과 연결되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프레임; 및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가 상기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의 전방에 엎드려 푸시업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운동 횟수를 측정하는 제1 하측 센서부;
    사용자가 상기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의 전방에 서서 스쿼트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운동 횟수를 측정하는 제2 하측 센서부;
    사용자가 상기 디핑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된 핸들봉을 파지한 상태로 딥프레스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운동 횟수를 측정하는 제3 하측 센서부; 및
    사용자가 상기 디핑 프레임에 팔을 거치한 상태로 레그레이즈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운동 횟수를 측정하는 제4 하측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하측 센서부는 상기 제2 경사프레임 상에서 아래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치닝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치닝 프레임을 이용하여 친업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운동 횟수를 측정하는 상측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정보는 통계화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경사프레임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사용자가 푸시업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핸들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한 운동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부 중에서 사용자가 실시할 해당 운동의 횟수를 카운팅하는 센서부가 선택되도록 하고, 선택된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로서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 정보는, 상기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운동의 종류, 상기 운동의 종류별 운동 횟수, 운동시간 및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 정보는, 시간, 일간, 주간, 월간, 연간 및 누적 통계치를 포함하여 기간별 통계 정보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
KR1020200164042A 2020-11-30 2020-11-30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 KR102255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042A KR102255067B1 (ko) 2020-11-30 2020-11-30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042A KR102255067B1 (ko) 2020-11-30 2020-11-30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067B1 true KR102255067B1 (ko) 2021-05-25

Family

ID=7614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042A KR102255067B1 (ko) 2020-11-30 2020-11-30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0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498A (ko) 2022-02-09 2023-08-17 주식회사 론픽 능동부하 복합운동 트레이닝 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237A (ko) * 2016-09-19 2018-03-2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 이기종 운동 기구 플랫폼을 활용한 자가 운동량 측정 시스템
KR20180054293A (ko) * 2016-11-15 2018-05-24 박종찬 스마트 트레이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237A (ko) * 2016-09-19 2018-03-2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 이기종 운동 기구 플랫폼을 활용한 자가 운동량 측정 시스템
KR20180054293A (ko) * 2016-11-15 2018-05-24 박종찬 스마트 트레이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498A (ko) 2022-02-09 2023-08-17 주식회사 론픽 능동부하 복합운동 트레이닝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2766B1 (ko) 대화형 ai 코칭기반 근골격계 운동 및 재활 훈련시스템
CA2934354C (en) Instrumented total body recumbent cross trainer system
US9618527B2 (en) Exercise equipment usag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US8747282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exercising an operator
JP6374114B2 (ja) 運動記録方法及び装置
JP5676630B2 (ja) フィットネステストシステム
KR20010104244A (ko) 건강 관리 시스템
EP3600576B1 (en) Device and method for pelvic floor training
KR101887097B1 (ko) 다이나믹 밸런서
KR102255067B1 (ko) 자기 운동 정보 수치화가 가능한 전신 홈 트레이닝 기구
TW201215429A (en) Passive exercise apparatus
CN107485377A (zh) 一种体适能健身测评系统
CN209916024U (zh) 一种健身数据测试仪
KR101940032B1 (ko)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맞춤형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
TWI616223B (zh) 健身器材配重片智慧插銷與其記錄系統
KR20200066451A (ko)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
JP2002095773A (ja) ネットワーク対応型健康機器システム
KR20210085253A (ko) 스마트 개인훈련 운동시스템 및 개인훈련 운동방법
TWI828589B (zh) 具肢體平衡及安全性監控之重訓輔助系統
US20230078368A1 (en) Weightlift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ng lift motion
KR20240057290A (ko)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
KR102036437B1 (ko) H/q 근력비율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운동처방을 내리는 스마트 체중계
CN115475351A (zh) 一种基于人体工学的体育运动下肢锻炼设备及系统
KR20100044587A (ko)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개인별 운동 이력 관리 장치
KR20220069740A (ko) 운동량 카운터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